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소양의 시대가 온다 | 이승택 '이공계 진로콘서트' 저자, 천안 동성중학교 교사 | 과학 교육 공부 | 세바시 1304회
이 강연은 교육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 강연자의 강연 소개 : '인문학적 소양', 최근 수년간 사회적으로 크게 강조되어 온 화두였습니다....
이 강연은 교육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 강연자의 강연 소개 : '인문학적 소양', 최근 수년간 사회적으로 크게 강조되어 온 화두였습니다....
@orangescience1 25
2020년 12월 15일 19:53안녕하세요. 강연자 이승택입니다. 좋은 감상평 감사드립니다. 궁금하신 것은 직접 물어보셔도 됩니다.
@user-ql1xl5vg4w 9
2020년 12월 15일 18:45과학수업이 단순히 과학적지식의 전달이 아닌 민주시민의소양이라는 관점으로 접근하는게 흥미롭네요! 이번 주말에는 온가족이 함께 종이비행기를 만들어볼까합니다 :)
@sebasi15 7
2020년 12월 15일 16:39✻ 이 강연은 교육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 강연자의 강연 소개 : ‘인문학적 소양’, 최근 수년간 사회적으로 크게 강조되어 온 화두였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과학적 소양의 시대가 오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사회는 과학적인 사고와 자유교육적 접근이 좌우할 것입니다. 가정에서 자녀와 함께 공부하는 시간이 많아진 요즘, 자녀의 과학적 소양을 키워주는 가장 싸고 쉬운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이승택 강연자의 강연 섭외는 이 번호로 문의주세요! 👉🏻 02-2652-2102
✻ 강연 영상이 올라올 때마다 보고 싶다면 지금 클릭(알람설정)! 👉🏻 http://bit.ly/2odEydm
⭐️ 세바시 대학에 입학하세요. 내일을 바꾸는 배움은 물론, 여러분도 스피치의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
✻ 혜택/커리큘럼 자세히 보기 👉🏻 https://bit.ly/3gAQXT6
페이스북 페이지 | http://www.facebook.com/sebasi15
인스타그램 | http://www.instagram.com/sebasi15/
카카오스토리 | http://story.kakao.com/ch/sebasi
✻ 세바시 강연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세상을바꾸는시간15분’에 있습니다. 영상 및 오디오의 불법 다운로드 및 재업로드, 재가공 등의 행위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sujinigracesea7541 6
2020년 12월 15일 18:47과학 교육의 범위가 문명의 범위가 거대해지면 과학의 메카니즘에 빠져있는 아이가 될까 걱정됩니다.
과학은 나중에도 배울 수 있지만 인성은 사춘기 때가 아니면 배울 시기를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문명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는 인성의 중요성을 첨가하는 강의 내용이 필요하다 생각됩니다.
@user-hk7md1lh1h 6
2020년 12월 15일 18:44체력이 국력이다 라는 말처럼 과학이 지혜라는 생각이 듭니다.
강연자님의 저서를 읽고 싶어지네요
강의 감사합니다 ^^
@user-mv2fv2yh4k 4
2020년 12월 15일 18:24예비 과학교사인 한 사범대생입니다 이번년에 임용을 치고 면접을 준비하면서 어떻게 하면 학생들의 창의력과 실생활 적용 능력을 수업을 통해 끌어올릴 수 있을지 고민을 많이 하게 됐어요 덕분에 현재 배우고 있는 공간혁신, 학생중심, 배움중심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볼 수 있었네요
집에서 할 수 있는 과학실험이라는게 너무 재밌을 거 같아요 저도 한번 해보고 싶네요ㅎㅎ 역시 선생님들 대단하신 것 같습니다! 저도 선생님 처럼 교단에 서서 아이들과 함께 수업하는 날을 그리며 강의를 들었네요 감사합니다😊
@user-lh1fc8yj8o 4
2020년 12월 15일 18:19장하석교수의 과학,철학을 만나다~
와같이 모든분야에서 과학이 접목되는 시대가 온것같아요
@user-pu2zn1ms7y 4
2020년 12월 15일 20:53과학의 중요성이 상당히 크게 느껴지는데 과학의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면 합니다.
@user-ej8qp7vl7i 3
2020년 12월 15일 21:48실무에서 과학교육에 대한 많은 고민을 하신 분이 과학교육 정책 다루는 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강연 잘 들었습니다~^^
@user-cx3ef4ev9x 3
2020년 12월 15일 18:26과학적소양에 대해 차분하게 알려주시네요 학생들에게 이런 능력을 키워주기위해 학교가 교사가 어떤 변화를 아뤄나가고있는지 알게되었습니다
@user-ze1fu8fp8l 3
2020년 12월 15일 21:04공과 애들은 자신의 세상에서 사는듯
재미도 없고..
