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요약] 1. 20~30대는 수익률이 아닌 시간에 투자해야 하는지? 최대한 빨리 종잣돈 1억을 만들어야 되는지? --> 1억을 만들기가 쉽지는 않은데 보통 단위들이 1억이기 때문에 첫 출발점으로 1억 원을 만들어 봐야 한다고 말함 --> 1억이 5년에 2배씩 불어난다면? 1억이 5년 후에는 2억, 10년 후에는 4억, 15년 후에는 8억, 20년 후에는 16억, 25년 후에는 32억, 30년 후에는 64억 --> 이렇게 있나요? 있음 --> 상장지수 ETF가 있음(지수를 따라서 같이 움직이는 금융상품) --> SPY(SPDR S&P 500), 1993년에 상장된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임 --> 최근 5년 성장률이 14.9%임, 5년에 2배가 됨 --> 그래서 젊은 분들이 시간에 투자해야 한다고 말한 것이 이런 이유였음 2. 금의 수익률 연 평균 7%임. 결국은 평균수익률을 따라가게 되어 있음(가장 안정적인 투자처는 금임) 3. 우리에게 친한 투자처 부동산은 300년 동안 연 평균 10.2%임 4. 회사에 투자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음, 주식과 채권임 --> 일반인들에게 어려운 채권은 제외하고 주식으로도 2가지로 돈을 벌 수 있음 --> 주식 투자는 회사의 소유 지분을 갖는 것임(배당과 회사 가치가 올라가는 것에 투자하는 것이 주식투자임) --> 개별기업의 리스크가 있음(전 세계를 상대로 경쟁해야 하기 때문에 좋은 회사를 고르기 어려움) --> 그럴때 우리가 보증을 받는 방법은? 전 세계에서 가장 잘 나가는 회사들이 어디에 있는지 보고, 그 회사들이 모여있는 집단에 투자하는 것임, 나라로 치면 미국임 5. S&P500은 1등에서 500등 기업을 모아놓은 것임 --> 이 회사들이 모아져 있는 곳에 투자하면 수익률을 보장받을 수 있음 --> S&P 500 지수 상정하는 방법은 기업의 실적에 따라 편입과 제외가 이루어짐 --> S&P 500 지수는 기업이 성장하는 만큼 올라감 --> 100년 가까운 시간에 연 평균 성장률이 10.2%임(부동산 성장률과 똑같음) 6. 나스닥은 QQQ, S&P 500은 SPY임 --> S&P 500의 배당률은 1.8%임 : 10.2+1.8=12% 성장함, 최근 5년간 성장률은 14.9%임 --> 나스닥 100을 추종하는 QQQ는 더 많이 성장함 --> 이런 ETF에 투자하면 된다고 생각함 7. 이렇게 엄청난 성장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 이 회사들이 그렇게 성장했기 때문임 8. 과연 우리나라는 어떤가를 보면 상위에 있는 몇 개 회사 빼고는 그렇지 못함 --> 그래서 ETF는 잘 나갈수가 없음, 최근은 괜찮지만 100년 동안 10.2%는 불가능함
[개인생각] 1. 조병학 부사장님의 유튜브 내용을 들으면서 S&P 500 이나 QQQ 투자도 괜찮다고 생각이 들었음 2. 세계적인 1등 기업에 장기투자하는 방법이 이길수 있는 투자라고 생각함
여기서 함정이 있는데 s&p500지수 추종 ETF 상품인 spy는 닷컴버블시점인 2000년부터 2013년까지 횡보하다시피 했습니다. 최근 5년동안 수익률이 좋아서 그렇지, 전체적인 맥락에서 보면 반드시 15~20%수익률을 가져다 준다고 주장하기에는 좀 무리가 있습니다. 게다가 ETF 운용 수수료도 납부하고 차익금 세금까지 지급하면 그렇게 드라마틱하진 않습니다.
