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 들어, 제가 약 1년 전쯤에 처음 신박사님 영상을 봤을 때, 욕을 많이하셔서 거칠고 안 좋은 사람인가보다 했거든요. 기분이 나빠지기도 했고요. 근데, 찬찬히 들어보니 내용이 굉장히 좋고 주옥같은 조언이 넘치더라고요. 특히 성장 사연 읽으면서 눈물 흘리시는 모습은 충격이었습니다. 타인에 대해 공감능력이 높아야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해서요. 그렇다고 마냥 타인에 대해 오냐오냐하지도 않고요.
이렇게 나쁜 것도 있으면 좋은 면도 있는건데, 몇 가지 과오를 가지고 장점마저 전부 매도하는 건 진짜 최악의 자질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7:00#부연설명 결정하는 순간 가치는 고정되어 편향이 생긴다 끝까지 인정하지 않아 거짓과 음모론이 난무한다 사람은 편향이 강하니 항상 반성적 사고를 해야 한다 8:08 위치가 올라갈수록 내 과실과 허물도 같이 올라간다 그런데 우리는 내 허물보다 상대방 허물을 3배 더 크게 보는 내로남불 적 편향이 있다 9:45 이런 편향을 알고 미리 고쳐놓지 않으면 정말 사랑 하는 사람을 만나도 결국 헤어지고 꿈꿔왔던 위치에 올라... 갈 수도 없지만 올라가도 결국 떨어지게 된다 10:15 실수하고 오해했다면 빨리 인정하고 사과부터 해라 (가족관계가 좋지 않아) 지옥이 된다는 건 우리가 모두 편향에서 벗어나는 습관을 들이지 않고 소통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존경하는 신영준박사님! 오늘도, 더불어 살아가는 아름다운 우리 사회가, 더 건강하고 참되고~ 올바른 사회인으로 자리매김 할수 있도록, 동기부여! 를 주시기위해 고뇌하며 열변 해주셔서, 많은 졸꾸러기님들이 잘 성장 하리라 보며~ 새로운 한주의 시작을 파이팅! 해주셔서 너~~무 감사 합니다!👍👍👍👏👏👏
이런 퀄리티 높은 영상을 무료로 볼 수 있어서 늘 감사하게 생각하는데 누군가는 (아마도) 영상을 보지도 않고 싫어요를 눌렀네요. 영상에서 일부분만 보고 판단하지 말고, 멀리보고, 오래보라는 메시지가 담겨 있는데 이걸 배우지 못 한 그분이 참 안타깝네요. 어쩌면 신박사님께서 영상에서 언급한 손실회피 성향에 빠진 것일지도 모르겠네요... 늘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일부에 대한 판단이 갈등의 원인이라 생각합니다. 다른 누군가를 볼때 편견이 담긴 시선으로 바라보며, 다른 이면을 보려고 하지 않는게 현대인의 특성같아요. 멀리서 보라는 말이 더 와닿는게, 빠르게만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정말 필요한 가치인거같아요. 편향된 시각또한 내가 가지고 있음을 인지해야겠네요. 시각을 키워주는 영상 감사합니다.
머신러닝 딥러닝 공부하다가 나오는 Cost Function의 Local Minimum과 Global Minimum 이 생각났습니다.... 와우 나는 최소값이라고 찾았으나 국소값에 불과하고, 경사하강법을 통해 다른 편에있는 있는 찐 작은 값을 찾는... 단면만 보고 판단하는 편향에서 벗어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곧 25살 되는 청년입니다. 저는 똑똑하지도 영리하지도 않습니다. 하지만 운 좋게, 주위에 긍정적이고, 편협하지 않으신 분들을 만나 박사님이 말씀하신 한 곳만 보는 편협된 시야가 사라졌습니다. 물론 완벽히는 아니지만 뭐든지 시야에 들어올 때 쉽게 판단하지 않으려 합니다. 왜냐하면 세상에는 제가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게 너무 많으니까요. 모르는 것에 대해 쪽팔려하지 않고, 인정을 하는 게 요즘 시대에서는 더 중요한 것 같습니다.
