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세계적인 연구를 할까? | 현택환 2020 노벨 화학상 후보군 거명,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석좌교수 | 과학 노벨상 공부 | 세바시 1305회
이 강연은 교육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 강연자의 강연 소개 : 2020 노벨 화학상 후보군 거명된 현택환 강연자는 어떻게 세계적인 연구를 ......
이 강연은 교육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 강연자의 강연 소개 : 2020 노벨 화학상 후보군 거명된 현택환 강연자는 어떻게 세계적인 연구를 ......
@user-se1yd9ud3v 25
2020년 12월 16일 19:14훌륭한 과학자가 되려면
해야하는것이 좋은인간관계라는
말씀이
현대를 살아가는 다른분야의 사람들에게도 통찰을 주시는 말씀인것같아요
나 혼자 잘해서는 위대하거나 세계적인것이 나오기는 어려운 현대에서는 같이 잘하는 것들에 대해
다음 세대를 살 자녀들에게 꼭 반드시 가르쳐야 할 부분이라는 큰 깨달음을 얻어갑니다
좋은강연 감사합니다~^^
@Ajajaa2334 18
2020년 12월 16일 22:51그 당시 나노 기술 분야에 발을 들이시는 것 자체가 대단하신 겁니다.
fact는, 우리가 흔히 연구분야는 따분하고 지루할 것만 같다라는 생각을 하는데
오히려 좋은 인간관계가 과학의 폭을 넓히는 중요한 길이라고 하셔서 놀랐습니다.
과학 분야에 일반인이 더 접근성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노력 해주셨으면 합니다.
@smartsupporter153 7
2020년 12월 16일 18:42과학도는 아니지만 영국에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3천번이 넘는 인용이라니.. 진짜 자랑스러운 월클 학자세요.
뛰어난 연구업적과 동시에 인품까지 훌륭하게 가꿔오신 것 같아 정말 귀감이 됩니다.
문제 해결을 위힌 끊임없는 고민, 그리고 다른 연구자들과의 좋은 관계 및 협업.. 오늘 강의 마음에 잘 새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achshund_Kkamsun 7
2020년 12월 17일 02:02노고가 많으십니다. 꼭 노벨상 받으시길 응원합니다.~!! 연구하신 학문이 학자들의 논문에서 인정받는것도 중요하겠지만, 균일한 나노과학 기술이 에디슨의 전구개발처럼 21세기에 실용적으로 사람들에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면 좋겠습니다.!!
@seunghyunkim8425 7
2021년 3월 21일 09:02현택환 교수님 덕분에 깊은 깨달음 얻어갑니다. 수상도 좋지만 한국에 교수님 같은 위대한 과학자가 계신다는것에 희망을 얻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user-ge7on4vx7i 6
2020년 12월 16일 18:56Human relationship! 명심하겠습니다 현택환 선생님
@user-orangey1004 6
2020년 12월 16일 18:41노벨 화학상 후보군으로 거명된 현택환교수님 응원합니다! 세계적인 연구를 하는 것도 중요하고, 제자들을 자신보다 더 유명한 연구자로 길러내는 것이 꿈이라고 하신 말씀 감동이었습니다. 그리고 아인쉬타인이나 마리퀴리처럼 혼자 연구하는 것은 이제 어렵다, 지금은 여러 연구자들이 함께 협업하여 공동연구를 해야 한다는 말씀도 가슴 깊이 와닿습니다. 늘 기초과학 연구가 부족하다고 하는 우리나라인데 이렇게 꾸준히 연구를 거듭하는 분들이 계셨네요. 아마도 이렇게 좋은 마인드를 가지고 계시기에 세계적인 연구자들과 협업을 해오시는 거 아닐까 싶습니다. 세바시를 통해 이 사실을 알게 되어 기쁘구요, 이런 분들이 많다는 것을 우리 사회에 더 많이 알려야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더 많은 학생들이 기초과학 연구자가 되어 과학이 튼튼한 우리나라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노벨 화학상 받으시는 날이 빨리 오기를 응원하겠습니다!!!