etf는 패시브와 액티브가 있는데 패시브로는 타이거 미국 나스닥100 이나 코덱스 미국 FANG 플러스를, 액티브는 arkk, arkw, arkg를 권합니다. 공통점은 최근 2~5년간 수익률이 200~500%가 넘는다는 점이죠. 연금저축펀드도 위에서 국내 etf를 권해드립니다~^^
최근 미국 시장 5년간 수익률이 좋은 것은 4차 산업혁명과 빅테크 기업의 고성장 때문도 있지만, 트럼프 대규모 감세와 연준의 유동성 공급이 있었던 특수한 상황입니다. 매년 15% 오르는 지수는 세상에 없습니다. 그것도 30년동안은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오해하시는 주린이 분들 없길 바랍니다
저랑 똑같은 분 맞으시네. 진짜 조병학 부사장님 말씀이 논리가 잇고 굉장히 설득력이 잇으심. 주식의 주짜도 몰랏는데 신사임당채널에서 조병학 부사장님 동영상 보고 처음으로 주식시작하게 된 1인이네요. 영상보고 확신이 들엇음.그래서 부사장님 보면 너무고맙다는 생각이 늘 드네요.
지난번 신사임당 채널에서.. 조병학선생님 덕분에 미국 ETF를 처음 알게되었습니다.(진심 감사드립니다.) SPY 그리고 QQQ 선생님께서 소스를 주신 것을 저 나름 공부를하고 확장해서 실천 중입니다. 1. 연금저축펀드에 가입한다. 2. 연금저축펀드에서 tiger미국나스닥100을 산다. 3. 장기투자한다(10년 이상) 4. 연말정산 효과를 볼 수 있고, 5. 세금 효과가 엄청나고, 6. 복리효과를 볼 수 있고, 7. 노후에 든든한 자금으로 활용
자본 문맹에서 저를 일깨워 주신 조병학선생님 정말 감사드립니다. 김작가님 채널 너무 유익합니다. 복 많이 받으세요~
질문 하나 드리겠습니다 . 72법칙에 따라 연복리 15%면 5년이후 2배가 맞습니다 .. 그런데 연복리 개념은 수익이 난 15% 가 다시 투자 원금으로 재투자 되는 개념아닌가요 ? 그런 개념이면 15% 수익 금액을 매도 후 다시 매수해야 되는거 아닌지요..? 1억을 투자해서 한번도 매도하지 않고 연 15% 수익이 5년 동안 지속되면 75% 수익이 나는거 아닌지요 ?
조병학 대표님 말도 맞지만, 물가도 10년에 2배임 ㅋㅋ그리고 미국주식은 차익에 대해 양도세도 22%이고.대표님말은 예전 그 시대를 잘 만나서 가능한 투자임. 정확히는 양도소득세 22%를 깐 5년에 2x0.78 = 1.56배에다가 물가상승고려하면 실제로는 5년에 1.2~1.3배 버는꼴임.
지금까지 꾸준히 올라왔던거지 앞으로 더 오른다는건 아무도 장담할수가 없는거죠... 꾸준히 상승해왔다는건 imf,911테러,서브프라임 사태도 다 지나왔다는건데 왜 그때되면 투자심리는 꽁꽁얼고 투자하겠다고 하면 미쳤냐는 소리가 나오는걸까요... 오히려 이런주장은 그런 대형악재에 강력히 주장해야하는데 말이죠... 그렇다고 앞으로도 대형악재속 저점매수는 영원히 유효한 전략일까요? ㅎㅎ 투자 관련 조언은 항상 조심하고 조심해도 모자랍니다.
내면&경제적자유 나오TV[재테크&행복&북튜버] 165
2020년 11월 21일 19:13[오늘요약]
1. 20~30대는 수익률이 아닌 시간에 투자해야 하는지? 최대한 빨리 종잣돈 1억을 만들어야 되는지?
