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현재 서울 부동산 가격은 거의 세계 최고 수준이니 이건 확실한 거품이 맞습니다. 문제는 어떤 언론도 거품이라 얘길 안하고 있는게 가장 심각한 문제가 아닌가 합니다. GDP 대비 가계부채도 지금 대한민국이 세계 최대여서 지극히 위험 수준인데요. 전세 대출을 빼고도 말입니다. 일본 버블때와 너무나도 유사한 양태가 많습니다. 심지어 일본은 당시 가계부채는 현재 우리나라보다더 낮았지요. 따라서 정부는 반드시 연착륙을 시켜야지 너무 급격한 규제를 해서는 안되는 상황이구요. 물론 그런 핀셋 규제 때문에 과열된 투기 심리로 풍선 효과도 곳곳에 생겼지만요. 결국 정리하면 극도로 위험한 가계부채 수준과, 내년 세제 강화책을 볼 때 여유 되는 투기꾼 외에는 최소한 내년 6월 까지는 매물을 내놓을 수 밖에 없습니다. 실제로 대형 투기꾼은 많은 매물을 정리한 상태이고 지금 12월 현재도 서울시내 똘똘한 한채 외에는 급매물들이 점점 쌓이는 추세이구요. 따라서 2023년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은 확실한 전망이 아닌데도 오히려 투기 심리를 부추기는 결과만 초래할 수 있습니다. 당장 직권말소되어 시장에 풀리는 임대사업자 매물들과 현재 나오는 아파트 급매물, 아파트 전세 매물들로 볼때 당장 내년 초부터 아파트 공급은 충분할 수 있고, 가격 하락세가 시작되면 더이상 추가 공급 안나온 상태에서도 현재 나온 매물들의 가격 하락으로 실제 공급 효과가 발생될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 보여집니다.
공급이 인허가 건수와 관계가 있는지는 좀 의문입니다;; 재건축이 포함된다면 멸실이 수반되어서 순수한 공급으로 보기엔 쫌 무리가 있고, 재건축은 대부분 가격 상승의 요인이어서 사실상 재건축은 아주 예전부터 규제가 쭉 이어졌어야 하는데요; 그리고 2012년부터 대략 2015년 사이에는 공급이 그다지 늘지 않고 오히려 줄어든 구간이 있는데도 집값이 하락했던건 노무현 정부때의 규제책이 서서히 효과가 발휘되서 결국에는 2014년 규제를 전면적으로 풀어도 한동안은 부동산 시장이 침체된것과 관련 있는것 같기도 합니다. 이번 정권에서 규제 준비운동으로 임대사업자 감면혜택 준 것이 사실상 공급 늘리려다 오히려 다주택자 투기에 악용되어 매물이 잠겨버리고 갭투기에 일반인도 대거 덤벼들면서 다주택자가 너무 양산된 것도 공급 부족 요인 중 하나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한 가지 아주 중요한 요인 중에 고려가 필요한 부분은 제 생각엔 올해 언론들이 너무 극성스럽게 투기를 부추긴 점입니다. 심지어 부동산 관심없던 사람들 조차도 올해는 너도나도 부동산에 관심을 가지게 만든건 다름아닌 언론들의 극성스런 부추김이 한몫 했다고 보이는데요. 언론이 이렇게 집중될수록 순수한 시장 논리가 점점 더 왜곡이 일어나는게 아닌가 합니다. 깔끔한 정리 감사합니다^^
지금 패닉바잉 현상으로 영끌해서 미래의 실소유자들이 무리해서 집을 샀고, 내년에 코로나가 안정세에 접어들고 세금감면 유효기간이 끝난 임대인들 대거 속출, 법인보유 부동산 내놓을 수 밖에 없는 현실, 경제가 나아지면 금리인상 긍정적 검토,서울의 물량의 공급 등을 보면 현 집값이 끝물을 달리고 있는거라 봅니다. 어차피 부동산은 위험자산이고 고급주택은 더 위험자산이니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많은 시점에 폭등을 생각한다는건 지극히 위험한 발상 아닌가요? 코로나로 억눌린 소비심리로 그만큼 외부요인으로 침체된 경제가 내년부터 급격히 안정성을 찾으려고 할것이고 물량공급이 이루어지면 자연스레 적정가격 찾을거라 봅니다
지금은 코로나 여파로 과장되어 불안심리가 더 조장되어 이것이 안정성을 찾고싶은 매수자에게 패닉바잉을 야기했고 어느정도 거품을 조장한 아주 불안정한 시장이 됐다고 봅니다. 불안정한 거품시장은 외부요인이 사라지면 빠르게 걷히고 불안한 심리적 요인 으로의 시장형성이아닌 다시 정상적인 시장기능으로 되돌아갈려고 할겁니다.필연적으로 안정세를 추구하게 되어있기에
전세가격 급등은 법정전세계약기간이 1년에서 2년으로 변할 때도 유사한 문제가 있었습니다. 결국은 매매가격이라는 상한이 있으므로 매매가격만 안정시킨다면 결국 안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세입자인 제 입장에서는 일단 계약을 한 이후에 재계약 시점에서 집주인과 협상력이 크게 늘어났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적정한 가격에 협상하면 청구권을 쓰지않고도 주거를 안정시킬 수 있습니다. 어차피 청약 시에 자금으로 쓸수 있는것이 보증금이므로 결코 헛돈 쓰는게 아닙니다. 핵심은 전세보다는 매매가격의 안정입니다. 그리고 서울의 갭투자를 해소하고 열악한 집에 집주인이 실거주하도록 하는것은 매우 긍정적이라 생각합니다. 돈의 힘이 아니라 주거환경이 가격에 실제로 반영되는 전환점이 될것으로 생각합니다.
