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창문 사진을 모으는 이유 | 이종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전임연구원 | 에너지 빈곤 데이터 | 세바시 1269회
이 강연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 강연자의 강연 소개 : 저는 건축을 연구하는 '창문 사진 수집가' 이종원 연구원입니다 ......
이 강연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 강연자의 강연 소개 : 저는 건축을 연구하는 '창문 사진 수집가' 이종원 연구원입니다 ......
@lemonlemon489 7
2020년 11월 10일 23:52변화는 혼자 이루어지지 않는다.
변화는 작은 것들이 쌓여 만들어진다.
혼자 쌓는 변화는 언젠가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 그 변화를 혼자가 아닌 여럿이 같이 쌓아간다면 어떨까? 단순히 인력이 늘어나는 것이 아니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도 같이 강구할 수 있는 것이다.
강의를 들으면서 우리는 왜 사는가, 일을 하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에 닿을 수 있었다. 내가 하는 일이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믿어야 하고, 그 같은 목표 아래 더 좋은 가치를 이끌어 내기 위해 살 때 산다는 것이 더 가치있어지지 않을까.
우리는 모두 부자가 되고싶다. 왜냐는 질문에 선뜻 대답을 꺼낼 수 있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나는 부자가 되고 싶다. 나의 인생의 목표는 학교를 짓는 일이다. 학교는 변화를 만들어내는 곳이고, 많은 문제들을 예방할 수 있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이런 목표를 이루기 위해 나라는 사람 개인이 혼자 할 수 있을까? 아니다. 다른 사람들이 필요하다.
혼자 가는 것보다 함께 가면 더 멀리 갈 수 있다.
사람은 혼자 살 수 없다. 한 사람이 성장하기 위해서 온 세상이 그 사람을 도왔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거다. 받은 그 이상을 갚으면서 살고 싶다.
그 변화를 위해 나도 함께 걸어가고 싶다.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해 같은 방향으로 걸어가고 있음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세바시 032_함께 가면 더 멀리 갈 수 있다.
@TV-zu7mu 7
2020년 11월 10일 21:40당장은 만족스러운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지만 미래 누군가 해결할 수 있음을 믿고 창문사진을 모으고 있다는 발상이 참으로 신선하고 기대됩니다.
프레임, 유리, 면적, 단창&이중창 등 컴퓨터가 알 수 있는 언어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포스트잍을 이용하여 어렵게 모은 엄청난 데이터가 모두 제대로 활용될 수 있게 한 것도 훌륭한 발상입니다.
이러한 사진 하나하나가 데이터 씨앗이 되어 에너지 빈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 디지털 건축가를 알게 되어 감사하고 그 꿈이 꼭 실현되시길 기원합니다.
@화목한월수금 6
2020년 11월 10일 19:33자신이 잘하는 건축분야를 이용해 빈곤층을 돕니다.. 얼마나 효과적이고 도움이 많이 될까 친절하신 강사님 감사합니다
@해밀이-d8e 5
2020년 11월 10일 22:51이종원 연구원님 말씀도 잘하시고 잘생겼어요~!
@제이드-미국유명유튜 5
2020년 11월 10일 18:12창문이 생각보다 되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군요. 이렇게 에너지 빈곤가구가 많은지도 몰랐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병아리삐약삐약-s6h 5
2020년 11월 10일 18:28주변 사람들에 대해서 관심을 갖는 것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알게 되었습니다. 우리의 공동체인 이웃에게 사랑을 나눠기 위해서는 작은 행동이 중요함을 알게 되었습니다. 큰 깨달음과 가슴의 울림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richk7033 4
2020년 11월 10일 22:07건축은 단순히 철근과 콘크리트의 공학의 영역이라고 생각했는데 디지털 건축가라는 생각지도 못한 좋은 강의를 들었습니다. 사회에 대한 관심과 4차산업 혁명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의 문제를 해결 가능하다는 것을 연구원님 덕분에 알게 되었습니다. 새로운 세상을 알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설명을 너무 잘 해주셔서 말씀해주신 부분들이 모두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저도 제가 하는 일이 세상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 생각해보겠습니다. 데이터 씨앗을 심는데 동참하겠습니다.
@chunchanjun649 4
2020년 11월 10일 22:13재밌는 강의 감사드립니다~!
@서경훈-t3v 4
2020년 11월 10일 19:02창문을 보면서 주변 사람, 가까운 곳에 있는 사람에게 관심을 기울이며 따뜻한 마음을 잃지 않는 것이 삶을 살아가는 행복이라는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날씨가 추워지는 상황에서 따뜻함을 잃지 않는 마음을 창문과 함께 보이는 것을 기억하겠습니다!