--> 1억을 만들기가 쉽지는 않은데 보통 단위들이 1억이기 때문에 첫 출발점으로 1억 원을 만들어 봐야 한다고 말함
--> 1억이 5년에 2배씩 불어난다면? 1억이 5년 후에는 2억, 10년 후에는 4억, 15년 후에는 8억, 20년 후에는 16억, 25년 후에는 32억, 30년 후에는 64억
--> 이렇게 있나요? 있음
--> 상장지수 ETF가 있음(지수를 따라서 같이 움직이는 금융상품)
--> SPY(SPDR S&P 500), 1993년에 상장된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임
--> 최근 5년 성장률이 14.9%임, 5년에 2배가 됨
--> 그래서 젊은 분들이 시간에 투자해야 한다고 말한 것이 이런 이유였음
2. 금의 수익률 연 평균 7%임. 결국은 평균수익률을 따라가게 되어 있음(가장 안정적인 투자처는 금임)
3. 우리에게 친한 투자처 부동산은 300년 동안 연 평균 10.2%임
4. 회사에 투자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음, 주식과 채권임
--> 일반인들에게 어려운 채권은 제외하고 주식으로도 2가지로 돈을 벌 수 있음
--> 주식 투자는 회사의 소유 지분을 갖는 것임(배당과 회사 가치가 올라가는 것에 투자하는 것이 주식투자임)
--> 개별기업의 리스크가 있음(전 세계를 상대로 경쟁해야 하기 때문에 좋은 회사를 고르기 어려움)
--> 그럴때 우리가 보증을 받는 방법은? 전 세계에서 가장 잘 나가는 회사들이 어디에 있는지 보고, 그 회사들이 모여있는 집단에 투자하는 것임, 나라로 치면 미국임
5. S&P500은 1등에서 500등 기업을 모아놓은 것임
--> 이 회사들이 모아져 있는 곳에 투자하면 수익률을 보장받을 수 있음
--> S&P 500 지수 상정하는 방법은 기업의 실적에 따라 편입과 제외가 이루어짐
--> S&P 500 지수는 기업이 성장하는 만큼 올라감
--> 100년 가까운 시간에 연 평균 성장률이 10.2%임(부동산 성장률과 똑같음)
6. 나스닥은 QQQ, S&P 500은 SPY임
--> S&P 500의 배당률은 1.8%임 : 10.2+1.8=12% 성장함, 최근 5년간 성장률은 14.9%임
--> 나스닥 100을 추종하는 QQQ는 더 많이 성장함
--> 이런 ETF에 투자하면 된다고 생각함
7. 이렇게 엄청난 성장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 이 회사들이 그렇게 성장했기 때문임
8. 과연 우리나라는 어떤가를 보면 상위에 있는 몇 개 회사 빼고는 그렇지 못함
--> 그래서 ETF는 잘 나갈수가 없음, 최근은 괜찮지만 100년 동안 10.2%는 불가능함
[개인생각]
1. 조병학 부사장님의 유튜브 내용을 들으면서 S&P 500 이나 QQQ 투자도 괜찮다고 생각이 들었음
2. 세계적인 1등 기업에 장기투자하는 방법이 이길수 있는 투자라고 생각함
이번 영상도 잘 봤습니다.
김작가님 감사합니다.
편안한 밤 되세요. ^_^
@user-fs8iy9kc2d 42
2020년 11월 22일 08:59조병학 대표님 유튜브강의와 돈의비밀 책을보고 이달 부터 spy와qqq투자 시작했습니다.
감사합니다
흙탈 41
2020년 11월 21일 17:15조병학 부대표님 돈의비밀과 유튜브 강의들 모두듣고 믿고 실천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psy880206 29
2020년 11월 21일 19:47인덱스 etf라도 매년15프로 성장은 힘들죠 오르는해도있고 내리는해도있으니 장기적으로 좋은상품이라는거는 동의합니다
@user-iz5zl5qt7h 27
2020년 11월 21일 20:25앞으로 항상 저렇게 오를수는 없다고 생각하지만 개인투자자가 할수있는 좋은투자방법중 하나라고 생각해요
안하는거보다는 훨씬...
벼리 25
2020년 11월 21일 17:051빠 예전에 신사임당님 영상으로 알게 되서 연습삼아 S&P500 사봤는데 와우... 수익률 10프로 그냥 넘겨버린...그때 더 많이 살거라는 아쉬움ㅋㅋㅋ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Jongwan Kim 23
2020년 11월 21일 21:19ETF도 금융 상품. 30년간 계속 수익이 난다는 보장은 없다.
문BS 23
2020년 11월 22일 00:44타이거나스닥백, 킨덱스나스닥백, kb스타나스닥100 운용보수 현재 0.07%입니다. 그리고 국내 연금저축계좌로 국내 etf 매매시 세제 혜택이 매우 큽니다.
