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를 공부하는 이유도 과거를 돌아보고 반성하고,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나아가기 위해서라죠. 저는 얘기할때 몇가지만 지켜서 대화하려고 하는 스타일입니다. 책갈피님이 말씀하신거랑 비슷한데, 내 의견을 명확하게 말하되, 상대방의 말에 대한 의도를 파악하고 내의견을 덧대어서 상대방의 의견을 다시 말하며 물어보는 방식이죠. 이런식으로 말을 한다면, 더좋은 방향의 이야기로 전개될수 있더라고요 ㅎㅎ 여기서 중요한건 내가 말하는건 정답이 아닌 나라는 한사람으로서의 의견이라는 것에서 벗어나면 안된다고 생각해요. 그럼 상대방의 반응이 부정적으로 올수도, 대화가 끈길수도 있거든요. 의사소통이란게 결국 주거니 받거니가 되야 올바른 대화라 생각합니다 ^^
실천용 요약 1.질문이 과거로 향한다 질문은 과거형보단 미래형이 효과적이다 (예:제 오늘 발표는 어땟나요? × 다음주에 같은발표를 해야하는데 어떡해 더 고려해야 할까요 ○) 2.까자대화를 위한 질문 까짜대화:회의 듣고나서 좋다고해놓고 나온다음 안좋다고하는 정반대의 이야기하는 '척하는대화' 상대 대화가 틀렸다는걸 알지만 듣기만하는 태도에 참여 '나만 옳아 대화' 찐짜 대화:사실을 먼저 체크하고 이바탕으로 가장 좋은 방향이나 해석을 찾아가는 대화 '똑똑한대화' 자신의 의견을 명확하게 밝히되 상대방의 의견에 관심을 가지고 진정성있게들어주는 '진정성대화' 찐짜 대화를위한 질문 3가지를 던지고 이야기에 귀를 귀우려야한다 무엇이 가장 중요한가요? 가장 걱정되는게 무엇인가요? 현 상황을 어떡해 보고계시나요? 3.상대에게 의견을 묻는다. 질문에는 의견보다는 조언을 구하는것이 좋다. 그누구에게도 조언을 구할줄알고 서로 도와 조언을구하고 팀워크로 좋은 성과를 낸다. 4.질문을 아예 하지않는것 질문을 많이 던지는 후속 질문을해야하고 질문 종류를 왜?,어떡해?에 대해 물어보기
공감한다는 듯한 제스쳐도 중요! 이거 없이 고개만 끄덕이면 건성건성 듣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해서요. 예를 들어 '아 진짜?' , '헐, 대박!' 같은 뉘앙스로 박수를 치거나 몸을 들썩이면서 고개를 끄덕이면 상대방이 자신의 이야기에 큰 관심을 갖고 몰입을 하고 있다고 느끼기 때문이죠. 근데 이건 평소 자신의 태도에 따라 다른데, 평소에도 호들갑 떨면서 반응하면 그야 평소에도 그랬으니 당연하다는 반응이지만(그래도 기분은 좋을 겁니다.) 무뚝뚝했던 사람이 갑자기 호들갑 떨면 무언가에 머리를 맞았나, 혹은 약 잘못 먹었나 의심을 사게 됩니다. 평소에 반응을 시원찮게 했던 사람들은 이야기를 하는 사람을 정면으로 보면서 고개를 간간히 끄덕여 주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호감을 이끌어 낼 수도 있죠. 문제는 이걸 조절 못해서 대충 하거나 너무 열심히 했다가는 '아 이놈, 가식적이네.'라는 생각을 품게 만들거나 말하는 이를 거북스럽게 만들어 버릴 수도 있습니다. 평소에 해오셨던 거라면 계속 해주시고, 안 해오셨던 분들은 고개를 끄덕여 주거나 '그렇구나.' '그래?' '허어...'같은 말을 시작으로 후속질문을 간간히 던져주시면 되겠습니다. 물론, 경청은 모든 대화의 기본 중 기본입니다. 대화의 시작과 끝에는 경청이 안 빠지니 말을 잘 들어주세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스크립트의 작은 수정이 있다면 더욱 좋을 것 같습니다. 1. 한문장에서 같은 단어의 중복 사용 (영상 초반 한문장 내에 “피드백”이라는 단어가 과사용 되어 문장의 집중력을 흐림) 2. 구어체의 변형 (“하기의” 같은 단어는 말로 풀어서 설명할 때 “다음의”와 같은 식으로 쓰면 어떨지)
정이 94
2019년 10월 07일 09:431. 과거 중심의 질문보다는 미래 중심의 질문!
2. 진정성 있는 대화!
3. 의견을 묻기보단 조언 구하기!
4. 후속 질문하기!