부동산 문제로 고민되시고 답답한 분들을 위해 도움을 드리고자 글 올립니다. 올라도 너무 올라 매매로 내집마련이 엄두가 나지 않습니다. 전셋값도 매매가 수준으로 오르고 나에게 맞는 집 찾기가 너무 힘듭니다. 서울 고품질 아파트 내집마련 성공 방법 !!!! 남들보다 저렴하게 남들보다 빠르게 성공 노하우 !!! 제한조건, 청약, 경쟁 없이, 추첨아닌 100% 우선 입주 성공 가능합니다!! 일반 전세시세보다 50-60% 저렴한 전세금 최장 20년 거주 가능(매 2년마다 재계약 방식) 현재 현행 법 상(공공주택 특별법) 20년 거주 후 분양전환 또는 20년 만기가 아니더라도 절반(10년)이상이 지나도 협의 하에 분양전환 될 수 있다 명시되어 있습니다. 남들보다 훨씬 저렴하게 입주하여 마음편히 안정적으로 여유롭게 사세요~~ 문의 전화 : 010-4040-1606 장기전세 특별공급 관련 정보 : https://blog.naver.com/PostList.nhn?blogId=binsookimee&from=postList&categoryNo=8 SH서울주택공사 장기전세 특별공급
내년 6월 양도세 강화/올해 말까지 법인부동산 매도물량/2+2에 따른 전세만기연장불가/공시지가 현실화에 따른 보유세 상승/정부의 연속된 부동산정책/전월세상한제 실행/바젤3-DSR시행에 따른 은행의 대출압박강화/2023 미연준 금리동결 해제시 후행진입자 덤터기 쓸 확률 급상승/중단기 전세난=빌라전세 넘침, 호텔임대및 공공임대확대로 해소 아무리 봐도 부동산 다주택자들은 6월 양도세 강화를 못이기기 때문에 그 전에 다 팔아야 하는데요? 마지막으로 넘겨받는게 바로 당신입니다. 지금 부동산 시세는 꾼들이 한바탕 자전거래로 올려둔 뻥튀기호가입니다. 절대 진입하지 마세요!
근래의 아파트와 전세가의 상승은 정상적인 시장의 수요공급의 결과물이 아닌 오직 매매차익을 노린 투기자본에 의한 거품이라 봅니다 게다가 주택가격이 폭등할때마다 정부가 내놓던 온갖 규제나 세금정책은 시민들의 불편과 고통만 더 해 왔을 뿐 집값을 잡아 내린 적이 한번도 없었지요
또한 집이란 의식주라는 헌법에 보장된 국민의 기본권과 직결된 문제라 단순히 자유시장경제의 논리로 접근해서는 이문제는 절대 풀리지 않습니다..
수익이 있는 곳에 돈이 몰린다는 말이 있지요 이를 바꾸어 생각해 보면 사람이 사는 주거공간인 집에 투기를 해서 수익이 나오지 않는다면 주택에 투기질이나 투자를 할 자가 과연 있을까요 ?
만약에 말입니다 주택을 구입해 훗날 얻게된 즉 벌게 된 이익의 70프로 이상을 세금으로 내야한다면 자신이 살지도 않을 즉 실수요자도 아니면서 별 수익도.없는 주거공간에 불과한 주택투자에 뭉칫돈을 퍼부을 자가 과연 몇명이나 될는지요 ?
