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당신의 기분이 나쁜지 알고 있다 | 박은일 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조교수 | 데이터 심리 과학 | 세바시 1268회
세바시 대학에 입학하세요. 내일을 바꾸는 배움은 물론, 여러분도 스피치의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https://bit.ly/3gAQXT6 ✻ 이 강연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
세바시 대학에 입학하세요. 내일을 바꾸는 배움은 물론, 여러분도 스피치의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https://bit.ly/3gAQXT6 ✻ 이 강연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
@jpjollybean1183 38
2020년 11월 09일 18:31알림에 뜬 제목 보고 홀린 듯 클릭을 했네요ㅋㅋㅋㅋ
@user-bs4zx5lw4h 37
2020년 11월 09일 18:50순간 지금 기분이 나쁜데
안다고 하길래 눌렀네요
@user-pu2zn1ms7y 15
2020년 11월 09일 19:16기분이 나쁜 것이 감정적인 부분을 컨트롤하지 못할 정도로 이어지지 않게 하면서 문제가 되지 않게 하는 방법을 잘 이해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efficienify 14
2020년 11월 10일 07:55엇, 아침에 일어났는데 제가 제일 먼저 유투브에 공개될 줄 몰랐습니다.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덧, 제목은 많은 분들이 재미있어 할까봐 창의적(?)으로 정해보았습니다. 죄송합니다 _ _)
@DDaDok_stureadingkorea 13
2020년 11월 09일 20:501. 데이터인공지능을 통한 인간관계 심리 파악
2. 애니팡 사례 : 점수판 랭킹 & 하트갯수
3. 1400여명 유저데이터 수집 : 재미, 이동성, 경쟁심 위주
4. 갈등은 항상 나쁜것인가 : LOL 사례
5. 갈등과 만족도간 관계
6. 창의, 행동의 중요성
디지털 데이터를 통해 게임, 인간관계, 만족도를 분석하는것이 흥미로웠습니다.
데이터 강국 대한민국의 면모를 느꼈던 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재미있는 영상 감사합니다!!
@jihunpark7839 13
2020년 11월 09일 19:50강연 제목에 대한 내용이 그닥 없어서 아쉬웠네요. 다만 게임 내 티어 차이에 따른 갈등 해결 방법은 흥미로웠습니다. 확실히 그런 것 같네요. 다만 표본 수가 대상자 630명이라는 점에서 조사 기간과 판수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조금 부족해 보이긴 하네요.
@user-bn8kg6pz5d 13
2020년 11월 10일 06:50기분에 따라 그날의 일과나 일상생활에 영향이
생길수도 있는데 기분이 좋으면 뭔가를 했을때
능률도 오르기도 하죠 게임도 기분에 따라 승패가
갈릴수 있다는건 생각 해본적 없는데 그럴수도
있게단 생각이 드네요 ^^
좋은 강연 잘 들었습니다
@user-ik9gr9yl1m 7
2020년 11월 09일 18:50방역에 힘쓰시는 모든 분들 의료종사자분들 그리고 과학자분들 너무 감사합니다. 우리 함께 극복해 나갑시다.
@hyukk7326 7
2020년 11월 09일 20:16흥미로운 주제이지만, 결론이 조금 아쉬웠던거 같습니다.
@Ajajaa2334 6
2020년 11월 11일 19:02데이터에도 심리학을 접목 시킬 수 있다는 것에 놀랐습니다.
박은일 교수님 감사합니다.
그저 아무 생각없이 즐기기만 했던, 애니팡 같은 게임을
정말 전혀 다른 Way로 접근하시는게 놀라웠습니다.
사회적 연결과 재미 중 어느 쪽이 더 가까운가.
사회적 연결 욕구보다 재미가 훨씬 더 큰 효과를 나타낸다.
게임과 심리학의 전개도 놀라웠지만, 이런 작은 것에도
이렇게까지 다른 시각으로 바라 볼 수 있다는 것이 더 놀라웠네요.
세바시 팀 항상 감사합니다.
