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부터는 코로나 정상화에 따른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한 압박감, 묶였던 임대사업자 물량의 해제 시한이 다가옴, 차주 dsr의 정착, 점점 투명성을 높히는 부동산 거래 시스템 강제, 정부의 재개발 공급 절차 완화 가속화(이건 추측이지만 아마 이 방향으로 진행될거 같습니다. 재건축은현재 매물을 너무 많이 없애버리니까요), 부동산을 투재재로서는 실격시키는 세금제도의 완성 등 하방요인이 너무 많다고 생각합니다. 주택 3년만에 팔고 나오는 게 아니라면 지금은 전세나 월세로 가는게 좋다고 봐요. 결국 2008-2013년처럼 전세가는 오르고 매매가는 떨어지는 상황이 연출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 전에 미리 조금씩 떨어지면 하락폭을 줄이겠지만 여전히 불패신화를 믿는 대중이나 부동산 투자자가 많아서 걱정됩니다. 그래도 터질거면 코로나 끝난 뒤 세계경제 호황기에 버블이 터졌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결론이 뭐에요? 섭프라임사태가 언제적일인데 그걸 지금 분석해서 말하는 이유가 뭔가요? 누구나 다 아는거 다시 말하면서 한국부동산은 다르고 아직 건제하니까 더 올라갈 여력이 있다 이게 결론입니까? 우리나라 작금의 부동산시장을 앞으로 적용될 금융시스템에 비추어서 영끌한 20 30대가 앞으로 어떻게 험난한 세상을 살아갈지에 대한 해법이 더욱 유익해 보이네요.
과거 원인 분석은 맞지만 예측이 이상하네요. 오히려 주택 공급 부족으로 거품이 붙은 가격을 30대가 영끌해서 은행부채로 비싸게 샀으니 미국보다 더 문제가 심각한거죠. 승자는 30대에 떠넘긴 50 60대가 될것입니다. 공급은 2024년부터 쏟아지고 금리는 더 일찍 정상화 될꺼고. 같은 현상을 보고도 이렇게 해석이 다를 수 있다는거는 부동산 옹호론자이셨던 평소의 의견이 반영된것 같네요.
최근 존 리 선생님께서 "젊어서 집을 사면 바보" 라는 기사가 나왔고 그 내용은 젊었을 때 돈을 벌면 집보단 자신한테 더 투자하고, 투자는 부동산보다 주식에 투자하라는 내용이였습니다. 근데 댓글보면 비판이 엄청 나더군요. 홍춘욱 선생님께선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진짜 우리나라에선 오로지 부동산이 답인지, 정부에선 왜 이렇게 못잡는지, 홍춘욱 선생님께서는 혹시 생각하시는 방식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예민한 주제이기에 조심스럽네요ㅜㅜ 항상 유튜브 잘보고 있고, 선생님께서 내신 책들 다 읽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부동산을 중점으로 한 거시적 경기부양책의 한계이지 개인에게 있어서 투자 자산으로서의 부동산의 불패는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설령 부동산으로 인한 경기 침체가 오더라도 부동산 자산의 하락이 다른 자산의 하락에 비해 완만함은 이미 밝혀진 바로 알고 있습니다. 거시적 정책의 타당성에 대한 논의는 미시적 개인이 투자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과 구별되는 문제입니다. 부동산의 평균 수익률과 안정적 분산을 고려할 때 다른 자산을 언제나 압도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2008 서브프라임때 제 집도 거의 반토막이 나서 일종의 우울증같은 스트레스가 장난 아니었어요. 억울해서 반토막난 집을 하나 더 샀죠. 첫번째는 다시 가격 회복하고 더 올랐고 두번째집은 산지 얼마 않되어 두배 올랐어요. 첫번째집은 렌트비 받아 모게지는 내고 있죠. 한국은 강남에 있는 손바닥만한 집이 얼마나 비싼지...여긴 심심해서 한국갈까 생각도 해봤는데 은퇴하고도 한국에서 좁은 집엔못살것 같아 그냥 미국에서 살아야겠어요.