@이광재-n3s 4
2020년 11월 11일 02:14젊은 과학자의 창의적인 발상을 응원합니다. 마음도 따뜻해 보이네요. 더욱 노력하셔서 좋은 결실을 맺기를 바랍니다.
@이용범-k4g 3
2020년 11월 10일 22:07빈곤층은 항상 우리 곁에 있죠 하지만 우리가 일상에 지쳐 보지 못할 뿐입니다 이렇게 어려운 사람들에게 시선과 관심을 가질수 있다면 조금이라도 밝은 세상이 될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강연 잘보았고 항상 응원 하겠습니다
@강민준-u4n 3
2020년 11월 17일 19:39우선 좋은 강연을 제공해주신 이종원 연구원님과 '세바시 강연'에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요즘 보면 정말 ‘데이터’가 중요해지고 있는 것 같아요. 강연자의 말씀처럼 분명 본인이 생각하기에는 작은 데이터라고 할지라도, 그러한 데이터들이 하나하나씩 모인다면 정말 의미있고도 큰 데이터를 모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무엇보다 강연자의 자세 및 발상이 참신하고도 인상깊었습니다. 이상과 현실 사이에는 분명 괴리감이 있어요. 누구는 이상만을 좇다가 절망적인 현실에 부딪혀 좌절하기도하고, 누구는 현실에만 맞춰 사느라 발전하지 못하죠. 하지만 강연자의 경우 이러한 '현실(빈곤가구에 대한 적은 관심과 지원)의 이상(여기서는 빈곤가구 문제의 해결)화'를 위해 데이터 씨앗 모으기와 같이 작은 행동을 직접 실천한다는 것이 기억에 남습니다. 저 또한 세상을 바꾸는 많은 사람 중 한명이 되기 위해 스스로 어떤 것을 할 수 있는가를 진지하게 고민해볼 수 있게 된 강연이었다는 점에서 굉장히 흥미롭고 인상깊었습니다.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과 세상에 다가가는 새로운 자세를 얻는데 큰 도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성호-h4b 3
2020년 11월 10일 18:02기대됩니다~
@sunmikim2842 3
2020년 11월 10일 23:56넘멋집니다^^사익만을 위해서뿐만이 아닌 다방면으로 도움주시는 젊은 과학자분들 화이팅입니다
@younggukkim2034 3
2020년 11월 10일 22:12너무 감동인 강의입니다 ㅠㅠ 저도 데이터 씨앗을 심는데 동참하겠습니다!
@una_club 3
2020년 11월 10일 21:54에너지 빈곤층 안타깝다 ㅜ
@정보라-y9s 2
2021년 6월 10일 16:42ㅋㅋㅋㅋ삼촌 세바시 나왔다는거 구란줄 알았는데 진짜였어 ㅋㅋㅋ 울 삼촌 머찌다!!
@Ajajaa2334 2
2020년 11월 11일 18:44이종원 연구원님, 그리고 세바시 팀에게 감사드립니다.
창문이라는 정말 작고도 사소한 물건이 이렇게 까지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세삼 깨닫는 것 같습니다. 빛나는 도시에서도 소외 받는 소수의 사람들을 위해
힘써주셔서 감사하고, 저 또한 많은 영감을 받았습니다.
창문도 물론 중요하지만,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본다면 이러한 이유는
환경 오염과 지구온난화에 있다고 생각해요.
60 ~ 70년대의 사람들의 당시 할 일이 경제발전과 성장이었다면,
현재 우리의 할 일은 환경오염 예방과 해결 이라고 생각합니다.
영양가 높은 강연 감사합니다.
@오공선사-f6n 2
2020년 11월 11일 12:05어려운 곳에 시선을 모으는 아름다운 마음에 박수를 보냅니다. 누군가를 구할 수 있겠다는 마음으로 주말의 황금시간을 건네는 젊음이있으므로 올 겨울은 조금 더 따뜻해질거라고 생각됩니다. 세상에 가난한 사람이 없어야하는데, 구걸하는 가난한 사람을 돕는 동정은 근본적인 해결이아니라고 외면하는 생각이 가장 나쁘다라고 한 말에 공감합니다. 연구원님처럼 할 수 있는 곳에서 할 수 있는 일을 해야하는거지요.