결국 시세차익에 대한 70프로이상의 양도세라는 과세가 행하여 진다면 집값인상에 따른 관련세금만 따라 올라가 시민들의 삶만 파탄내는 정치기득권의 세금인상꼼수에 불과한 무슨 종부세니 재산세 취득세 등록세 다주택보유세니 하는 것들과 거래허가제 규제지역제 몇년이상실거주제니 하는 보여주기식의 규제라는 것들은 당장 전면폐기처리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또한 조세의 기본적원칙은 소득이 있는 곳에만 과세가 있어야 하는 바 소득과 관련도 없이 뜯어가는 각종 간접세들과 준조세에 해당되면서 역시 소득기준에 따르지도 않고 이중으로 또 뜯어가는 연금 의료보험료등도 폐지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빚 무서운지 모르는 사람들이 아직도 많죠 ㅎㅎ 한번 뼈때리거 당해봐야 정신차리지 ㅋㅋ 가계부채 어쩔거냐.. 1700조 ㅎㄷㄷㄷㄷ 지금 부동산이나 주식 근처에도 가지마라 특히나 빚내서 하는거면 니들 인생 자체가 노예가 될 수 있다 가계부채만 gdp대비 거의 100%임 남은거 조금 더 먹으려다가 골로 간다 기나긴 겨울이 오고있으니 현실적인걸 생각해서 대비해라
투기과열지구나 조정지역이면 2년미만에 집을 팔지 않아야 한다. 2년 후에 팔면 양도세 절세된다. 조정지역이라고 당황하여 급히 파는 사람이 많으면 집값이 폭락하게 되고 폭락장에서는 아무도 집을 사지 않으므로 폭락장이 되지 않도록 집을 팔지 않고 2년후에 팔거나 여유가 된다면 규제지역이 풀리면 다시 반등하므로 최대한 반등되었을때 파는 것이 낫다. 규제지역이라고 해서 집을 파는 사람이 많으면 폭락되어 폭락되면 비싸게 산 사람들이 피해를 보게 된다. 피해를 입는 사람들이 없도록 규제지역에서는 최대한 집을 팔지 말고 규제지역 아닌 곳에 집을 파는 것이 낫다.
절대 일본과 같은 부동산 폭락은 없을 거예요. 왜냐면 일본과 같은 부동산 버블이 없었으며 한국의 서울과 수도권에서는 산이 많아 일본의 도쿄도 처럼 평원지역이 아니라 사람이 살 수 있는 평지가 적어요. 예를들면 도쿄23구와 서울의 넓이가 비슷하다고 하는데 서울은 북한산, 도봉산 수락산, 관악산, 남산 등 산이 많아 실제 주거지는 도코에 절반 밖에 안돼서요. 개인의 소득이 한국, 일본이 같다면 서울 집값은 일본의 두배가 정상입니다. 그리고 한국은 적으나마 인플레이션이 있고 일본은 디스플레이션이 있구요. 또 한가지 차이점은 한국은 일본의 인구밀도에 2배입니다. 이런 걸 감안하면 일본과 같은 부동산 버블은 없을 거예요. 또 일본은 여러개의 섬으로 돼어 있지만 한국은 딱 한개의 땅덩어리로 되어 있어서 적어도 수도권은 당분간 안전해 보여요. ...
@gunkim217 17
2020년 12월 08일 07:18전월세를 공급하는 집단이 다주택자 집단인데 그 집단을 악인으로 간주하고 쪼아대니 전세가격이 오르는 것은 당연한 일로 보입니다. 다들 아는데 정부만 모르는 것일까요? 저는 정부가 알고도 숨겨진 목적을 위해 밀어붙인다고 생각합니다.
@samemoon1977 12
2020년 12월 08일 13:44이해가 쏙쏙 되는 교수님 강의^^
감사합니다~
새별 9
2020년 12월 09일 06:16지극히 상식이하를 무슨 대단한 정보처럼 말씀 하시네요.. 듣기로는 주택보급율이 100퍼센트가 넘는데 투기꾼들때문에 부족하지 공급자체가 부족한 건 아니라던데.. 새아파트 지으면 뭘합니까? 투기꾼들이 싸잡아가는데.
@coin1 6
2020년 12월 08일 06:511등입니다. 새벽까지 수고 많으십니다!
2021년에 아파트 사야하는데 ㅠ
@djangoviva2860 6
2020년 12월 10일 00:28그리고 현재 서울 부동산 가격은 거의 세계 최고 수준이니 이건 확실한 거품이 맞습니다. 문제는 어떤 언론도 거품이라 얘길 안하고 있는게
가장 심각한 문제가 아닌가 합니다. GDP 대비 가계부채도 지금 대한민국이 세계 최대여서 지극히 위험 수준인데요. 전세 대출을 빼고도 말입니다.
일본 버블때와 너무나도 유사한 양태가 많습니다. 심지어 일본은 당시 가계부채는 현재 우리나라보다더 낮았지요.
따라서 정부는 반드시 연착륙을 시켜야지 너무 급격한 규제를 해서는 안되는 상황이구요. 물론 그런 핀셋 규제 때문에
과열된 투기 심리로 풍선 효과도 곳곳에 생겼지만요.
결국 정리하면 극도로 위험한 가계부채 수준과, 내년 세제 강화책을 볼 때 여유 되는 투기꾼 외에는 최소한 내년 6월 까지는 매물을 내놓을 수 밖에 없습니다.
실제로 대형 투기꾼은 많은 매물을 정리한 상태이고 지금 12월 현재도 서울시내 똘똘한 한채 외에는 급매물들이 점점 쌓이는 추세이구요.
따라서 2023년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은 확실한 전망이 아닌데도 오히려 투기 심리를 부추기는 결과만 초래할 수 있습니다.
