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서울시 집값 하락에 회의적인 시각입니다. 서울처럼 젊은층의 인구유입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산업 클러스터(일자리)가 많은 곳은 사람들과 기업들이 계속 몰려들기 때문입니다(경로의존성, QWERTY). 반면 세종시처럼 계획도시인 경우 자기 완결적 예언(self-fulfilling expectation)으로 클러스터가 형성되지만 한계가 있어보입니다.
세종시는 기업이 아닌 정부부처가 밀집된 행정도시기 때문에 인구유입에는 한계가 있으며, 서울에서 세종으로 이전한 것입니다. 서울에서 출퇴근 하던 가장이, 아이들이 다니고 있는 학교와 학원을 뒤로하고 세종으로 이사를 오는 것은 한계가 있죠. 따라서 서울-세종으로 출퇴근을 매일하는 것입니다. 이런데도 불구하고 세종시의 집값이 큰폭으로 상승하는 것은 결국 사람들의 기대심리가 집값 상승의 요인이었다고 봅니다.
혁신도시쪽에서 살아서 아는데 참여정부가 목표했던 지방분산은 거의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대부분 기러기 아빠가 되있고 가족전체가 이동하는 경우는 드물어요. 그래서 아파트는 텅텅비고 원룸 오피스텔은 꽉 차있죠. 이상은 좋았으나 땅값만 들쑤셔서 당시 집값이 폭등했는데..이런부분 재평가를 거쳐 다시 정책에 반영해야될텐데요..왜 우리나라는 행정적책 재평가는 없고 그저 정쟁만 하는지..ㅋ
인구감소가 기하급수적이요.이제 0.7명 인데 악화되는 기울기가 가파라지고 있습니다. 서울시 안에 있는 초등학교도 폐교 되고 있습니다. 곧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가 문을 닫을겁니다. 지방은 말할것도 없지만 지방 도시들도 살아남으려 발버둥칠겁니다. 인구 변동에 대하여 너무 가볍게 생각하시는것 아니신지요?
대기업 신설 공장이 죄다 수도권에 지어지는 것을 정부가 그냥 묵인하고 있는 것만 봐도 이 정부는 지방균형발전에 의지가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보다 더 넓고 경제력은 비슷한 미국 텍사스주의 경우 댈러스,오스틴,샌안토니오,휴스턴 등에 인구가 고르게 분산되어 있습니다. 사실 ktx로 2시간 거리밖에 안되는 국토면적을 봤을 때, 국토의 대부분이 빈 곳으로 남아있는 것도 엄청난 비효율이라 생각합니다.
동경 기준으로 10년동안 20%오른건데요. 세금 빼면 안오른거나 다름이 없지요. 오른다면 수도권이 아니라 정말 한강주변이나 강남3구 중구 등 핵심상권만 오른다고 보면 되는데
최근 거의 2배가 넘게 올랐죠. 일단 지금 한국의 기준과 일본의 기준은 전혀 맞지 않는것도 사실이지만, 청년 인구가 늘어나서 강남이 오를려면 청년들이 20~30억씩 들고있어야 한다는거고 해가 갈수록 40억, 50억 이렇게 들고 들어와야 집값이 오른다는건데 대한민국 소득수준이 그렇게 빨리 올라갈까요? 과연? 그게 아니라 10년간 20% 오르는거면 10억짜리 사서 10년후에나 12억 되는건데 그러면 아파트 안사고 주식사겠죠.
자꾸 일본과 비교하는데 저는 일본보다 다 처절하게 망가질 것 같은데요. 울나라는 일본보다 더 빠른 저출산,고령화를 겪고 있습니다. 일본은 선진국이었었고 아직도 넉넉한 해외자산을 갖고있다고 들었습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이제 세금을 조금씩 조금씩 늘려서 빈부격차를 해소해나가야하지만 국민적 저항은 갈수록 격렬해질겁니다. 방법이 없습니다.
말이 좋아 투자지 자기 살 집 한 채 외에 집을 더산다? 투기지 투기. 그것도 그나마 자기돈으로 사면 모를까 대출받아 산다? 빼박 투기지. 여기 연령대가 어떤지 얼마나 여유있는 사람들이 보는지 모르겠는데 집없이 세들어 사는 천지인 시대에 자기돈으로 부동산에 투자? 투기할 여력있는 사람 얼마나될까? 폭등이고 폭락이고 난 모르겠고 집은 자기 살 집만 마련해서 삽시다.
강남이나 경기남부는 오히려 미래가 밝죠. 하이닉스 용인, 판교분당 네이버카카오, 수원화성평택 삼성, 바이오 화성동탄, 현대차그룹 삼성역,... 그런데 서울이 배후수요 빠지는것에 비해 너무오르는게 향후 대세하락에서 큰 계곡을 만들지 않을까합니다. 마포성동당산강남강서 정도빼고는 전부 2008-2013 서울집값 대세하락시보다 하방쪽이 위험하다는게 1980이후 지역별 부동산 흥망성쇠 역사를 봤을때 금융인으로서 생각하는 제 판단입니다..
근래의 아파트와 전세가의 상승은 정상적인 시장의 수요공급의 결과물이 아닌 오직 매매차익을 노린 투기자본에 의한 거품이라 봅니다 게다가 주택가격이 폭등할때마다 정부가 내놓던 온갖 규제나 세금정책은 시민들의 불편과 고통만 더 해 왔을 뿐 집값을 잡아 내린 적이 한번도 없었지요
또한 집이란 의식주라는 헌법에 보장된 국민의 기본권과 직결된 문제라 단순히 자유시장경제의 논리로 접근해서는 이문제는 절대 풀리지 않습니다..