누구한테 전달하고자 하는게 아니고
그냥 지 생각을 읊조리는것임.
쓴 5분이란 시간이 아까움.
@user-qp9ds9us9i 3
2020년 12월 15일 18:15모두가 과학하라!! 가슴에 새기겠습니다^^
@alicechoi1460 3
2020년 12월 15일 18:07이런 과학실이라면 수학 미술 과학 다 융합될수있고 창의적일 수 밖에 없겠어요
첫째가 학교에서 받아온 학교꾸러미에 실험을 막내가 너무 좋아하더라구요
과학이 가족내에 들어온다는게 우리집이네요
@user-yo6oz3dq3w 2
2020년 12월 15일 19:29불확실한 시대에
과학적 소양을 키워라는 강의가
와닿네요~~
@user-kv9kw2es1s 2
2020년 12월 15일 21:11이성적 사고를 위한 과학적 탐구가 모든 사람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호기심을 잃지 않고 동심을 가진 어른으로 좀 더 일상을 행복하게 음미하면서 천천히 누리며 살아가고 싶습니다. 더불어 좀 더 나은 세상을 위해 과학이라는 지혜의 무기를 가지고 있으면 불안과 두려움을 이길 수 있지 않을까요?
@user-wx4zx7im6z 2
2020년 12월 15일 21:39강연 참 좋았습니다!
과학을 좋아하는 아들에게 힘이 되는 강연이고 과학을 잘 하고 싶은 저에게는 더욱 용기를 불어 넣어주셨습니다.^^
역시 과학을 좋아하는 딸이 수학도 좋아하기를 바라며 이 강연을 들려주겠습니다!
또한 코로나에 직면하여 교육계에서도 차음 시도해보는 대면, 비대면 수업을 준비하시느라 현직 선생님들의 수고도 의료진 못지 않았으리라 생각합니다.
1년을 고군분투하신 대한민국의 모든 선생님들께 감사드립니다!♡
@Ajajaa2334 2
2020년 12월 16일 22:47부모이자 교사로써 고민이 많으셨는데 그것을
고찰로써 풀어 나가신 것 놀랍습니다.
말씀하시는 부분 하나하나가 공감이 갔습니다.
과학적 소양. 기억하겠습니다.
@user-wk5zw8uy9w 2
2020년 12월 15일 18:42과학적소양을 키우려면 가족들과함께해보는~이 말씀 정말 공감합니다. 과학실이 특정시간과 실험만하는 전유물이 아니다~맞는말씀이세요.과학적소양과 지식을높여 민주시민의역량을 키우는 대한민국되도록 더 많은 곳에 박사님의 강연과 책이 알려져야겠어요~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in-jincho2041 2
2020년 12월 16일 01:14안녕하세요. 저는 과학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데 강의 잘 보았습니다.
점점 발전하는 기술사회에서 과학적 소양은 개인적인 문제일뿐아니라 산업이나 국가적 경쟁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에 선생님의 말씀에 공감합니다~.
사회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의식이 높아져야하고, 세계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목적이 과거의 문맹률 퇴치에서 벗어나 과학과 인문학이 융합해서 발전해야한다고 믿습니다.
4차산업혁명의 시대에 우리 아이들이 그 주역이 될 수 있도록 좋은 지지자가 되어 주시길 바랍니다~.
@user-yo6oz3dq3w 2
2020년 12월 15일 19:25불확실한 시대에 과학적 소양을 키워라~~
@goodday5477 2
2020년 12월 15일 18:25과학이라 하면 딱딱하고 어렵고 전문적인 것이라고만 생각했는데 강연을 듣고나니 우리 생활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것들로 과학을 접하는 것부터 시작해봐야 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하성호 1
2020년 12월 16일 18:35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user-gt2ck3rm2g 1
2020년 12월 16일 13:20과학의 중요성을 알게 되네요
@user-zn4se4ps2b 1
2020년 12월 15일 22:05과학에 대해 쉽게 다가가도록 도움이 되는 시간이네요. 강의 감사합니다 :)
@user-ky1dp1nm9y 1
2020년 12월 15일 20:44차분한 강의로 과학적소양을 가족중심으로 키워가자는 내용 잘 전해집니다. 아파트쓰레기장에서 이것저것 가져와서 자르고 만들기를 좋아하는 아들덕에 집은 지저분해지는 면은 있지만 나름대로 과학적 역량을 키워나가는 거라며 기특해하고 있습니다. 자로 재고 만들고 안되면 화도 내면서 다시 수정해가는 모습이 과학적 소양을 키우는 과정인 것 같아요
@user-gh1nl9wd3v 1
2020년 12월 16일 00:05과학적 소양의 시대에 맞춰 아이뿐만 아니라 부모 그리고 기존에 관리적교사들에게 더 세부적이고 대중적인 교육이 있엇으면 좋겟습니다.