정말 따봉을 한개만 할 수 밖에 없어서 유튜브 원망하고 싶습니다 극 공감입니다!! 맥락 고려하지 않고 너무 쉽고 빠르게 판단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요즘에는 어떤 사건이 터지면 중립기어 유지하자는 의견들도 보이는데 여전히 계속해서 쟁취해야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멀리서 바라보고 시간을 두고 바라 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많은 깨달음을 주는 좋은 말씀인 것 같습니다 우리 인간이 본래 그렇게 섣부르게 판단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세상에 그토록 수많은 음모론이 난무하는 것이기도 하겠죠 그러지 않기위해서는 말씀하신대로 일부분만 보고 전체를 판단하는 오류를 삼가야 할 것 같습니다 오늘도 아침부터 좋은 배움을 얻어갑니다👍🙏
@또로또다다다 13
2020년 12월 07일 12:53요즘은 거의 매일 뉴스에서
늘어나는 코로나 확진자 수를 볼 때마다
길거리에서 마스크를 쓰지 않는 일부 사람들을 볼 때마다
나만 조심하는 거야?라는 의구심과
확진자라고 드러나는 일부 유명한 사람들을 볼 때마다 보이게 되는 짜증
그 사람들이 일부러 걸리고 싶어서 걸리는 것도 아니고
조심한다고 하는데도 걸리는 것임에도
그 사람들은 오히려 낙인이 찍힐 수 있어서 더 힘들 수 있을텐데
반성해봅니다.
특히 인생을 열심히 살아보려고 땀흘려 뛰어다녔는데
예기치않게 코로나 확진자가 되어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한테 피해를 준 것에 대해
죄책감과 우울감에 시달리고 있을 사람들을 향해
비난했던 제 자신을
그러는 나는 그들만큼 인생을 열심히 사려고 노력했는가?라는 반성
@sung-jinchoi3948 12
2020년 12월 07일 07:42아침조깅 하며 1빠 출첵
@장미꽃향기 10
2020년 12월 07일 07:57행복은
장미꽃 향기
달달한 초코라떼 하나에
행복은 담겨져있다
별거아닌 하루라도
특별한 하루로 만들 수 있는건
자기 마음안에 달달한
생각 한스푼이다
달달하거 생각날때면
달려가세요
자기가 좋아하는 달달함으로
진짜 행복은 마음의 그릇에
무엇을 담을지 내가 결정하는거죠
담아요 작은행복 하나라도 소중히
韩国龙欧巴 K-POP & K-CULTURE 9
2020년 12월 07일 08:34신박사님이 이 문제를 다뤄주셔서 너무 좋습니다. "조회수"가 돈이 되면서 유튜브, 네이버가 쓰레기 기사와 뉴스로 범람하고 있습니다.
자기 살려고 저격하고 이슈만드는건 알겠는데, 볼때마다 토나오려고 하네요.
거기 밑에 달린 댓글은 더 가관이고요. 진짜 인터넷 실명제 정도가 아니라, 이름 나이 직장까지 다 까야하지 않을까;; 고민되는 정도입니다.
남을 댓글로 까는 사람도 정의라는 이름하에 강아지도 하지 않을 언어 폭력을 구사하는데, 군중심리 때문에 누구하나 제제도 못합니다.
그리고 왜 한국에서는 "영웅"의 흠집을 내려는지 모르겠네요. 수십년 살고 정상으로 오르다보면 숱한 어려움과 고난을 극복했을텐데요. 실수도 저지르고 이성도 잃고요. 아주 단편적인 실수보고 그냥 개미친놈이라고 모욕하고 매도하는 사람들 보면 아주 치가 떨립니다.
공/과는 나눠서 봐야할텐데, 뭐 인성만 터지먼 바로 너 아웃 이러니까 이 나라는 모두 하나님이라도 원하는건가 짜증날 때가 한 두번이 아닙니다.