@sebasi15 5
2020년 12월 16일 17:52[책이벤트] 현택환 강연자에게 질문 또는 시청소감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추첨을 통해 세바시 강연자의 책을 선물로 보내드립니다. (참여기간 12/16~22 당첨발표 12/23, 책 랜덤배송)
✻ 현택환 강연자의 강연 섭외는 이 번호로 문의주세요! 👉🏻 02-2652-2102
✻ 강연 영상이 올라올 때마다 보고 싶다면 지금 클릭(알람설정)! 👉🏻 http://bit.ly/2odEydm
⭐️ 세바시 대학에 입학하세요. 내일을 바꾸는 배움은 물론, 여러분도 스피치의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
혜택/커리큘럼 자세히 보기 👉🏻 https://bit.ly/3gAQXT6
✻ 가장 빠른 세바시 강연회 신청 https://apply.sebasi.co.kr
✻ ⭐️ 더 깊은 공부, 세바시 클래스 https://class.sebasi.co.kr
✻ 세바시 홈페이지에서 강연회와 연사들의 다양한 강의를 만나보세요! 👉🏻 http://www.sebasi.co.kr
🔥 세바시 유튜브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강연은 물론 멤버십 전용 콘텐츠까지 누릴 수 있습니다. http://bit.ly/2URQKU4
페이스북 페이지 | http://www.facebook.com/sebasi15
인스타그램 | http://www.instagram.com/sebasi15/
카카오스토리 | http://story.kakao.com/ch/sebasi
✻ 세바시 강연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세상을바꾸는시간15분’에 있습니다. 영상 및 오디오의 불법 다운로드 및 재업로드, 재가공 등의 행위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sujinigracesea7541 5
2020년 12월 16일 20:53노벨상 꿈같은 소망이라 생각됩니다.
섬세하고 독창적이고 문명의 깊이와 폭이 넓어지는 만큼 협력관계 절실이 요구 되겠습니다.
그리도 절실히 창의적인 문명의 끝에서 문명이 우리에게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명철함을 파악할 수 있다면 우리는 문명을 건널 수 있는 자유와 문명을 우리의 정신적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길을 찾아야 문명과 우리는 동행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Darren 4
2021년 3월 23일 01:16단지 인용횟수가 많다고 노벨상틀 탈수있는건 아니죠 얼마나 노블티가있냐인데 벌써 그쪽필드로 노벨상이 나왔고 오리지넬러티라기보단 응용분야쪽이라 노벨상이 솔직히 거의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안타깝습니다
아인슈타인과 비교하기엔 많이 묘연합니다 자신이 비교하는것도 낯뜨겁긴하구요 ㅎㅎㅎ
@user-cc4eu3jl4l 3
2020년 12월 16일 18:40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과학자가 아닌 지금 세대에서 뛰어난 연구자가 되는 방법을 알 수 있었던 좋은 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 '혼자 뛰는 것 보다는 같이 해라!' 우리 아이들도 혼자 점수를 잘받기 위한 실험 탐구가 아니라, 함께하는 교육이 될 수 있게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umichem2118 3
2021년 3월 20일 10:59선배님 다음에는 꼭 노벨상 받으세요
@user-iq6yh7cn8u 3
2020년 12월 25일 23:22현택환 교수님, 학교에서 뵈었을때도 정말 인자하시고 교수님께 인사를 나눌수 있었던것도 영광이였는데 세바시에서 또 좋은 강연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존경합니다 교수님👍🏻👍🏻
@user-do8fe1bp1g 3
2020년 12월 17일 12:21교수님 자랑 더 많이 해주세요~ 너무 자랑스럽습니다👍👍
@user-tm7lm3ce6p 2
2020년 12월 16일 19:25교수님의 여유에 자신감이 넘쳐 보입니다. 연구논문 인용횟수가 기술적 우위를 이야기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일본이 오래전 사절단 이끌고 영국에 가서 기초학문을 배우고 그것을 내재화한게 현재 노벨상이 나오는 근간이 되었다고 합니다. 교수님 연구성과를 보니 노벨상을 받기에 충분하다고 확신합니다. 좋은 소식을 통해 미래 세대에 새로운 교육의 지평을 열어 주시고 우리나라 기초과학의 틀을 마련해 주셨으면 합니다. 학문이 사회에 기여할 역할도 있기 때문이죠. 요즘 경쟁구도 안에서 우열만 가리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창의력을 키우고 개인 역량을 키워 주는 교육이 사회적으로 정착되길 바라고 있습니다. 교수님 응원합니다.
