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데 신기하릴만큼 미래엔 어떻게 어떻게 될거다라고 했던게 코로나19로 인해 급격히 앞당겨진느낌 마치 계획이라도 된듯이..;; 미래엔 학교갈 필요없이 다 재택수업을 할거고 회사 갈 필요없이 재택근무를 하게되며 현실보다는 가상 현실이 더욱더 영향력이 커질것(모든것을 온라인으로 해결하는 언택트 시대) 이 외에도 코로나로 인해 변화한 사회모습이 급격하게 이전에 예견했던 미래사회의 모습을 닮아가는듯 그리고 나도 사실 믿지는 않지만 일루미나티의 지구 환경을 위해 인구수를 줄인다는 계획도 그렇고... 앞으로 만약에 백신 나왔는데 그 백신 부작용이 심각해서 더 많은 사람들이 죽어나간다면 우리는 눈치 못챌만큼 천천히 시나리오대로 진행되가는 것. 망상글이긴 하지만 뭔가 맞아떨어지는것들이 많아서 신기함
돈을 풀면 물가가 오르는게 맞다고 봅니다. 다만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돈을 풀어도 쉽게 오르지 못하는 이유는 사람들이 이미 위기를 느껴서 소비를 하지 않기 때문이겠지요. 그러나 돈마저 풀지 않으면 완전 폭망할듯... 한국도 요즘 물가 많이 올랐습니다... 이미 세계는 저금리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이미 스위스(-0.75%)나 덴마크 일본은 마이너스 금리죠. 다만 베네수엘라나 아르헨티나 등 폭망한 나라만 38%가 넘는 고금리일뿐입니다.
그렇지 그렇지~하면서 듣다가, 마지막 결론에서 뭐라고?라고 질문하게 되네요~ 사회가 고도화 된다고 정부의 역할을 축소해서 보시다니, 납득이 안가네요~ 살짝 언급하신 빈부격차의 문제도 있고, 환경문제도 있고, 여러가지 기존 자본주의가 시장에서 해결 못하는 큰 문제들이 심각해지고 있는데, 정부더러 손을 떼라는 식의 결론이라....
그러면서 동시에 우리나라가 경제부분에서 이득을 보지만 내부에서 부의분배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것이라는게 저의 의견입니다. 이유는 영상에서도 말한 반대의견인 돈을 흐름에 맡기지않고 임의로 조정하는 복지정책때문입니다. 결국은 나라에 돈이많은건 좋지만 그 정부의 행보에는 복지관련정책이 필연적이기때문에 좀더 거시적으로 볼때 좌파의 행보를 반대해서 제가 우파인것입니다. 이 부분이 이 영상에서 맥락적으로 잘못짚은 질문이라도 제 거시적 관점의견에 포함되어있기때문에 질문드립니다. 국내의 부의분배에서는 불균형을 초래할것이라고 생각하기때문에 지금 좌파를 반대해도 합리적이다 라는 제의견이 전문가입장에서는 어느정도 합당한 의견인가요? 공부중인 학생입장에서 궁금합니다 ㅎ
이전문가는 우리나라.우리라는 주체는 대한민국 국민일반이 아닌 사업자들 즉 자본가들 입장에서 좋고 나쁘고를 판단하네요. 이사람은 경제성과혜택보는 사람이 대다수여야한다는 전제가 없고 실제로 대다수인 경제약자들이 이경제게임에서의 입장은 전혀 고려대상 아니네요. 현상이 그렇다고 분별할순있지만 실제 정책을 맡기고싶은사람은 절대 아니네요!!
현금유동화 루트가 다르면 통화량 증가의 공통분모가 있어도 현상은 다를 수 있다고 봅니다. 통화량 증가분이 소비자에게 도달하느냐 ? 마느냐 ? 예를 들어 현금유동성 확대가 한은->일반은행->기업->노동임금 으로 시중에 풀리게 되는 경우는 소비증가로 물가 상승 요인이 될 수 있겠으나 유동성 확대가 임금으로 풀리지 않고 부채로 풀린다면 소비증가로 이어지지 않고 가계부실화 가중화가 되겠죠 ...
