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도적으로 선택하면 10년이 달라집니다 | 임현근 강남언니 해외사업총괄 디렉터 | 동기부여 꿈 이직 | 세바시 1273회
세바시 대학에 입학하세요. 내일을 바꾸는 배움은 물론, 여러분도 스피치의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https://bit.ly/3gAQXT6 ✻ 이 강연은 서울특별시평생교육 ......
세바시 대학에 입학하세요. 내일을 바꾸는 배움은 물론, 여러분도 스피치의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https://bit.ly/3gAQXT6 ✻ 이 강연은 서울특별시평생교육 ......
@제이드-미국유명유튜 46
2020년 11월 16일 17:30오 권고사직 당하고 나름 주도적으로 선택하는 중입니다. 기대되는 강연이네요.👍👍 저도 스타트업에서 일하던 경험이 있어서 많은 공감대가 형성되는 강의였습니다.
@-me3278 32
2020년 11월 16일 18:22편안한 삶을 박차고 나오기가 어려운데.. 그걸 하는 용기가 부럽습니다 주도적 이라는 단어를 머리속에 넣고 살아야겠네요
@4XLEX053 21
2020년 11월 17일 03:09시댁과 24년 ..... 뭔가 바껴야 하는건 알겠는데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겠고..... 이럴때 좀 주도적이고 추진력 있는 사람이고 싶은데 지난 24년 신랑과 시댁밖에 모르고 살면서 너무 아무것도 모르고 살아온거 같아 많이 혼란스런 요즘 .... 주도적이며 추진력 있는 사람이 되도록 노력과 용기를 가지도록 해야 할거 같네요. 세바시 여러분 감사합니다.
@nallwhy 13
2020년 11월 16일 18:32이게 답이다! 가 아니라 각자의 10년을 생각해보게 해주는 강연이어서 좋네요 ㅎㅎ
@흰나미 11
2020년 11월 16일 18:22김누리 교수의 책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 읽어 보세요. 한국은 너무 과보호 시키고 공부하는 기계로 만드는 교육 입니다.
그 책에서 한국의 교육은 청소년들이 성에 대해 죄책감 심어주는 교육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독일 청소년은 성에 대해 죄책감 갔는 사람이 전혀 없다고 합니다. 이게 왜 중요 하냐면 책에도 나와 있는데 민주주의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성 억압만 하니까
Oecd 나라 중에 18세 선거권 으로 낮춘걸 가장 늦게 했고 , 국회의원 중에 20대 , 30대 의원은 세계 최저 이죠. 늙은이들의 나라 입니다.
문제는 이렇게 젊은 사람들은 억제 하고 늙은이들의 나라 만들면 나라 자체가 늙어서 곧 소멸 합니다.
국회의원 중 20,30대가 가장 적은 것과 저출산은 밀접한 관계가 있고 이런 것들의 시작은 한국 교육 입니다.
얼마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 하자 학부모가 항의 해서 성교육 취소 되었습니다.,
청소년 성 억압->독립성,주체성 억제->민주주의 억제 ->20,30 대 국회의원수->저출산->늙은 나라-> 국가 소멸
세계에서 전국민 평균 나이로 가장 늙은 나라 한국.
한국은 남여가 너무 눈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다양성이 없고 ,다양성을 인정해 주지도 않고, 한가지 기준만 있고,
획일적이고 또한 그 획일적인 기준을 지인에게 까지 적용해서 "너가 손해다. 그런 사람 만나지 마라." 라고 간섭,종용 하고.
한국은 이렇게 집단적으로 약자,소수자,소외자가 계속 도태되서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소멸 될 나라
한국은 동거 하면 큰일 나는줄 알고 결혼 이외의 사랑은 막장으로 보죠. 동거 비율 세계 최저 . 비혼출산 oecd 평균 39% , 한국은 1%.
결혼의 막중한 부담감 책임감을 안고 이성을 사귀어야 하니까 조건만 엄청 따지고 조건에 맞는 사람 만나기도 어렵고 ... 결국 노처녀 노총각 됩니다.