@kimyang3081 2
2020년 12월 16일 23:07현택환 선생님의 귀한 강연 감사합니다.
가치있는 연구는 같이해야 한다는 시대가 되었다는 말씀이 귓가를 맴돕니다.
그리고 훌륭한 제자를 키우겠다는 의지 꼭 기억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tg2vc5il7z 2
2020년 12월 17일 01:59한곳만 파면 그 길의 끝이 보인다.
@kooster91 2
2020년 12월 17일 11:19어려운 과학연구 강연인데, 친근하고 쉽게 설명하시네요. 복잡함을 단순함 속에 녹여 넣는 이야기 실력에서 대가의 면모를 볼 수 있었습니다.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jjg2372 2
2020년 12월 24일 17:51노벨상 좀 못 받으면 어때요.. 교수님 포함 주변 사람들이 너무 전전긍긍하신다 ㅎㅎ 중요한건 연구할 수 있다는거 그 자체 아닌가요?? 서구열강들이 짬짜미해서 주는 상 뭐가 좋다고... 일본 하나도 부러워 할 필요가 없어요...불매운동으로 절반의 성공을 맛봤잖아요?? 극일을 했잖아요?? 소부장 독립 했잖아요... 우린 우리만의 길을 가면 됩니다... 일본을 시샘할 필요도 없고.. 노벨상 시즌되면 언론에서 자위질하는것도 매년 보면 짜증이 나거든요... 적당히들 오버해야지.. 그거 받는다고 국격이 올라가는 것도 아니고, 차라리 평화상이 값어치가 훨씬 있죠... 더 가치있다고 생각합니다.. 차라리 월드컵 우승이 빠르겠어요...
@ksn4911 2
2020년 12월 16일 19:33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연구실에서 인간관계가 제일 어려운 것 중 하나인 것 같습니다. 연구실에서 좋은 관계를 맺는다는건 구체적으로 어떤 걸까요? 어떻게 하면 같이 일하고 싶은, 좋은 코워커가 될 수 있을까요? 교수님이 경험하신 좋은 예나 insight가 있으시다면 궁금합니다.
@SJKim-jx9rr 1
2020년 12월 20일 10:25연구도 인격도 정말 훌륭한 분이네요.
@Aura95lsy 1
2020년 12월 16일 23:14뭔고하니~
@parkclaire7806 1
2020년 12월 17일 11:46나노기술이 실생활에 많이 쓰인다고 들었는데
또 하나의 놀라운 발견을 듣고 갑니다.
하성호 1
2020년 12월 16일 18:34좋은인간관계..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soheelee4009 1
2020년 12월 16일 18:36아인슈타인의 저자는 1인, 현교수님의 4편의 세계적 저널의 저자는 15인, 결국 훌륭한 연구는 좋은 인간관계로 부터 나올수 잇다는 말씀이 인상적이네요!!! 더 뛰어난 연구자를 키워내시겠다는 목표도 꼭 잘 이루어내시리라 믿어용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user-cl8uy1ri2o 1
2021년 3월 25일 12:26나는 이해가 어렵긴 하지만 교수님이 하시는 연구는 정말 인류를 위해 쓰임이 많다는데 이해를 같이합니다^^
Table Studio밥상머리 스튜디오 1
2020년 12월 16일 22:02현교수님과 동료연구자분들의 수고에 감사드립니다. 근데 전하려는 메세지가 뭐죠? 논문자랑? 외국교수들의 탄탄한 연줄의 부러움?연구비에 대한 감사? 아니면 잘먹고 잘살자인가요? 그리고 실험을 해야하는 분야와 아인슈타인과 같은 이론물리학의 공저자수의 비교의 예는 좀... 물론 현재 협업을 많이하는 트랜드는 동의합니다. 개인적으로 처음 균일한 나노파티클을 만들었을때 어떻게 다른 방법으로 접근할 생각을 했는지, 그냥 이것 저것 시도하다 얻어 걸렸는지, 학생의 아이디어 였는지, 교수님의 아이디어 였는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얻게된 과정을 좀 더 말씀해주셨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네요.