당장 직권말소되어 시장에 풀리는 임대사업자 매물들과 현재 나오는 아파트 급매물, 아파트 전세 매물들로 볼때 당장 내년 초부터 아파트 공급은
충분할 수 있고, 가격 하락세가 시작되면 더이상 추가 공급 안나온 상태에서도 현재 나온 매물들의 가격 하락으로
실제 공급 효과가 발생될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 보여집니다.
정인디고 6
2020년 12월 09일 16:10대깨들은 지금 도 투기꾼 유투버 탓이랍니다
@박춘식-i9l 6
2020년 12월 09일 14:50홍박사님의 경제 전반의 이해를 바탕으로 부동산시장을 명료하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드림니다
@니아-p4f 6
2021년 1월 17일 13:34한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세상 만들어준다고 하더니...공약 제대~로 지키는 아주 대~~단한 정부...칭찬합니다
@user-wp1ll7ev6y 5
2020년 12월 09일 17:18정말 유익한 내용 논리적으로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싸보TV_당신을 지키는 지혜 5
2020년 12월 10일 19:52올해 투자하려다 도박을 했네요...
평범하게 부동산이나 삼성전자에 투자나 할걸 괜히 욕심만 컸네요... 활황장에 상대적 박탈감이 컸습니다.
전 재산을 잃고 힘들었지만 지금은 유튜브, 운동을 하며 이겨내고 있습니다.
좋은 날이 올거라 믿습니다
@shlee7946 5
2021년 1월 28일 16:55이 심각한 상황이지만..교수님 귀염상이시네요...집 팔고 타이밍 놓쳐서 벼락거지되는중입니다ㅜㅜ
@djangoviva2860 5
2020년 12월 10일 00:12공급이 인허가 건수와 관계가 있는지는 좀 의문입니다;; 재건축이 포함된다면 멸실이 수반되어서
순수한 공급으로 보기엔 쫌 무리가 있고, 재건축은 대부분 가격 상승의 요인이어서 사실상 재건축은 아주 예전부터
규제가 쭉 이어졌어야 하는데요; 그리고 2012년부터 대략 2015년 사이에는 공급이 그다지 늘지 않고 오히려 줄어든 구간이 있는데도
집값이 하락했던건 노무현 정부때의 규제책이 서서히 효과가 발휘되서 결국에는 2014년 규제를 전면적으로 풀어도 한동안은
부동산 시장이 침체된것과 관련 있는것 같기도 합니다. 이번 정권에서 규제 준비운동으로 임대사업자 감면혜택 준 것이 사실상
공급 늘리려다 오히려 다주택자 투기에 악용되어 매물이 잠겨버리고 갭투기에 일반인도 대거 덤벼들면서 다주택자가 너무 양산된 것도
공급 부족 요인 중 하나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한 가지 아주 중요한 요인 중에 고려가 필요한 부분은 제 생각엔 올해 언론들이 너무 극성스럽게 투기를 부추긴 점입니다.
심지어 부동산 관심없던 사람들 조차도 올해는 너도나도 부동산에 관심을 가지게 만든건 다름아닌 언론들의 극성스런 부추김이 한몫 했다고 보이는데요.
언론이 이렇게 집중될수록 순수한 시장 논리가 점점 더 왜곡이 일어나는게 아닌가 합니다.
깔끔한 정리 감사합니다^^
@조리어 5
2020년 12월 08일 09:39좋은 내용을 핵심적으로 짚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게 있는데 설명중에 사용하신 그래프는 어디서 볼수 있는지요?
@뿌잉-n3d 4
2020년 12월 27일 00:18지금 패닉바잉 현상으로 영끌해서 미래의 실소유자들이 무리해서 집을 샀고, 내년에 코로나가 안정세에 접어들고 세금감면 유효기간이 끝난 임대인들 대거 속출, 법인보유 부동산 내놓을 수 밖에 없는 현실, 경제가 나아지면 금리인상 긍정적 검토,서울의 물량의 공급 등을 보면 현 집값이 끝물을 달리고 있는거라 봅니다.
어차피 부동산은 위험자산이고 고급주택은 더 위험자산이니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많은 시점에 폭등을 생각한다는건 지극히 위험한 발상 아닌가요? 코로나로 억눌린 소비심리로 그만큼 외부요인으로 침체된 경제가 내년부터 급격히 안정성을 찾으려고 할것이고 물량공급이 이루어지면 자연스레 적정가격 찾을거라 봅니다
지금은 코로나 여파로 과장되어 불안심리가 더 조장되어 이것이 안정성을 찾고싶은 매수자에게 패닉바잉을 야기했고 어느정도 거품을 조장한 아주 불안정한 시장이 됐다고 봅니다. 불안정한 거품시장은 외부요인이 사라지면 빠르게 걷히고 불안한 심리적 요인 으로의 시장형성이아닌 다시 정상적인 시장기능으로 되돌아갈려고 할겁니다.필연적으로 안정세를 추구하게 되어있기에
감사합니다 4
2020년 12월 09일 05:40내년에 개설한다는 강의를 일반인도 수강 가능한가요?
