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대 초반 대만을 유학했던 1인입니다... 그때는 대만이 우리보다 잘살았어요... 대만 국민들도 자신감에 넘쳐 있었고 곳곳에서 풍요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대만을 다시 방문해보니 30년전과 그대로인 낙후된 모습을 많이 볼 수 있었습니다... 물가도 30년 전에 비해 2배 ? 정도 오른 수준인거 같고 무엇보다 젊은 세대의 표정이 어두운게 보였습니다... 30년전 제가 경험한 대만은 우리보다 5년 정도 앞서 있다는 느낌이었는데 지금의 대만은 5년 정도 뒤쳐져 있는거 같은 인상이었습니다... 미래 우리의 모습을 미리 보는거 같았습니다..
대만 경제는 특히 중국 경제에 연동되어 있습니다... 중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너무 높죠... 그래서 중국 경기의 영향을 많이 받는 취약한 모습입니다... 특히, 중국에 중간재 위주로 수출하는데 이전에는 중국이 대만의 품질좋은 중간재를 많이 필요로 했지만 지금은 상당 부분 중국에서 자신들이 생산하니 대만 수출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게된거죠... 이걸 대만에서는 홍색공급망이라고 부릅니다... 중국에 대한 중간재 수출로 돈을 벌지만 중국이 자체 생산하기 시작하면 수출이 막혀 결국에는 망한다... 이게 미래 중국에 대한 수출의존도가 높읏 우리의 모습이 될거로 예상되어 걱정되기도 하고 우려도 됩니다...
30대 입장에서 체감상 상당히 유사하게 가는 느낌이라 씁쓸하네요. 우리나라도 과열된 투자시장으로 인해 직장인들이 현타와서 무기력한 사람 / 성과포기하고 시드머니수급용으로만 회사다니면서 투자에 올인하는 사람으로 나뉘는 느낌입니다. 근데 대만은 잘 모르겠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내수기업들에 투자해도 시장 크기상 성장은 힘들지 않나요. 게다가 인구도 급격한 감소 추세고요. 즉, 여전히 성장을 위해 글로벌소비시장의 경기에 의존하는 흐름에 대한 국가적인 대처법은 따로 없는 느낌입니다. 굳이 있다면 주기적으로 정권다툼을 위한 성장폭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강제적인 내수지원을 하는 것 뿐일 것 같은데 아직 국민들은 성장률에 표를 던질테니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내기에는 너무 이상적인 상황으로 보여요. 아마 한국이 조선, 자동차, 반도체라는 연속적인 국가산업의 성공 신화로 인해 크게 넘어진적이 없어서 그런 것 같기도 하고요. 지금 추진하는 이른바 한국판 뉴딜은 성공하더라도 득과 독을 둘다 줄 것 같다는 예상을 해봅니다.
@user-xn1tw8kr1z 13
2020년 12월 05일 06:2090년대 초반 대만을 유학했던 1인입니다...
그때는 대만이 우리보다 잘살았어요...
대만 국민들도 자신감에 넘쳐 있었고 곳곳에서 풍요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대만을 다시 방문해보니 30년전과 그대로인 낙후된 모습을 많이 볼 수 있었습니다...
물가도 30년 전에 비해 2배 ?
정도 오른 수준인거 같고 무엇보다 젊은 세대의 표정이 어두운게 보였습니다...
30년전 제가 경험한 대만은 우리보다 5년 정도 앞서 있다는 느낌이었는데 지금의 대만은 5년 정도 뒤쳐져 있는거 같은 인상이었습니다...
미래 우리의 모습을 미리 보는거 같았습니다..
@buzzan 10
2020년 12월 04일 12:32TSMC가 정부덕을 많이 본거군요
@user-xn1tw8kr1z 7
2020년 12월 05일 06:25대만 경제는 특히 중국 경제에 연동되어 있습니다...
중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너무 높죠...
그래서 중국 경기의 영향을 많이 받는 취약한 모습입니다...
특히, 중국에 중간재 위주로 수출하는데 이전에는 중국이 대만의 품질좋은 중간재를 많이 필요로 했지만 지금은 상당 부분 중국에서 자신들이 생산하니 대만 수출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게된거죠...
이걸 대만에서는 홍색공급망이라고 부릅니다...
중국에 대한 중간재 수출로 돈을 벌지만 중국이 자체 생산하기 시작하면 수출이 막혀 결국에는 망한다...
이게 미래 중국에 대한 수출의존도가 높읏 우리의 모습이 될거로 예상되어 걱정되기도 하고 우려도 됩니다...
지브릴 6
2020년 12월 04일 08:23차이점이 딱하나 있네요. 환율을 시장이 결정한다. 당국은 원화 강세라고 환시장 개입을 멈추길 바랍니다.