수익이 있는 곳에 돈이 몰린다는 말이 있지요 이를 바꾸어 생각해 보면 사람이 사는 주거공간인 집에 투기를 해서 수익이 나오지 않는다면 주택에 투기질이나 투자를 할 자가 과연 있을까요 ?
만약에 말입니다 주택을 구입해 훗날 얻게된 즉 벌게 된 이익의 70프로 이상을 세금으로 내야한다면 자신이 살지도 않을 즉 실수요자도 아니면서 별 수익도.없는 주거공간에 불과한 주택투자에 뭉칫돈을 퍼부을 자가 과연 몇명이나 될는지요 ?
결국 시세차익에 대한 70프로이상의 양도세라는 과세가 행하여 진다면 집값인상에 따른 관련세금만 따라 올라가 시민들의 삶만 파탄내는 정치기득권만 배불리는 세금인상을 위한 꼼수에 불과한 무슨 종부세니 재산세 취득세 등록세 다주택보유세니 하는 것들과 거래허가제 규제지역제 몇년이상실거주제니 하는 보여주기식의 규제라는 것들은 당장 전면폐기처리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또한 조세의 기본적원칙은 소득이 있는 곳에만 과세가 있어야 하는 바 소득과 관련도 없이 뜯어가는 각종 간접세들과 준조세에 해당되면서 역시 소득기준에 따르지도 않고 이중으로 또 뜯어가는 연금 의료보험료등도 폐지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일본 보다 내수 가 약한 한국 이 수출 에 대한 의존력이 높은 부분 도 봐야 하지 않을까요? 특히나 캐나다 와 같이 제주도 중국의 부동산 투기로 인한 피해에 대한 영향력도 봐야 할거구요. 지표 를 통해서 누구나 가설은 세울 수 있다고는 봅니다. 그래프도 중요하지만 그래프 내 에서 안나오는 또 다른 부분들도 봐야 하지 않아 싶기도 하구요. 현재 한국 집값이 홍콩 다음 2번 째로 높은 부분 도 함께 지켜봐야 할거 같구요. 현재 일본은 빈집 수 와 한국의 빈집수 도 동시에 비교도 해야 할 부분이기도 하고, 저렇게 인구 이동이 예상된다고 해도 인구 분산 을 위해서 어떻게 정책이 나올지도 계산해 봐야 하는거 아닌가 싶습니다?
내년 2~3월부터 하향세로 바뀔 것으로 보입니다. 추가적인 주택수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전체주택의 50%이상을 보유한 다주택자는 추가로 사면 취득세 12%, 종합소득세, 건강보험료, 대출이자, 재산세, 종부세, 양도소득세 82.5%....집값이 올라도 마이너스이며, 무주택자만 집값올랐을 때 이익인데 영끌은 집값 하락시 치명타입니다. 다주택자의 세금전가로 인한 무주택자의 영끌수요가 유일한데...영끌수요로는 집값을 계속 올릴 수 없고 영끌도 이자율이 오르고 있어 힘들어 보입니다. 900만호 다주택자의 매물은 조금씩 계속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보유세 인상, 대출이자 인상, 주택임대사업자등록 자동말소, 양도세 인상으로 계속보유시 손해이기 때문입니다.
강남 잡지 말아야 한다 일본 대폭락에도 핵심 지역은 버텼다 추후 런던,도쿄,뉴욕처럼 된다 그나마 지금처럼 하면 월세 전환되면 중산층의 강남진입은 꿈이 되버린다 월세 300~500을 내고 버틸만한 중산층은 없다 종부세,보유세를 전가시키는것은 당연하다 바보가 아니고서ㅋ 그나마 있는 사다리를 치우지 말아야 한다 저금리 기조는 미국이 움직이지 않으면 인상도 못한다 유럽이 08년 금융위기 후 미국보다 먼져 금리 인상 후 지금까지 내리막길이다 유럽조차 못버티고 무너졌는데 한국은 절대 금리 인상은 없다.하면 90년대 imf 수준으로 돌아간다 강남은 그들만의 리그로 남기고(재건축,재개발) 나머지 지역은 정부 및 민간 공급 확대를 통해 풀어줘야 한다
인기지역과 비인기지역의 양극화가 일어난다는 점은 동의하는데 그것은 버블붕괴 이후 상당히 오랜 시간뒤에 나타난 일 아닌가요? 버블이 붕괴되면 수도권이든 지방이든 대폭락이 발생하고 상당기간 지속 된다는 것이 제시하신 동경-오사카 그래프에 잘 나와 있는데요. 지금 사람들이 "한국부동산이 일본 부동산 따라간다"는것은 버블 붕괴직후 1~3년 간 수도권,지방 가리지않고 대폭락한다는 점이고 장기간에 걸쳐 서울과 지방의 부동산 양극화가 일어난다는 점은 누구나 예상하고 있습니다.
욕망과 탐욕으로 시작된 미친 부동산은 마치 말과 당나귀가 소금을 지고 시냇가를 건너다, 당나귀가 죽으면 말이 소금을 더 지고 가다가 결국 말도 죽는 상황가 같습니다, 집값이 문제가 아니라, 나라가 병들어 가고 있는 현실, 자영업 대량 폐업, 출산 20만명대, 결혼 최저,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가 미친 집값에 집중 하는 현실이 안타깝네요, 안타까운 미래가 보입니다.