아투부 : 아끼고 투자해서 부자되자 20
2020년 11월 21일 19:13현재 11월 13일 이후 Tiger 미국나스닥100 운용 수수료가 0.07%로 조정되었습니다.
관련 세부 내용입니다. 참고하셔서 투자하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과세내용]
매매차익은 배당소득세 과세(보유기간 과세) : Min(매매차익, 과표 증분) X 15.4%
분배금은 배당소득세 과세 : Min(현금분배금, 과표증분) X 15.4%
[분배금 지급 기준일]
지급기준일 : 매 1, 4, 7, 10월의 마지막 영업일 및 회계기간 종료일(다만 회계기간 종료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그 직전 영업일)
- 지 급 시 기 : 지급기준일 익영업일로부터 제10영업일 이내
[환헤지 사항]
환헤지를 실시 여부 X
[구성종목 상위10 PDF]
1. Apple Inc (13.08%)
2. Microsoft Corp (10.35%)
3. Amazon Inc (10.08%)
4. Facebook Inc (4.23%)
5. Alphabet Inc (3.88%)
6. Alphabet Inc (3.77%)
7. Tesla Inc (3.74%)
8. NVIDIA Corp (2.74%)
9. Comcast Corp(1.85%)
10. PayPal Holdings Inc(1.84%)
@hnai1479 20
2020년 11월 24일 18:37금7ㆍ부동산10.2ㆍSPY 최근5년14.9ㆍ10.2+ 배당1.8연평균12ㆍQQQ(나스닥100)운용보수0.2ㆍ타이거미국나스닥100운용보수0.5ㅡ833만원 수익까지는 QQQ 유리ㆍ2000만원까지는 타이거ㆍ2000만원이상임 QQQ
@user-fx9yx8yx2c 19
2020년 11월 21일 19:55조병학대표님 방송을 타유튜브에서 보고 qqq와 spy 투자했는데 수익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반다이크 18
2020년 11월 21일 19:061억으로 16억을 벌려면 일단 1억을 4배 불려 4억을 만들고 4억을 다시 4배 불리면 됨
가이아 18
2020년 11월 21일 19:43리스크는 무시하고
결과론적인 성공사례로 희망회로만 돌리심니다.
dxlll llsw 18
2020년 11월 21일 18:36여기서 함정이 있는데 s&p500지수 추종 ETF 상품인 spy는 닷컴버블시점인 2000년부터 2013년까지 횡보하다시피 했습니다. 최근 5년동안 수익률이 좋아서 그렇지, 전체적인 맥락에서 보면 반드시 15~20%수익률을 가져다 준다고 주장하기에는 좀 무리가 있습니다. 게다가 ETF 운용 수수료도 납부하고 차익금 세금까지 지급하면 그렇게 드라마틱하진 않습니다.
@user-hb7lc1cl8y 16
2020년 11월 26일 02:48이분강의 반년전에듣고 1200만원으로 etf는 아니고 미국주식 시작했습니다 지금 1800투자로 4천만원이 넘어있네요
아예 관심이없어서 그렇지 관심만 가지시면 좋은기업들 주식 갯수 조금씩 모아가시면 적금보다 재밌으실껍니다
@sisimma 16
2020년 11월 23일 07:02사실 애플은 최근 몇년간 매출 성장이 거의 없다시피합니다. 다만 자사주 매각으로 주가를 끌어 올린거죠.
SHUT UP AND TAKE MY MONEY 16
2020년 11월 23일 06:31추가하자면 개인연금으로 타이거나스닥100을 사서 장기투자하면 또 달라집니다
@user-rb4sf4ky8x 16
2020년 11월 22일 09:02전체적인 그림에는 동의하네요. 미국주식 지표보세요. 아래위로왔다갔다하면서 우상향했죠.
@user-ev8nx9lk7o 16
2020년 11월 21일 17:35지수추종ETF의 장점은 시장에서 1등부터 100등까지 줄새우기를 했을때 무조건 50등은 한다는점 입니다.
@sisimma 15
2020년 11월 23일 06:35"한국주식보다 미국주식에 투자해야하는 이유"가 이영상에 있었군요.