한국은 나이 엄청 따짐. ebs 방송에서 4~7세 아이들 어떻게 노나 관찰 했더니 나이 물어보고 같은 나이 끼리만 놀음. 세계 유일한 현상
한국은 이렇게 많은 조건 요구와 만남의 폭이 매우 좁고 옹졸, 편협해서 세계에서 가장 빨리 소멸될 나라.,
한국은 외국인 사귀어야 국가 소멸을 면할수 있습니다.
@이수영-y9w 11
2020년 11월 16일 18:33주도적으로 산다는 건 결국 자기가 뭘 원하고 뭘 좋아하는지 잘 알아야 할 수 있는 일인것 같아요. 그러기 위해서라면 일단 무엇이던 시도해봐야 하구요. 실패를 해야 무엇이던 답을 찾을 수 있지않나싶어요. 좋은 이야기 나누어주셔서 감사합니다
@kimyoon21 10
2020년 11월 16일 19:46삶을 만들어나가는 주체는 나 자신이죠.
세상의 모든 꽃들이 저마다의 장소와 시간에 맞추어 피우듯이 자신에게 맞는 길과 시점을 가지고 저마다의 꽃을 피운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걸어갈 길은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를 다시 돌아보게되는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아빠대표 10
2020년 11월 16일 20:10강연을 듣고 주도적으로 움직이는 본인의 생각과 그런 환경이 중요하다고 느껴집니다 환경을 바꾸면 사람이 바뀌고 사람이 바뀌면 더 큰 무언가 바뀔 수 있다는 인사이트를 얻어갑니다
감사합니다!
@sssunnyday-j8c 9
2020년 11월 16일 22:05저도 요즘 준비하던 것들이 실패하면서 혼자 생각할 시간이 많아졌는데 남의 시선 때문에 진로를 결정했었구나를 깨달았어요 그러면서 하고싶은 일도 찾았는데 안정적인걸 포기하고 새로운 것에 도전할 용기가 없어서 고민이 많았는데 주체적으로 살아갈 용기를 얻어가네요 감사합니다😄 몰입이 곧 행복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노정숙-d7i 9
2020년 11월 16일 19:29자기주도적 삶을 사는 훌륭한 젊은이의 강연을 듣게되어 기쁩니다. 어떤삶을 살것인지 고민하는 많은 청년들에게 희망을 주는 내용이네요.
@unsukseo2117 8
2020년 11월 17일 12:58정말 공감 합니다 학창시절 심지어 졸업 후에도
주어지는 것만 해내며 원하는 바는 고민도 없이 살았습니다. 좀 돌아가고 천천히 가도
내가 하고자 하는 것을 시도하고 목표로 삼는 것이 내 삶의 주인공이 되는 것이더라구요
현근님 말씀 감사합니다
@lisapark1519 8
2020년 11월 17일 07:47우와!!!!같이 첫회사에서 일했던 친구네요! 너무 반갑네요ㅎㅎ 역시 잘하고 있는 친구 멋있습니다! 화이팅!!!!
@윤샘다락방 8
2020년 11월 16일 19:35많은 경험과 도전을 하셔서 어떤 선택이든 좋은 결과를 가져오실것 같아요~~~♡
@yooniii7470 7
2020년 11월 16일 22:53주도적이라는 키워드를 강연 마지막까지 생각하게 만드는 시간이네요. 강연도 주도적으로 받아들이고 해석할 수 있게 만들어주셔서 좋아요!