미래를 어떻게 알까요? 시대의 주거 패러다임도 바뀌고 한국은 한번도 경험 못한 고령화 시작임...십년전만 해도 스마트폰을 생각 못했듯 다가 오는 시대는 또 다른 시대일지 아무도 모르죠..4, 50년의 짧은 본인들의 경험으로 미래를 단정짓기 어려울 듯..10, 20년만 지나도 세상이 변할테니까
잘 들었습니다. 분명 양극화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현재의 중심지가 미래의 중심지가 될것이란건 또다른 문제입니다. 그리고 집값만을 놓고 본다면 인구밀집지역이 선호지역이란 문제와 구주택과 신주택의 가격 격차의 문제도 있습니다. 일본 중심의 주택가격 상승은 신축위주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간과하는건 감가상각입니다. 주택도 소비성 상품이란걸 잊으면 안될 것 같습니다.
부동산 시장이 붕괴된 이유는 인구 감소만 있는게 아닙니다. 일본의 90년대 초 버블 붕괴가 인구 감소때문에 일어 났습니까? 동영상은 붕괴후 도심지에서의 회복이 생각보다 빨랐다는 이야기이지 붕괴가 앞으로 올지에 대한 설명은 많지 안습니다. 한국의 경제가 일본의 버블 붕괴 후와 거시적으로 비교 대상이 될까요? 엔리코 모레티의 도시 인구 집중현상은 그 중심에 산업이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샌프란시스코와 실리콘 밸리 처럼 말이지요. 그런데 한국에 강남에 그런 산업이 있습니까? 전부 교육이나 문화시설, 편리함 같은 소비 가치이지 거기서 생산혁신이 일어나고 임금이 오르고 그러진 않습니다. 그런면에서 모레티와의 비교는 한계가 있습니다.
돈의 역사라는 책을 보고 궁금한 점이 생겨서 유튜브로 질문하려고 합니다. 루즈벨트 대통령은 대공황이 왔을 때, 금본위제를 폐지했다고 책에서 읽었습니다. 그런데, 닉슨쇼크에서도 금본위제를 잠시 폐지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미국은 대공황을 이겨낸 후에 다시 금본위제를 채택하고 이후 닉슨쇼크때 금본위제를 잠깐 폐지시킨 건가요? 그렇다면 지금 미국은 금본위제를 채택하고 있는 것인가요??
일본에 관한 분석이라면 홍박사님 보다 더 깔끔하게 정리해 주는 사람 찾기 어려움. 젊은 세대는 플랫폼경제에 익숙해서 이 현상을 문제라 생각도 안한다는게 정치인들 인식과 다른 점이죠. 대도시 집중은 전세계 공통현상 입니다(코로나 임팩트로 인해 미국 등지에서 약간 뒤집히긴 했지만) 인구 아무리 줄어도 명문대 입시 경쟁률 떨어질리 없는거랑 같음
2 주위환경 ★ 31국도 4차선 신설 완료 부동산 급상승 부산(기장~진하 15분내) ★ 31국도 진하~남창 직선로 신설 완료 * 울산 경제자유구역 지정(주위 10분내 위치) - 동북아 오일허브지구/에너지 융합 복합지구 * 바다 , 강, 산 3박자 갖춘 천혜자연경관 지역 낚시 취미 짱입니다 * 천혜의 자연 경관 올래길 왕림하시어 직접 느껴 보십시요 말이 필요 없습니다 * 진하 명선교 일출~대바위공원~솔개공원~ 전국에서 유명한 헤이 메르 전망커피숖~ 간절곳 일출 * 해양관광진흥지구 추진 중(진하리~간절곳) * 더 골프클럽 골프장 15분 거리 * 진하 회야강 쪽으로 엄청난 미래 발전 예상됨 * 진하해수욕장. 간절곳
재개발정책과 부동산정책과 같은 국가정책, 중국부동산버블 위험과 같은 심리적파급효과가 존재하는 국제정세, 자산가치의 높은 상승을 동반하며 경기침체를 카운터치는 코로나시대의 양적완화정책의 추이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날 미래의 자산가치변동을 논할 때에 확정적인 예측을 통한 논쟁은 지양하는 자세가 중요하고 그런의미에서 이런 온건한 유튜브가 정보전달에 효과적이다 생각함요.. 오히려 막 던지는 유튜브에 보다 온건한 댓글이 달리는 현실..
강남지역과 과천 분당 등의 최근 부동산시장 과열은 비정상적 측면이 크지만 부촌의 핵심이자 서울시내인 강남지역과 부동산 과열, 도시 노후화등으로 인해 인구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과천 분당등의 버블의 성격은 분리해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4차산업혁명과 환경문제등을 고려할때 부동산버블붕괴와 디플레이션 위험에 대한 해결책으로 저출산문제 해결을 제시하는것은 부적합하다 판단함요..
생각하는삶 28
2020년 12월 12일 08:58오사까의 집값이 4억이라니, 우리 나라 집값이 미쳤다는게 너무 느껴지네.
GyuJin LEE 17
2020년 12월 11일 07:32저도 서울시 집값 하락에 회의적인 시각입니다. 서울처럼 젊은층의 인구유입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산업 클러스터(일자리)가 많은 곳은 사람들과 기업들이 계속 몰려들기 때문입니다(경로의존성, QWERTY). 반면 세종시처럼 계획도시인 경우 자기 완결적 예언(self-fulfilling expectation)으로 클러스터가 형성되지만 한계가 있어보입니다.