박사님, 박사님의 채널을 뒤 늦게 알게되어 영상들을 하나씩 보고 있는 금융초보 & 금융문맹입니다. 양질의 강의를 볼 수 있어 행복하고 감사합니다. 지금은 박사님의 영상들 중 채권 관련 영상들을 보고 있는데, 궁금한게 생겨서 여쭈어 봅니다. (채권 관련 영상은 예전 영상이라 거기에 댓글 남기면 못 보실 수도 있을 것 같아, 최신 동영상에 댓글 남기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질문1) 만약 채권을 액면가 이하로 매입했다면 이후 채권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만기까지 들고 갈 경우엔 (해당 채권이 부도나지 않는 한) 액면가만큼 받을 수 있어서 투자 원금이 보장되잖아요? 그래서 채권을 안전 상품이라고 하는 것일테고요. 그렇다면 채권 ETF는 어떠한가요? 채권 ETF도 투자 원금이 보장되나요? 채권 ETF에는 만기라는 개념이 없을테고, 따라서 만기에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는 개념도 없을 것 같은데, 제 생각이 맞는지요?
질문2) 위의 제 생각이 맞다면, 즉 채권 ETF에는 "만기에 원금보장"이라는 개념이 없다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채권 ETF를 안전 상품이라고 할 수 있나요? 할 수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허재원 8
2020년 11월 18일 01:222023년부터는 코로나 정상화에 따른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한 압박감, 묶였던 임대사업자 물량의 해제 시한이 다가옴, 차주 dsr의 정착, 점점 투명성을 높히는 부동산 거래 시스템 강제, 정부의 재개발 공급 절차 완화 가속화(이건 추측이지만 아마 이 방향으로 진행될거 같습니다. 재건축은현재 매물을 너무 많이 없애버리니까요), 부동산을 투재재로서는 실격시키는 세금제도의 완성 등 하방요인이 너무 많다고 생각합니다. 주택 3년만에 팔고 나오는 게 아니라면 지금은 전세나 월세로 가는게 좋다고 봐요. 결국 2008-2013년처럼 전세가는 오르고 매매가는 떨어지는 상황이 연출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 전에 미리 조금씩 떨어지면 하락폭을 줄이겠지만 여전히 불패신화를 믿는 대중이나 부동산 투자자가 많아서 걱정됩니다. 그래도 터질거면 코로나 끝난 뒤 세계경제 호황기에 버블이 터졌으면 좋겠습니다.
@mangood2962 6
2020년 11월 17일 19:03이 아저씨는 투기조장하다가 갑자기 입장을 바꾸네
@syanplus 5
2020년 11월 16일 09:56일단 저당시 미국과 지금 우리나라는 LTV 차이가 너무 많이나지 않나요
@devglish8512 4
2020년 11월 21일 09:02그래서 결론이 뭐에요? 섭프라임사태가 언제적일인데 그걸 지금 분석해서 말하는 이유가 뭔가요? 누구나 다 아는거 다시 말하면서 한국부동산은 다르고 아직 건제하니까 더 올라갈 여력이 있다 이게 결론입니까? 우리나라 작금의 부동산시장을 앞으로 적용될 금융시스템에 비추어서 영끌한 20 30대가 앞으로 어떻게 험난한 세상을 살아갈지에 대한 해법이 더욱 유익해 보이네요.
@zybr90 3
2020년 11월 17일 18:46과거 원인 분석은 맞지만 예측이 이상하네요. 오히려 주택 공급 부족으로 거품이 붙은 가격을 30대가 영끌해서 은행부채로 비싸게 샀으니 미국보다 더 문제가 심각한거죠. 승자는 30대에 떠넘긴 50 60대가 될것입니다. 공급은 2024년부터 쏟아지고 금리는 더 일찍 정상화 될꺼고. 같은 현상을 보고도 이렇게 해석이 다를 수 있다는거는 부동산 옹호론자이셨던 평소의 의견이 반영된것 같네요.
@hlj5945 2
2020년 11월 19일 16:21박사님 안녕하세요. 교보문고 출판파트입니다. 박사님의 통찰력과 지식을 담은 책을 출간하고 싶습니다. 네이버 메일로 보내드린 기획안 검토 부탁드립니다.
@편자남편의점에서자기 2
2020년 11월 16일 12:56너무 이해가 쏙쏙 잘되는 명강의 감사합니다!!박사님~^^
@끝까지간다-f6g 2
2020년 11월 16일 15:55최근 존 리 선생님께서 "젊어서 집을 사면 바보" 라는 기사가 나왔고 그 내용은 젊었을 때 돈을 벌면 집보단 자신한테 더 투자하고, 투자는 부동산보다 주식에 투자하라는 내용이였습니다.
근데 댓글보면 비판이 엄청 나더군요.