다초록 15
2020년 11월 21일 19:30나스닥100 운용 보수 00.7% 바뀐걸로 알고 잇습니다
윤프로 15
2020년 11월 21일 18:33그걸 30년 까지 안뺄 수 있나
@Asri-pension 14
2020년 11월 21일 19:22시장 추종 ETF는 최소 10개 중 3~4등에 위치합니다.
뛰어난 펀드의 선결조건이 시장을 이겼는가인데
월가의 뛰어난 펀드들 조차도 10년이상 시장을 이기는경우는 100개 중 2~3개 밖에 안 나온다고하니 ETF투자가 대세가 될수밖에 없는것 같습니다.
박선희 14
2020년 11월 21일 20:29전 미국펀드 올 4월에 500넣고 매달 15만씩 넣는데 지금 수익 20% 넘어요,
지수가 내렸을때 시작해서 그렇겠지요
@user-pk5lg6un8w 13
2020년 11월 22일 11:23월급의 10%를 미국 etf에 투자하면 되는건가.....?
@reframe9482 13
2020년 11월 21일 18:22이분말씀듣고 ETF시작한 1인입니다.
항상 좋은말씀 잘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gy4pw3of4m 12
2020년 11월 21일 23:43etf는 패시브와 액티브가 있는데 패시브로는 타이거 미국 나스닥100 이나 코덱스 미국 FANG 플러스를, 액티브는 arkk, arkw, arkg를 권합니다. 공통점은 최근 2~5년간 수익률이 200~500%가 넘는다는 점이죠.
연금저축펀드도 위에서 국내 etf를 권해드립니다~^^
머니짱 12
2020년 11월 21일 18:30한 해 안 쉬고 매년 15% 수익은 꿈같은 이야기네요 ㅎㅎ
독서의기적 11
2020년 11월 22일 01:02워렌 버핏의 스승 그래이엄도 초보가 결국 시장을 이기는 방법은 인덱스 펀드를 사라고 했었죠.!!
그러면 왠만한 펀드매니저 보다 2배의 수익을 올릴 수 있을거라고!
CHLOE P 11
2020년 11월 21일 17:48타이거나스닥100 운용보수 0.07%로 인하된걸로 알아요~
Ji Hyun Kim 11
2020년 11월 21일 20:07최근 미국 시장 5년간 수익률이 좋은 것은 4차 산업혁명과 빅테크 기업의 고성장 때문도 있지만, 트럼프 대규모 감세와 연준의 유동성 공급이 있었던 특수한 상황입니다. 매년 15% 오르는 지수는 세상에 없습니다. 그것도 30년동안은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오해하시는 주린이 분들 없길 바랍니다
@user-ih5ig7xo6t 10
2020년 11월 21일 18:21복리의 마법으로 워렌 버핏도 60세가 넘어서 대박이 났죠
좋은 방송 잘 보고 갑니다^^
@ohmylife7186 10
2020년 11월 23일 15:49뭐야 이거 왜케 설득되??????
@user-bw8vr2qo3w 9
2020년 11월 22일 09:51대표님 말씀 하신게 INVESCO QQQ TRUST ETF 맞는지 궁금합니다
Frankenthal 9
2020년 11월 22일 02:35사실 10년만 투자해도 4억이 되는데, 이때부터 1년 ETF 수익이 중소연봉보다 휠씬 높아지네요. 이 시점에서 물가가 저렴한 나라로 이민가서, 쓰기만 하면서 살아도 될꺼 같아요.
청춘J 9
2020년 11월 21일 21:16추가적인 설명을 보태자면 국내 운용사 ETF와 외국 운용사 ETF 차이에서 원화로 투자하냐, 달러로 투자하냐 차이도 있으니 환율도 고려해봐야 된다는 점입니다. 원화강세일 때는 달러자산을 갖고 외국 운용사 ETF를 활용해도 좋겠습니다.
취미가구걸 9
2020년 11월 21일 18:42저랑 똑같은 분 맞으시네. 진짜 조병학 부사장님 말씀이 논리가 잇고 굉장히 설득력이 잇으심. 주식의 주짜도 몰랏는데 신사임당채널에서 조병학 부사장님 동영상 보고 처음으로 주식시작하게 된 1인이네요. 영상보고 확신이 들엇음.그래서 부사장님 보면 너무고맙다는 생각이 늘 드네요.