세종시는 기업이 아닌 정부부처가 밀집된 행정도시기 때문에 인구유입에는 한계가 있으며, 서울에서 세종으로 이전한 것입니다. 서울에서 출퇴근 하던 가장이, 아이들이 다니고 있는 학교와 학원을 뒤로하고 세종으로 이사를 오는 것은 한계가 있죠. 따라서 서울-세종으로 출퇴근을 매일하는 것입니다. 이런데도 불구하고 세종시의 집값이 큰폭으로 상승하는 것은 결국 사람들의 기대심리가 집값 상승의 요인이었다고 봅니다.
@스마일어게인-z5f 17
2020년 12월 12일 09:23홍교수님 말씀 이해가 갑니다. 우리나라도 서울좋은자리와 경기도 좋은곳의 집값이 오르는거 이해되는데 서울에서 꽤 먼 경기도나 지방집값이 폭등하는건 무슨이유일까요? 일시적인 거품인가요?
김윰동 16
2020년 12월 12일 01:54미래는 아무도 몰라요
@97exitmusic 15
2020년 12월 11일 09:22혁신도시쪽에서 살아서 아는데 참여정부가 목표했던 지방분산은 거의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대부분 기러기 아빠가 되있고 가족전체가 이동하는 경우는 드물어요. 그래서 아파트는 텅텅비고 원룸 오피스텔은 꽉 차있죠. 이상은 좋았으나 땅값만 들쑤셔서 당시 집값이 폭등했는데..이런부분 재평가를 거쳐 다시 정책에 반영해야될텐데요..왜 우리나라는 행정적책 재평가는 없고 그저 정쟁만 하는지..ㅋ
@novhero3682 14
2020년 12월 12일 09:20인구감소가 기하급수적이요.이제 0.7명 인데 악화되는 기울기가 가파라지고 있습니다. 서울시 안에 있는 초등학교도 폐교 되고 있습니다. 곧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가 문을 닫을겁니다. 지방은 말할것도 없지만 지방 도시들도 살아남으려 발버둥칠겁니다. 인구 변동에 대하여 너무 가볍게 생각하시는것 아니신지요?
@추세매매-p9t 13
2020년 12월 11일 11:00교수 정도 돼야 경제를 논하지 쇼킹 호랭이 등 일반인 유투버 폭락론자 말 듣지 말자 신도시 지방은 폭락때 망함 설집중 잊지말자
@아브락사스-u4r 13
2020년 12월 11일 16:00박사님 마이크 좀 써주세요 ㅠㅜ
(광고많이 보고 좋아요 많이누를게요ㅜ)
@terry7337 11
2020년 12월 11일 12:17대기업 신설 공장이 죄다 수도권에 지어지는 것을 정부가 그냥 묵인하고 있는 것만 봐도 이 정부는 지방균형발전에 의지가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보다 더 넓고 경제력은 비슷한 미국 텍사스주의 경우 댈러스,오스틴,샌안토니오,휴스턴 등에 인구가 고르게 분산되어 있습니다. 사실 ktx로 2시간 거리밖에 안되는 국토면적을 봤을 때, 국토의 대부분이 빈 곳으로 남아있는 것도 엄청난 비효율이라 생각합니다.
@BondiBeache 7
2020년 12월 12일 03:47동경 기준으로 10년동안 20%오른건데요.
세금 빼면 안오른거나 다름이 없지요.
오른다면 수도권이 아니라 정말 한강주변이나 강남3구 중구 등 핵심상권만 오른다고 보면 되는데
최근 거의 2배가 넘게 올랐죠.
일단 지금 한국의 기준과 일본의 기준은 전혀 맞지 않는것도 사실이지만,
청년 인구가 늘어나서 강남이 오를려면 청년들이 20~30억씩 들고있어야 한다는거고 해가 갈수록 40억, 50억 이렇게 들고 들어와야 집값이 오른다는건데
대한민국 소득수준이 그렇게 빨리 올라갈까요? 과연?
그게 아니라 10년간 20% 오르는거면 10억짜리 사서 10년후에나 12억 되는건데 그러면 아파트 안사고 주식사겠죠.
@chulyoonchung2528 7
2020년 12월 11일 19:55자꾸 일본과 비교하는데 저는 일본보다 다 처절하게 망가질 것 같은데요. 울나라는 일본보다 더 빠른 저출산,고령화를 겪고 있습니다. 일본은 선진국이었었고 아직도 넉넉한 해외자산을 갖고있다고 들었습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이제 세금을 조금씩 조금씩 늘려서 빈부격차를 해소해나가야하지만 국민적 저항은 갈수록 격렬해질겁니다. 방법이 없습니다.
@냐옹냐옹그릉그릉 6
2020년 12월 12일 16:59최근 부동산 규제로 인해 풍선효과를 본 지역들의 아파트값은 분명하 거품처럼 사라집니다. 서울에 아직도 지하철역 초역세권 9억 미만 아파트 많습니다. 빚쟁이 안되려면 x포, 파x, 양x, 일x 이런데 아파트 사지마시고 인서울 머무세요
@원탑-k1n 6
2020년 12월 11일 13:08인구와 투자의 미래라는 좋은책이 있는데 그책만 잘 읽어도 일본처럼되지는 않겠구나 라고 생각할텐데요~ㅋㅋ
@고KD 5
2020년 12월 12일 17:46진짜 홍박사님 강의나 책만 봐도 최소한 실패는 하지 않을수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어줍짢은 유튜브 방송보다 정말 한방에 골로 갑니다
@Lovewinsall0909 4
2020년 12월 12일 20:32말이 좋아 투자지 자기 살 집 한 채 외에 집을 더산다? 투기지 투기. 그것도 그나마 자기돈으로 사면 모를까 대출받아 산다? 빼박 투기지. 여기 연령대가 어떤지 얼마나 여유있는 사람들이 보는지 모르겠는데 집없이 세들어 사는 천지인 시대에 자기돈으로 부동산에 투자? 투기할 여력있는 사람 얼마나될까?