크리티컬한 문제는 공론화되야하지만, 그냥 마녀사냥이 얼마나 많은가요. 게다가 시민들의 알권리라는 미명하에 아무것도 아닌 이슈마저 박제하고 퍼트리고요.
그리고 한국에서 "사과"는 안 하는 게 좋겠다는 생각도 해봅니다. 오히려 사과하면 그걸 가지고 죽이더라고요. 볼 때마다 고통스럽습니다.
@cowboycs6640 5
2020년 12월 07일 08:29100번째 좋아요😄 아싸
법구경에도 좋은 말씀이 있습니다.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마음이 원하는대로 보는 법이다. 라고 어릴때 보고 마음에 새기고만 있었는데 잘 안되었던거 같아요. 신박사님이 방법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Coramdeo-q1m 5
2020년 12월 07일 07:46많은 공감되는 말씀이세요
지옥에서 지옥을 보는 사람
지옥에서 천국을 보는 사람
관점에 차이인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라라-m7k 3
2020년 12월 07일 08:04월요일 아침 화이팅해봅니다!!!
고대원 3
2020년 12월 07일 08:0610대20대30대의
제 인생 가치관과 성격이
다틀린것 같습니다.
남아 있는 인생을 좀 더
조바심을 가지지 않고
성찰하며 성실히 천천히
나아가보겠습니다.
@k-popk-culture8195 3
2020년 12월 07일 08:45예를 들어, 제가 약 1년 전쯤에 처음 신박사님 영상을 봤을 때, 욕을 많이하셔서 거칠고 안 좋은 사람인가보다 했거든요. 기분이 나빠지기도 했고요. 근데, 찬찬히 들어보니 내용이 굉장히 좋고 주옥같은 조언이 넘치더라고요. 특히 성장 사연 읽으면서 눈물 흘리시는 모습은 충격이었습니다. 타인에 대해 공감능력이 높아야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해서요. 그렇다고 마냥 타인에 대해 오냐오냐하지도 않고요.
이렇게 나쁜 것도 있으면 좋은 면도 있는건데, 몇 가지 과오를 가지고 장점마저 전부 매도하는 건 진짜 최악의 자질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choain 2
2020년 12월 07일 10:46세상이 지옥 같은 이유 #편향 #내로남불 #인탐 30
우리는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에 쉽게 빠지고
표현도 서툴러 실질적 불이익을 많이 받고 있으며
사실 여부와 상관없이 나쁜 것에만 집중한다
5:45 #편향에서 벗어나는 방법
1. 멀리 보기
2. 오래 보기
3. 달리 보기
7:00 #부연설명
결정하는 순간 가치는 고정되어 편향이 생긴다
끝까지 인정하지 않아 거짓과 음모론이 난무한다
사람은 편향이 강하니 항상 반성적 사고를 해야 한다
8:08
위치가 올라갈수록 내 과실과 허물도 같이 올라간다
그런데 우리는 내 허물보다 상대방 허물을 3배 더
크게 보는 내로남불 적 편향이 있다
9:45
이런 편향을 알고 미리 고쳐놓지 않으면 정말 사랑
하는 사람을 만나도 결국 헤어지고 꿈꿔왔던 위치에
올라... 갈 수도 없지만 올라가도 결국 떨어지게 된다
10:15
실수하고 오해했다면 빨리 인정하고 사과부터 해라
(가족관계가 좋지 않아) 지옥이 된다는 건 우리가
모두 편향에서 벗어나는 습관을 들이지 않고
소통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땡글이-b2q 2
2020년 12월 07일 07:586등
@김현숙-o2l9z 2
2020년 12월 07일 09:20존경하는 신영준박사님!