언젠가 꼭 노벨상 받기를 기원합니다.
@123Cantabile 1
2020년 12월 18일 09:59교수님, 이번 강연 말씀 덕분에 노벨상이란게 어느 한순간의 업적으로 이루어지는게 아니라는걸 알게 됐어요. 그런 점에서 우리나라 과학발전의 앞길을 비춰주시는 해와 같은 역할을 하고계심이 정말 뿌듯하고 자랑스럽습니다!^^ 아울러 많은 과학자들과 함께 그 길을 걷고계시다는 사실에 감동과 훈훈함까지 느낍니다!
이런 값진 연구에 힘을 보태기위해 앞으로도 세금 열심히 내야겠단 생각이 듭니다~ㅋ 부디 이런 좋은 일에 많이 쓰이길 기원합니다!
@user-wx4zx7im6z 1
2020년 12월 16일 22:54훌륭한 교수님의 조언, 아들에게 잘 전하겠습니다!
우리 나라의 과학계를 빛내신 현교수님께 감사드리고, 앞으로도 건강히 나노 과학 분야의 선구자가 되시길 기원합니다!
졸업하고 책으로 접하게 된 나노 분야가 보이지 않는 크기의 입자를 다루는 분야라 재미있으면서도 어려웠어요.
과감히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셔서 이루어내신 열정에 박수를 보내드립니다!^^
@user-fv4gl2kv1k 1
2023년 10월 25일 02:1212:06 에 나오는 모운지 바웬디 교수님하고 12:21에 나오는 루이스 브루스 교수님이 드디어 올해 노벨 화학상을 받았네요 ㄷㄷ
@jungminoh5935 1
2020년 12월 16일 22:46예전에 현택환 선생님의 제자분들을 만나본 적이 있었어요. 그분들은 모든 이슈를 심도있게 그렇지만 아주 재미나게 함께 풀어내려는 것을 봤어요. 많은 실험실 사람들을 접했지만 그 중에 단연 기억에 남는 분들이었어요. 선생님 강의를 보니 건강한 사제관계를 맺는게 얼마나 연구진행을 하는 게 중요한 요소가 되는지 알 수있었습니다.
가슴에 남는 강의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Sunhee Lee 1
2020년 12월 21일 17:11정부가 외교를 잘 못한거임. 노벨상과 상관없이 열심히 하시길.
@user-ie6ou9xv9o
2021년 3월 27일 08:427:36 머리 카락 잘 안보이는 곳은 잘 안보이면 잘 안잡힙니다...
@user-of4cy8gx7t
2021년 3월 21일 18:21세상을 바꾸는박사님 감사합니다 노벨상꼭뱓으실겁니다
후학에도 많은도움주시고 항상 건강하시고 복많이 받으세요
@seung-heelee314
2020년 12월 19일 15:13저도 연구하지만 대단하네요 존경합니다
JS Kim
2020년 12월 20일 19:45현교수님, 세월도 무심하시지 이제 많이 늙으셨네요 학계의 아이돌이었는데, 이 이야기를 노벨상 연회에서 듣고싶습니다.
김지원
2020년 12월 19일 01:10항상 보기만 하다가 처음 댓글 달아봅니다. 과학에는 문외한이었는데 이 강연을 듣고 흥미를 느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강연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먼지의 시종 1
2021년 4월 13일 18:29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CCM 칭찬 모음
2020년 12월 17일 16:45내가 이세상에서 태어난 일 중 제일 잘한일은 주님을 믿는것이다
@taebonge
2020년 12월 31일 01:33강연 잘들었습니다. 존경합니다 교수님. 꼭 좋은 상 수상하시길 빕니다.