폭등이고 폭락이고 난 모르겠고 집은 자기 살 집만 마련해서 삽시다.
@1분언어행동분석 3
2020년 12월 13일 00:24계속 오를 거예요 부자님들 미친듯이 사세요 서울집값 100억 찍읍시다
hyeokmyeong k. 3
2020년 12월 12일 11:14강남이나 경기남부는 오히려 미래가 밝죠. 하이닉스 용인, 판교분당 네이버카카오, 수원화성평택 삼성, 바이오 화성동탄, 현대차그룹 삼성역,... 그런데 서울이 배후수요 빠지는것에 비해 너무오르는게 향후 대세하락에서 큰 계곡을 만들지 않을까합니다. 마포성동당산강남강서 정도빼고는 전부 2008-2013 서울집값 대세하락시보다 하방쪽이 위험하다는게 1980이후 지역별 부동산 흥망성쇠 역사를 봤을때 금융인으로서 생각하는 제 판단입니다..
멋진세상만들기 3
2020년 12월 12일 14:14주택대란의 근본해결을 위하여 ·
근래의 아파트와 전세가의 상승은 정상적인 시장의 수요공급의 결과물이 아닌 오직 매매차익을 노린 투기자본에 의한 거품이라 봅니다
게다가 주택가격이 폭등할때마다 정부가 내놓던 온갖 규제나 세금정책은 시민들의
불편과 고통만 더 해 왔을 뿐 집값을
잡아 내린 적이 한번도 없었지요
또한 집이란 의식주라는 헌법에 보장된 국민의 기본권과 직결된 문제라 단순히
자유시장경제의 논리로 접근해서는 이문제는 절대 풀리지 않습니다..
수익이 있는 곳에 돈이 몰린다는 말이 있지요 이를 바꾸어 생각해 보면 사람이 사는 주거공간인 집에 투기를 해서 수익이 나오지 않는다면 주택에 투기질이나 투자를 할 자가 과연 있을까요 ?
만약에 말입니다
주택을 구입해 훗날 얻게된 즉 벌게 된 이익의 70프로 이상을 세금으로 내야한다면 자신이 살지도 않을 즉 실수요자도 아니면서 별 수익도.없는 주거공간에 불과한 주택투자에 뭉칫돈을 퍼부을 자가 과연 몇명이나 될는지요 ?
결국 시세차익에 대한 70프로이상의 양도세라는 과세가 행하여 진다면 집값인상에 따른 관련세금만 따라 올라가 시민들의 삶만 파탄내는 정치기득권만 배불리는 세금인상을 위한 꼼수에 불과한 무슨 종부세니 재산세 취득세 등록세 다주택보유세니 하는 것들과 거래허가제 규제지역제 몇년이상실거주제니 하는 보여주기식의 규제라는 것들은 당장 전면폐기처리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또한 조세의 기본적원칙은 소득이 있는 곳에만 과세가 있어야 하는 바 소득과 관련도 없이 뜯어가는 각종 간접세들과 준조세에 해당되면서 역시 소득기준에 따르지도 않고 이중으로 또 뜯어가는 연금 의료보험료등도 폐지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
@kohh6856 3
2020년 12월 11일 06:46플라자합의에 무서움
@oom8452 3
2020년 12월 12일 13:57일본 보다 내수 가 약한 한국 이 수출 에 대한 의존력이 높은 부분 도 봐야 하지 않을까요? 특히나 캐나다 와 같이 제주도 중국의 부동산 투기로 인한 피해에 대한 영향력도 봐야 할거구요. 지표 를 통해서 누구나 가설은 세울 수 있다고는 봅니다. 그래프도 중요하지만 그래프 내 에서 안나오는 또 다른 부분들도 봐야 하지 않아 싶기도 하구요. 현재 한국 집값이 홍콩 다음 2번 째로 높은 부분 도 함께 지켜봐야 할거 같구요. 현재 일본은 빈집 수 와 한국의 빈집수 도 동시에 비교도 해야 할 부분이기도 하고, 저렇게 인구 이동이 예상된다고 해도 인구 분산 을 위해서 어떻게 정책이 나올지도 계산해 봐야 하는거 아닌가 싶습니다?
@aqui-ny8dg 3
2020년 12월 13일 07:57내년 2~3월부터 하향세로 바뀔 것으로 보입니다.
추가적인 주택수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전체주택의 50%이상을 보유한 다주택자는 추가로 사면 취득세 12%, 종합소득세, 건강보험료, 대출이자, 재산세, 종부세, 양도소득세 82.5%....집값이 올라도 마이너스이며,
무주택자만 집값올랐을 때 이익인데 영끌은 집값 하락시 치명타입니다. 다주택자의 세금전가로 인한 무주택자의 영끌수요가 유일한데...영끌수요로는 집값을 계속 올릴 수 없고 영끌도 이자율이 오르고 있어 힘들어 보입니다.
900만호 다주택자의 매물은 조금씩 계속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보유세 인상, 대출이자 인상, 주택임대사업자등록 자동말소, 양도세 인상으로 계속보유시 손해이기 때문입니다.
