실패할 각오가 되어 있는가? [동기부여 영상]
인생을 망치는 생각 영상 출처: 클래스가 성장하는 순간 https://youtu.be/dlt5M1li8DM 계획을 똑똑하게 세우는 5가지 사고법 https://youtu.be/n9X4YMaRfBg 좋은 ......
인생을 망치는 생각 영상 출처: 클래스가 성장하는 순간 https://youtu.be/dlt5M1li8DM 계획을 똑똑하게 세우는 5가지 사고법 https://youtu.be/n9X4YMaRfBg 좋은 ......
@user-ty5lx8ug1w 50
2020년 11월 07일 17:23최근 자퇴하고 혼자 갖는 시간이 많아져서 수능과 자기계발을 병행하는 중에 체인지 그라운드를 접했는데, 인생에 대한 철학이 조금씩 생겨나는거같습니다. 이 영상에서도 노드라는 것이 지식의 확장을 내포하는 큰 덩어리라고 생각하고 그 노드가 언젠가 많은 지식과 경험(링크)들과 연결될때 비로소 큰 시너지 효과가 생긴다는게 제 자기계발에 큰 자극을 받았습니다. 항상 이런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이드 -미국 유명 유튜버들의 성공 비법 38
2020년 11월 06일 17:40“If you don’t fail, you’re not even trying.” 당신이 실패하지 않으면 시도조차 제대로 하지 않는 것이다.
김민호 35
2020년 11월 06일 19:39이제는 노력도 현명하게 해야 먹히는 시대라 생각합니다.
@Ithinkmore 27
2020년 11월 06일 19:24실패할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용기가 곧 성공 할수 있는 용기로 바뀝니다 .
위인들 모두 단 1%의 성공확률에 도전한 사람들 입니다 .
@Lovely_eun__c 27
2020년 11월 06일 17:11나태해질 틈을 안주시는 것 같아요.. 매일 동기부여 너무 감사합니다!!🙂
@user-sl3yk1vt3f 22
2020년 11월 06일 17:50세상에 운이라는건 존재하지 않아요. 다만 인간이 인지할 수 없는 영역인 것 뿐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복잡계라는 개념으로 보면 우주에는 무수한 노드 그리고 그 노드간 링크에 따라서 끊임없이 변화하죠. 하지만 인간은 고정된 개념으로 세상을 바라보기 때문에 운이라고 생각하는 겁니다. 뭉뚱그려서..
@futureselftv 21
2020년 11월 06일 17:01더 많은 이야기는 "신박사tv"에서 들으실 수 있습니다~♡
@The-ph7ug 16
2020년 11월 09일 03:40죽도록 노력해도 본인이 원하는 목표 꿈
이룰순 없어요 안되는건 안되는게 현실이에요 근데 죽도력 노력하다보면
이거 하나만큼은 장담할수있어요
지금의 삶보다 질이 훨씬 더 높아질겁니다
@For0009 15
2020년 11월 06일 18:32의식적 노력
성과+네트워크
반성적사고
맥락적 사고
복잡계
안티프레질
폴리매스
@goldbowl9547 11
2020년 11월 08일 05:19가능성이 크게 열려있는곳에 실패를 감수하고 도전하라는 말 같은데 설명을 상당히 어렵게 하는 재주가 있으신듯.
@Aaa-dc3bk 11
2020년 11월 06일 22:28선택을 하고 당시에는 살짝 손해보는 느낌이 들었지만, 결과적으로 좋은 결과가 돌아오는 이유가 복잡계이기 때문이었나보네요. 더욱더 제 복잡계를 긍정적으로 링킹하는데 노력해야겠습니다!
정가랑 8
2020년 11월 06일 17:33[ 실패할 각오가 되어 있는가? ]
#냉정한 이타주의자라는 책을 보면 해외 원조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회의론을 보인다. 그런데 저자만 아니라고 말하면서 해외 원조가 실패하는게 80%가 넘지만 실제로 1개가 성공했을 때 거기서 나오는 부가가치 및 효용이 80%의 실패를 다 덮고도 남는다고 말한다. 이것이 바로 '복잡계'를 말하는 것이다.(feat.블랙스완의 출연)
#똑똑한 사람들은 다 복잡계 이야기를 하고 있다.