@수선화-l5z 3
2020년 12월 08일 20:46그럼 2년후에 조정 받은후 사야됩니까?
@이호옹-l1l 3
2020년 12월 22일 23:02미친 당국자들이 이걸 봐야 하는데ㅠㅠ
@내동생-g9q 3
2020년 12월 09일 11:17인구는 주는데 주택량이 점점 부족하다..
@TV-dy8mr 3
2020년 12월 09일 07:06명확한분석이네요^^
@hye8084 3
2020년 12월 10일 18:13한번 더 시청해볼 만큼 깊이있는 영상
많은 도움이 됩니다
@ashab2910 3
2021년 1월 18일 01:06유툽으로 들으니 너무 좋네요♡
@miss8215 3
2020년 12월 12일 23:31교수님 강의를 김작가tv
'돈의역사' 인터뷰영상 감명받고 들어와서 들었습니다
너무 도움이 많이 되었네요
돈의 역사도 구입해서 읽어볼께요
앞으로 꾸준히 구독하며 경제를 배워가겠습니다
@zybr90 3
2020년 12월 08일 08:37전세가격 급등은 법정전세계약기간이 1년에서 2년으로 변할 때도 유사한 문제가 있었습니다. 결국은 매매가격이라는 상한이 있으므로 매매가격만 안정시킨다면 결국 안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세입자인 제 입장에서는 일단 계약을 한 이후에 재계약 시점에서 집주인과 협상력이 크게 늘어났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적정한 가격에 협상하면 청구권을 쓰지않고도 주거를 안정시킬 수 있습니다. 어차피 청약 시에 자금으로 쓸수 있는것이 보증금이므로 결코 헛돈 쓰는게 아닙니다. 핵심은 전세보다는 매매가격의 안정입니다. 그리고 서울의 갭투자를 해소하고 열악한 집에 집주인이 실거주하도록 하는것은 매우 긍정적이라 생각합니다. 돈의 힘이 아니라 주거환경이 가격에 실제로 반영되는 전환점이 될것으로 생각합니다.
Real 3
2020년 12월 08일 06:56새벽부터 수고많으십니다 감사합니다
@DORAMJ-h2f 2
2021년 1월 12일 22:01세상에서 이해 제일 잘됨. 강의료는 구독과 좋아요로 박습니다.
신영웅 2
2020년 12월 09일 10:20지금이 황금열찰 탈수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무조건 대출해서라도 집 매입해야될듯;;;
@수리-g2q 2
2020년 12월 09일 09:20설명너무잘해주시는것 같아요 ^^ 오늘도 잘보고갑니다
@jikjangmon 2
2020년 12월 13일 22:50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저는 2023~2024 년도 집값 떨어질 때 집 사야겠어요. 지금은 여력이 안되네요. ㅎㅎ..
@02stories 2
2020년 12월 08일 07:41머리에 쏙쏙 들어오네요. 강사합니다.
HYUN JA BAEK 2
2021년 1월 11일 20:00중국인들이 세계 여기저기에
사재기 하는거잖아요
외국인들한텐 세금을 더
팍팍올려 받아내야지 ㅡ
@이스카이-c7o 2
2021년 1월 16일 11:04작년6월 집매도하고
학군지 상급지 갈아타기도중 계약이잘이뤄지지않아
6개월이지났고 가격이 그새많이올라
본래본곳보다 못한곳을가거나 더많은 빛이필요한상황입니다ㅜㅜ
지금상황에서 저는 지금가능가격에 주택이라도 매수하자는입장이고
남편은 전세(2~4년)살다 대세하락?이후에
다시주택을구입하자하는데 어떻게 하면 현명한선택일까요?
부동산지식도없이 2020년폭풍속에 갈아타기를 시도했던 제자신이 너무원망스럽네요ㅜㅜ
지금이라도 현명한선택을하고파요ㅜ
교수님 현명한고견 부탁드려요ㅜㅜ
@chongyolyi4799 1
2020년 12월 08일 07:23자세한 이유와 설명 감사합니다.
@신의섭신의섭 1
2020년 12월 12일 07:02부동산 시장
다주택 임대업
을 폐지 시키지
않으면
아무리 대책을
내놓아도
효과없다
@천하장사-h1y 1
2020년 12월 30일 04:54울산은 집값내려가고 있어요
사는사람 없어요
@dannyocean139 1
2020년 12월 13일 00:00오랜만에 들어왔는데 한결같이 편안한 어법으로
의미있는 통찰 감사합니다!
@smook3706 1
2021년 1월 30일 16:03마이크를 써보심이 어떨지
놀면뭐해tg 1
2021년 1월 02일 18:56저는 하락에 1표 입니다
새해 부동산 전망자료 만들어 봤습니다
https://youtu.be/PVId4q1zLbk
김수빈 1
2021년 1월 15일 16:30부동산 문제로 고민되시고 답답한 분들을 위해 도움을 드리고자 글 올립니다.