@양반-k1v 2
2020년 12월 13일 16:12다만, 세계 유수 선진국 도심 집값과 비교해보면 확실히 지금 서울 가격이 많이 올라온 상황입니다. 항상 맞는건 아니지만 gdp 대비로 상대적으로 보면, 상당히 위험 수준 아닐까요. 당연히 도심 주택은 장기 우상향한다에는 동의합니다만...
유인철 2
2020년 12월 11일 08:17강남 잡지 말아야 한다 일본 대폭락에도 핵심 지역은 버텼다 추후 런던,도쿄,뉴욕처럼 된다 그나마 지금처럼 하면 월세 전환되면 중산층의 강남진입은 꿈이 되버린다 월세 300~500을 내고 버틸만한 중산층은 없다 종부세,보유세를 전가시키는것은 당연하다 바보가 아니고서ㅋ 그나마 있는 사다리를 치우지 말아야 한다 저금리 기조는 미국이 움직이지 않으면 인상도 못한다 유럽이 08년 금융위기 후 미국보다 먼져 금리 인상 후 지금까지 내리막길이다 유럽조차 못버티고 무너졌는데 한국은 절대 금리 인상은 없다.하면 90년대 imf 수준으로 돌아간다 강남은 그들만의 리그로 남기고(재건축,재개발) 나머지 지역은 정부 및 민간 공급 확대를 통해 풀어줘야 한다
@수다원-q8v 2
2020년 12월 12일 16:12인기지역과 비인기지역의 양극화가 일어난다는 점은 동의하는데 그것은 버블붕괴 이후 상당히 오랜 시간뒤에 나타난 일 아닌가요?
버블이 붕괴되면 수도권이든 지방이든 대폭락이 발생하고 상당기간 지속 된다는 것이 제시하신 동경-오사카 그래프에 잘 나와 있는데요.
지금 사람들이 "한국부동산이 일본 부동산 따라간다"는것은 버블 붕괴직후 1~3년 간 수도권,지방 가리지않고 대폭락한다는 점이고 장기간에 걸쳐 서울과 지방의 부동산 양극화가 일어난다는 점은 누구나 예상하고 있습니다.
@분자회색 2
2020년 12월 12일 13:12결국에 보다 중요한 문제는 패권과 무역갈등-금융경쟁-무력충돌, 경제와 전쟁, 중국과 미국, 한반도의 정세..와 막연한 불안감.. 돈의역사2 읽어봐야겠네요
Lucas루카스 2
2020년 12월 11일 13:41그레이트 상하이, 그레이트 런던, 그레이트 오사카 등 지금 세계는 메가시티 추세로 가고 있죠. 최근 지자체에서 일어나고 있는 행정통합 움직임(대구경북, 광주전남, 부울경)은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출에 대응하기 위한 지방 광역시들의 몸부림이 아닐까, 그런 생각이 드네요.
@준이-p8t 2
2020년 12월 12일 12:03근데 일본대도시가 집값이 오른게아니고 버블폭락이후 회복하는거 아닌가요? 30년전
가격 천천히 회복하고 있는게 맞는거 같아요
@공허한필멸자 2
2020년 12월 11일 09:24그런데 일본은 고령화가 진행됐음에도
나름대로 저출산에서 선방했기 때문에
수도권 부동산의 가치를 방어할수 있었고
한국의 경우 오를 기대도 없이 떨어질
일만 남았는데 더 빨리 수도권으로 몰리고
이이상으로 짧은시기에 부동산 가치가
하락할수 있는거 아닌가요?
@슈랑카 2
2020년 12월 23일 20:03욕망과 탐욕으로 시작된 미친 부동산은 마치 말과 당나귀가 소금을 지고 시냇가를 건너다, 당나귀가 죽으면 말이 소금을 더 지고 가다가 결국 말도 죽는 상황가 같습니다, 집값이 문제가 아니라, 나라가 병들어 가고 있는 현실, 자영업 대량 폐업, 출산 20만명대, 결혼 최저,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가 미친 집값에 집중 하는 현실이 안타깝네요, 안타까운 미래가 보입니다.
@MJ-kg4ph 1
2020년 12월 12일 18:34미래를 어떻게 알까요? 시대의 주거 패러다임도 바뀌고 한국은 한번도 경험 못한 고령화 시작임...십년전만 해도 스마트폰을 생각 못했듯 다가 오는 시대는 또 다른 시대일지 아무도 모르죠..4, 50년의 짧은 본인들의 경험으로 미래를 단정짓기 어려울 듯..10, 20년만 지나도 세상이 변할테니까
이은경 1
2020년 12월 11일 11:24일본비해 남한면적 너무작고 쓸수있는 땅도 작다..왜 자꾸 일본과 비교하고 떨어진다고 주장하는지 ..노령화 되면 노인은 집없이 사나?
김미온 1
2020년 12월 16일 19:54지금 돈 거래없이 명의만 바꿔 실거래 가격 올리는 자전거래가 잡히고 있고, 투기꾼들이 실가에 장난을 칩니다. 조심하세요.
@bka6390 1
2020년 12월 12일 14:12잘 들었습니다. 분명 양극화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현재의 중심지가 미래의 중심지가 될것이란건 또다른 문제입니다. 그리고 집값만을 놓고 본다면 인구밀집지역이 선호지역이란 문제와 구주택과 신주택의 가격 격차의 문제도 있습니다. 일본 중심의 주택가격 상승은 신축위주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간과하는건 감가상각입니다. 주택도 소비성 상품이란걸 잊으면 안될 것 같습니다.