#복잡계를 구성하는 것은 여러요소가 있다. 그 중 하나가 연결인데 여기서 말하는 연결은 단순 연결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 연결은 피드백으로 구성돼야 하는 것이다.
#피드백이 (긍정적인 피드백,부정적인 피드백)걸리게 되면 점점 기하급수적으로 커지면서 어떤 엄청난 사건이 창발하게 된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음으로 터져서 시스템을 지금 갈아엎고 있는 상황이다. 완전 파괴 시키면서 말이다.
#요즘 엄청난 사건들이 많이 터지는 이유는 (우리가 인터넷이라는 링크를 누구나 쓸 수 있기 때문에) 느슨하지만 모두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시너지를 올린다고 생각하면 개념을 이해하기 쉽다.
#A가 10,B가 10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했을 때 A와 B가 만나서 20이라는 어떤 결과치가 나오는 것이 아니다. 복잡계의 영역에서는 값이 20보다 넘어설 수 있기 때문이다. (30도 돼고, 50도 돼고, 100도 될 수 있음.)
#선형적인 합보다 넘어서는게 시너지다. 복잡계는 이런게 여러개가 뭉쳐 있는 거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이번에 코로나 바이러스가 엄청나게 터진 이유 중에 하나가 우리가 운송 수단의 발달로 이동이 너무 잘 되고 있기 때문이다.
#창발은 두 가지가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 같은 경우에 안 퍼지게 하려면 링크를 사회적 거리두기로 빨리빨리 끊어내야 한다. 이때 문제가 되는 것을 정확하게 찾아내서 끊어낼 수 있다면 문제가 복잡해 보여도 해결이 가능해진다.
#복잡계에서 긍정적인 경우, 예를 들어 다양한 사람들과의 교류, 좋은 사람들과 교류해서 링크를 늘리는 것은 좋은 전략이다.
#양으로 터졌을 때는 좋은 영향을 미치게 되니까 그것을 올리려면 복잡도를 올려야 된다.
#노드들이 다 떨어져 있으면 복잡계가 아니다. 복잡해보여도 연결되지 않으면 복잡계가 아니기 때문이다.
#어떤 유기적 연결을 통해서 '계'가 돼야 한다. 즉 시스템이 돼야 한다는 말이다. 시스템이 되면 이것이 바로 '복잡계'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모레알들이 복잡하게 있는 것처럼 보여도 이들 간에는 유기적 연결이 없기 때문에 복잡계가 아니다. 여기선 그 어떤 창발도 일어나지 않는다. (모레알이 갑자기 괴물이 되고 그러진 않기 때문)
#(복잡계가 되면)복잡계에서는 모든 결과가 우상향 곡선을 그리게 된다. 즉 상위 20%가 80%를 차지하게 되는 것이다.
<복잡도를 올리는 2가지 방법>
1.노드 node
2.링크 link
#노드의 숫자를 늘리면 복잡도가 올라간다. 노드를 늘려서 링크를 늘릴 수 있고, 노드를 늘리지 않고 링크를 늘려도 더 복잡해질 수 있다. 이 두개를 다 올리면 좋겠지만 말이다.
#이것을 독서로 대입해 봤을 때 다양한 책을 여러번 읽으면 머릿속에서 여러가지 노드들이 생기는 것과 같다. 여러번 의식하지 않아도 자기들끼리 자연스럽게 머릿속에서 연결되기 때문이다. 그러다 여기서 아이디어가 빵 터질 수도 있다.
#책을 전략적으로 읽어야한다. 똑같은 책을 두권 읽어도 이게 교집합이 돼서 노드가 안 생길 수도 있다. 그래서 이럴 땐 다른 책을 읽어야 한다. 그런데 너무 생뚱맞는 책을 읽으면 이것이 언젠가 연결이 될수도 있겠지만 (노드랑 노드가 너무 떨어져 있게되면) 연결이 안 돼서 없는 거랑 똑같아질 수 있다. 연결이 돼야한다. 무조건.