Soo 5
2020년 12월 04일 15:09대만을 통해 우리나라 당국자들의 정책이 재고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어제 구독했는데 정주행 시작합니다
박사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북북TV 3
2021년 4월 03일 03:34타이페이 명문대 경영학과 나와서 기업에 취직 안하고 배달라이더 하는 애가 말하길 대기업 가봐야 급여 150만원 주지만 오도바이 배달하면 월 200만원은 거뜬히 번다라고 한게 생각나네요
@liddel382 3
2020년 12월 04일 07:18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유마 3
2021년 2월 01일 10:14참 재미있게 하시내요
머리에 쏙쏙 70대 할멈
김초보 2
2020년 12월 04일 08:39대만이 저희나라와 경기 구조가 비슷하다는걸 처음 알았습니다!! 정말 유익한 채널입니다!
@user-rj4jl2xc7e 2
2020년 12월 04일 06:58멋지십니다
Sungguk Lim 2
2020년 12월 04일 15:48수출에 좌우된다는건 우리나라랑 같네요.. 저기도 달러 모아야할듯
@user-zf2bd5bf4x 2
2020년 12월 06일 23:30이번 영상은 특히 퀄리티가 높은것같습니다
감사합니다
yk K 2
2020년 12월 04일 07:57쉽고 재밌게 경제상식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경제지식 없는 주린이랍니다. 소액으로 조금씩 투자해보는데 궁금한점이 있어요. 주식투자자는 주가가 오르면 매매매차익을 얻거나 기업이익에대한 배당을 받아 수익이 있는건 바로 보이니까 알겠는데, 주가상승이 기업에 구체적으로 어떤 이익(수익)을 주는가요? 자금조달 효과인가요?(기업가치가 높아져서 저금리로 투자비용을 대출이 쉬울것 같음) 너무 초보적 질문인데 궁금할때가 있네요^^
화란 2
2020년 12월 04일 15:0730대 입장에서 체감상 상당히 유사하게 가는 느낌이라 씁쓸하네요.
우리나라도 과열된 투자시장으로 인해 직장인들이 현타와서 무기력한 사람 / 성과포기하고 시드머니수급용으로만 회사다니면서 투자에 올인하는 사람으로 나뉘는 느낌입니다.
근데 대만은 잘 모르겠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내수기업들에 투자해도 시장 크기상 성장은 힘들지 않나요. 게다가 인구도 급격한 감소 추세고요.
즉, 여전히 성장을 위해 글로벌소비시장의 경기에 의존하는 흐름에 대한 국가적인 대처법은 따로 없는 느낌입니다.
굳이 있다면 주기적으로 정권다툼을 위한 성장폭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강제적인 내수지원을 하는 것 뿐일 것 같은데
아직 국민들은 성장률에 표를 던질테니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내기에는 너무 이상적인 상황으로 보여요.
아마 한국이 조선, 자동차, 반도체라는 연속적인 국가산업의 성공 신화로 인해 크게 넘어진적이 없어서 그런 것 같기도 하고요.
지금 추진하는 이른바 한국판 뉴딜은 성공하더라도 득과 독을 둘다 줄 것 같다는 예상을 해봅니다.
아밥코인 1
2020년 12월 04일 10:34한국이랑 비슷하네요.. 반도체 대기업, 부동산 상승...
Flyder 1
2020년 12월 07일 16:38도움됩니다 감사합니다 !
허재원 1
2020년 12월 10일 16:35대기업화, 자동화되는 흐름을 막을수 있을까요? 결국 30년 뒤쯤에는 기본소득말고 답이 없다고 봅니다. 그 과정을 얼마나 늦추느냐의 차이 정도 남아있겠죠.
@user-tz6tw2fg3x 1
2020년 12월 04일 07:24강의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yx7vp5qy1o 1
2020년 12월 04일 11:51잘 봤습니다^^
트러플오일
2021년 3월 06일 21:08호주 캐나다 독일 주식장은 우상향
doeksoo bae
2021년 1월 13일 07:50역시 훌륭한 강의에 높은 수준의 댓글러. 놓치고 있는 부분 꼭 찝어주는 강의.
@orca7807
2020년 12월 13일 08:32대만 경제 얘기 유익하고 재밌어요. 고맙습니다 ~
@user-mp7oi8rn4d
2021년 2월 07일 06:33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K JO
2021년 4월 08일 05:20한국과 비슷한데, 한국보다 중국 의존도가 더 높고, 반도체 비중이 더 높음. 삼성이 한국경제에 차지하는 비중보다 TSMC가 대만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이 더 큼. 한국과 비슷하지만, 여러모로 한국보다 취약한 경제구조를 가졌음.
Eugene PAEK
2021년 5월 22일 12:24최고의 강의입니다 👍👍👍👍👍👍👍👍👍👍
cw j
2021년 1월 27일 11:53정치 , 국민들이 경제 관념 없는 , 기업활동 저해하고 막는 , 흔드는 정부,관료, 즉 정치 수장의 경제관념과 다수당이 얼마나 중요한지
투표 한장 한장이 대한민국의 경제 와 미래를 확정해나간다는것을
전쟁처럼 처절히 느낄때 변화가 일어나지 않을까 봅니다.
한국사람
2021년 2월 19일 23:07요즘에 미중 무역전쟁과 반도체 품귀현상에 때문에 국민소득이 한국보다 높아졌다고 뉴스 나오네요 ...
Eugene PAEK
2021년 5월 22일 12:24최고의 강의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