홍춘욱 선생님께선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진짜 우리나라에선 오로지 부동산이 답인지, 정부에선 왜 이렇게 못잡는지, 홍춘욱 선생님께서는 혹시 생각하시는 방식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예민한 주제이기에 조심스럽네요ㅜㅜ
항상 유튜브 잘보고 있고, 선생님께서 내신 책들 다 읽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gunkim217 2
2020년 11월 16일 07:01큰 모니터가 있으니 좋네요 ^^
@이종명-m6u 2
2020년 11월 17일 19:47저같은 문외한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이런 좋은 강의를 볼 수 있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_Apple Alien 2
2020년 11월 18일 19:15부동산을 중점으로 한 거시적 경기부양책의 한계이지 개인에게 있어서 투자 자산으로서의 부동산의 불패는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설령 부동산으로 인한 경기 침체가 오더라도 부동산 자산의 하락이 다른 자산의 하락에 비해 완만함은 이미 밝혀진 바로 알고 있습니다. 거시적 정책의 타당성에 대한 논의는 미시적 개인이 투자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과 구별되는 문제입니다. 부동산의 평균 수익률과 안정적 분산을 고려할 때 다른 자산을 언제나 압도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rokseong3984 1
2020년 11월 19일 10:312008 서브프라임때 제 집도 거의 반토막이 나서 일종의 우울증같은 스트레스가 장난 아니었어요. 억울해서 반토막난 집을 하나 더 샀죠. 첫번째는 다시 가격 회복하고 더 올랐고 두번째집은 산지 얼마 않되어 두배 올랐어요. 첫번째집은 렌트비 받아 모게지는 내고 있죠. 한국은 강남에 있는 손바닥만한 집이 얼마나 비싼지...여긴 심심해서 한국갈까 생각도 해봤는데 은퇴하고도 한국에서 좁은 집엔못살것 같아 그냥 미국에서 살아야겠어요.
@수리-g2q 1
2020년 11월 16일 08:57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와 현 한국 부동산 시장을 비교해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최근에 정말 알고 싶었던 부분이었어요!
@김수경-m4g 1
2020년 11월 16일 08:48오늘도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백종민-y1y 1
2020년 11월 16일 11:57한국은 1년에 평균(?) 주택공급이 얼마가 되는것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시나요?
wllia 1
2020년 11월 16일 07:26박사님, 박사님의 채널을 뒤 늦게 알게되어 영상들을 하나씩 보고 있는 금융초보 & 금융문맹입니다. 양질의 강의를 볼 수 있어 행복하고 감사합니다. 지금은 박사님의 영상들 중 채권 관련 영상들을 보고 있는데, 궁금한게 생겨서 여쭈어 봅니다. (채권 관련 영상은 예전 영상이라 거기에 댓글 남기면 못 보실 수도 있을 것 같아, 최신 동영상에 댓글 남기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질문1) 만약 채권을 액면가 이하로 매입했다면 이후 채권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만기까지 들고 갈 경우엔 (해당 채권이 부도나지 않는 한) 액면가만큼 받을 수 있어서 투자 원금이 보장되잖아요? 그래서 채권을 안전 상품이라고 하는 것일테고요. 그렇다면 채권 ETF는 어떠한가요? 채권 ETF도 투자 원금이 보장되나요? 채권 ETF에는 만기라는 개념이 없을테고, 따라서 만기에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는 개념도 없을 것 같은데, 제 생각이 맞는지요?
질문2) 위의 제 생각이 맞다면, 즉 채권 ETF에는 "만기에 원금보장"이라는 개념이 없다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채권 ETF를 안전 상품이라고 할 수 있나요? 할 수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4allgreen
2020년 11월 23일 12:55주식은 버블인지도 강의 부탁드립니다. 대출받아서 주식하는 사람도 늘고 있다해서 걱정 됩니다.
Lucas루카스
2020년 11월 17일 00:34진정 경제적 자유를 추구한다면, 과거의 교훈을 잊어서는 안되겠죠. 좋은 영상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gooddfdf22
2020년 11월 16일 06:551
Bass müzikler !