올라도 너무 올라 매매로 내집마련이 엄두가 나지 않습니다.
전셋값도 매매가 수준으로 오르고
나에게 맞는 집 찾기가 너무 힘듭니다.
서울 고품질 아파트 내집마련 성공 방법 !!!!
남들보다 저렴하게 남들보다 빠르게 성공 노하우 !!!
제한조건, 청약, 경쟁 없이,
추첨아닌 100% 우선 입주 성공 가능합니다!!
일반 전세시세보다 50-60% 저렴한 전세금
최장 20년 거주 가능(매 2년마다 재계약 방식)
현재 현행 법 상(공공주택 특별법) 20년 거주 후 분양전환 또는 20년 만기가 아니더라도
절반(10년)이상이 지나도 협의 하에 분양전환 될 수 있다 명시되어 있습니다.
남들보다 훨씬 저렴하게 입주하여 마음편히 안정적으로 여유롭게 사세요~~
문의 전화 : 010-4040-1606
장기전세 특별공급 관련 정보 : https://blog.naver.com/PostList.nhn?blogId=binsookimee&from=postList&categoryNo=8
SH서울주택공사 장기전세 특별공급
Love 1
2021년 1월 03일 14:02"부동산문제는...
용기와 결단의 문제이다."
이 분이 추진하면 부동산문제는 가장 빠른 속도로 해결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wIMcqXzv1DM
@말리부-w6n 1
2020년 12월 08일 20:42정말 좋은 채널이네요
교수님 감사합니다. 설명이 논리적이고
합리적이라 이해가 잘 됐어요
@rho8070 1
2020년 12월 14일 12:46명쾌합니다. 한가지 세금인상을 앞 두고 다주택자들이 매물을 쏟아낼 가능성은 고려하지 않았네요. 내년 상반기 법인과 임대사업자의 매물이 대폭 늘어날 것으로 생각됩니다.
@화와이는니가가라 1
2020년 12월 10일 14:09좀 이해가 않되네요..,처음 그래프보면 전세가격이 오르고 좀 있다 아파트 가격이 오르는데요...임대차3법이 시행된게 얼마되지도 않았는데 주택가격은 이미 올랐는데요....그럼 몇년 있다 확실히 주택가가 상승할거라는게 되는데요...
hong5283 1
2020년 12월 08일 07:01감사합니다: )
@sooshin3569 1
2020년 12월 08일 14:42감사합니다.
ENES BATUR O
2022년 3월 05일 02:25아아 그거 저도 알아요 소 배 액 팅 ㅎㅎ 어려운것도 없고 간단한 지식만으로 할수있다던데
@서울-o2c
2020년 12월 14일 01:20감사합니다
극우
2020년 12월 27일 18:44투기세력 근절에 대해서는 분석이 없네. 역시 교수는 수치로만
윤숙경
2021년 2월 12일 07:40정말 무능한 정권 무능한 대통령 이하 장관들
C QJSTM
2020년 12월 08일 11:43내년 6월 양도세 강화/올해 말까지 법인부동산 매도물량/2+2에 따른 전세만기연장불가/공시지가 현실화에 따른 보유세 상승/정부의 연속된 부동산정책/전월세상한제 실행/바젤3-DSR시행에 따른 은행의 대출압박강화/2023 미연준 금리동결 해제시 후행진입자 덤터기 쓸 확률 급상승/중단기 전세난=빌라전세 넘침, 호텔임대및 공공임대확대로 해소
아무리 봐도 부동산 다주택자들은 6월 양도세 강화를 못이기기 때문에 그 전에 다 팔아야 하는데요?
마지막으로 넘겨받는게 바로 당신입니다.
지금 부동산 시세는 꾼들이 한바탕 자전거래로 올려둔 뻥튀기호가입니다. 절대 진입하지 마세요!
@TV-xw4ge
2020년 12월 11일 20:09감사합니다. 홍박사님! 정말이지 이러한 강의 영상! 돈을 주고도 볼 수 없는 것이 많은데, 항상 배우며, 감사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설아파파
2021년 1월 13일 22:28앗 박홍기 방송인줄알고 잘못옴;;
@라니라니-y2f
2021년 1월 12일 23:10또낚였다ㆍ
Great Life
2020년 12월 12일 20:34서울 기준으로 17년, 18년 입주 물량은 2만중반이였고, 내년 입주 물량이 2만중반입니다.
하지만 금리상승과 맞물리며 17년, 18년에는 전세 시장이 안정적이였죠.
상대적으로 19년 4만후반, 20년 3만후반 입주로 입주 물량이 많았음에도 19년 상반기 전세 하락을 잠시 보이다가,
금리가 인상된 하반기 부터 전세가 스물스물 상승을 시작하고요.
전세의 상승과 하락에 입주 물량과도 연관이 있겠지만, 위의 영향을 보면 전세의 변화는 금리가 더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보입니다.