돈을 풀어도 서민들에게 돈이 들어가는게 아니라, 부자들에게 부의 쏠림 현상이 일어나면서 돈이 풀리지 않게 되면서 자산가격만 오르고 물가가 상승하지 못 했던겁니다. 그리고 양적완화가 대출의 양식으로 이뤄지다보니까 돈이 실물시장에 풀리는게 아니라 부동산이나 주식시장에 쏠렸던거구요. 물론 더 잘 아시겠지만, 이 정도는 설명을 하셔야죠 기본인데.
흠 지금 미국과 세계 2차 대전때의 미국은 다르다고 생각되는데요. 세계 공장 제조업 여건이 다음 국가 경쟁력을 결정합니다. 현재 미국은 자기가 아직도 최고라고 착각하고 있는 오만한 국가일 뿐이죠. 아직 우리나라 전문가 시점은 1970~80년대에 머물려 있다고 생각됩니다. 청일전쟁때 조선이 청나라가 언제나 이길거라고 기대한것처럼 말이죠. 다시 조선말처럼 되지않으려면 어느 한쪽이 아닌 중립적인 시점과 이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합니다만 힘들듯 싶네요.
형의잔소리 218
2020년 12월 27일 20:58이미 수많은 기업과 자영업이 폐업했고
코로나 이후.. 그전까지 풀린 돈을 회수하려
금리를 올리는 순간 지옥문이 열린다...
일등을 따라해라 - 일따 108
2020년 12월 27일 20:03헬스장을 접고싶어서 접은건 아니지만 넘긴게 다행이 되어버렸습니다. 지금 헬스장 많은분들은 모르시겠지만 전부 다 망해 나가고 있습니다. 시대에 맞게 돈의 흐름을 잘 따라가야 하는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누군가는 이 위기에 떼돈을 벌고 있지요...
Chung Youngok 96
2021년 1월 01일 13:52우한폐렴맞습니다...
도미닉 58
2020년 12월 27일 20:25두분이 너무 닮으셨는데요?????
옆모습은 와....
신박사tv 55
2020년 12월 27일 20:12돈의 거시적 흐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싶은 분들에게 강력하게 추천하는 책
http://mobile.kyobobook.co.kr/showcase/book/KOR/9791135489532
Jin choi 49
2020년 12월 27일 23:28젊은 사람들이 많이 걱정되네요.
4차산업은 인력이 그다지 필요없다는데.
Belt Black 48
2020년 12월 27일 20:56절대 한쪽만 볼게 아닙니다 미국에서 고학력은 이민이 크게 상관없어요
IM K 45
2020년 12월 30일 21:51근데 신기하릴만큼 미래엔 어떻게 어떻게 될거다라고 했던게 코로나19로 인해 급격히 앞당겨진느낌 마치 계획이라도 된듯이..;;
미래엔 학교갈 필요없이 다 재택수업을 할거고 회사 갈 필요없이 재택근무를 하게되며 현실보다는 가상 현실이 더욱더 영향력이 커질것(모든것을 온라인으로 해결하는 언택트 시대) 이 외에도 코로나로 인해 변화한 사회모습이 급격하게 이전에 예견했던 미래사회의 모습을 닮아가는듯
그리고 나도 사실 믿지는 않지만 일루미나티의 지구 환경을 위해 인구수를 줄인다는 계획도 그렇고...
앞으로 만약에 백신 나왔는데 그 백신 부작용이 심각해서 더 많은 사람들이 죽어나간다면 우리는 눈치 못챌만큼 천천히 시나리오대로 진행되가는 것.
망상글이긴 하지만 뭔가 맞아떨어지는것들이 많아서 신기함
내그림 41
2020년 12월 28일 10:36웅이사님 인터뷰는 정말 좋아요
궁금한 질문도 좋고 대답을 기다리는 자세도 구독자가 편안히 들을 수 있어요 ㆍ 몇번을 들어도 질리지 않아요
늘 감사합니다 ㆍ
정다솜 41
2020년 12월 27일 20:21너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자막으로 강조할만한 부분 강조해주셨으면 더 보기 편했을 것 같아요
Hk 37
2020년 12월 28일 19:53미국은 돈 풀어서 물가 오른것 같은데요. 요즘 체감 물가 정말 후덜덜 합니다.