2022년 3월 05일 02:10주식하기엔 너무 까막눈이라 찾던와중에 저도 소 베 액 팅 추천받아서 쳐봤는데 너무좋네요 ^^
@eskiorhan
2022년 3월 05일 02:10아아 그거 저도 알아요 소 배 액 팅 ㅎㅎ 어려운것도 없고 간단한 지식만으로 할수있다던데
@thepubg2489
2022년 3월 05일 01:40아아 그거 저도 알아요 소 배 액 팅 ㅎㅎ 어려운것도 없고 간단한 지식만으로 할수있다던데
Burak TOY
2022년 3월 05일 02:10소배 액팅 알고나서부턴 왜 내가 직장다니면서 뼈빠지게 일했을까 생각이 듭니다 일찍시작할껄 ㅠㅋㅋ
BARAN ERKAÇMAZ
2022년 3월 05일 01:40펀드니 주식이니 코인이니 다필요없는거같음 어렵기만하고 ㅠ 소 배 액 팅 은 어려운게없음
menderes aktas
2022년 3월 05일 02:10당일날 바로 소액으로 용돈벌고 당일환젼 해주던데 소 배액 팅 진짜 좋네요
takashzwq
2022년 3월 05일 02:10소 배 액팅은 워낙 유명해서 앞전부터 핫했는데 이게 지금 뜨네요 ㅎㅎ
@mad7363
2022년 3월 05일 01:40소 배 액팅은 워낙 유명해서 앞전부터 핫했는데 이게 지금 뜨네요 ㅎㅎ
@adityaarya8723
2022년 3월 05일 02:10저는 요즘 코로나때문에 직장도 힘들어졌는데 소배 액팅 알고나서 부업으로 용돈법니다 ㅠ ㅎㅎ
@mertcankarademir8501
2022년 3월 05일 02:10요즘 재테크 하는게 유행인데 찾아보다가 소배 액팅 쳐보고나서 95%수익 내고있어요!
Beko xq
2022년 3월 05일 01:40주식좀 해볼까하고 찾아보는데 너무어려워서 포기.. 그런와중에 소 베액 팅 은 진짜 혜자 인정;;
AYHAN GAMES
2022년 3월 05일 02:10펀드니 주식이니 코인이니 다필요없는거같음 어렵기만하고 ㅠ 소 배 액 팅 은 어려운게없음
@dhppang7904
2020년 11월 16일 13:41진짜 왕초보 수준에 딱맞는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기사
2020년 11월 16일 12:47박사님. 디플레이션전쟁 마지막부분에 각국가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정말 유용하게 보고 투자에 활용하고있습니다
좋은책 써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FOMBS-je8mw
2020년 12월 09일 17:131,2억대 주택을 구매하기 쉽도록 대출을 옥죄지말고 풀어야한다는 방송에 나오는 하버드 박사 출신 K교수님 의견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forestbetter8545
2021년 8월 11일 21:56교수님 채널에서는 배를 안내미시고 모습이 신뢰감이 있으신데
다른 채널에서는 배를 항상 내밀고 어깨를 뒤로빼시니..꼭..졸부같은 인상이세요..
배만 아니었어도 ㅜㅜ
채널 진작 구독하고 했을텐데
늦게 봐서 너무 아쉽습니다.
못 본거 다 볼꺼예요.
강의가 꼭꼭 들어와요
@izci6939
2022년 3월 05일 01:40주식하기엔 너무 까막눈이라 찾던와중에 저도 소 베 액 팅 추천받아서 쳐봤는데 너무좋네요 ^^
yMLKL0K0y zx
2022년 3월 05일 02:10주식좀 해볼까하고 찾아보는데 너무어려워서 포기.. 그런와중에 소 베액 팅 은 진짜 혜자 인정;;
BRİGHT PALADİN
2022년 3월 05일 02:10아 소 배 액팅 들어봤어요 초보자들도 쉽게 접목할수 있다던데
عالم الاحتراف
2022년 3월 05일 02:10나라에서는 해주는것도 없고 자영업자인데 해당도 안되는와중에 소 배 액팅 알고나서 아빠노릇합니다..ㅋ
@MrNowTenAmv
2022년 3월 05일 01:40그냥 아무곳이나 쳐도 소 배 액 팅 주소 알수있어요 ㅎㅎ 워낙에 믿을만한곳이라
@Oyunlarnprosu1
2022년 3월 05일 01:40소배 액팅 알고나서부턴 왜 내가 직장다니면서 뼈빠지게 일했을까 생각이 듭니다 일찍시작할껄 ㅠㅋㅋ
@cemkaya3901
2022년 3월 05일 01:40시간만 있으면 넉넉하게 재테크 할수있는게 소베 액 팅 이죠 ㅇㅈ
@ProdOzzy-je1qt
2022년 3월 05일 01:40소베액 팅 많이 유명하죠 그냥 쳐보기만해도 바로나오니까 ㅎㅎ
@hasnahasna3807
2022년 3월 05일 01:40주변에서 다들 소 베 액팅 말하던데 아무것도몰라도 할수있나요?? ㅠ
@kardopaygg8211
2022년 3월 05일 01:40아 소 배 액팅 들어봤어요 초보자들도 쉽게 접목할수 있다던데
@daycgm4817
2022년 3월 05일 01:40어제 소소하게 소배 액팅 쳐보고 들어가서 3만원으로 10만원만 벌고 나왔어요 시간없어서 ㅠ
@edizking4987
2022년 3월 05일 02:10요즘 소배 액 팅 이라고 주식,코인보다 좋다고 하던데요?