=> 원하는 것을 저절로 얻는 질문의 기술☆
@myung_7 40
2019년 10월 02일 21:05우리는 항상 누군가와 대화를 해야하는데 그러다보면 자연스럽게 상대를 알기 위해 질문을 하게 되는데 어떤 질문으로 상대에게 물을지 저처럼 고민하시는 분들을 위한 좋은 영상이네요💗 역시 사람이 젤 힘드러..
@h0ngd1ng 32
2019년 10월 02일 21:07미래에 대한 제안 구하기
진정성 있는 대화하기
질문을 하기
이론은 알지만 실전은 쉽지 않은 질문의 방법들이네요 ㅠㅠ
@밑줄긋기 24
2019년 10월 02일 21:52역사를 공부하는 이유도 과거를 돌아보고 반성하고,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나아가기 위해서라죠. 저는 얘기할때 몇가지만 지켜서 대화하려고 하는 스타일입니다. 책갈피님이 말씀하신거랑 비슷한데, 내 의견을 명확하게 말하되, 상대방의 말에 대한 의도를 파악하고 내의견을 덧대어서 상대방의 의견을 다시 말하며 물어보는 방식이죠. 이런식으로 말을 한다면, 더좋은 방향의 이야기로 전개될수 있더라고요 ㅎㅎ 여기서 중요한건 내가 말하는건 정답이 아닌 나라는 한사람으로서의 의견이라는 것에서 벗어나면 안된다고 생각해요. 그럼 상대방의 반응이 부정적으로 올수도, 대화가 끈길수도 있거든요.
의사소통이란게 결국 주거니 받거니가 되야 올바른 대화라 생각합니다 ^^
라일리 20
2019년 10월 03일 00:15실천용 요약
1.질문이 과거로 향한다
질문은 과거형보단 미래형이 효과적이다
(예:제 오늘 발표는 어땟나요? × 다음주에 같은발표를 해야하는데 어떡해 더 고려해야 할까요 ○)
2.까자대화를 위한 질문
까짜대화:회의 듣고나서 좋다고해놓고 나온다음 안좋다고하는 정반대의 이야기하는 '척하는대화'
상대 대화가 틀렸다는걸 알지만 듣기만하는 태도에 참여 '나만 옳아 대화'
찐짜 대화:사실을 먼저 체크하고 이바탕으로 가장 좋은 방향이나 해석을 찾아가는 대화 '똑똑한대화' 자신의 의견을 명확하게 밝히되 상대방의 의견에 관심을 가지고 진정성있게들어주는 '진정성대화'
찐짜 대화를위한 질문 3가지를 던지고
이야기에 귀를 귀우려야한다
무엇이 가장 중요한가요?
가장 걱정되는게 무엇인가요?
현 상황을 어떡해 보고계시나요?
3.상대에게 의견을 묻는다.
질문에는 의견보다는 조언을 구하는것이 좋다.
그누구에게도 조언을 구할줄알고 서로 도와 조언을구하고 팀워크로 좋은 성과를 낸다.
4.질문을 아예 하지않는것
질문을 많이 던지는 후속 질문을해야하고
질문 종류를 왜?,어떡해?에 대해 물어보기
@bbgbookstore199 13
2019년 10월 03일 08:41'미래를 방향으로 온 진심을 다해서 모두의 발전을 위해'
@MayanStory 13
2019년 10월 03일 10:37참 말이란 게 정말 어려운 거 같아요. 옛말처럼 한번 뱉으면 결코 주워담을 수 없고 그 한마디에 천냥 빚을 질 수도, 혹은 그 빚을 갚을 수도 있는 게 바로 말이니 말이죠.
이 영상을 보면서 신중히 입을 열고 상대의 입장을 생각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ㅠㅠ 오늘도 좋은 영상 너무 감사해요 (__)
@책갈피 12
2019년 10월 02일 23:50상대의 마음을 움직이는 센스있는 질문법 ▶ http://bit.ly/2mwzt2q
@빅토리쥴리아 10
2019년 10월 05일 14:37상대방에게 의견을 묻기보다 조언을 구한다.
정말 무릎을 탁!치는 영상이네요.
쏙쏙들이 알아듣고 이해하기 쉽게
멋진 보이스로 설명해주고 제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초짜프로 7
2019년 10월 02일 21:05관심!! 다른사람의 인정받기를 원하는 목마름을 해소해줄수있는사람이 그사람의 마음을 얻는다. 이말도 생각나네요. 질문만 잘해도 상대방의 관심을 얻을수있고 인정받고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줄수있군요. 피드포워드!!
@버들유-d9r 6
2019년 10월 08일 21:58마지막 마디듣고 구독함
미미뇨뇨치치킨킨 6
2019년 10월 04일 00:26백문이 불여일견
이렇게 이론을 들어도 실제로 행하지
않으면 쓸모 없겠죠
앞으로 이렇게 실천할 수 있도록 노력해봐야겠네요
라일리 6
2019년 10월 03일 00:33요약
최악에 질문
1.과거에 대한 질문을 한다
2.까짜대화를 위한 질문을 한다.
