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여기서 말하는 네트워크는 인맥이라는 표현 보다는 의도하면 마케팅, 의도하지 않았다면 운(?)같네요...
다빈치의 모나리자 의 경우 후자 같은데 이 운이라는 건 결국 많이 할수록 실력이 뛰어날수록 더 자주 얻을 "여지"가 생깁니다. "여지"라고 한 것은 실력이 뛰어나다고 모두 행운의 주인공이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극단적으로 말씀드리자면 내가 그림을 잘 그리는데 아무에게도 보여주지 않을 수도 있으니까요.. 무의식 중에 이런 변화를 거부하는 고답적인 행동을 할 수도 있습니다. 즉 많이 해서 꾸준히 해서 운이 올 확률이 높이는 것과 동시에 운이 들어올 수 있도록 융통성을 지닐 수 밖에. 실력있는 자가 운 또한 얻는 방법은 이것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마케팅의 경우는 대표적으로 애플의 아이폰 이 있습니다.. 애플은 전자제품을 판매하는 것이 아닌 디자인, 분위기, 개성, 유행의 선두자가 된 것 같은 쾌감 등을 성능과 함께 제공하고 있죠... 그럴 수 있는 것은 스티브 잡스의 독보적인 캐릭터와 그로 부터 나오는 뛰어난 스토리텔링이 있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많이 판매하기 위한 스토리가 아닌 마음 깊숙한 곳에서 나오는 자부심이기에 모두 그를 동경하고 그 효과는 그가 만든 제품에도 영향을 끼친 것 같아요...
개인적으로 네트워크가 인맥이라는 말에는 전혀 동의가 가지 않습니다. 인맥으로 흥한 자는 인맥 없으면 결국 실력이 들통나고 망한다고 생각합니다.... 실력 + 인맥이라 한들 결국 실력이 뛰어난 사람입니다.. 다빈치도 페루자 저 분이 굳이 작품을 훔쳐 자국으로 보내주고 싶을 만큼의 자랑스러운 뛰어난 이탈리아 화가였고, 애플의 아이폰 또한 성능 무시 못하죠. 대중, 군중을 한 사람 한 사람 인맥 관리한다? 불가능 합니다. 또한 매개체로서의 인맥이라고도 생각이 되지 않는 것이.. 페루자와 다빈치는 지인이 아니라는 겁니다.. 저 책의 내용은 자세히 모르지만 다빈치의 이야기 속 네트워크란.. 대중 심리가 잘 활용된 영향력의 확장 정도인 것 같네요...
성과측정이 어렵다면? 본질적으로 미슬작품 성과측정 어려워 실크상인의 부인 1519년완성 19세기초 루브르박물관으로 옮겨져 1911년 페루자가 모나리자를 훔침 애국주의적 행동 공휴일 인기없는 그림 2년만에 다시 돌아옴 좋은 말씀 고맙습니다♡ 성과를 갖추어야한다 네트워크 성공
저도 성공의 공식 포뮬러를 봤는데 그거 하나는 확실하게 각인하고 있습니다. 성공=성과(실력)×연결(네트워크) 아무리 성과가 좋아도 남들의 객관적인 평가가 없다면 의미가 없고 그것은 성공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희박하며 반드시 누군가 보고 평가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설령 그렇더라도 복잡계라는 것이 존재하기때문에 반드시 성공하리라는 보장도 없다 하지만 적어도 나의 실력을 남에게 보여줄 수 있는 창을 만들고 그것을 발판으로 성공의 지름길이 생길것이라는 믿음은 항상 갖고 성과를 위해 오늘도 열심히 졸꾸해야겠다!!^^ 오늘도 동기부여되는 말씀 감사합니다.
정이 5
2019년 12월 18일 23:02성공 = 성과(실력) x 네트워크
개인적으로 여기서 말하는 네트워크는 인맥이라는 표현 보다는 의도하면 마케팅, 의도하지 않았다면 운(?)같네요...
다빈치의 모나리자 의 경우 후자 같은데 이 운이라는 건 결국 많이 할수록 실력이 뛰어날수록 더 자주 얻을 "여지"가 생깁니다. "여지"라고 한 것은 실력이 뛰어나다고 모두 행운의 주인공이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극단적으로 말씀드리자면 내가 그림을 잘 그리는데 아무에게도 보여주지 않을 수도 있으니까요.. 무의식 중에 이런 변화를 거부하는 고답적인 행동을 할 수도 있습니다. 즉 많이 해서 꾸준히 해서 운이 올 확률이 높이는 것과 동시에 운이 들어올 수 있도록 융통성을 지닐 수 밖에. 실력있는 자가 운 또한 얻는 방법은 이것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마케팅의 경우는 대표적으로 애플의 아이폰 이 있습니다.. 애플은 전자제품을 판매하는 것이 아닌 디자인, 분위기, 개성, 유행의 선두자가 된 것 같은 쾌감 등을 성능과 함께 제공하고 있죠... 그럴 수 있는 것은 스티브 잡스의 독보적인 캐릭터와 그로 부터 나오는 뛰어난 스토리텔링이 있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많이 판매하기 위한 스토리가 아닌 마음 깊숙한 곳에서 나오는 자부심이기에 모두 그를 동경하고 그 효과는 그가 만든 제품에도 영향을 끼친 것 같아요...