JM 6
2020년 11월 10일 22:48이분 진짜 대단하신 분입니다. 업계에서 라이징스타예요 실적도 대단하시고 인성 평판도 훌륭하셔요 ㅋㅋㅋㅋㅋ 이렇게 유튜브에서 뵈니 신기하네요
@sebasi15 6
2020년 11월 09일 18:23[책이벤트] 박은일 강연자에게 질문 또는 시청소감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추첨을 통해 세바시 강연자의 책을 선물로 보내드립니다. (참여기간 11/9~11/17, 당첨발표 11/18, 책 랜덤배송)
@square_kim 5
2020년 11월 09일 23:31오늘 너무 기분이 나빠서 아무것도 안하고 있다가 영상 보고 들어왔어요!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
@user-vf4vw4qp4g 5
2020년 11월 09일 20:33데이터로 기분의 상태를 파악할수 있다는 뜻이군요~~~!!!
@user-ol1im6nt4g 5
2020년 11월 09일 21:444:56 오랜만에 본 애니팡이 너무 친근하네요,,
그리고 너무 공감이 되었습니다. 소셜 네트워킹 게임에서는 재미와 경쟁심이 사회적인 측면에서의 연결욕구보다 더 높다는 것을 새롭게 알게되었습니다ㅏ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user-sd9ut9tc3f 4
2020년 11월 09일 22:22나는 왜 당신의 기분이 나쁜지 알고 있다.
- 박은일 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조교수 / 데이터 심리 과학 / 세바시 1268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최기영 님의 서두가 멋있었습니다.
데이터와 인공 지능을 연구하고 있는 박은일 님.
하상욱 시인 "자기가 필요할 때만 찾는 사람은 더 이상 필요 없을 때 나를 버린다."
2012년 애니팡 – 소셜 미디어 한국 최초의 게임.
관계를 보고자 함. 점수판과 하트. 보내는 사람 입장에서만 만든 하트 날리기.
사회적 연결과 재미 중 어느 쪽이 더,,, 사회적 연결 욕구보다 재미, 연결성, 점수를 더 중요시 함. 먹튀 현상을 보였다. 갈등이 많이 나타나게 되었다. 욕을 많이 하게 된다, 서로 간에 혹은 다른 사람을.
리그 어브 레전드 – faker가 하는 세계적인 게임. bus를 탈 수 있는 게임. 팀 내 갈등 구조가 발생할 수 있음.
갈등 여부에 따른,,, 높은 티어의 user들은 갈등에 의한 영향이 차이를 가져오지 않았음.
창의력을 어떻게 구현시킬 수 있는가 : 부딪혀 보라-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해결하려는 시도를 할 때 창의력이 향상된다.
긴 강연 끝에 두 줄의 말씀이 크게 다가오네요,,, 현실과 가상의 명확한 공통점인 실행의 힘.
감사히 듣고 갑니다!
@user-hz3xi6eh3j 4
2020년 11월 12일 11:56흥미있는 주제로 강연 들었습니다 ㅎㅎ 박은일 교수님과 세바시 감사합니다 ~
@dearwindy 4
2020년 11월 09일 18:32제목보고 알람 맞춰놨어요 :)
@INA9377 4
2020년 11월 09일 22:03제목보고 홀린듯 들어왔어요.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user-ml1os9nc8b 4
2020년 11월 13일 18:54제목과 내용이 동떨어진거 같네요 ㅎ
@user-np4kg3mj1h 4
2020년 11월 12일 14:37오늘 아침 일어났을때 기분이 좋은지 나쁜지에 따라서 하루 일과가 어떻게 진행될것인지 아는 부분은 정말 놀라웠고 평소에 생각해보지 않았던 부분이었는데 명쾌하게 설명해주셔서 많은 부분의 무지에 대해서 저는 알게 되었고 그렇게 생각할 부분이 많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네요.^^~~~
빨간모자 3
2020년 11월 11일 00:49제목이 내용과 상관 없는 것 같아요
@healing_moma 3
2020년 11월 13일 00:12데이터에도 심리학을 접목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네요 이런 융합이 늘어날 것 같아요
@user-he5ec5vw5p 2
2020년 11월 16일 13:37다양한 게임 속에서도 갈등이 나오길 마련이죠~~~
데이터와 심리학의 이야기~~잘 들었습니다.