뽀시츄 32
2020년 12월 27일 20:07코로나의 영향으로 돈을 많이버는 직종은 어떤게 있을까요?위기때 오히려 돈을많이 버는직종이 궁금합니다!
박종명 28
2020년 12월 27일 23:58좋은강의잘듣고있습니다
근데두분정말많이닮으셨네요
목수수 28
2021년 1월 03일 12:192021년에는 코로나 이후의 삶을 고민해야 되겠군요 :) 코로나가 사라지냐 아니냐에 의미를 두기보다 내가 살아 남을 수 있을지 계속 노력하고 도전하는 한 해로 만들어야겠네요 :)
돈크라테스 27
2020년 12월 28일 09:17지금 보면 말이 되지 돈을 풀자 그 돈이 다 주식으로 가잖아 물가가 올라갈 이유가 없지 반대로 통화량이 줄면 실물 팔고 넘쳐나 돈을 소비로 들어가니 물가가 오르겠지
써녕 26
2020년 12월 27일 22:07이기적인것들은 실패자의 길은 선택한거지 뭐
오동철 26
2020년 12월 30일 19:28임금이 올라가면 자동화설비의 수요가 늘어나게 되는군요!
Jin 24
2020년 12월 29일 03:00난 그냥 밥먹고 운전하며 잠잘자는거에ㅠ감사하며ㅠ삼
인간들이 돈에 환장해서 아침부터 저녁을 마감하는 시대임 ㅋㅋㅋ
그러다 내일 뒤지면 우야노?? 옆에 사람도 좀 돌아보는 나,지인들이 없이 사는게 그게 지옥아님??
jh s 23
2020년 12월 27일 20:29두분케미가 제일 좋은거 같은...
svetlanov 1 22
2020년 12월 30일 15:59코로나이후가 왔음 좋겠습니다ㆍ
계속 변종바이러스 나타나서요ㅠㅠ
민뱅 21
2020년 12월 27일 20:01꼭 듣고싶던 내용인데 감사합니다.
Kihong Kim 20
2020년 12월 28일 20:06아무리 자신들만 잘살려고 해도 세계화가 진행되어 너무나 얽혀있는 현재 상태에서는 그것도 힘들기 때문에 적당히 타협하고 상생의 길을 택할 확률이 그래도 높을 거라는
작은 희망을 가져본다. 오히려 코로나가 인류공영의 이상 시대를 더욱 앞당길 수 도 있을 것.
Kevin Park 20
2020년 12월 28일 11:07거의 2년 동안 않 움직이면
이젠 가상현실 이 현실이 될것임
산너머 19
2020년 12월 31일 11:50돈을 풀면 물가가 오르는게 맞다고 봅니다. 다만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돈을 풀어도 쉽게 오르지 못하는 이유는
사람들이 이미 위기를 느껴서 소비를 하지 않기 때문이겠지요. 그러나 돈마저 풀지 않으면 완전 폭망할듯...
한국도 요즘 물가 많이 올랐습니다...
이미 세계는 저금리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이미 스위스(-0.75%)나 덴마크 일본은 마이너스 금리죠.
다만 베네수엘라나 아르헨티나 등 폭망한 나라만 38%가 넘는 고금리일뿐입니다.
해피라 19
2021년 1월 02일 15:38그렇지 그렇지~하면서 듣다가, 마지막 결론에서 뭐라고?라고 질문하게 되네요~
사회가 고도화 된다고 정부의 역할을 축소해서 보시다니, 납득이 안가네요~
살짝 언급하신 빈부격차의 문제도 있고, 환경문제도 있고, 여러가지 기존 자본주의가 시장에서 해결 못하는 큰 문제들이 심각해지고 있는데, 정부더러 손을 떼라는 식의 결론이라....