#당장 자신이 가시적인 계를 형성해서 어떤 원하는 결과가 나오길 원한다면 어느정도 바운더리를 정해놓고, 내부에서 일궈 나가야 한다. 그 다음 이해가 되냐, 안되냐가 되게 중요하다.
#큰 노드가 있고, 작은 노드가 있다. 큰 노드는 발이 여러개 붙을 수 있다. 링크가 이렇게 많이 붙을 수 있는 큰 노드가 있는 경우 제대로 이해하면 복잡도를 더 올릴 수 있는 확률이 올라간다. 그러나 노드가 작으면 붙을 수 있는데 한계가 생긴다.
#똑같은 책을 읽어도 이해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붙일 수 있는 링크가 많아지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책을 읽을 때도 어느 정도 자신이 이해하는가가 되게 중요하다.(똑같은 책을 읽어도 복잡의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
#노드를 미리 만들어 놓으면 이것들이 연결, 연결돼서 나중에 복잡도가 올라갈 수 있게된다.
#다양한 사람들, 좋은 사람들과 교류해서 링크를 늘리는 방법도 좋은 전략이다. 이것이 자신의 일상에서 엄청난 변화를 가져오고 성장을 가져올 것이기 때문이다.
#나쁜 사람들에게 둘러 쌓여 있어서 나쁜 상호작용을 갖게되면 나쁜 블랙스완, 음의 창발이 일어나게 된다. 이것은 자신의 인생을 망치게 되는 창발이다.
#무엇이 어떻게 잘 될지는 누구도 알 수 없다.
#운이 압도적으로 많은 곳이 콘텐츠 판이다. 콘텐츠 영역은 복잡계라서 평균값이라는 게 의미가 없다. 극단 값만 중요하다. 이곳에선 0개가 터진 것과 무한개가 터진 것만 중요하다.
#체인지 그라운드 영상이 빵빵터지는게 많이 나오는 이유는 콘텐츠 양이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다른 곳에서 주 1회 영상 올릴 때 체인지 그라운드는 주 7회 영상을 올렸음)
#많이 시도하는게 중요하다. 단, 대충 막 시도하는건 안 된다.
#체인지 그라운드에서 강조하는 것은 '빨리 일하고 자기 계발하라'는 것이다.
#실력은 자기 능력이다. 그래서 평균회귀라는 것은 자기 실력에 항상 수렴할 수 밖에 없게 되어있다.
#복잡계를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의 특징이 여러가지가 있다. 그 중 일단 예측하는 사람들은 예측을 남발하는데 그런 사람들은 거의 복잡계를 모르는 사람이라고 보면된다.
#전문가들이 예측을 얼마나 했나를 조사했었는데 조사결과 터무니없이 예측 한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인식론적 겸손을 갖는게 되게 중요하다.
#운에서 얻은게 크다는 걸 인지하고 겸손하자는 프레임이 있었다면 운이 큰 곳이 어딘지를 찾게된다.
#지역에서 국지화된 비즈니즈는 비복잡계, 선형적 구간인데가 많지만 대 부분의 큰 비즈니스들은 (B2C로 하는 것) 모두 다 복잡계다.
#변호사가 사건을 맡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결국에는 큰 로펌을 차려야 되는데 그것도 리더십이 없으면 만들기 어렵다. 그래서 어떤 비즈니스를 따질 때 상단이 얼마큼 열려 있냐! 그걸 계산할 줄 알아야 하는 것이다.
#제프 베조스는 실패할 각오가 돼있지 않은 사람은 아마존에서 일하지 말라고 말했다. 이 말은 비즈니스에서는 운이 지배적이라는 것을 말한다.
#어딜가면 운이 많이 터질까 그걸 설계해놓고 실패의 비용을 감수하는 프레임만 짜라. 상단이 열려 있지 않은 것은 이익을 내려고 안 하고 무료 보완재 수준으로 적자만 안 나오면 된다고 본다.
#복잡계에서 복잡도를 올린다는 말은 되게 어려운 말이다. 그렇지만 '이런게 있구나'라고 알고 넘어가면 좋다.