@정원희-u4p1g 7
2020년 11월 16일 22:33더 주도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선택이 무엇인지 고민해보게 되네요. 고민이 많은 시기에 필요한 이야기를 듣게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강민준 7
2020년 11월 18일 21:35우선 흥미로운 강연을 제공해주신 임현근 강남언니 디렉터님과 세바시측에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주도적으로 살아가는 삶. 미국의 저널리스트인 크리스토퍼 몰리가 남긴 말이 떠올랐습니다.. “성공이란 단 하나뿐이다. 인생을 자신의 뜻대로 살아갈 수 있는 것.” 본인의 인생을 주도적으로 살아간다는 것, 본인이 꿈꾸는 이상을 향해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행동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 그것이 성공이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한 주도적인 삶을 살아가는 강연자의 모습이 부럽기도하였고 저 또한 그렇게 살아가리라 다짐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강연을 들으며 한 영화가 떠올랐습니다. <우리가 꿈꾸는 기적 : 인빅터스>라는 넬슨 만델라를 다루는 영화인데, 영화 속 넬슨 만델라 역할을 맡은 모건 프리먼은 다음과 같은 명언을 남기죠. “어떤 신이든 내게 불굴의 영혼을 주심을 감사하리라. 나는 내 운명의 주인이며, 나는 내 영혼의 선장이니.” 우리는 바다라는 세계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우리께 다가오는 위협처럼 보이는 파도도 잘 이용하면 앞으로 나아가는 원동력이 되기도 합니다. 우리에게 다가오는 삶의 위협, 그리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은 온전히 우리에게 있습니다. 그의 말처럼 나는 내 운명의 주인이고, 내 영혼의 선장이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우리에게 주어지는 수없이도 많을 선택의 순간들, 그 순간순간들을 소중하게 여기며 각자의 삶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가기를 간절히 소망합니다.
@TheEhsk830 6
2020년 11월 16일 20:00원래 능력이 많으니 가능....
@서경훈-t3v 5
2020년 11월 16일 18:31힘들고 어려운 것을 선택하며 도전을 하고 성과를 올리며 주도적인 삶을 살아가는 것의 행복의 의미를 알 수 있었습니다.
@조희정-i4r 5
2020년 11월 17일 06:17주도적인 선택을 하는 일은 쉬운 결정이 아닌데
내가 하고자 하는 일에 고민하고 결정하는 일
내가 원하고 하고자 하는 일에 목표를 두고 선택하고
결정해서 실천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
나만의 목표 실천이 중요한 결정인거 같아요
좋은 강연 잘 들었습니다^^
@꾸꾸-z4p 5
2020년 11월 16일 22:52나의 터닝포인트가 됐을 만한 순간들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어요 요새 막막하다고 많이 느끼는데 이 강의가 저에게 작은 불꽃이 된 것 같네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pink-berrry 5
2020년 11월 17일 09:18멋집니다. 무엇인가를 정말 많이했어도 내가 주도적으로 살지 않고 있다고 느낄수도 있군요.. 이미 삼성맨이었던 순간에도 주도적으로 선택해서 가신것 같은데도, 그 순간에서 멈춰있지 않았군요...!
@sailor0308ify 5
2020년 11월 18일 11:21저도 공감가는 이야기가 있고 성공한자들의 남다름을 들으며 나와 비슷한점을 생각해보았는데 저와비슷한점은 남을의식 하지않고 열심히 내갈길을 가고 있는데 아직 성공하진못했다..하지만 강의듣고 좀만 더 내가하는일의 비중이 커지도록 노력해야 겠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juyoungkim8298 5
2020년 11월 19일 02:10여기서 숨겨진
포인트는 숫자가 많은 회사에서 작은 회사로 옮겨 갈
수록 직급이 높아졌다는 사실입니다. 직급이
높아질수록 주도적으로 할 수 있는 일들이 많아집니다. 스피커분의
의도는 단순히 주도적으로 작은 곳으로 가라는 뜻이 아닌 것 같습니다.
@윤희정-m2v 4
2020년 11월 16일 18:45예전에 본 영상같은데 주도적으로 일하는데에는 결단과 용기가 많이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자기 삶을 끝없이 적용하고 바꾸어가기는 쉽지 않은데 대단하신 분인것 같습니다! 많은 용기와 관심을 가져보는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오늘 하루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수고많으셨어요!
@User-DarkHorse8765 3
2020년 11월 16일 20:14잘들었읍니다 일류대학을 삼류대학을 나왔건 똑같은 큰회사에 들어가면 productivity 엔 차이가 없다더니.. 틀에 밖힌 교육보단 애들 관심재능을 개발할수 있는교육이 절대 필요하네 이젠 베껴다하는 사업이 아니라 창조적 사업이 필요할때
@seung-heelee314 3
2020년 11월 19일 15:43자기주도성 - 흔한 말이지만 행동으로 옮기기 쉽지 않은 것 같아요. 노력해 보겠습니다
@김현지-y6w6x 3
2020년 11월 16일 20:50요즘에 커리어적으로 고민이 많은데 행동으로는 하는게 없어서 자존감이 점점 더 낮아지고 있는데 강연 내용이 마음에 와닿네요
@이정훈-g5v1h 2
2020년 11월 18일 10:30이직을 하고 싶어도, 불안감이 너무 커요~~
아내와 2명의 아이들 때문에 두려움이 큰거 같아요~~
현실을 마주봐야하는데, 자꾸 고개를 돌리네요~
@TheMcHwang 2
2020년 11월 18일 03:42이제 다시 일어나 걸을 때군요.