@user-bz4bi4bw4t 9
2020년 11월 22일 00:29이런 etf어디에서
상담해야
되는지요??
김주연 8
2020년 11월 21일 18:03미래에셋2030 연금에 17년간 투자했는데ᆢ올해초까지 17년간 운용보수가 저희수익률보다 많았습니다..
노후배당수익 생각하고 오래전에 사둔 미래에셋 맵스리얼티도 마찬가지로 운용보수가 높아서 그런지 5000원 원금이 장중에 4000원에 거래되네요..
장기투자를 하고보니 운용보수도 중요하네요
@g.j9193 8
2020년 11월 21일 17:50조부대표님 말씀듣고 아이들 해외계좌 만들었고 주식에 관심갖게된 1인입니다
조금씩 늘어나는 계좌보면 흐믓합니다
드롭킥 8
2020년 11월 21일 19:15지난번 신사임당 채널에서..
조병학선생님 덕분에 미국 ETF를 처음 알게되었습니다.(진심 감사드립니다.)
SPY 그리고 QQQ
선생님께서 소스를 주신 것을 저 나름 공부를하고 확장해서 실천 중입니다.
1. 연금저축펀드에 가입한다.
2. 연금저축펀드에서 tiger미국나스닥100을 산다.
3. 장기투자한다(10년 이상)
4. 연말정산 효과를 볼 수 있고,
5. 세금 효과가 엄청나고,
6. 복리효과를 볼 수 있고,
7. 노후에 든든한 자금으로 활용
자본 문맹에서 저를 일깨워 주신 조병학선생님 정말 감사드립니다.
김작가님 채널 너무 유익합니다.
복 많이 받으세요~
@nowwhen6350 7
2020년 11월 22일 00:47잘 배워갑니다.. 어떻게 저렇게 말씀을 잘하셔 ㅋㅋ
라일러스 7
2020년 11월 29일 10:47투자에 100%라는건 없습니다
@coin1 7
2020년 11월 21일 17:38투자는 꾸준하게
정석으로 하는게
맞는듯
선급하면 힘듬
LynnSoYoung Kim 6
2020년 11월 21일 18:021억 투자하면 60억은 버셔야 죠
@user-rq6pb2tr6u 6
2020년 11월 22일 00:52질문 하나 드리겠습니다 .
72법칙에 따라 연복리 15%면 5년이후 2배가 맞습니다 ..
그런데 연복리 개념은 수익이 난 15% 가 다시 투자 원금으로 재투자 되는 개념아닌가요 ?
그런 개념이면 15% 수익 금액을 매도 후 다시 매수해야 되는거 아닌지요..?
1억을 투자해서 한번도 매도하지 않고 연 15% 수익이 5년 동안 지속되면 75% 수익이 나는거 아닌지요 ?
흙탈 6
2020년 11월 21일 17:48조병학대표님~ 강의잘들었습니다~^^ 혹시 SPYG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yongho050579 6
2020년 11월 21일 17:42감사합니다
@yellowcat9174 6
2020년 11월 26일 14:43통찰력이 남다르네요 인정합니다 혹시 조병학 선생님 유튜브가 있나요?
미쿡 5
2020년 11월 21일 21:45조병학 대표님 말도 맞지만, 물가도 10년에 2배임 ㅋㅋ그리고 미국주식은 차익에 대해 양도세도 22%이고.대표님말은 예전 그 시대를 잘 만나서 가능한 투자임. 정확히는 양도소득세 22%를 깐 5년에 2x0.78 = 1.56배에다가 물가상승고려하면 실제로는 5년에 1.2~1.3배 버는꼴임.
@yss2264 5
2023년 12월 31일 15:53조병학님 강의듣고 Qqq투자한지 3년째 수익80% 넘어갑니다 감사합니다
돈벌자 5
2020년 11월 21일 18:39요번에 가덕도 덕분에 한달반만에 150%올라갔었는데..
@user-qs5je7qt1g 5
2020년 11월 23일 07:46조병학부사장님의 말씀 고이 간직하겠습니다. 역시 경제에 관한 지식은 김작가TV, 주식에 관한 기초법은 주식단테입니다. 매번 다양한 시각에서 볼 수 있어서 좋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부탁드리겠습니다.