인생을 살아가면서 수없이 많은 선택 훈련을 함에도 불구하고 의사결정 수준이 높아지지 않는 이유는 우리의 중요한 의사결정 대부분이 복잡계에 속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운'의 영향력이 우리의 선택을 이리저리 흔들어 버린다. 완벽한 선택이라고 여겨지는 것들도 불확실성의 마력 앞에서는 뒤틀릴 수 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항상 '운'적 요소를 염두에 두고 선택을 해야한다. 그래야 좀 더 현명한 선택을 할 수가 있다. (feat.고영성 & 신영준)
신박사님(고작가님) 목소리는 언제 들어도 가슴 뜁니다. 다시 <일취월장> 읽고 싶어지게 하는 내용입니다!
늘 동기부여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yd9sp2fg2y 8
2020년 11월 06일 17:05동기부여 영상으로 많은 힘받고잇습니다!감사합니다
@user-nr5yn8rs9c 7
2020년 12월 05일 15:05뭔가가 위로받는 기분이네요.
저는 수산직공무원이 되기위해서 15년도부터 관련분야 최고 면허증을 취득한뒤 ‘남들도 일하면서들 합격하니까 나도 그렇게해야지’하면서 준비해왔지만..결과는 항상 고배를 들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그 경험(직장과 집이 너무 멀었어서 출퇴근시간만해도 시간낭비가 전철에서 책봐도 불가능했었고 매일 첫차타고 출근해서 공부할 시간을 만들어서 해봤음. => 결과는 터무니 없었음.)에서 확신을 얻어서 이렇게해서 3년뒤를 바라볼바에 어차피 합격하기위해 준비하게된 시험에 ‘올인’을 해보자.
신혼생활 2년이 좀 안되는 시점에 넓은 이해와 배려를 받아 일을 그만두고 공부에만 올인하고 있습니다.
수산직렬은 정보 자체도 매우 적고 확보하기가 어려워서 약 4년동안 정보만 수집하게된 것 같습니다. 이제는 왠만한 일도 현직자만큼 알고있게되었죠.
저 스스로가 노드 또는 복잡계가 된 것 같다는 말씀을 하고싶었습니다. 유기적인 관계로 ‘빵’터뜨리는 것이 ‘합격’이 아닌 공직사회를 넘어 ‘관습’보다는 ‘규정’을 잘 지켜나가는 공무원이 되겠습니다.
@user-or1br4dz2l 6
2020년 11월 06일 19:20노드와 링크
책을 한권 읽을때마다 노드가 생기는데 그 노드의 크기는 가지각색이며 "어떤 분야인가" 에 따라 연결이 늦어질 수도, 교집합이라 읽으나 마나일 수도 있다.
운적 요소
어떤 선택을 하든 최고의 선택이라고 생각되는 것들도 실패할 가능성 (운) 이 있다. 항상 유념해두고 실패할 각오를 가져라
@Rachel-rx2vt 5
2020년 11월 13일 22:24운을 늘리려면 양을 늘려라는 말이죠
@user-jhp86 5
2020년 11월 06일 20:15감사합니다..귀한 영상 잘 보았습니다.
몇 주 전에 짧게 올라왔던 복잡계에 관한 강연을 오늘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셔서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렇게 그물망처럼 엮인 복잡계 속에 우리는 살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알량한 지식으로 예측을 남발하다가는 큰 코 다치기 십상이라는 사실도 납득이 되었습니다.
터무니없는 예측을 남발하는 사람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겠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오늘도 역시나 값진 강연을 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NAPALNAPAL 5
2020년 11월 06일 17:16복잡계...복잡도...저런게 있구나!! 옙🙏😎👋
블랙스완(BlackSwan)TV 5
2020년 11월 09일 20:53블랙스완 발자국 남기고
다녀갑니다.
꾸벅.