일어나야겠네요.
Amur Ika 2
2020년 11월 17일 19:59어이가 없다
@youngsukbaek476 2
2020년 11월 20일 11:13조직의 크기가 줄어들수록 주도적인 삶의 정도가 올라가는 그림을 보고 무릎을 탁 쳤습니다. '내 상황이 저거구나...!' 일시정지를 해놓고 그림을 보며 내가 하는 일이 많아질수록(힘들어질수록) 내 10년 뒤 미래의 자유가 결정됨을 새삼 깨달았습니다. 힘들지만 주도적인 삶을 살기 위해 매일 1퍼센트씩 저를 바꿔 나가야겠습니다. 이런 깨달음을 주는 강연 정말 최고입니다! 감사합니다!!😍
@김선영-b6k9t 2
2020년 11월 17일 16:31늘 주도적인 삶을 살자고, 아이에게도 주도적으로 살아가자고 이야기하고 있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고 있음에 하루에도 몇 번씩 내가 원하는 일이 무얼까? 하고 싶은 게 뭘까?라는 고민을 자주 하는 요즘입니다. 주도적인 삶으로 가는 길이 무엇인가를 한 번 더 생각하고 느끼게 되는 강의였어요. 늘 좋은 말들과 생각할 수 있는 이야기거리들이 가득한 세바시에게 오늘도 감사합니다^^
@svivid496 2
2020년 11월 19일 21:09주도적으로 전체를 보고 핸들링할 수 있는 일이 참 멋지게 보이네요! 승승장구하세요👏👏
@_YouOnlyLiveOnce_ 1
2020년 11월 22일 00:04나를 바꾸는 시간
@TV-dj2nv 1
2020년 11월 18일 23:34도움되는 강의 잘 들었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sebasi15 1
2020년 11월 16일 16:49[책이벤트] 임현근 강연자에게 질문 또는 시청소감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추첨을 통해 세바시 강연자의 책을 선물로 보내드립니다. (참여기간 11/16~11/23, 당첨발표 11/24, 책 랜덤배송)
✻ 임현근 강연자의 강연 섭외는 이 번호로 문의주세요! 👉🏻 02-2652-2102
✻ 강연 영상이 올라올 때마다 보고 싶다면 지금 클릭(알람설정)! 👉🏻 http://bit.ly/2odEydm
✻ 가장 빠른 세바시 강연회 신청 https://apply.sebasi.co.kr
✻ ⭐️ 더 깊은 공부, 세바시 클래스 https://class.sebasi.co.kr
✻ 세바시 홈페이지에서 강연회와 연사들의 다양한 강의를 만나보세요! 👉🏻 http://www.sebasi.co.kr
🔥 세바시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더 깊고 유용한 강연 콘텐츠를 만날 수 있습니다 http://bit.ly/2URQKU4
페이스북 페이지 | http://www.facebook.com/sebasi15
인스타그램 | http://www.instagram.com/sebasi15/
카카오스토리 | http://story.kakao.com/ch/sebasi
✻ 세바시 강연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세상을바꾸는시간15분’에 있습니다. 영상 및 오디오의 불법 다운로드 및 재업로드, 재가공 등의 행위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healing_moma 1
2020년 11월 19일 21:45주도적으로 산다는게 쉽지만은 않네요
@김민지-g2i8d 1
2020년 11월 18일 17:04월화수목금금금 ㅋㅋㅋㅋㅋㅋㅋ
@여리-c6j 1
2020년 11월 21일 10:37되돌아 보면 살면서 작은 사건들은 우연히 그리고 항상 일어납니다. 하지만 나 자신이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따라, 그냥 작은 순간으로 지나가버릴 수도 있고 인생의 큰 전환점이 되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사람마다 생각과 가치관이 다르기 때문에 행복의 기준도 다양합니다. 어떤 사람은 정해진 시스템에 맞춰 규칙적이고 체계적인 삶을 살 것이고, 또 다른 사람은 디렉터님처럼 나를 든든하게 하던 배경이 오히려 나를 규정하고 있다고 생각해 주도적으로 사는 삶을 찾아 나서는 것 같습니다.