Jy Kim 19
2020년 12월 28일 10:47홍박사님의 늘 현실적인 분석과 정보는 미래를 잘 해석하고 직시할 수 있는 통찰력에 가장 도움을 줍니다. 🙏🏻🙏🏻🙏🏻
꿀보이스 17
2020년 12월 27일 20:54자원을 사와야 하는데 내수로 되는가
박은영 14
2020년 12월 29일 14:23현실은 말씀과 반대라 너무너무 걱정됩니다!
국가가 다해주려고하니....
최은경 13
2021년 1월 01일 13:14♡♡♡
정선일 13
2021년 1월 01일 06:2221세기를 준비합시다. 이제 막 21세기가 시작된겁니다.
heemock yoo 10
2020년 12월 30일 10:51헛.... 아빠와 아들 !!!!!
prayer one 10
2021년 1월 03일 02:11아주 명철하시고 통찰력또한 대단하신 분이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남원미 9
2020년 12월 29일 04:59이야기속으로빠져들게
만드네요~두분^^
HYEONMIN KIM 9
2020년 12월 27일 20:011빠
cube bit 9
2020년 12월 27일 20:071등
밤하늘의별을 9
2020년 12월 27일 20:31귀한 강의 잘 듣고 갑니다.👍
리안 9
2021년 1월 03일 14:55세계 역사와 관련된 쉽고 유익한 강의에 감사드립니다
Alex P 8
2020년 12월 27일 20:565G에 대해 한번 다루어주세요, 아마 바이러스이후 큰변화가 일어날것 같은데 이쪽에 관한 정보도 다루어주세요.
리오 8
2020년 12월 28일 02:57홍박사님 정말 저서를 작성하시면서 역사전반에 대한 통찰력이 이전에도 있으셨지만 더 탁월해지신거 같아요
무릎을 탁 치면서 재밌게 들었습니다
형근 7
2020년 12월 27일 22:46늘잘듣고있습니다
인사이트를얻고갑니다
포레스트 주식TV 7
2020년 12월 27일 23:56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방금 올린 저의 테슬라 한미약품 분석 영상도 참고해 주세요 :)
Sunny Motto 7
2021년 1월 04일 12:22독감이 중국으로 부터 온 것은 맞습니다
박상욱 7
2020년 12월 27일 22:15경제적관점에서 바이든이 돼야하는이유가 우파인 저의 입장에서 이해가 정말 잘됐습니다.
그러면서 동시에 우리나라가 경제부분에서 이득을 보지만 내부에서 부의분배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것이라는게 저의 의견입니다.
이유는 영상에서도 말한 반대의견인 돈을 흐름에 맡기지않고 임의로 조정하는 복지정책때문입니다. 결국은 나라에 돈이많은건 좋지만 그 정부의 행보에는 복지관련정책이 필연적이기때문에 좀더 거시적으로 볼때 좌파의 행보를 반대해서 제가 우파인것입니다. 이 부분이 이 영상에서 맥락적으로 잘못짚은 질문이라도 제 거시적 관점의견에 포함되어있기때문에 질문드립니다.
국내의 부의분배에서는 불균형을 초래할것이라고 생각하기때문에 지금 좌파를 반대해도 합리적이다 라는 제의견이 전문가입장에서는 어느정도 합당한 의견인가요? 공부중인 학생입장에서 궁금합니다 ㅎ
go mymi 5
2021년 1월 06일 08:43이전문가는 우리나라.우리라는 주체는 대한민국 국민일반이 아닌 사업자들 즉 자본가들 입장에서 좋고 나쁘고를 판단하네요. 이사람은 경제성과혜택보는 사람이 대다수여야한다는 전제가 없고 실제로 대다수인 경제약자들이 이경제게임에서의 입장은 전혀 고려대상 아니네요. 현상이 그렇다고 분별할순있지만 실제 정책을 맡기고싶은사람은 절대 아니네요!!
월하 5
2020년 12월 30일 21:43지금 달러 푸니까 집값 오르잖아요?