오늘도, 더불어 살아가는 아름다운 우리 사회가, 더 건강하고 참되고~ 올바른 사회인으로 자리매김 할수 있도록, 동기부여! 를 주시기위해
고뇌하며 열변 해주셔서, 많은 졸꾸러기님들이 잘 성장 하리라
보며~ 새로운 한주의 시작을 파이팅! 해주셔서 너~~무 감사 합니다!👍👍👍👏👏👏
@BS-qq9kx 2
2020년 12월 07일 08:09이런 퀄리티 높은 영상을 무료로 볼 수 있어서 늘 감사하게 생각하는데 누군가는 (아마도) 영상을 보지도 않고 싫어요를 눌렀네요. 영상에서 일부분만 보고 판단하지 말고, 멀리보고, 오래보라는 메시지가 담겨 있는데 이걸 배우지 못 한 그분이 참 안타깝네요.
어쩌면 신박사님께서 영상에서 언급한 손실회피 성향에 빠진 것일지도 모르겠네요...
늘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음책쓰다 1
2020년 12월 08일 09:46일부에 대한 판단이 갈등의 원인이라 생각합니다. 다른 누군가를 볼때 편견이 담긴 시선으로 바라보며, 다른 이면을 보려고 하지 않는게 현대인의 특성같아요. 멀리서 보라는 말이 더 와닿는게, 빠르게만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정말 필요한 가치인거같아요. 편향된 시각또한 내가 가지고 있음을 인지해야겠네요. 시각을 키워주는
영상 감사합니다.
@태차장-w2x 1
2020년 12월 07일 23:57머신러닝 딥러닝 공부하다가 나오는 Cost Function의 Local Minimum과 Global Minimum 이 생각났습니다.... 와우 나는 최소값이라고 찾았으나 국소값에 불과하고, 경사하강법을 통해 다른 편에있는 있는 찐 작은 값을 찾는... 단면만 보고 판단하는 편향에서 벗어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segyehan1868 1
2020년 12월 07일 08:20곧 25살 되는 청년입니다. 저는 똑똑하지도 영리하지도 않습니다. 하지만 운 좋게, 주위에 긍정적이고, 편협하지 않으신 분들을 만나 박사님이 말씀하신 한 곳만 보는 편협된 시야가 사라졌습니다. 물론 완벽히는 아니지만 뭐든지 시야에 들어올 때 쉽게 판단하지 않으려 합니다. 왜냐하면 세상에는 제가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게 너무 많으니까요. 모르는 것에 대해 쪽팔려하지 않고, 인정을 하는 게 요즘 시대에서는 더 중요한 것 같습니다.
@우진-j8t4z 1
2020년 12월 07일 14:28정말 따봉을 한개만 할 수 밖에 없어서 유튜브 원망하고 싶습니다 극 공감입니다!! 맥락 고려하지 않고 너무 쉽고 빠르게 판단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요즘에는 어떤 사건이 터지면 중립기어 유지하자는 의견들도 보이는데 여전히 계속해서 쟁취해야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멀리서 바라보고 시간을 두고 바라 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정솜결 1
2020년 12월 07일 10:22영상감사합니다ㆍ솜결
@행복한하루_u 1
2020년 12월 09일 07:15캬...
@user-jhp86 1
2020년 12월 07일 09:39많은 깨달음을 주는 좋은 말씀인 것 같습니다
우리 인간이 본래 그렇게 섣부르게 판단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세상에 그토록 수많은 음모론이 난무하는 것이기도 하겠죠
그러지 않기위해서는 말씀하신대로 일부분만 보고 전체를 판단하는 오류를 삼가야 할 것 같습니다
오늘도 아침부터 좋은 배움을 얻어갑니다👍🙏
이름 1
2020년 12월 07일 16:13장님이 코끼리를 제대로 파악할려면 많은 방면에서 코끼리를 만져 봐야한다.
@격스트 1
2020년 12월 07일 09:56글을 쓰는 격투기스킬트레이너 김석훈입니다.