이번 강연을 통해 디렉터님의 말씀대로 무조건 주도적인 삶을 살아야 하는 것이 정답이라고 생각하기보다는 나는 주도적인 삶을 살고 있는지, 어떤 삶을 살 때 행복한지 한 번 쯤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한인화-g8t 1
2020년 11월 22일 00:09멋진강의 감사합니다. 모든사람이 좋다고 한 직장이 좋다고 할수없겠지요. 강연 잘들었습니다.
B.B.B. Design 1
2020년 11월 16일 18:16벨라젤 사태로 피해 입고 주도적으로 선택하는 중입니다.
@Ajajaa2334 1
2020년 11월 21일 12:30임현근 디렉터님께서 계속 강조하신, 자기주도.
자기주도란, 자신의 일을 주동적으로 이끌어 나간다는 뜻입니다.
이에 해당하는 것이 자기계발과 자기관리겠죠.
저도, 회사를 오래 다니면서 "남을 위해, 남에게 보여주기 위해 살지말고"
"나를 위해, 나에게 보여주기 위해 살자" 라는 마인드를 계속
머릿속에 메타인지 했지만, 그것이 쉽지는 않았습니다.
직장인분들은 아시겠지만 현실은 시궁창이니까요.
임현근님 강연을 통해, 자기주도에 대해 깊게 고민하는 하루가 되었네요.
세바시 팀에게도 항상 감사합니다.
세바시 1183회 "두끼 떡볶이" 대표 김관훈 대표께서 이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당신이 지금 간절하다면, 생각만 하지말고 실천에 옮겨라"
yyy 1
2020년 11월 16일 18:58원래 하던 일을 그만두고 제가 정말 하고싶었던 일을 준비하기 시작했는데 그 시기가 코로나라는 상황과 맞물려 모든 계획이 다 틀어졌어요. 정말 다 포기하고 싶은 마음도 들고 스트레스도 너무 많이 받고 그냥 불분명한 미래를 좇지말고 현실과 타협하며 살아야하나 고민이 많은 요즘인데 조금의 용기를 주는 영상이네요, 모두 함께 힘냈으면 좋겠어요 !
@sebasi15 1
2020년 11월 18일 15:23⭐️ 세바시 대학에 입학하세요.
내일을 바꾸는 배움은 물론, 여러분도 스피치의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 https://bit.ly/3gAQXT6
@하성호-h4b 1
2020년 11월 16일 19:07감사합니다 ~
@박형준-f8z 1
2020년 11월 23일 15:14'주도적으로 선택하면 10년이 달라집니다'라는 좋은 영상 잘 보았습니다. 스스로가 거대한 조직의 톱니바퀴 같다는 느낌을 받을 때가 누구에게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강연자처럼 용기 있게 보장된 자리를 박차고 나오기도 쉽지 않죠. 저 역시 마찬가지고요.
그럼에도 인생의 주도권이 있어야 행복한 삶이라는 것은 분명합니다. 주도적인 삶을 위해 지금 여기서 내가 할 수 있는 게 무엇인지 생각해 보았습니다. 그런데 이직은 당장은 쉽지 않네요. 우선은 나의 일상에서부터 답을 찾자고 생각했습니다. 강연자 역시 자신의 일상에 충실했고 주변으로부터 뭔가를 배우려는 자세를 가졌기에 삶의 변화를 가져다주는 터닝포인트를 만들 수 있었다고 봅니다. 자신의 현재 모습을 존중했기에 여러 다양한 직간접적 경험을 할 수 있었겠죠. 그 경험에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고, 주도적으로 선택하고 책임질 수 있는 용기도 얻을 수 있었다고 봅니다. 그래서 하루라는 저의 일상에서부터 주도권을 가질 수 있게 노력하겠습니다. 마침 오늘 읽은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옵니다.