@user-iu2vv1be5x 1
2022년 7월 29일 15:37이제는 과학이 빼면 세상이 굴러가지 않는다는 소리가 장난이 아닌 것 같습니다.
그럼에 과학을 빼고 공부를 한다는 것은 앞날이 없다라는 말과 다르지 않다라는 것 같습니다.
강사님 말처럼 이제는 가정에서 자녀와 함께하는 시간이 많아진 지금 과학을 몸소 체험하게 하고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는 방법을 배워 과학과의 친화력을 키우는 것이 가장 중요해보입니다.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ld1pm4yp1z 1
2020년 12월 20일 22:20멋져요^^ 과학적 소양~ 강의 넘 잘하시고
Mahd 1
2020년 12월 16일 05:48좋은 강연 잘 들었습니다. 과학 교육이 점점 좋은 방향으로 가고 있어요.
@juliayun1273 1
2020년 12월 20일 18:03과학적 소양이란 단어가 와닿는 요즘입니다. 우리생활 곳곳에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과학적인부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학생과 선생님과 부모님들의 과학적 소양이 같은 눈높이가 될 수 있는 환경이 우선 되어야겠다고 생각합니다. 그러기위해서 많은 지도와 교육이 이루어져서 과학적소양이 성숫 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user-ko8fn3ki6q 1
2020년 12월 24일 15:09과학적 소양의 시대! 우리 학생들이 어떻게 과학에 접근해야 하는지... 우리 어른들도 어떤 마음으로 과학을 접해야 하는지... 과학과 실생활의 관계를 잘 설명해 주셨네요... 우리 동성중의 위상도 높여주셔서 감사해요... 승택샘! 멋져요...
@TV-lh6tn 1
2020년 12월 16일 10:59맞습니다 인문학도 과학적 소양이 기초가 됩니다. 과학의 기초 없는 인문학이나 종교는 모래성입니다. 감사합니다.
@jungminoh5935 1
2020년 12월 17일 00:21코로나 시대에 집콕하는 시간이 많으면서 자유학기를 슬기롭게 사용하길 바라지만 아직도 수학 과학이 조금이라도 들어가있다고 생각되면 웹툰도 보지 않는 아이에게 융합 통합 학문을 알려주고 싶습니다. 점점 소극적이고 방어적으로 바뀌는 아이에게 필요한 것 무엇일까요?
@buri8332 1
2020년 12월 16일 19:25현 교육이 변화되는 실질적인 변화된 모습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강연 잘 보았습니다. 앞으로 이러한 교육활동이 더욱 창의적인 융합사고를 향상 시키는 구심점이 되길 바라마지 않습니다.
@user-jx3co4ph8u 1
2020년 12월 15일 19:40교육시스템을 파괴하고 언텍트 시대에 본인이 원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것에 동의 합니다~~모든 사람들의 개성과 욕구가 다르다는것을 인정하고 그것을 키워야 대한민국이 더욱 더 발전 할수 있다는 사실을 교육부에서 알았으면 합니다
김누리교수에게 교육부장관으로 추천합니다
@user-np4kg3mj1h 1
2020년 12월 15일 23:40이승택 교사님이 하시는 강연을 통해서 과학적 지식이 실생활에 직접적으로 이용되고 적용되는 것을 보면서 왜 과학적사회가 오는지 이해가 되네요.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고 계신데 예전과 많은 것이 달라지고 다양하게 아이들이 자신이 배우고 공부하고 싶은 것을 자유롭게 할수 있다는 것이 학교가 많이 변하고 있고 어떤장비를 통해 융합적 교육이 된다고 느껴지네요.^^~~~
@user-do8fe1bp1g
2020년 12월 17일 12:11선생님의 열정이 화면을 뚫고 나오는 기분이라서 너무 좋았습니다. 아이들을 위한 그 변화들이 앞으로의 사회를 바꾸리라 믿습니다!!항상 그 열정 잃지 마시고 행복하세요~
@user-bn8kg6pz5d
2020년 12월 16일 04:33과학적인 소양을 갖추기 위해
과학이라는 과목을 어려워 하지 말고
과학을 이해하고 쉽게 접근할수 있을꺼
같아요 좋은 강연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hillo792
2020년 12월 16일 17:29코로나로 학교에 잘 가지도 못하고 방콕만 하고 있는 초1아들과 늘 책으로 더 많이 접했던 과학을 가정에서 활용하여 쉽게 접근한다면 다소 무료했던 생활에 호기심과 작은 활기를 불어줄수 있을것 같습니다.
'누구나 과학탐구' 긴 겨울방학에 엄마는 다소 바빠지겠지만 알찬 시간이 되리라 여겨집니다. 좋은 선생님과 책 소개 감사합니다.