0bb Sj 5
2021년 1월 03일 21:12정치 하시면 잘 하실듯~ 잘보고 갑니다
Oscar 5
2021년 1월 10일 00:21우한 폐렴을 코로나로 부르자고? 에라이~
손성만 5
2020년 12월 28일 00:17홍박사님과 체인지 그라운드와 같은 플랫폼이 한국에 있다는건 축복입니다~^^
김효진 5
2021년 1월 02일 09:51부동산 위엄수이.
SR Wagner 5
2021년 1월 04일 05:35집구석먼저!
Aqua Resort TROPICANA 4
2020년 12월 27일 21:44스페인 독감 바이러스가 우주로부터 왔다는 과학자들의 연구들도 상당히 설득력이 있습니다. 외부와의 접촉이 없었던 에스키모족 일부도 그로 인해 사망한 증거가 있으니까요. Google에서 Spanish flu from outer space를 검색해보세요.
쑤잉글리쉬랩_English Lab 4
2020년 12월 28일 02:40항상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구스타프 4
2020년 12월 30일 08:51우리나라상황이네 남탓 외국인악
부자돼서우주에서살래 4
2021년 1월 09일 02:36그렇게 부럽던 관광수입국가들이
코로나 사망자까지 많아졌어
Kh An 4
2020년 12월 28일 05:40우리나라분들이 착각하는게 있습니다.
우리는 미국이 한국에 더 개방해주길바라지만, 우리는 후진국에 이민개방하려할까요?
미국이 이민개방하지 않는 G10 한국을 어떻게 생각할까요? 미국이 개방해주길 바라기보단, 미국이 우릴필요로하게 우리를 만들고, 어떻게 후진국을 도와줄수있을까 노력하는 국가가 되어야 하지않을까요?
바이든이 한국에 국익면에서 트럼프보다 더좋을까요? 친중하는 바이든이 반중하는 트럼프보다 한국에 이익일지는 국제전문가들의 의견과 많이 상반되는것 같습니다.
전태진 4
2021년 1월 10일 06:13국민들이 글을 몰라서 죄를 짓는것을 막기위해 세종대왕님께서 한글을 만드셨습니다.
검은늑대,힌늑대들이 하는 정치처럼 치고박는 것은 토착왜구들이 가장 바라는 바입니다.
"이해생각" 님의 생각을 인용했습니다.
김위숙 3
2020년 12월 28일 06:55유튜브에서 다섯안에꼽히는 괜찮은것같아요훌륭해요
전상미 3
2020년 12월 30일 11:10감사합니다 ~^^
Alex P 3
2020년 12월 27일 20:43미국 3형은 없나
멋진걸 3
2020년 12월 28일 11:54감사합니다~
So so마마 3
2021년 1월 04일 01:43바이든된것이 다행이라고???????
주식존버tv 2
2020년 12월 28일 08:04좋은정보 감사합니다~~^^
Seung Eddy 2
2020년 12월 29일 23:49감사합니다 😊
유니님 2
2020년 12월 31일 10:20감사합니다
ok 8067 2
2021년 1월 19일 09:20이런거보면 아이 낳으면 안될듯싶네요ㅜㅜ
#우한폐렴 중국바이러스 때문에
전세계가 망가졌네요ㅜ
최명희 2
2021년 1월 01일 12:13감사합니다
KYOUNG JUNG KIM 2
2020년 12월 31일 22:36아주 좋은 방송이군요..
그까이꺼 2
2021년 1월 04일 01:33현금유동화 루트가 다르면 통화량 증가의 공통분모가 있어도 현상은 다를 수 있다고 봅니다.
통화량 증가분이 소비자에게 도달하느냐 ? 마느냐 ?
예를 들어 현금유동성 확대가
한은->일반은행->기업->노동임금 으로 시중에 풀리게 되는 경우는 소비증가로 물가 상승 요인이 될 수 있겠으나
유동성 확대가 임금으로 풀리지 않고 부채로 풀린다면 소비증가로 이어지지 않고 가계부실화 가중화가 되겠죠 ...