3.상대의 의견을 묻는다
4.질문을 아예하지않는다
1차수정:실천용 요약이랑 그냥 요약 글씨 수 차이엄청나내...
@riatube1510 5
2019년 10월 02일 22:34의견을 묻는거보다는 조언을!!감사합니다 ~~
@fearnot7500 5
2019년 10월 02일 22:04당신의 성공과 행복을 응원합니다
언제들어도 힘이 생기게라는 마법의 어투 나래이터분 짱
@yongssaboo 5
2019년 10월 02일 21:08인터뷰어가 된다면 대화의 흐름이 원활해집니다.
@3D교육원 5
2019년 10월 13일 10:17나만옳아 × 피드백× 의견묻기 ×
피드퍼워드 질문 ○
의견질문× 조언질문○
후속질문○
@youngyunchoi 4
2019년 11월 18일 08:57회의 진행이 많아 의견을 물을 때가 많은데...조언의 마음으로 묻는다에 많은 도움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일상가 4
2019년 10월 11일 04:24오늘도 많이 배워 갑니다.
@finalmana 4
2019년 10월 02일 21:56질문하는 문법만 바꿔도 사람이 변한다는군요. 실제로 해보고 싶지만 하기 어려운거 같아요. 회사 사람들도 그렇고 친구들도 그렇고 전부 제정신이 아니라서 질문을 툭 던져볼만한 상대가 없어서 더 문제네요.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픽북 4
2019년 10월 04일 14:04저는 4가지중 후속 질문이 제일 쉽게 써먹을 수 있는 것 같아요
질문 자체가 관심의 표현이니까요 ㅎㅎ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MRCH0403 4
2019년 10월 02일 21:041빠
@aaa6512 3
2019년 10월 02일 21:38긋긋긋~~
@유덕희-x6c 2
2019년 10월 03일 19:07메모해 놓았습니다🙋♀️
@평생부자감사 2
2019년 10월 02일 21:57👍🍀🙏감사합니다 책갈피로인해 좋은 지혜 얻고 있습니다#더욱번창하세요,
@gwani-h 2
2019년 11월 07일 03:134번이 가장 쉽게 할수 있을 거 같은데 어렵네요ㅠㅠ
@eunjinchoi4419 1
2020년 5월 01일 05:15오늘도 좋은 말씀
항상 저에게는 유익한
시간이예요 ~
책갈피.감사합니다 !^^
대통령후보님허경영찍고1억받자 1
2019년 10월 29일 09:07그냥 아무에게나 참신하게 질문을 했는데 실험결과 글로 적힌거는 그냥 못 써먹고 질문 답해준거는 바로 써먹을 수 있다!''지금''어디로 가야하냐고 물어봤거든
@Ju_Ho 1
2019년 10월 29일 13:06공감한다는 듯한 제스쳐도 중요! 이거 없이 고개만 끄덕이면 건성건성 듣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해서요.
예를 들어 '아 진짜?' , '헐, 대박!' 같은 뉘앙스로 박수를 치거나 몸을 들썩이면서 고개를 끄덕이면 상대방이 자신의 이야기에 큰 관심을 갖고 몰입을 하고 있다고 느끼기 때문이죠.
근데 이건 평소 자신의 태도에 따라 다른데, 평소에도 호들갑 떨면서 반응하면 그야 평소에도 그랬으니 당연하다는 반응이지만(그래도 기분은 좋을 겁니다.) 무뚝뚝했던 사람이 갑자기 호들갑 떨면 무언가에 머리를 맞았나, 혹은 약 잘못 먹었나 의심을 사게 됩니다. 평소에 반응을 시원찮게 했던 사람들은 이야기를 하는 사람을 정면으로 보면서 고개를 간간히 끄덕여 주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호감을 이끌어 낼 수도 있죠.
문제는 이걸 조절 못해서 대충 하거나 너무 열심히 했다가는 '아 이놈, 가식적이네.'라는 생각을 품게 만들거나 말하는 이를 거북스럽게 만들어 버릴 수도 있습니다.
평소에 해오셨던 거라면 계속 해주시고, 안 해오셨던 분들은 고개를 끄덕여 주거나 '그렇구나.' '그래?' '허어...'같은 말을 시작으로 후속질문을 간간히 던져주시면 되겠습니다. 물론, 경청은 모든 대화의 기본 중 기본입니다. 대화의 시작과 끝에는 경청이 안 빠지니 말을 잘 들어주세요.