Joanne
2020년 12월 16일 07:58최근 아이들의 과학도 사교육이 점유하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일주일에 한두번씩 실험이라는 명목하에 비싼돈을 내서 아이들이 학원으로 갑니다. 무엇보다 중요한건 아이들이 과학적으로 사고를 할수 있는가이고 과학적 사고는 질문으로 출발해야 합니다. 말씀하신것처럼 비행기를 어떻게 하면 더 잘날게 할수 있을까? 그러다보면 부분부분 매우 구체적인 질문들이 나오게 될거고요.. 하지만 사교육은 이것 마저 일률적 교육으로 받아들이게 하고 있습니다. 올바른 질문을 하고 (올바른 질문은 옳다는 뜻이아니고 구체적인 질문이죠) 궁금해하고 거기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는 능력은 아마도 집에서 이루어지는 대화로부터 출발해야합니다. 선생님들이 이렇게 많은 노력을 하는걸 보니 참 감사합니다. 가족과 함께 꼭 뭘 만들고 실험하지 않더라도 과학적 대화를 하는 방법도 이야기 많이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아이들에게 질문하는게 얼마나 중요한것인지 계속 알려주시고요.
@Jumpingjay
2020년 12월 18일 02:09학교 다닐 때 평균 점수 깎아 먹던 과목이 과학이었어요. 제 아이에게 도대체 어떻게 과학을 접하게 하고 흥미를 일으켜줄 수 있을지 그저 막막합니다. 앞으로 아이의 직업은 물론 국가의 흥망성쇠가 과학 분야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생각은 드는데 제가 거리감을 느끼고 어렵다고 느끼는 영역이다 보니 시작을 어디서부터 해야 할지 모르겠고 그냥 따라만 하면 되는 가이드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많이 했어요. 강연을 통해 깨닫는 바가 많습니다. 특히 가족이 함께 해야 한다는 말씀이 와닿네요. 저서도 꼭 읽고 실천해보고 싶습니다.
@rinobernanico7491
2020년 12월 15일 18:49Hi Guys 😍💋 💝💖
무사다람쥐
2020년 12월 17일 15:47과학이 전문지식이 아니라 일반상식이 되는 시대가 성큼 앞으로 다가온 것 같습니다.
@karl07777
2020년 12월 16일 10:59이 구조 실제로 실행된 것인가요? 교육청에서는 교실과 교실을 잇는 문이 있으면 ㅃ@#$@#$ 안된다고 엄포를 놔서 저희는 뚫었던 것을 다시 판자로 막았습니다. 참 황당하죠. 무슨 생각들을 하고 누구를 위한 무슨 일들을 하고 있는 건지. 세상 모든 회의실이 벽을 터서 다양한 용도로 쓰도록 되어 있는데 교실만은 넘나들면 안된다는 법을 만들어놓고 있으니.
@user-ih5xh2ws3z
2021년 6월 19일 17:43안녕하세요 선생님, 십 여년 전에 서산 모 중학교에서 가르침을 받았던 학생입니다. 우연한 계기로 영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대학의 교직 과정을 밟으면서 한국 교육의 현 주소에 대해 회의감이 들었습니다. '시민'을 양성하려기보다 서열 나누기에 경도된 모습을 보며 교육은 변화할 가능성이 낮다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그럼에도 이 영상에 담긴 선생님의 노력을 엿보니 한편으로 안심이 됩니다. 중학생 당시 과학에 관심이 있던 것과 달리 현재 인문학을 전공하고 있지만 많이 배웁니다. 한편으로는 반성하게 됩니다.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PASS22291
2021년 12월 23일 01:28끝을 알 수 없는 알고리즘이 중3 담임선생님을 볼 수 있게 만드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승택샘 멋있으십니다!
@i_am_why
2020년 12월 16일 10:24안녕하세요 이승택 강연자님! 강연 잘 들었습니다. 교육관의 변화에 발 맞추는 여러 동아리, 고교학점제, 공간혁신, 역량중심교육과정 등은 결국 학생의 행복한 삶을 위한 일임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강연을 들으면서 강연자님께 여쭙고 싶은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성주의적 학습이 더욱 중요해지는 지금, 학생들이 중등 교육을 통해 얻어야 하는 가장 중요한 과학적 소양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또한, 과학적 소양의 기본이 되는 과학의 본성을 학생들이 이해함에 있어서, 직접 교수해보셨을 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이었나요? 과학지식의 잠정성 등을 배움 상황에서 어떻게 녹여내야 하는지 감이 잘 안잡히네요..
민주시민교육이나 과학과 핵심역량을 기르는 수업이 말만 번지르르한 것이 아닌, 언젠가 사회의 구성원이 될 학생들의 삶에 참 중요하다는 것을 느낍니다. 강연 잘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