"인생을 두 번째로 살고 있는 것처럼 살아라. 그리고 지금 당신이 막 하려고 하는 행동이 첫 번쌔 인생에서 이미 그릇되게 했던 바로 그 행동이라고 생각하라."
당장 이직을 하지 않더라도 나에게 주어진 직장 밖에서의 시간부터 주도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상황을 바라보는 나의 태도 역시 주도적으로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주도적으로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해준 세바시 관계자들과 임현근 강연자에게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tonylimberg8624
2020년 11월 28일 05:10강연 감사합니다. 비슷하게 경험한 50대입니다. 건강하세요~!! 😄😄😄😆😆👍👍👍👍👌👌👌
@mark-choi
2020년 11월 27일 13:55자기주도적이라는 말은 많이 들었지만, 실천하고 살아가는데 힘들거 같다는 생각을 하며 잊고 살았는데,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는 계기가 됐네요. 잘 봤고 감사합니다!
djuna
2020년 11월 17일 05:17와우 이여자 저여자 찔러보며 간보고 다니던 화상을 볼 줄이야ㅋㅋㅋ 아 물론 저 분 말하는 거 아니구요^^
@장철환-k1c
2022년 7월 31일 22:10모든 사람들이 무기력을 경험한다고 생각합니다.
그 무기력속에서 무너지는 사람들도 있지만 이겨내는 사람도 있기에 다양한 사람들이 있다라는 말을 하는 것이 아닐까요.
저도 무기력을 느낀 적이 있지만 아무것도 안하면 더 많은 생각이 무기력 속으로 끌어내리더군요.
좋은 강의 덕분에 무기력에 대해 더 자세히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저트
2020년 11월 17일 08:36왠 폰내려온다 미친거야?
@오를것은오르지
2021년 3월 10일 17:17멋지신데요 명근사마
차원준
2021년 6월 13일 21:17자기주도적이라는 말은 많이 들었지만, 실천하고 살아가는데 힘들거 같다는 생각을 하며 잊고 살았는데,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는 계기가 됐네요. 잘 봤고 감사합니다!
@dgi20907
2021년 1월 05일 16:50세바시 강연은 점점 강연 내용의 충실함보다는 특정 회사들 홍보나 마케팅에 집중하는가 싶은 의구심이 드는 때가 있습니다... 특정회사 소속이 아니신 분들 강연만 골라듣게 되네요.... 뭔가 안타깝네요.
Celine Park
2020년 11월 16일 20:17스타트업에 대해 모르면서 뛰어드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저또한 아직도 실수하며 도전하고 있습니다. 정확한 의미를 알고 지원하여 취업에 성공하길바랍니다.
스타트업 컴퍼니(영어: startup company) 또는 스타트업(영어: startup)은 설립한 지 오래되지 않은 신생 벤처기업을 뜻한다.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생겨난 용어로서, 혁신적 기술과 아이디어를 보유한 설립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창업 기업이다. 자체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는 작은 그룹이나 프로젝트성 회사이다.[1][2][3]
이러한 회사들은 대부분 신생이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거나 새로운 시장을 찾아 나서는 데 주력한다. 스타트업이란 용어는 닷컴 버블 이후 함께 등장하는데, 당시에는 닷컴 회사들을 지칭하는 의미로 쓰였다.
@이정훈-g5v1h
2020년 11월 26일 10:28책 이벤트 당첨자 발표 부탁드려요~~
박상현
2021년 1월 19일 05:48그래서 난 혼잘 고집하는건까..?
@아녜스-k6n
2022년 9월 11일 07:04강남언니 어플의 소비자 정보 후기도 믿을만한 내용아니다 왜냐면 병원에서 좋은 후기써줘야 할인해준다는 식이다
@misunkim9150
2020년 12월 15일 07:28주도적인 삶을 사는것 인생을 살아가는데 정말 중요합니다~
내가 선택하는게 나의 인생이 되니까요~
좋는 강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