또한 임대 3법으로 임대 매물이 감소하면서 전세의 급격한 상승을 가져왔고, 내년에는 신규 입주 물량이 감소하면서 추가 전세 상승은 있겠지만,
금리추가 하락이 있지 않다면 그 상승폭이 얼마나 될 지 궁금하네요.
그리고 강남서초는 20년대비 21년 입주 물량이 증가하는 만큼 올해 9월~11월만큼 또는 대치팰리스 전용 25평 전세 20억에서 추가 상승할지,
그리고 2022년 8월임대3법으로 묶인 물량이 나오는 시점의 전세 변화도 궁금하네요.
박용출
2020년 12월 08일 20:16정레기 등 쓰레기들 배 불린 도둑놈들을 위한 부동산 정책! 정부 수립 후 처음부터 잘못된 정책들인데,
잘못된 것을 과감하게 코칠 줄 알아야 되지 않겠어요?
@김귀리
2020년 12월 14일 03:54홍춘욱 박사님 채널에서 항상 좋은 인사이트를 얻어가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
@StudyAndMeditaion
2021년 12월 04일 23:57아.. 교수님. 집값이 심상치.않네여.. 얹0 오르나요.. 너무 힙듭니다
@블랙스완-k6h
2021년 1월 28일 03:43근데 오르는것까진 괜찮은데 작년여름때뉴스에서 부동산거래가 거의없다고해서 지금 사도 안팔릴까봐 걱정이네요~저희동네 대단지아파트 입주라더니 전세2000건,월세1000건 나와있던데 대출규제때문에 사람들이 안들어가요(지방아님 수도권임)~후분양 아파트도 짓는다는데
smoon p
2021년 3월 29일 02:28공급이 주요 변수이나 공급 부족의 원인이었던 다주택 소유는 노코멘트군요 ㅋㅋㅋㅋ
@HohoJooma
2020년 12월 09일 21:02영상 감사합니다
@patrickyu8552
2021년 4월 19일 09:22무조건 틀어막고 무조건 규제하는 것만이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하는 정책이
얼마나 개별국민들에게 큰 피해와 고통을 가져다주는지
모두가 알았으면 좋겠다
멋진세상만들기
2020년 12월 12일 02:55주택대란의 근본해결을 위하여 ·
근래의 아파트와 전세가의 상승은 정상적인 시장의 수요공급의 결과물이 아닌 오직 매매차익을 노린 투기자본에 의한 거품이라 봅니다
게다가 주택가격이 폭등할때마다 정부가 내놓던 온갖 규제나 세금정책은 시민들의
불편과 고통만 더 해 왔을 뿐 집값을
잡아 내린 적이 한번도 없었지요
또한 집이란 의식주라는 헌법에 보장된 국민의 기본권과 직결된 문제라 단순히
자유시장경제의 논리로 접근해서는 이문제는 절대 풀리지 않습니다..
수익이 있는 곳에 돈이 몰린다는 말이 있지요 이를 바꾸어 생각해 보면 사람이 사는 주거공간인 집에 투기를 해서 수익이 나오지 않는다면 주택에 투기질이나 투자를 할 자가 과연 있을까요 ?
만약에 말입니다
주택을 구입해 훗날 얻게된 즉 벌게 된 이익의 70프로 이상을 세금으로 내야한다면 자신이 살지도 않을 즉 실수요자도 아니면서 별 수익도.없는 주거공간에 불과한 주택투자에 뭉칫돈을 퍼부을 자가 과연 몇명이나 될는지요 ?
결국 시세차익에 대한 70프로이상의 양도세라는 과세가 행하여 진다면 집값인상에 따른 관련세금만 따라 올라가 시민들의 삶만 파탄내는 정치기득권의 세금인상꼼수에 불과한 무슨 종부세니 재산세 취득세 등록세 다주택보유세니 하는 것들과 거래허가제 규제지역제 몇년이상실거주제니 하는 보여주기식의 규제라는 것들은 당장 전면폐기처리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또한 조세의 기본적원칙은 소득이 있는 곳에만 과세가 있어야 하는 바 소득과 관련도 없이 뜯어가는 각종 간접세들과 준조세에 해당되면서 역시 소득기준에 따르지도 않고 이중으로 또 뜯어가는 연금 의료보험료등도 폐지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
@mohcinethekingofgames1158
2022년 3월 05일 02:25주식하기엔 너무 까막눈이라 찾던와중에 저도 소 베 액 팅 추천받아서 쳐봤는데 너무좋네요 ^^
İnal YT
2022년 3월 05일 02:25요즘 재테크 하는게 유행인데 찾아보다가 소배 액팅 쳐보고나서 95%수익 내고있어요!