@HKC-qd2iq 1
2020년 12월 14일 00:411.여기 지금 댓다는 분들이 나이로 다 돌아가셔도 인구수가 4천만대입니다 그만큼 기대수명이 늘어나서요..
2. 일본 도쿄는 서울-경기 합친 것 만한 크기 입니다 경기도외곽 정도도 먼 거리라고 생각하면
오산입니다
@박현채-n3z 1
2020년 12월 13일 12:11아베가 집권하면서 아베노믹스로 무제한 양적완화를 한것은 쏙 빼고 이야기 했네요 아베노믹스로 주가 50퍼센트이상 상승 대도시 부동산 상승한것 구글 검색만해도 나오는데
과연 우리나라도 양적완화는 아니어도 지속적으로 완화적으로 갈수 있는지도 의문인데 .
@brpang 1
2020년 12월 30일 00:11부동산 시장이 붕괴된 이유는 인구 감소만 있는게 아닙니다. 일본의 90년대 초 버블 붕괴가 인구 감소때문에 일어 났습니까? 동영상은 붕괴후 도심지에서의 회복이 생각보다 빨랐다는 이야기이지 붕괴가 앞으로 올지에 대한 설명은 많지 안습니다. 한국의 경제가 일본의 버블 붕괴 후와 거시적으로 비교 대상이 될까요? 엔리코 모레티의 도시 인구 집중현상은 그 중심에 산업이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샌프란시스코와 실리콘 밸리 처럼 말이지요. 그런데 한국에 강남에 그런 산업이 있습니까? 전부 교육이나 문화시설, 편리함 같은 소비 가치이지 거기서 생산혁신이 일어나고 임금이 오르고 그러진 않습니다. 그런면에서 모레티와의 비교는 한계가 있습니다.
@수다원-q8v 1
2020년 12월 12일 16:22동경, 오사카 집값이 평균 10억, 4억이라고 하셨는데 평수를 어떻게 되나요?
@yongsam01 1
2020년 12월 11일 07:26고맙습니다~~ 좋은 아침방송이었어요~^^
@TV-xw4ge
2020년 12월 11일 09:18홍박사님! 아침 강의~^^ 감사합니다. 퇴근 후 딱 시청! 좋습니다. 사랑합니다.~~
Angelina HD
2022년 3월 05일 01:35당일날 바로 소액으로 용돈벌고 당일환젼 해주던데 소 배액 팅 진짜 좋네요
Fatih Yardımcı
2022년 3월 05일 01:35펀드니 주식이니 코인이니 다필요없는거같음 어렵기만하고 ㅠ 소 배 액 팅 은 어려운게없음
@Sando-
2020년 12월 13일 11:21돈의 역사라는 책을 보고 궁금한 점이 생겨서 유튜브로 질문하려고 합니다. 루즈벨트 대통령은 대공황이 왔을 때, 금본위제를 폐지했다고 책에서 읽었습니다. 그런데, 닉슨쇼크에서도 금본위제를 잠시 폐지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미국은 대공황을 이겨낸 후에 다시 금본위제를 채택하고 이후 닉슨쇼크때 금본위제를 잠깐 폐지시킨 건가요? 그렇다면 지금 미국은 금본위제를 채택하고 있는 것인가요??
@soowall4080
2020년 12월 11일 09:21정말 도움이 되었습니다^^
tesettür hanem
2022년 3월 05일 01:35시간만 있으면 넉넉하게 재테크 할수있는게 소베 액 팅 이죠 ㅇㅈ
Mass kawi
2022년 3월 05일 01:35주식하기엔 너무 까막눈이라 찾던와중에 저도 소 베 액 팅 추천받아서 쳐봤는데 너무좋네요 ^^
@JAZZTANK
2020년 12월 11일 08:57일본 대도시 신축아파트말고 기존아파트들 또한 가격방어가 됬었나요?
@hye8084
2020년 12월 11일 07:55지혜롭게 잘 헤쳐나가기를..
Burak Kağıtlı
2022년 3월 05일 01:35요즘 재테크 하는게 유행인데 찾아보다가 소배 액팅 쳐보고나서 95%수익 내고있어요!
Schlagen.mp3
2022년 3월 05일 01:35저는 요즘 코로나때문에 직장도 힘들어졌는데 소배 액팅 알고나서 부업으로 용돈법니다 ㅠ ㅎㅎ
@기본상식존중
2020년 12월 12일 14:18늘 팩트를 기반한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늘 건강하세요^^
Bmc
2022년 3월 05일 01:35어제 소소하게 소배 액팅 쳐보고 들어가서 3만원으로 10만원만 벌고 나왔어요 시간없어서 ㅠ
@曉園김씨
2020년 12월 11일 07:34박사님 아침방송 감사합니다.
@moana8004
2020년 12월 11일 17:22돈의역사.읽고 들으니까 훨씬 이해가 잘되네요~!
돈의역사2도 샀어요! 읽기전부터 기대되어요ㅎㅎㅎㅎ
Car Parking Shorts
2022년 3월 05일 01:35요즘 소배 액 팅 이라고 주식,코인보다 좋다고 하던데요?
@추봉-m4f
2020년 12월 22일 09:39교수님 일본은 인구집중을 유도한 면이 있는데 우리나라도 일본처럼 과밀화 정책을 유지 할지요?
@헐크-b9r
2020년 12월 11일 06:54굿모닝
@sooshin3569
2020년 12월 11일 17:38감사합니다.
@david-gilmoer
2020년 12월 24일 10:01상업용부동산전망도부탁드려요
@파파고1-t8d
2020년 12월 21일 15:55아파트 많이 사세요
부자!!
