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혁신으로 곳곳이 파고 든 효율성이 오히려 인플레를 막고 있나봐요. 부가가치가 높은 거래가 생기는 어느곳이든 파고들아 알아내 수익을 보려하니깐요. 결국 독보성과 그 유지성이 뛰어날 수록 인플레를 일으키는 국가로 될 수도 있는 거네요. 박사님 말씀처럼 생산가능인구로 인플레 디플레를 예측하는 건 지금과 맞지않는 것 같아요. 영상 잘보았어요! ^-^ ♥
선생님 잘 봤습니다^^ 10명이 일하는 평균임금이 100으로 총임금이 1000이였는데 노동가능인구 감소로 5명으로 근로자수가 50% 줄고 평균임금은 50%올라 150되면 총임금은 750으로 총임금은 25% 감소하게되니 임금상승이 인플레에 영향을 주는 건 미미하고 대신 생산성 저하로 공급이 줄면 인플레에 주는 영향이 크다 이렇게 이해하면 되겠습니까? 그리고 기술발달로 생산성을 어느정도 커버해주면 인플레 상승 정도가 낮아진다로 보면 되는지 제가 이해한 게 맞나 모르겠습니다 처음 영상 봤는데 내용이 좋아 구독하고 자주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논문쓰신분이 생산성 향상을간과하셨네요. ^^ 추후 자동화, 인공지능 생산성 향상을 통해 미국으로 제조업 회기가 본격적으로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결국 기술을 가진 사람들이 더 돈을 모으게 될것같네요. 그리고 중국도 금융개방등으로 알짜 4차산업 업체를 미국에게 빼앗기지 않기위해 고민도 더 깊어질것 같구요. 우리 IMF를 봤으니 얼마나 화나는 일인지 알것 같습니다.
생산연령 인구와 집값과의 정비례 가설을 비판한 것처럼, 이것도 그러한 내용이군요. 홍춘욱 씨 말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인구가 너무 줄어 기술 진보가 둔화될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건 너무 먼 세월의 일이고 또 무언가 새로운, 인간이 아닌 기술진보의 경로를 만들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솔직히 코로나도 비관적으로 보고 주식이 대공황 때처럼 폭락할 줄 알았는데 홍춘욱 씨의 주장처럼 9.11을 따라가더군요. 집값의 경우에도, 나의 당위를 떠나서 현실적 해결책으로 수요 억제를 먼저하고도 부족할 때 공급하면 된다고 생각했는데 그 반대가 훨씬 결과가 좋았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내가 공부하지 않고 확신했구나 반성했습니다. 홍춘욱 씨를 신봉하진 않아도 늘 귀담아 듣겠습니다. 영상 다 보진 않지만 늘 잘 보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여유 있을 때 책 사서 보겠습니다.
@편자남편의점에서자기 4
2020년 11월 24일 13:02생산성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인플레가 오는것이 아니고 오히려 그 반대다! 라는 영상 감사합니다.
@jaehakjung2462 2
2020년 11월 24일 09:08멜서스의 인구론에서 주장한 식량위기는 기술혁신으로 돌파했죠.
인플레이션의 위기는 결국 생산성 향상에 의해 결정되니
여기에 포인트를 맟춰 모니터링을 해야겠네요.
좋은 방송 감사합니다.
유재종 2
2020년 11월 24일 08:44생산성의 생선속도가 둔화된다 그래야 인플레
@욱욱이-x2g 2
2020년 11월 24일 09:45기술혁신으로 곳곳이 파고 든 효율성이 오히려 인플레를 막고 있나봐요. 부가가치가 높은 거래가 생기는 어느곳이든 파고들아 알아내 수익을 보려하니깐요. 결국 독보성과 그 유지성이 뛰어날 수록 인플레를 일으키는 국가로 될 수도 있는 거네요. 박사님 말씀처럼 생산가능인구로 인플레 디플레를 예측하는 건 지금과 맞지않는 것 같아요. 영상 잘보았어요! ^-^ ♥
@groove1y462 2
2020년 12월 05일 10:20선생님 잘 봤습니다^^
10명이 일하는 평균임금이 100으로 총임금이 1000이였는데 노동가능인구 감소로
5명으로 근로자수가 50% 줄고
평균임금은 50%올라 150되면
총임금은 750으로 총임금은 25% 감소하게되니
임금상승이 인플레에 영향을 주는 건 미미하고 대신 생산성 저하로 공급이 줄면 인플레에 주는 영향이 크다
이렇게 이해하면 되겠습니까?
그리고 기술발달로 생산성을 어느정도 커버해주면 인플레 상승 정도가 낮아진다로 보면 되는지
제가 이해한 게 맞나 모르겠습니다
처음 영상 봤는데 내용이 좋아 구독하고 자주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unghooP 2
2020년 11월 24일 09:15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논문쓰신분이 생산성 향상을간과하셨네요. ^^ 추후 자동화, 인공지능 생산성 향상을 통해 미국으로 제조업 회기가 본격적으로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결국 기술을 가진 사람들이 더 돈을 모으게 될것같네요. 그리고 중국도 금융개방등으로 알짜 4차산업 업체를 미국에게 빼앗기지 않기위해 고민도 더 깊어질것 같구요. 우리 IMF를 봤으니 얼마나 화나는 일인지 알것 같습니다.