Nazım Kılıçoğlu
2022년 3월 05일 02:25저는 요즘 코로나때문에 직장도 힘들어졌는데 소배 액팅 알고나서 부업으로 용돈법니다 ㅠ ㅎㅎ
@gurhan_aydn-edits8661
2022년 3월 05일 02:25시간만 있으면 넉넉하게 재테크 할수있는게 소베 액 팅 이죠 ㅇㅈ
@musicelmi2486
2022년 3월 05일 02:25당일날 바로 소액으로 용돈벌고 당일환젼 해주던데 소 배액 팅 진짜 좋네요
Abdulkadir Kaplan
2022년 3월 05일 02:25펀드니 주식이니 코인이니 다필요없는거같음 어렵기만하고 ㅠ 소 배 액 팅 은 어려운게없음
metin2 serverler
2022년 3월 05일 02:25어제 소소하게 소배 액팅 쳐보고 들어가서 3만원으로 10만원만 벌고 나왔어요 시간없어서 ㅠ
HD YABANCI FİLM İZLE
2022년 3월 05일 02:25소 배 액팅은 워낙 유명해서 앞전부터 핫했는데 이게 지금 뜨네요 ㅎㅎ
Çılgın Oyuncu
2022년 3월 05일 02:25아 소 배 액팅 들어봤어요 초보자들도 쉽게 접목할수 있다던데
oyunlarla birlikde
2022년 3월 05일 02:25요즘 소배 액 팅 이라고 주식,코인보다 좋다고 하던데요?
@baek6468
2021년 3월 02일 15:48부동산 한가구부터 세금
받아내고 법인들또한
일반인들하고 세금 받아내세요
지금 세금안낼려고 법인으로해서 사재기하고 있읍니다
HALİL İBRAHİM SOFRASI
2022년 3월 05일 02:25소배 액팅 알고나서부턴 왜 내가 직장다니면서 뼈빠지게 일했을까 생각이 듭니다 일찍시작할껄 ㅠㅋㅋ
최규환
2021년 1월 24일 17:23빚 무서운지 모르는 사람들이 아직도 많죠 ㅎㅎ
한번 뼈때리거 당해봐야 정신차리지 ㅋㅋ
가계부채 어쩔거냐..
1700조 ㅎㄷㄷㄷㄷ
지금 부동산이나 주식 근처에도 가지마라
특히나 빚내서 하는거면
니들 인생 자체가 노예가 될 수 있다
가계부채만 gdp대비 거의 100%임
남은거 조금 더 먹으려다가 골로 간다
기나긴 겨울이 오고있으니 현실적인걸 생각해서 대비해라
@향지네
2021년 3월 24일 00:432022년~23년은 어찌될까요
재연장 전세물권 쏟아져 나오겠죠
다주택자가 2023년 두려운 이유
서율 수도권이 개발할 땅이 적다는것도 문제인듯 거기다 다주택자 요 사람만 실수요자에게 넘겨줘도 해결
@taehankim2814
2020년 12월 19일 08:13투기과열지구나 조정지역이면 2년미만에 집을 팔지 않아야 한다. 2년 후에 팔면 양도세 절세된다. 조정지역이라고 당황하여 급히 파는 사람이 많으면 집값이 폭락하게 되고 폭락장에서는 아무도 집을 사지 않으므로 폭락장이 되지 않도록 집을 팔지 않고 2년후에 팔거나 여유가 된다면 규제지역이 풀리면 다시 반등하므로 최대한 반등되었을때 파는 것이 낫다. 규제지역이라고 해서 집을 파는 사람이 많으면 폭락되어 폭락되면 비싸게 산 사람들이 피해를 보게 된다. 피해를 입는 사람들이 없도록 규제지역에서는 최대한 집을 팔지 말고 규제지역 아닌 곳에 집을 파는 것이 낫다.
@rosita2017
2020년 12월 25일 14:43감사합니다 23년 입주 물량이 는다는것은 전국 평균인거죠? 서울은 23년 입주 오히려 최저인거 같아서요..
@김정은-u9v7u
2021년 2월 11일 13:51절대 일본과 같은 부동산 폭락은 없을 거예요.
왜냐면 일본과 같은 부동산 버블이 없었으며
한국의 서울과 수도권에서는 산이 많아 일본의 도쿄도 처럼 평원지역이 아니라
사람이 살 수 있는 평지가 적어요.
예를들면 도쿄23구와 서울의 넓이가
비슷하다고 하는데 서울은 북한산, 도봉산
수락산, 관악산, 남산 등 산이 많아
실제 주거지는 도코에 절반 밖에
안돼서요. 개인의 소득이 한국, 일본이
같다면 서울 집값은 일본의 두배가
정상입니다.
그리고 한국은 적으나마 인플레이션이
있고 일본은 디스플레이션이 있구요.
또 한가지 차이점은 한국은 일본의
인구밀도에 2배입니다. 이런 걸 감안하면
일본과 같은 부동산 버블은 없을 거예요.
또 일본은 여러개의 섬으로 돼어 있지만
한국은 딱 한개의 땅덩어리로 되어 있어서
적어도 수도권은 당분간 안전해 보여요. ...
@alphaoyuncu3207
2022년 3월 05일 02:25그냥 아무곳이나 쳐도 소 배 액 팅 주소 알수있어요 ㅎㅎ 워낙에 믿을만한곳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