@user-fj2xh5gh4z
2021년 7월 10일 15:376:00
@user-bn8kg6pz5d
2020년 12월 17일 08:11과학이라는 어렵지만 실생활에 밀접한 관계
쉽게 다가갈수 있는 방법 쉽게 이해할수 있었네요
좋은 강연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jaehaks130
2021년 4월 13일 22:00그걸 최초로 만들어 현교수님에게 제공했던 제자의 이름 한 번 언급이 없네요 이런게 가로채기 아닌가? 내가 잘못 이해한건가? 아리송하네요
황형진의 화학공학 이야기
2021년 10월 31일 13:20화학/화학공학과 전공 관련 강의 동영상이 제 Youtube 채널에 많이 있어요. 공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There are many lecture videos about chemistry/chemical engineering majors on my YouTube channel. I hope it helps you a lot in studying.)^^
@juliayun1273
2020년 12월 20일 18:15체계적인 강연을 듣다보니 점점 빠져듭니다...저희집안에는 공대생들이 많은데 우리딸아이도 교수님 강의를 들으면서 공대를 꿈꾸고 있습니다.
교수님의 업적을 축하드리면서 항상 응원합니다.
좋은 강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user-pu2zn1ms7y
2020년 12월 16일 18:58대한민국 과학의 현주소와 과학 세부 분야에서 노벨상 배출에 있어 가장 가까이 접근한 것이 어떤 것이라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user-ci6ty8yi6j
2020년 12월 18일 05:30노벨상도 국력에 맞게 주어야 한다. 이제 우리도 노벨상을 받을 자격이 충분하다. 현 박사님 휼륭하십니다. 나노입자 크기... 전문적인 내용은 잘 모르겠지만, 세상을 바꾸는데 더욱더 정진해 주시기바랍니다.
bbri DoyleFolc
2020년 12월 16일 19:262:44 Beautiful 💋💋love u💋💋
@Hyuchan1002
2021년 3월 25일 05:32서울대네요 ㅋ
@borayou4938
2020년 12월 18일 17:06좋은 인간관계!!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무언가 큰 울림을 선물하셨습니다.
반드시 노벨상 받으시기를 바랍니다.
강연 너무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np4kg3mj1h
2020년 12월 22일 01:40현택환 강연자님의 강연을 통해서 나노기술에 대해서 기본적인 숲을 알게 되는 것 같네요. 한국에서도 노벨화학상 후보로 거명 되셨다니 그 연구 방법과 노력이 대단하셨을 거라고 느껴지네요.^^~~~나노입자가 tv에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통해 화질의 해상도가 달라진다는 내용을 듣고 정말 많은 곳에 사용될 것이라고 예측되네요.^^~~~
@1oveforme
2021년 3월 31일 16:50학술 지식의 습득뿐만 아니라 남들과 조화를 이루어 공존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덕분에 다시금 깨닫게 되었습니다. 세상은 혼자 살아가는 것처럼 보여도 결국 이 사람 저 사람과 어울리며 함께 사는 것이니까요!!
@user-iu2vv1be5x
2022년 7월 29일 15:39과학자는 연구실에 갇혀 연구만 하고 연구물을 보며 행복을 찾는 직업으로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기술연구에 매진하는 모습도 멋지시지만 결국 인간관계 또한 챙기시는 모습이 더 멋있으십니다.
인간관계를 통해 과학의 폭을 넓히시고 가치있는 연구를 하시는 강사님이 존경스럽습니다.
좋은 강의로 일반인이 과학 분야에 더 접근하기 쉽게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dacban
2020년 12월 16일 18:52정말 훌륭하신 분이네요. 노벨 화학상 꼭 받기를 바라며 ✨ 대한민국의, 전세계의 미래를 밝혀주셔서 감사합니다.
@hhducho8818
2022년 10월 24일 15:22노벨상을 받을 분이라는데 의심의 여지가 없지요.
물리, 화학 분야에서 노벨상 후보에 들었던 분들은 많았는데
이제는 우리 국력이 그 수준까지 갔으니, 곧 수상자가 나올겁니다.
최초의 후보였던 이태규박사, 이휘소 박사...
@user-pd8xz8fk8e
2022년 10월 03일 11:19영어자막도 Presentation도 없는데 무슨 노벨상?
@heejuneAhn
2022년 10월 25일 12:51노벨상이라도 다 같은 건 아니지. 다시금 아인쉬타인의 천재성에 감동.
@user-pd8xz8fk8e
2022년 10월 03일 11:20영맹은 노벨상 꿈도 못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