@user-ow1qo3ck2z 4
2020년 11월 06일 17:27저런게 있구나!!! 맞아여 선택이 어려울 때 가 있어요 ㅎ
보충제에 밥말아먹기 4
2020년 11월 06일 17:10좋은 영상입니다
@MNWMNA 4
2020년 11월 06일 17:05언제나 잘 듣고 갑니다 ㅎㅎ
@TeamFairyjb 3
2020년 11월 06일 18:01복잡계 스페셜이네요 ㅎㅎㅎ
@user-db4tg8pg5p 3
2020년 11월 06일 22:31인터넷으로 연결되어있는 세상
💻🙏🏼💻
감사합니다.
겅듀님 3
2020년 11월 06일 23:32쉬운 말로 풀어서 설명해주실 수는 없나요...? 분명 좋은 말인건 알겠는데 어휘들이 너무 어려워요
@user-fn4xl4uz7u 3
2020년 11월 06일 17:13영상 고맙습니다
@user-zj8xq9qw5w 3
2020년 11월 09일 10:55정확한 많은 시도의 중요성, 운의 영향력, 복잡계의 원리에 대해 완벽하지는 않지만 조금이나마 이해하고 갑니다 ㅠㅠ 언제나 좋은 말씀 해주시는데 그에 비해 제 이해력이 부족해 정말 아쉽습니다 ㅠㅠ 꼭 꾸준히 공부하고 문해력을 올려서 박사님의 말씀을 완벽하게 이해하겠습니다. 언제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iy9ob6sr6d 3
2021년 1월 13일 11:59제가 궁금하던 게 이거였네요! 요즘 공부하면서 궁금한 것들이 많았는데 설명을 들으니 더 명확하게 다가옵니다. 더 여러분야를 도전하고 연결해보겠습니다🙆🏻♀️
정희란 3
2020년 11월 06일 17:02댓글 1등 ㅋㅋㅋㅋㅋ
@creatornw7114 2
2020년 11월 07일 10:55와... 새로운 시각을 가지는 것을 자연스럽게 얻는 것이 아니라 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원리와 능동적으로 얻는 방법을 알려주신 것 같아서 감사합니다
@Lucy-ci2ug 2
2020년 11월 07일 09:01지금 시기에 저에게 너무 필요한 말이었습니다 깨우쳐지게 해주셔서 감사해요🙏 전부 이해했습니다 제 상황과 대입하니 어긋나던 퍼즐이 딱 맞춰진 기분예요
@categorization5026 2
2020년 11월 07일 18:08복잡계의 대한 짧지만 매우 유익한 명강의 ! 항상 고개 숙여 감사드립니다 !!
정지용 1
2020년 11월 07일 10:46복잡계
평균의 왕국
극단의 왕국
오히려 '행운에 속지마라'라는 책에서는 치과의사처럼 벌것을 강조했는데요.. 반대로 최악이 어떨지 생각하고 트레이더처럼 규모가변적인 영역에서 돈을버는것도 생각해볼만하네요
@user-wh4lz2uu5n 1
2020년 11월 10일 10:07ㅋㅋㅋ
@user-kg4ev5qo9d 1
2021년 7월 19일 23:39제가 생각하는 투자기법이나 원칙과도 많이 통하는 내용이라 더 와닿았던 것 같습니다
@gabrielsaint4949 1
2020년 12월 02일 23:51영상 너무 잘 봤습니다.
무엇인가 머리 어는 한 곳에서 빡! 터지는 느낌이 들고 내가 상상은 했지만 말로 설명할 수 는 없는 무엇인가를 명쾌하게 설명해준 영상 이었습니다.
오랜만에 정말 도움 되는 영상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내꼬야히토미 1
2020년 11월 07일 01:12복잡한 강의네요...
@_englishlab5259 1
2020년 11월 07일 01:24동기부여 영상 감사합니다 😊😊
@namhokim9511 1
2020년 11월 06일 19:54복잡계에 대해 많이 배웁니다
@kim-bo8hz 1
2020년 11월 09일 14:45진짜 신박사님 개인채널?보다 체인지그라운드 음악편집이 합쳐진 영상물들은 미친거 같습니다 링크가 연결되 미친거같아요
@user-gb4qu3bm7v 1
2020년 11월 06일 21:04늘 좋은영상 덕분에
힘받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jyp870125 1
2022년 1월 01일 17:31결론: 체인지그라운드에서 추천하는 책을 많이 읽자
뼈PD 1
2020년 11월 15일 19:02복잡 복잡 복잡계 볶음밥?