개인적으로 네트워크가 인맥이라는 말에는 전혀 동의가 가지 않습니다. 인맥으로 흥한 자는 인맥 없으면 결국 실력이 들통나고 망한다고 생각합니다.... 실력 + 인맥이라 한들 결국 실력이 뛰어난 사람입니다..
다빈치도 페루자 저 분이 굳이 작품을 훔쳐 자국으로 보내주고 싶을 만큼의 자랑스러운 뛰어난 이탈리아 화가였고, 애플의 아이폰 또한 성능 무시 못하죠. 대중, 군중을 한 사람 한 사람 인맥 관리한다? 불가능 합니다. 또한 매개체로서의 인맥이라고도 생각이 되지 않는 것이.. 페루자와 다빈치는 지인이 아니라는 겁니다..
저 책의 내용은 자세히 모르지만 다빈치의 이야기 속 네트워크란.. 대중 심리가 잘 활용된 영향력의 확장 정도인 것 같네요...
용킴 5
2019년 12월 18일 21:21성공에 네크워크가 중요하다는거 정말 공감합니다
대학생활하면서도 느끼고 알바하면서도 느끼는거같아요 하물며 직장에가고 본격적으로 사회생활하면 훨씬더 강력해지지않을까 생각됩니당
잘듣고가요
BOOK만남 5
2019년 12월 18일 22:19성공을 성과와 네트워크!! 저의 자리에서 성과를 내고 네트워크를 쌓도록 노력해야겠어요. 이렇게 댓글 남기는 것도 네트워크를 쌓는 일이라 생각하며... 웅이사의 하루 공부를 통해 저도 오늘 하루 더 성장합니다.
화난게아냐부었을뿐이야 4
2019년 12월 18일 23:27성과 측정이 객관적으로 불가능할 경우, 성과보다 네트워크가 성공 여부를 좌우합니다.
하지만 성과 또한 일정 수준 이상이 드러나야 합니다.
1.내가 있는 분야는 성과 측정이 객관적으로 가능한가?
2.나의 성과가(결과물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가?
이 질문에 답을 먼저해야겠습니다.
결국 또 메타 인지네요.
이렇게 또 배워갑니다!
가는이 4
2019년 12월 18일 22:07사람들이 모일 정도의 실력을 만드는것
그 임계점을 넘기 위해서 진짜 이 악물고 졸꾸 하겠습니다
Success Code, 데일리 동기부여 채널 3
2019년 12월 18일 22:40퇴근하는 길에 들으면서 퇴근했다가 이제 댓글 답니다 매일 웅이사님 강의 자동재생하면서 출퇴근하는데 여러분도 해보세요 :) 하루의 시작과 마무리의 질이 몇단계는 달라집니다
순풍산부인과 3
2019년 12월 18일 23:02성공하기 위해서는 성과 (실력) 네트워크를 갖추어야한다.
정말 맞는 말인것 같습니다.
본인의 실력이 아무리 뛰어나도 네트워크가 없거나 부족하면
성공하기가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성공하기 위해서 실력과 네트워크를 최대한 탄탄하게 하려고 노력을하고 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초짜프로_젊은 은퇴 2
2019년 12월 18일 21:35이번영상 역시 가슴을 치게하네요~
곽준영 1
2019년 12월 18일 21:191
정호떡 1
2019년 12월 19일 07:16웅이사님이 권하는 책은 거의 재미있었어요 그래서 읽을 책을 딱히 찾기 힘들때는 웅이사님 영상 훑게 되는거 같아요 저한테는 굉장히 소중한 분 입니다
원시인나라 1
2020년 1월 14일 06:17성과측정이 어렵다면?
본질적으로 미슬작품 성과측정 어려워
실크상인의 부인
1519년완성
19세기초 루브르박물관으로 옮겨져
1911년 페루자가 모나리자를 훔침
애국주의적 행동
공휴일
인기없는 그림
2년만에 다시 돌아옴
좋은 말씀 고맙습니다♡
성과를 갖추어야한다
네트워크
성공
현주TV 1
2019년 12월 20일 07:08아침일찍 이영상을 끝까지 시청했는데 큰도움이 됩니다. 성과와 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위해 매일매일 열심히 노력하고 있었는데 제 방향이 제대로 설정된게 맞으니 이젠 더욱더 집중해야 될것같아요. 늘 좋은 책리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마흔혁신 1
2019년 12월 19일 09:23저도 성공의 공식 포뮬러를 봤는데 그거 하나는 확실하게 각인하고 있습니다.
성공=성과(실력)×연결(네트워크) 아무리 성과가 좋아도 남들의 객관적인 평가가 없다면 의미가 없고 그것은 성공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희박하며 반드시 누군가 보고 평가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설령 그렇더라도 복잡계라는 것이 존재하기때문에 반드시 성공하리라는 보장도 없다 하지만 적어도 나의 실력을 남에게 보여줄 수 있는 창을 만들고 그것을 발판으로 성공의 지름길이 생길것이라는 믿음은 항상 갖고 성과를 위해 오늘도 열심히 졸꾸해야겠다!!^^ 오늘도 동기부여되는 말씀 감사합니다.
분단극복
2022년 5월 11일 12:20성과 + 네트워크 = 성공 핵심은 2가지 1) 실력 2) 네트워크...........성공을 이끄는 실력과 섬세한 인맥의 네트워크 .....등이 필요하다................새 시대를 맞이하였습니다......환절기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