@user-iy8sh1us2y 4
2020년 11월 26일 16:54돈의 비밀 책 구매했어요.10년후가 기다려지내요.
Another level 4
2020년 12월 22일 16:20개미들이쌓아올린탑 세력이무너트리지
@user-yd8he2wp1d 3
2020년 11월 21일 17:14저는 2번 ㅎㅎ 항상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요즘 주식공부에 푹 빠져있습니다
Way Maker 3
2020년 12월 01일 19:3411월 카드 결제금액이 빠져나가고 통장에 9천원이 남은 저도 1억을 만들 수 있을까요? 어느 세월에....?
Aᅡ파트 3
2020년 11월 21일 19:32영상 끌어올리기 인가요? 봤던거 같은데....ㅋ
@TheKoreanzombie 3
2020년 12월 01일 00:25한국 시장은 관점에 따라서 누군가에겐 앞으로도 가망성이 없고 누군가에겐 저평가이고 재밌네요 ㅎㅎ
@user-um7js4ci4o 3
2020년 11월 21일 17:19아 반갑읍니다 귀가번쩍
@user-qs2js1gu1e 3
2020년 11월 23일 08:25너무 진솔하고쉽게 설명해서 귀에 속속들이 잘들어오네요..^^ 구독
장기현 3
2020년 11월 25일 21:44환전비는 계산이 안했네요
@komicho9919 3
2020년 11월 21일 17:29좋은말씀 감사합니다..🙏🙏
블랙스완(BlackSwan)TV 3
2021년 7월 04일 19:27매수 후 장기투자에서 제일 중요한건 운용수수료입니다.
SPY와 구조는 동일하지만 수수료가 절반인 IVV를 추천합니다.
QQQ보다 저렴하고 수수료가 절반인 QQQM을 추천합니다.
@TP.universe 3
2020년 11월 30일 20:36겸손한 김작가님..
솔직히 수십번 들어서 다 아는 내용이실텐데..^^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naaaaaaaeun 3
2020년 11월 22일 01:11말씀하신정도의 수익이 안나더라도 좋은 투자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user-cg9xl6lb2w 2
2020년 11월 24일 22:40김작가님 배경음악 없는게 더 좋을것 같아용~~^^
김근배 2
2020년 12월 22일 19:5630전에 어케1억을 만들어요 ㅋ
김태리미 2
2020년 11월 22일 10:00성장률이 연10%가 아니고 돈의가치도 가치 떨어져서더욱 빠르게 성장하는걸로 보이는거 같네요.
구루밍 2
2021년 7월 04일 15:40일억대출로주식사놓고 월급에서이자내고다쓰면되나요?
김초코 2
2020년 11월 23일 16:53ㅅㄱㄲ
@ieunakim 2
2020년 11월 22일 10:13😃👍👍👍👍👍
야리까리 2
2020년 11월 22일 14:04운용보수는.... 매수할때마다 매수금액에다가 보수율만큼 자동으로 가져가는 구조인가요??
Jescheck H 2
2020년 12월 01일 17:46이게 말이 되려면 미국 경제가 30년간 계속 성장해야 함. 이전까진 그랬지만 과연 미래도 그럴까?
마리네 2
2021년 7월 20일 10:29감사합니다
@user-op1hb3uw4k 2
2020년 12월 10일 08:49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쉽게 밀씀해주셔서 감시합니다
@sdfdds11 2
2020년 11월 26일 07:02마지막 타이거와 qqq 세금차이 좋은 팁이네요 ㅎㅎ
터진다로또! 2
2020년 11월 23일 09:25현재 보수 0.07로 인하된걸로 알고있는데 전문가님이 그걸모르신다니~~
퇴사생활TV 2
2021년 1월 01일 19:031억으로 미국 주식을 굴린다면
Personal 2
2020년 11월 22일 23:54SOXX가 짱이다
@user-ed3xs8hf1r 2
2020년 11월 25일 00:49좋은강의 감사합니다
@seonglee1960 2
2023년 11월 24일 22:43조병학 대표님
안녕하세요
23andme ~👏👏👏🙋♂️
토끼관리인 2
2020년 12월 04일 16:50Spy을 제외하고 soxx qqq voo에만 투자해도 연15퍼는 거뜬히먹죠.
blue margarita 2
2021년 7월 25일 19:00짜장면 500원 할때 인덱스에 1억 넣었어야 함 ㅋㅋㅋ
gri P 2
2021년 12월 09일 17:08너무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뭔가 광명 보이는 느낌입니다.