J.S. Shin 2
2021년 1월 12일 16:20돈을 풀어도 서민들에게 돈이 들어가는게 아니라, 부자들에게 부의 쏠림 현상이 일어나면서 돈이 풀리지 않게 되면서 자산가격만 오르고 물가가 상승하지 못 했던겁니다. 그리고 양적완화가 대출의 양식으로 이뤄지다보니까 돈이 실물시장에 풀리는게 아니라 부동산이나 주식시장에 쏠렸던거구요. 물론 더 잘 아시겠지만, 이 정도는 설명을 하셔야죠 기본인데.
범자재 2
2020년 12월 27일 20:35감사합니다~♡
hhhh 1
2020년 12월 28일 02:20홍박사님 이야기 술술술~~ 진짜 신기합니다
이정진 1
2021년 1월 17일 10:10우한 바이러스 징하네요 ㅠ
김희성맘 1
2021년 1월 09일 18:11맞아요 ᆢ한국나왔다가 트롬프가 막아서 생이별되고 못들어가고 있어요ᆢ이민문 닫았어요 ᆢ심각해요
재구이 1
2021년 5월 20일 06:49지정학적인 접근 국
가도 잘 꼬시면서
미국.eu도 잘 가는
게 좋을 듯합니다.
허스키장tv 1
2021년 1월 06일 20:57감사합니다
David Shin 1
2021년 5월 31일 14:10스펜독감 쓰펜독감 하는분들이 중공 코로나 하면 화내는건 why!!!
Vik My 1
2020년 12월 28일 00:53우환에 시작했다는 코로나도 미국연구실에서 근무한 중국연구원이 우환으로 훔쳐간 바이러스라는 썰도 있던데 뭐가 진실인지는 영 모를듯 싶어요
경남펭귄 1
2021년 1월 05일 22:57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Deborah Kim
2021년 1월 11일 15:28재밌게 알기 쉽게 설명해주셔셔 감사합니다.외국이라 집밖에도 못나가고 이제 재밌는 유튜브 발견했네요
김위숙
2020년 12월 28일 06:56혼자하시는음성도듣고싶은데요
Eden K
2020년 12월 28일 00:28아르헨티나 페론주의? 쿠데타? 추악한 전쟁?
김윤
2021년 1월 14일 09:19음향이 아쉽습니다
정가랑
2020년 12월 27일 23:12홍박사님 책 너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웅이사님,홍박사님^-^
김로건
2020년 12월 29일 01:31역사는 비슷하긴 하지만 반복되진 않으므로 이런식으로 풀리진 않을듯.
모용한
2021년 1월 15일 05:09시진핑 바이러스, 줄여서 시바 또는 씨바.
TRUMP NOW
2021년 5월 29일 07:46얘기가 어째 다 미국 탓이야.
시카고 독감?
친중?
Mimi Sugai
2021년 1월 10일 03:31우리 지금 자신들에게 물어 보는게 더 강력하지 않을까요?
Min Hyun
2021년 1월 25일 16:32흠 지금 미국과 세계 2차 대전때의 미국은 다르다고 생각되는데요. 세계 공장 제조업 여건이 다음 국가 경쟁력을 결정합니다. 현재 미국은 자기가 아직도 최고라고 착각하고 있는 오만한 국가일 뿐이죠. 아직 우리나라 전문가 시점은 1970~80년대에 머물려 있다고 생각됩니다. 청일전쟁때 조선이 청나라가 언제나 이길거라고 기대한것처럼 말이죠. 다시 조선말처럼 되지않으려면 어느 한쪽이 아닌 중립적인 시점과 이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합니다만 힘들듯 싶네요.
김숙
2020년 12월 31일 13:59두분 데칼코마니
좋은 영상.고맙습니다
jin k
2021년 1월 11일 00:12거울 인줄 알았어요.....
May Kim
2021년 3월 06일 17:34새로운 전염병은 항상 존재합니다. 역사적으로도 페스트, 흑사병이 그 예죠.
이런 상황을 인식하고 삶을 살아 가야 할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