@user-qd2gb7qd7b 2
2020년 11월 14일 23:26조금은 어려운듯하면서도 새롭고 재미있는 내용이었습니다.감사합니다^^
@user-gi5fd2on2y 2
2020년 11월 16일 22:07창의에서 창의력에서는 구현시키는 방법에 부딪혀보라가 젤 기억에 남네요 맞는 말 같아요 실제로 해결하는 시도와 해결력이 증가 하기에는 부딪히는게 데이터 강국을 위한 대한민국 의 최상의 방법 같아요~~
@user-pz3mq9hq7c 2
2020년 11월 15일 23:31게임은 재미로만 했는데 심리학으로의 분석 접근이 흥미롭습니다.
@seongranlee5265 2
2020년 11월 16일 19:14제목에 이끌려 들어왔는데 데이터 분석을 통해 기분을 알 수 있다는 말인가보군요! 게임을 하면서, 혹은 보면서 갈등과 만족도,승률 등의 관계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없는데 이런것까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서 상관관계를 찾아낸다는 게 새롭게 다가왔어요~ 더 나아가 데이터 심리과학이라는 분야도 궁금해지네요
@user-cj6gl8qd6y 2
2020년 11월 15일 09:47게임에서 전문가 집단에서의 갈등은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내용에서 문득, 지식이나 경험이 풍부한 경우에는 사회적으로 어떠한 갈등이 생겨도 설득력이나 신뢰성이 바탕이되어 갈등을 잘 풀어갈수 있겠구나하는 생각이 듭니다.
결론은 일상이 갈등이라고해도 과언이 아닌 사회에서 살고있는 우리 모두가 행복하기를 바랄뿐입니다.
좋은강의 감사드립니다.
@user-nk1sm9dz5w 2
2020년 11월 09일 20:56감사합니다 ~
@borayou4938 2
2020년 11월 13일 15:01강의제목이 호기심으로 다가와 들었습니다.
게임에 비유해 설명을 하신 내용들이 조금은 알듯한데 전 게임을 안하다보니 내용 모두를 이해하기는 좀 어려웠네요~ 제목의 상황들을 더 깊이 이해할수 있는 다른 비유도 좋을듯하다는 생각을 해보며~ 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DrByungjunKim 1
2020년 11월 13일 21:12흑흑 날가져요
@user-ee9ho5ez1t 1
2021년 1월 26일 21:37왜나쁜지 알아맞추시다니
@sebasi15 1
2020년 11월 18일 15:25⭐️ 세바시 대학에 입학하세요.
내일을 바꾸는 배움은 물론, 여러분도 스피치의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 https://bit.ly/3gAQXT6
@bai5909 1
2020년 12월 02일 12:50정말 아는 것 같은 미소 짓고 계셔서 눌러봤어요
@user-iu2vv1be5x
2022년 8월 01일 01:34갈등이란 내 기분에 따라 많이 생길 수도 적게 생길 수도 있고 어떤 사람을 만나느냐에 따라 안생길 수도 여러번 생길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인간관계를 피할 수 없기에 갈등 또한 피할 수 없다라는 생각이 드는데 내 기분을 컨트롤 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갈등을 없애는 방법은 최고라는 생각이 드네요.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kindotnet9912
2020년 11월 10일 22:4111:20 부터나오는 갈등은 통계학에서 기본으로 배우는 평균을떠나 .. 분포의 개념이 빠진것같습니다.. 물론 아주 당연히 아시겠지만 1000번 게임해서 480번 지는것과 10번게임하여 4번 지고 5번지는것은 확률상 큰차이가 있습니다. 어느게임이든지 .. 쉽게말해 무조건 오래할수로 매칭로직상 50%에 접근하게되게죠.. 져도 크게 승률이 떨어지지 않고 이겨도 크게 오르지 않듯이요.. 만약 높은티어의 해당 평균이 55% 초과라면 매우의미 있었을것같습니다. 초보자일수록 등락이 심하구요.. 비유를 하자면 주사위를 평균의 10번 굴린 사람 10명의 값과 주사위를 평균 1000번 굴린사람의 평균값을 구하면 당연히 1000번 굴린사람들 사이의 분포도가 적겠죠 이런식이면 어느데이터나 마찬가지의 결과를 주겠죠....... 물론 당연히 다아시지만 극대화된 비유를 하기위한거겠지만요...
레몬에이드.
2020년 12월 29일 23:28내용이 이해가 안가요;,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