전성원 2
2020년 11월 21일 18:38운용보수는 바뀐걸로 아는데요
@million_trainer 1
2020년 12월 07일 16:44가즈아!
@user-cx3qg9bn3r 1
2021년 12월 09일 20:46노후자금으로 투자해야겠네요 정보감사합니다
하얼빈장첸 1
2020년 11월 25일 14:08좋은강의 감사합니다
강대훈 1
2020년 12월 22일 12:22타이거는 운영수수료 연 0.07%로 조정되서 qqq보다 많이 낮아짐.
@user-hu5zp5ep9m 1
2020년 11월 21일 23:38귀한정보 잘보고 갑니다👍👍👍
인조이라이프 1
2020년 11월 29일 10:44좋은정보는 나누지않는다 ㅎ
@ryanlee3322 1
2020년 11월 21일 18:26굿!!
@RankingandFacts 1
2021년 1월 23일 21:00믿습니다
Sung Yup Lee 1
2020년 11월 30일 19:53금 얘기부터 사짜인걸 느낌....
guigui gororadoo2 1
2021년 5월 31일 17:23지금까지 꾸준히 올라왔던거지 앞으로 더 오른다는건 아무도 장담할수가 없는거죠... 꾸준히 상승해왔다는건 imf,911테러,서브프라임 사태도 다 지나왔다는건데
왜 그때되면 투자심리는 꽁꽁얼고 투자하겠다고 하면 미쳤냐는 소리가 나오는걸까요... 오히려 이런주장은 그런 대형악재에 강력히 주장해야하는데 말이죠...
그렇다고 앞으로도 대형악재속 저점매수는 영원히 유효한 전략일까요? ㅎㅎ
투자 관련 조언은 항상 조심하고 조심해도 모자랍니다.
@user-cu9jg9eo6u 1
2020년 11월 22일 13:34훌륭한 인사이트🙊👍👍👍👍👍👍🧡
@TV-qh6bo 1
2021년 1월 25일 07:34qqq dia ivv 적립투자중입니다 ㅎㅎ~ 10년 뒤가 궁금해지네요~
kk all 1
2021년 3월 15일 12:35저는 일본에서 voo.qqq 투자했는데 눈덩이처럼불어 났어요.
af9126 1
2020년 11월 28일 05:45거의 같지만 spy vs. voo, qqq vs. qqqm 가격 보수비용 비교하시고 장투로 가셔요 😅
굿에쿠스맨 1
2020년 11월 28일 08:17당신이나 잘 하시오,,,,, 너그들이 언제 그렇게 수익 냈다고,,, 우습다
@tossa2636 1
2020년 11월 21일 21:24많이 유익한 내용이네요~구독자의 답글도 좋네요.
이재춘
2020년 11월 21일 19:12공갈이냐.거짓말이냐
mahler
2020년 11월 21일 18:50'연평균수익률 15%'와 '매년 15% 복리수익률 연속누적'은 다른 거 아닌가요.
뒷편에는 1 - 2 - 4 - 8 - 16 - 32 - 64의 마법에 대한 설명이 있겠죠?
Pi tter
2021년 2월 22일 08:38구라쟁이...그럼 누가 일하냐? 10억있으면 재벌 되것네.....ㅋㅋㅋㅋㅋㅋㅋ
@user-qw2lg6ru1p
2020년 11월 29일 17:54mbc 뉴스외전 보니 앞으로 금의 대체투자처로 비트코인이 떠오른다네요. 내년 3월에 비트코인을 재도권으로 들어온다는 애기도 있고.시대가 변하고 있는듯.
나무
2020년 11월 21일 23:19인생 안길다..
@jinamate7979
2020년 11월 22일 15:28정보감사해요
따따구
2020년 11월 28일 01:01김작가가 성문기초라면 3%는 심화학습. 주린이는 여기오면 심신이 편~~안합니다
Byong An
2021년 2월 13일 12:20Arkk 가 짱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