Hahriye
2022년 3월 05일 01:35아아 그거 저도 알아요 소 배 액 팅 ㅎㅎ 어려운것도 없고 간단한 지식만으로 할수있다던데
_ EchoMoony_
2022년 3월 05일 01:35아 소 배 액팅 들어봤어요 초보자들도 쉽게 접목할수 있다던데
B R N Y U M
2022년 3월 05일 01:35소 배 액팅은 워낙 유명해서 앞전부터 핫했는데 이게 지금 뜨네요 ㅎㅎ
@dannyocean139
2020년 12월 13일 00:23일본에 관한 분석이라면 홍박사님 보다 더 깔끔하게 정리해 주는 사람 찾기 어려움. 젊은 세대는 플랫폼경제에 익숙해서 이 현상을 문제라 생각도 안한다는게 정치인들 인식과 다른 점이죠. 대도시 집중은 전세계 공통현상 입니다(코로나 임팩트로 인해 미국 등지에서 약간 뒤집히긴 했지만) 인구 아무리 줄어도 명문대 입시 경쟁률 떨어질리 없는거랑 같음
행복은이순간
2020년 12월 23일 19:33■ 개인소유자 [연락처 010 88941865]
오늘도 즐겁고 에너지가 넘치는 하루가 되시길 바랍니다
"토지 동영상 소개"
https://youtu.be/LYK7WmaMAtw
1) 소재지, 지목, 면적, 가격
* 울산광역시 울주군서생 화정리 372번지 유지(현재밭),자연녹지 1534m2(464평)
505,760,000원(평당 1,090,000원)
※ 공원지역 해제 예정:21년4월
울산시 서류 회신완 매수자에 한해 서류를
보여 줄수 있음
* 최근에 도시계획 확인 해 보니 "도시관리계획 입안 중" 표시 진행 중
*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진하리266-1번지 전(현 밭) , 제2종 일반 주거지, 337m2 (102평)
224,298,000원(평당 2,199,000)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진하리110-1번지 답(현 밭) , 자연녹지지역, 2,050m2(621평)
1,241,379,000원(평당 1,999,000원)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진하리109-2번지 답(현 밭), 자연녹지역, 975m2(295평)
766,705,000원(평당 2,599,000원)
2 주위환경
★ 31국도 4차선 신설 완료 부동산 급상승 부산(기장~진하 15분내)
★ 31국도 진하~남창 직선로 신설 완료
* 울산 경제자유구역 지정(주위 10분내 위치)
- 동북아 오일허브지구/에너지 융합 복합지구
* 바다 , 강, 산 3박자 갖춘 천혜자연경관 지역 낚시 취미 짱입니다
* 천혜의 자연 경관 올래길 왕림하시어 직접 느껴 보십시요 말이 필요 없습니다
* 진하 명선교 일출~대바위공원~솔개공원~
전국에서 유명한 헤이 메르 전망커피숖~
간절곳 일출
* 해양관광진흥지구 추진 중(진하리~간절곳)
* 더 골프클럽 골프장 15분 거리
* 진하 회야강 쪽으로 엄청난 미래 발전 예상됨
* 진하해수욕장. 간절곳
@분자회색
2020년 12월 12일 12:07재개발정책과 부동산정책과 같은 국가정책, 중국부동산버블 위험과 같은 심리적파급효과가 존재하는 국제정세, 자산가치의 높은 상승을 동반하며 경기침체를 카운터치는 코로나시대의 양적완화정책의 추이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날 미래의 자산가치변동을 논할 때에 확정적인 예측을 통한 논쟁은 지양하는 자세가 중요하고 그런의미에서 이런 온건한 유튜브가 정보전달에 효과적이다 생각함요.. 오히려 막 던지는 유튜브에 보다 온건한 댓글이 달리는 현실..
kery cho
2020년 12월 14일 02:26좋은 인디케이터적 분석입니다. 거시적 자산관리에 참조 하겠습니다.
@그래비티-f9j
2020년 12월 11일 07:06박사님 아침부터 좋은글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팬더곰-e4q
2020년 12월 20일 18:35디플레전쟁 읽으면서 박사님 강의들으니까 복습되고 좋네요^^ 박사님께서 추천해주신 책 꼭 읽어보겠습니다^^
@billionaire-k6b
2020년 12월 14일 08:32서울살고싶습니다... 부동산 버블 어떻게 안될까요 ㅜㅜ? 불사조유튜브보면서 요즘 발전하기위해 주식투자 공부하고있습니다. 다들 화이팅요!!
@김대성-k2s
2020년 12월 11일 10:45감사합니다
@분자회색
2020년 12월 12일 11:56강남지역과 과천 분당 등의 최근 부동산시장 과열은 비정상적 측면이 크지만 부촌의 핵심이자 서울시내인 강남지역과 부동산 과열, 도시 노후화등으로 인해 인구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과천 분당등의 버블의 성격은 분리해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4차산업혁명과 환경문제등을 고려할때 부동산버블붕괴와 디플레이션 위험에 대한 해결책으로 저출산문제 해결을 제시하는것은 부적합하다 판단함요..
@hansay8511
2020년 12월 15일 16:07청량리 재개발구역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한창 핫한데 강북 최고입지 중 하나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시는지..
그리고 장기적으로 우상향을 전제하더라도 현재 가격은 잘못된 정부정책으로 거품이 낀 상태라 생각하는데 내년 상반기 한번 더 상승 여력이 있다 보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