@yeni4227
2022년 3월 05일 01:40당일날 바로 소액으로 용돈벌고 당일환젼 해주던데 소 배액 팅 진짜 좋네요
@omeryigit5683
2022년 3월 05일 01:40나라에서는 해주는것도 없고 자영업자인데 해당도 안되는와중에 소 배 액팅 알고나서 아빠노릇합니다..ㅋ
@rews7525
2022년 3월 05일 01:40소 배 액팅 그냥 아무대나 쳐봐도 나와요? 어디서 찾아들어가는거지
@book9145
2020년 11월 17일 08:49덕분에 경제 공부가 즐겁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달콤승자
2020년 11월 17일 09:43교수님 좋은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곰북극-g2u
2020년 11월 20일 08:37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Hasan özkan
2022년 3월 05일 01:40요즘 소배 액 팅 이라고 주식,코인보다 좋다고 하던데요?
@류아연-k3l
2020년 11월 25일 18:19부동산이야기 그냥 좋아요 하하하하하
유익한 내용 고맙습니다.
@서뷔-k2w
2020년 11월 19일 10:05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beer863
2020년 12월 25일 22:36꼭지에서는 더 높은곳이 보이지만 지나고 보면 꼭지였고 바닥은 항상 암울하지만 지나고 보면 희망의 시작이었듯이 이자율도 언제 다시 upturn을 할지 조심 조심해야됩니다. 세상은 생각보다 순식간에 바뀌더군요.
@yunhwancha
2020년 11월 16일 23:03역시 일품 이십니다^^
@tiankong.chinese
2020년 11월 23일 13:57박사님~ 대구에서 작년 겨울에 뵙고~
오랜만에 또 신세계 오신대서
신랑이랑 책도 사두고 읽고😍
있었는데....ㅠ 방금 전화왔네요 못 오시게 되셨다구.
아쉽지만 아무래도 상황이 상황인지라
강의를 듣기가 쉽지만은 않네요😂
내년을 기약하며~ 늘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하루-v4o3w
2021년 6월 21일 01:39교수님안녕하세요! 돈의역사2 아주 흥미롭게 잘보았습니다. 혹시 296페이지 미국 정책금리인상에도 대출금리가 오르지않는 큰 이유중하나가 중국때문이라는 내용이 기재되어있는데 이부분 아무리 읽어도 이해가안가서요ㅜㅜ 간략하게 설명부탁드려도될까요??
@경제기사
2020년 11월 18일 10:42디플레이션전쟁에서. 공개시작조작부분 질문있습니다.
1.중앙은행이 채권을 사고 판다했는데 이때 채권은 국채를 의미하나요?
2. 중앙은행이 채권매매를 하는건 발행시장이아닌 유통시장인가요?
3. 한국은행 기준금리 rp7일물로 알고있었는데. 책엔 콜금리라 되있어 헷갈립니다. 아직 2개다 섞어쓰는건가요?
@rosita2017
2021년 1월 05일 16:10바이든이 고밀도 주택 공급을 확대한다던데..그럼 매가와 임차료가 같이 떨어질 확률이 크니 주택 리츠는 매수 피해야할까요?
@bukug269
2020년 11월 16일 19:17한국 사람들은 땅이 좁아서 부동산에 집착합니다 조상대대로 물려준 땅을 팔지도 못하고 세금만 내다가 죽는 장남들도 많답니다 ㅋㅋ
아파트도 사서 팔지 말고 대대로 물려주느라 안내릴거예요~^^
@live-f5l8k
2022년 3월 05일 02:10소 배 액팅 그냥 아무대나 쳐봐도 나와요? 어디서 찾아들어가는거지
@ardagoymen1823
2022년 3월 05일 02:10주변에서 다들 소 베 액팅 말하던데 아무것도몰라도 할수있나요??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