@nassssim_ 2
2022년 1월 16일 21:17에너지빈곤가구 해결을 위한 도구로 창문사이즈를 생각하는게, 흥미로웠습니다! 데이터분석자한테 데이터 없이 링위에 올라갈 수 없죠. 가장 중요한 무기인 데이터가 사실 가공되기 전에는 그 효용가치를 모르는 것이 데이터라고 생각합니다. 포스트잍을 이용해서 데이터의 쓸모를 만든 연구원님과 필드에서 고생하시는 분들의 협업이 정말 인상깊었습니다!!
Natalee 1
2020년 11월 21일 16:12이종원님 멋있어요~! ㅋㅋㅋㅋㅋㅋ
@healing_moma 1
2020년 11월 13일 00:10작은 것이 모여서 큰 일이 되네요 비슷한 빅데이터가 앞으로 더 중요해질 것 같아요.
@dianadayeeom8035 1
2020년 12월 02일 19:18ㅎㅎㅎ실력과 따듯한 마음을 겸비하셨군요!! 앞으로 미래가 기대되는 청년이십니다 :) 데이터 씨앗을 통해 에너지 빈곤 사회문제를 해결한다니 너무 멋지네요-
@hyonggeolcho1533 1
2020년 11월 13일 18:34종원이 멋지다!
@ilmarechoi 1
2020년 11월 23일 11:21우와~ 종원이 멋있어!! 늘 화잇힝!!^^!!
@서범근-u7y 1
2020년 11월 12일 14:58창문사진 콜렉터인 이종원 강연자님의 강연을 통해서 우리가 알지 못했던 분야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가는 시간이 너무 좋네요. 창문사진이라는 것은 한 단면적인 부분일 것이고 자신이 잘 알고 계시는 건축분야의 일을 통해서 어떻게 사람들이 사는 집의 단열을 해서 에너지가 밖으로 새나가지 않도록 한다는 데에 많은 연구를 하고 있는 이종원 연구원님에게 응원의 말씀을 전하고 싶네요.^^~~~
@이정훈-g5v1h 1
2020년 11월 15일 17:50창문사진이 뭘까했는데. 의미있고 뜻깊은 사진들이네요.
직업정신이 투철하시네요
@sangwhanhan8149 1
2020년 11월 12일 17:14사회적으로 의미있는 결과를 만들기 위하여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촉구하고 소통이 필요하다는 취지의 강연이 참 좋았습니다. 창문사진이 씨앗이 되어 많은 의미있는 연구를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최정환-d8y 1
2020년 11월 12일 10:34젊은과학자 이종원
정말 따뜻하고 고마운 생각이네요.
앞으로도 이런 따뜻한 맘으로 세상을 이롭게 해주세요.^^
@장철환-k1c 1
2022년 8월 01일 01:32집이라는 공간이 사람을 지켜주는 곳이라 생각했지 목숨을 뺏어가는 공간일 것이라고 상상조차 못했습니다.
가끔 안타까운 사고로 돌아가시는 분들이 있지만 그건 어쩌다 일어나는 일들일 뿐이라 생각했는데 강의를 들으니 가장 사망자가 많이 나오는 공간이 집이라는 말이 너무 충격적이네요.
너무 안일했던 제 생각을 깨워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kkd0728 1
2020년 11월 22일 03:03너무 좋은 얘기 고맙다 종원아!
@유로또1등당첨
2020년 12월 04일 02:29강의 감사합니다
나는 어떤 빈곤에 속할까요
천이 흐르는 오래된 넓지 않은집
샤시를 바꾸지 못해 삐걱 거리는
창문은 여닫기가 힘들고
거실과 베란다의 연결문도
틀어져서 잘 닫히지 않아
찬바람이 술술 들어오고
오래된 배관 시설이 터져서
윗집에서 물이새서 천장이
얼룩졌는데 윗집 주인은
신경도 안쓰고
다섯번이나 물벼락을
맞았는데도 계속 참아야만
하니 너무나 억울하고
우울합니다 사람들은
아파트 살면서 뭔 죽는소리야
하는데 다 나름 고통이
있는거죠 오래된 아파트고
저층이라 하수구 냄새 펄펄
올라오고 윗집에서 빨래를
하면 서재냄새 나고 윗집에서
싱크대를 청소하는지 뭘 하는지
싱크대에서 냄새올라오고
까스렌즈 위에 후왕에서도
생선 튀기는 냄새 나고 물론
우리집에선 음식을 하지 않는데도요
@이정훈-g5v1h
2020년 11월 20일 13:21책 선물 발표 되었나요??
B.I.H
2020년 12월 02일 05:46이제는 과학이 인류를 구원할수있는 시대가 온것같아요.
종교는 더이상 인류를 구원할수 없음을 다 알고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