섣부른 판단과 편향성을 줄이고
객관적으로 볼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cowboycs6640 1
2020년 12월 07일 08:49댓글 정리가 좀 필요할 꺼 같아요 이상한 악성코드들이
@ourinvestory
2020년 12월 07일 10:32이제는 자신들의 잘못된 판단과 선택을 성찰하고 아프겠지만 인정하고 사과하는 사람들이 많이 생기길 바랍니다~
저도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하는 습관을 기르는 중 입니다~! 오판은 부끄러운것이 아니기에~
@principle7850
2020년 12월 07일 19:07처음 동그라미 비유부터 너무 와닿았어요.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
@뱅구뱅구
2022년 3월 28일 09:02작은 면만 보고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하지 말기. / 손실 회피 두려워 말기
1. 멀리서 보기
2. 오래 보기
@emiyaoutlaw9019
2020년 12월 07일 08:48가용성 편향과 확증 편향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한 스텝 뒤로 가서 봐야 한다.
마치 농구에서 골을 넣을 때 한 스텝을 잡는 것처럼 말이다. 안 그러면 실수를 저질러서 골을 못 넣기 때문이다
@더큰숲
2020년 12월 08일 00:31진짜 속된말로 귀신같으신분이다..어떻게 저렇게 사람을 잘 간파하실까 무서울정도로 정말 대단하신분이시다..
@진서준-b3r
2020년 12월 31일 12:36감사합니다!ㅎ 오늘도 할수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haha-i2u
2020년 12월 07일 23:37맞는말. 그러나 실천이 불가능 ㅎㅎ
@빠밤-r4q
2020년 12월 08일 16:59이번 강의 진짜 좋네요 간만에 머리 띵 했습니다
@팔구년생곰작가
2020년 12월 07일 13:56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YES101
2020년 12월 07일 12:44역시... 월클강의♡♡
@캉가로
2020년 12월 07일 12:02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k트루돈
2020년 12월 07일 18:10거래할 가치가 아직 내게 없는데
필요하다 연대를 청할 순 없었습니다.
결국 지옥이 되어서야 이렇게 지면에 부채를 집니다.
손실을 줄이려던 침묵을 동의라 확신했다면
오판을 확증한 동조는 동질이라 단언해도 되겠습니까.
개념이 확립된 사람은 시각에 쉽게 흔들리지 않습니다만
오류가 있다면 바로 잡을 겁니다.
전선의 확대를 되도록 피하고 싶었습니다.
많은 분들께 계속해서 피해를 끼칩니다.
@b.t.y2023
2021년 3월 09일 12:20쉽지는 않겠지만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에서 멀리, 그리고 오래 보기를 통해서 벗어나야겠군요!
요즘 SNS에서는 특정 상황의 팩트보다는 가십거리를 더 좋아하는 성향이 큰 것 같습니다.
진실을 볼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겠어요!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직딩대탈출
2020년 12월 07일 21:05인생의 교훈하나 얻어가네요~
손실회피편향 마음속에 새기고 더 높이 보고 더 멀리보고 더 오래보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jin_health
2020년 12월 07일 19:53항상 박사님이 말했던
맥락적 사고
상황에 따라 다른 것
@jenhana32
2020년 12월 07일 12:09우아!
@리브로맨스
2021년 7월 17일 23:15늘 조심해야지 조심해야지 하면서 정작 외면하고 있는 것이 오늘의 내용인 것 같다.
하지만 현실 그리고 대처법을 의식적으로라도 알고 있는건 분명 도움이 될 것이다.
쉽게 판단하지 말자 절대...
/
한 사분면만 네모인 도형 두개가, 네모인부분을 맞대고 만났을때
-> 각자가 동그라미에 가까운 사람이어도, 서로 네모라고 판단함
-> 극히 일부분만 보고 사람을 판단하는 안좋은 습관
이를 막기 위해 들여야 하는 2가지 습관
1. 멀리서 보기(한두 템포 정도만 죽이기)
2. 오래 보기(시간을 두고 판단)
손실회피 편향 : 내 과실은 작게, 남 과실은 크게 느껴지는 현상을 인지
사과를 빨리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도 방법
@종로너구리
2020년 12월 07일 13:44형 헐리웃 키트의 생애란 영화 봐봐요
@jyw-v9p
2021년 6월 20일 17:4600:50 조금만 보고 전체를 판단하기 때문.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