@yunttention 1
2020년 6월 17일 11:45코칭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질문에대해 잘정리해주셔 좋아요^^
@eunjinchoi4419
2020년 5월 01일 05:13대화중에 가짜대화는
바람직하지않지요..
빈말을 인사차례로 살짝
거짓말로 빈말은 할수있지만
너무 말도안돼게 빈말로 표나게
한다면, ..속보이고 ! ㅎㅎ
진정성없어보여서 오히려
잘보이려고 하다가 역효과겠죠.
@GGam_D
2019년 11월 16일 22:02감사합니다
@sihyun.v
2019년 10월 28일 09:18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스크립트의 작은 수정이 있다면 더욱 좋을 것 같습니다. 1. 한문장에서 같은 단어의 중복 사용 (영상 초반 한문장 내에 “피드백”이라는 단어가 과사용 되어 문장의 집중력을 흐림) 2. 구어체의 변형 (“하기의” 같은 단어는 말로 풀어서 설명할 때 “다음의”와 같은 식으로 쓰면 어떨지)
yb kang
2019년 10월 29일 08:593번째 방식
의견을 묻지말고 조언을 구하라에서
의견과 조언의 차이가 잘 구분을 못하겠어요
예시가 있을까요?
@사이다-r2c
2021년 1월 16일 21:23그런데 이 채널은 책을 소개하는 유튜브인가 아니면 동시에 책을 추천해주는건가요?
@SHINeePrism
2021년 7월 09일 17:08질문의 방향 과거로 향하는 것을 경계. 미래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피드백에 대한 부담. 피드포워드를 활용해 미래에 대한 제안을 요구.
향후 개선방안에 대한 제안. 어떤 점 고려해야 더 잘할 수 있을까요? 미래에 대한 제안을 구하는 것.
무엇이 가장 중요한가요? 가장 걱정되는게 무엇인가요? 현 상황을 어떻게 보고 계시나요?
->이 질문 하며 잊지 말아야 하는 건 나에게 중요한 것, 걱정거리 내가 바라보는 상황에 대해서도 이야기해줘야하는것.
상대방에게 의견을 묻기보다 조언을 구하기. 성공을 위한 조언 구하기. 상대는 경험과 전문성 바탕으로 조언해줄것. 그만큼 좋은 성과 얻길 바랄 것.
대화 상대가 조금전 말한것에대한 추가 질문. 그건 왜그랬나요, 그땐 어떻게 느끼셨나요.
@김성김-y1z
2024년 1월 27일 23:41과거보다는 미래에 대한 질문을한다
2번째로 진짜대화를 하고
3번째로는 상대방에게 의견을 묻기보다는 조언을 구하라
4상대방 예기에 후속질문을하라
@Easygoing-k2k
2021년 1월 24일 04:53สวัสดีตอนเย็นฉากที่สวยงามมากเนื้อหาที่ยอดเยี่ยมและการทำงานที่ยอดเยี่ยมฉันชอบช่องนี้ยอดเยี่ยมคุณทำได้ดีฉันขอให้คุณมีสุขภาพดีมีความสุขและประสบความสำเร็จฉันหวังว่าความปรารถนาและความฝันของคุณจะเป็นจริง😊
@박옥이-w2x
2021년 5월 27일 12:10잘듵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블링-m3o
2021년 7월 29일 01:440:30초, 상대는 내가 자신에게 얼마나 관심있는지를 .. 이게 말이 이해가 안되는데 설명좀요🥲
@9ruru283
2021년 12월 01일 23:10이렇게 얘기하면 원하는 대답을 들을수있습니다 라는 긍정형의 타이틀이 었다면 좋았을것
같아요~책 타이틀이…ㅡㅡ
@anthonykim666
2024년 8월 31일 09:30A가 B에게 질문하였는데, 중간에 합류한 C가 끼어들자, B는 A에게 해줄 답변을 C에게 하는 경우는 무슨 상황일까요? 이런일이 그 사람을 통해서만 자주 일어나네요.
@KIMJISOOish
2019년 10월 22일 21:535:50
@arm_seung_jun
2023년 5월 01일 00:31😅
@ucallmeid
2021년 7월 05일 09:12다음일을 더 잘 하기위해서
무엇을 고쳐야 할까요?
라는 피드포워드?
라는 개념이 참 좋아요
이런 질문에 진정성 있는 대답을 들을만한 사람이라면
걱정안해도 되겠습니다
하지만 평판이 나쁜사람이 이 말을 한다면 좋은 답변은 얻기 힘들것같네요
@명성도당
2020년 9월 21일 08:02인식
@선복이
2022년 9월 29일 21:14제가 책갈피님 말씀 듣고 많이 달라질거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김태현-o3u
2019년 11월 21일 01:26의견과 조언의 차이는 물어보는 자세 말고는 차이가 없다고 생각하는데 다른 차이점이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