@류아연-k3l 1
2020년 11월 25일 18:10잘배우고 가요. 고맙습니다.
@sooshin3569 1
2020년 11월 24일 09:58감사합니다.
@김정순-e3g7f 1
2020년 11월 24일 08:16감사합니다 ~
h 1
2020년 11월 24일 15:36누가 가짜 뉴스인지는? ㅎㅎ
金敬浩 1
2020년 11월 29일 23:17생산인구감소->임금상승 ->(*)->인플레가 아니라,
생산인구감소->생산성하락->(*)->인플레.
중국이 예전만큼 투자유치나, 거래시장에서 계속 돈을 빨아들이던지.
아니면 대륙의 실수같은 상식 밖의 가격/품질의 제품이 가속화 하지 않으면,
인플레가 고개를 다시 내밀거라 막연히 추정하고 있습니다.
사실 이 논제는 2008년 부터 골디락스를 복기하며 시작된 논제입니다.
2011년 부터 지금까지 예측과 반대로 온 감이 있는데,
아프리카를 제외한 전세계가 고령화/인구감소 추세로 돌아선 지금,
4차 산업 혁명이 감소하는 인구/생산성을 압도할 생산성, 그리고 인류 소득/소비의 증가를 가져다주지 못하면
큰 부침를 겪든 인플레가 발상하든
내상을 한번 입고 갈거 같습니다.
@coin1 1
2020년 11월 24일 10:37감사합니다. 홍박사님 클라스가
다르십니다!
@blank8135 1
2020년 11월 26일 18:34안녕하세요 홍춘욱님!
저는 야나두에서 ‘야나두 스페이스’라는 공간을 운영하고 있는 정다혜 라고 합니다.
홍춘욱님과 같은 콘텐츠를 제작하시는 분의 활동을 응원하고 싶은데 메일이 없으셔서 댓글 남겼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정다혜 담당자 : jeoungdahye@yanadoocorp.com로 연락주시면 설명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tiankong.chinese 1
2020년 11월 24일 08:33감사랑합니다 박사님😍
허재원
2020년 12월 03일 22:06생산연령 인구와 집값과의 정비례 가설을 비판한 것처럼, 이것도 그러한 내용이군요. 홍춘욱 씨 말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인구가 너무 줄어 기술 진보가 둔화될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건 너무 먼 세월의 일이고 또 무언가 새로운, 인간이 아닌 기술진보의 경로를 만들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솔직히 코로나도 비관적으로 보고 주식이 대공황 때처럼 폭락할 줄 알았는데 홍춘욱 씨의 주장처럼 9.11을 따라가더군요. 집값의 경우에도, 나의 당위를 떠나서 현실적 해결책으로 수요 억제를 먼저하고도 부족할 때 공급하면 된다고 생각했는데 그 반대가 훨씬 결과가 좋았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내가 공부하지 않고 확신했구나 반성했습니다. 홍춘욱 씨를 신봉하진 않아도 늘 귀담아 듣겠습니다. 영상 다 보진 않지만 늘 잘 보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여유 있을 때 책 사서 보겠습니다.
@안돼돌아가-h8g
2021년 6월 10일 19:56오늘 중국 생산자물가 9프로상승. 원자재가격 급등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래도 인플레 아니라구요???
@hookilpark5437
2021년 4월 10일 15:38정치색없고 이념적 치우침없고 실제적인 경제현황을 친구와 대화하듯 설명하시고 안유화교수에게 난동의할수없다고 돌직구를 날리면서 전세계사람들의 중국에대한 인식도표를 보여주신분.
@rosariakim8741
2020년 12월 11일 22:41성이 wolf???
@junlee8358
2021년 1월 12일 11:46경제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입니다^^~ 홍박사님의 이해하기 쉬운 설명 감사합니다
@warmsunshine8335
2020년 12월 11일 19:19교양수업 공짜로 듣네요 감사합니다 ^^
@gunillee
2021년 1월 05일 04:26저번달 까지는 가짜였구나
@gwakgwak305
2020년 11월 24일 18:40울프?? 임금인상이 인플레를 가져온다니 4차 산업혁명을 얘기하는 시대에 뭔 쌍팔년도 논리 ㄷ
홍박사께서 정확히 지적해주셨네요
kery cho
2020년 11월 30일 06:36난무하는 뉴스를 무조건 받아들이면 안 뒨다는 점을 학믈적으로 알려 주셔서 감사 합니다. 미국의 lyn alden의 인플레이션이 올거라는 주장도 분석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미국 통화량 관련 데이타 추적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