@jjy8710 1
2021년 6월 03일 22:19복잡계 라는 얘기는 인공지능과 굉장히 연관이 깊은거 같아요!
@user-ml1ft1su8t 1
2020년 11월 06일 18:55가능성 있는 선택을 하여 꾸준히 노력하되 많은 것을 경험해보고 공부해야 운이 따르는 선택을 할 수 있지 않을까..하는 저만의 생각 입니다.ㅎ
이번 영상은 생소한 이야기라 어렵네요.ㅎㅎ
@user-eq5ke4me6w 1
2020년 11월 08일 08:4700:50 피드백제어시스템은 음의피드백일경우가아니면 발산할확률이 높아져요.. 전달하는시스템이 양수일경우 100%
@user-ni1po1lw3g
2022년 7월 22일 18:28말씀하신대로 저한테는 저런게있구나 딱 거기까지였지만 어렵지만 흥미롭습니다 ~
@umumlee8716
2020년 11월 06일 22:54thank you!!!!!!❤❤❤❤
❤❤❤❤❤❤
❤❤❤❤❤❤
@user-ub9tk4nq4d
2021년 3월 18일 08:28고맙습니다
@user-wc3qv6ux1m
2022년 8월 02일 16:52복잡하다 아직은... 그러나 복잡계가 되어가는 과정..
그것은 내가 그토록 바라던 성공한 자의 길이였다.
@user-ix7fl2df9u
2020년 11월 07일 13:08어렵당
박준성
2020년 11월 06일 22:10복잡계에 대해 잘 배웠습니다
@lights6220
2022년 12월 02일 15:25(4:58) 다양한 사람 좋은 사람들과 교류해서 링크를 늘리는 것도 좋은 방안입니다.
Jisun Kim
2020년 11월 08일 20:14인식론적겸손 , 운이 많이 터지는 곳을 찾자.
@HANSAN141
2022년 1월 13일 18:38ost 구합니다 배경음 너무 좋네요 곡명이나 링크 좀..
@user-ec2mg3or8e
2020년 11월 30일 16:18글을쓰는격투기스킬트레이너 김석훈입니다.
연결을 위해 더 많은 독서와실행을 하겠습니다.
@user-cz4ix6gy9r
2020년 12월 02일 02:34하나의 생각(노드)이 떠오르고 그와 관련된 다른 생각들이 점점 생기다보면 노드의 수는 어느새 많아지고 관련된 노드끼리는 링크라는 선으로 연결되어 거미줄과 같은 모양이 된다
물론 이 과정 자체만으로 매우 특별하거나 눈에 보이는 작용을 만들어내지는 않지만 하나의 생각(노드)에서 불꽃(노력)이 발생하면 그 점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연쇄적으로 퍼져 핵폭발과 같은 어마어마한 효과(성공)이 발휘된다
@user-ni1po1lw3g
2022년 7월 22일 18:29말씀하신대로 저한테는 저런게있구나 딱 거기까지였지만 어렵지만 흥미롭습니다 ~더알아가고싶습니다!
@nasdaqjungler
2021년 12월 12일 02:280:30 정자동 아데나앞이네요
김모
2020년 11월 09일 01:16깜짝이야 본인등판하신줄..
이이
2022년 4월 01일 17:11실패보다 무서운건 후회다 ...
만약 저때 했었더라면 , 날 의심하지
않았더라면 ...
유영주
2021년 4월 17일 13:55좀 어려운 내용입니다.
@user-ni1po1lw3g
2022년 7월 22일 18:33한번더 보면서 이해를 더해갑니다 소오름~~
하하하하하하하하하
2020년 11월 07일 06:49.... 알아서 잘하자. 라는 말인듯.
@yusijak8392
2022년 7월 21일 21:08오..
@ss1dm
2022년 7월 30일 18:36이 영상 처음본지 2년만에 좀 제대로 이해 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