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감사히 잘 봤습니다. 급등은 없다는 작가님 말씀에 동감합니다만, 아시다피시 국고채10년물 시장금리는 이미 완만하게 오르고 있고 내년에도 계속 오를수 있을거 같은데, 이거 자체가 시장참여자들에게 강한 시그널이 되지는 않을까요. 2% 금리가 2.5%만 되어도 비율로는 25% 상승이니까요
영상 잘 보았습니다! 저 그런데 제가 뉴스를 보다보니 음료, 즉석밥 같은 공산품 가격이 오르고 구리, 옥수수같은 원자재가 오른다 해서 원자재 etf도 오르고 있고...전기세도 서서히 올라갈수밖에 없을 것 같은데..전 이게 인플레인줄 알았는데 물가가 급격하게 오르진 않는다는 표를 보니 이건 어떻게 해석해야할지 어렵네요 ㅎㅎ
항상 좋은 내용 잘 듣고 있습니다. 오늘 내용은 장관의 현안질의 답변 내용 소개하면서 시작하였는데 그 내용에 내년에 금리가 오른다는 내용은 없습니다. 주택대출은 보통 짧게는 수년간 길게는 수십년간 갚아나간다고 볼 때 내년 한해 금리전망으로 비판하기에는 무리가 있지 않나요?
기준금리는 인상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부분에는 동의합니다... 그런데 시장금리는 다르게 움직일 가능성이 충분해 보이기도 합니다. 특히 연준도 장기채금리 상승을 용인하면서 자산시장 버블 및 빈부격차 양극화를 조절하려 할 가능성은 있지 않을까요? 달러가치 하락도 계속 방치할 수 있을지도 의구심이 들구요. 그냥 그런 생각이 드네요 ㅋ
늘 해박한 지식을 통해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08년 서브프라임 사태이후 증가되고 있는 국가부채와 가계부채가 급격히 늘어난 이유로 각국의 이자부담에 대한 우려가 장기적으로 금리인상에는 부정적 요인일 것 같은데요. 적당한 인플레이션과 낮은 금리정책을 인위적으로 유지하여 부채부담을 롱텀에서 완화하거나 줄일 수는 없는지 궁금합니다.
오일쇼크 그러니까 석유 가격이 치솟는 일은 쉽게 일어나기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당장에도 서로 감산으로 가격을 조율하고 있고 원유를 팔아서 돈을 벌어야 되는 중동 국가 입장에선 일정 가격 이하로 원유가격이 떨어지면 안되는데 미국 쉐일 가스 업체가 그동안 너무 생산을 해서 이익을 챙겨가니 죽어보라고 가격을 내렸는데 코로나로 인해서 다시 가격을 조정하는 분위기 거든요.. 정말로 원유가격이 치솟게 되면 쉐일 가스 업체들은 생산에 명분이 생기고 원유 가격을 다시 하락시킬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직도 쉐일 가스 업체가 생산 할 수 있는 석유는 많은 거 같습니다
물가상승과 정책금리 설명 주신 부분 너무나 동의합니다. 하지만 조금 스탠스에 헷갈리는 부분이 있습니다. 박사님은 현재 30대들의 영끌 패닉바잉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요즘 3~4억 이상의 빚이 우스워진것은 능력이 상승한것이 아니라 그야말로 패닉때문인데요. 정책금리는 아니더라도 시중금리는 조금씩은 오르고, 당장 내년이 아니라도 FOMC 발표보다도 시장 상황에 따라 시기가 앞당겨질수도 있다 봅니다. 실제로 아파트 구입은 중장기적 계획으로 접근해야 한다봐서, 패닉 영끌이 상당히 걱정되보입니다. 저도 2012년 매도해서 손해도 보고 2016년 매수로 이익도 봤습니다만, 요즘 30대 영끌을 지지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오일쇼크 그러니까 석유 가격이 치솟는 일은 쉽게 일어나기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당장에도 서로 감산으로 가격을 조율하고 있고 원유를 팔아서 돈을 벌어야 되는 중동 국가 입장에선 일정 가격 이하로 원유가격이 떨어지면 안되는데 미국 쉐일 가스 업체가 그동안 너무 생산을 해서 이익을 챙겨가니 죽어보라고 가격을 내렸는데 코로나로 인해서 다시 가격을 조정하는 분위기 거든요.. 정말로 원유가격이 치솟게 되면 쉐일 가스 업체들은 생산에 명분이 생기고 원유 가격을 다시 하락시킬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직도 쉐일 가스 업체가 생산 할 수 있는 석유는 많은 거 같습니다
물가상승과 정책금리 설명 주신 부분 너무나 동의합니다. 하지만 조금 스탠스에 헷갈리는 부분이 있습니다. 박사님은 현재 30대들의 영끌 패닉바잉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요즘 3~4억 이상의 빚이 우스워진것은 능력이 상승한것이 아니라 그야말로 패닉때문인데요. 정책금리는 아니더라도 시중금리는 조금씩은 오르고, 당장 내년이 아니라도 FOMC 발표보다도 시장 상황에 따라 시기가 앞당겨질수도 있다 봅니다. 실제로 아파트 구입은 중장기적 계획으로 접근해야 한다봐서, 패닉 영끌이 상당히 걱정되보입니다. 저도 2012년 매도해서 손해도 보고 2016년 매수로 이익도 봤습니다만, 요즘 30대 영끌을 지지하시는지 궁금합니다.
@hs-jj6kz 41
2020년 12월 28일 07:20정부는 겁을 줘서 그나마 수요를 줄여보려 하는데 박사님 같은 분이 근거로 반박해주니 정부가 얄미워하겠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김명식 13
2020년 12월 28일 10:24예금금리가 서서히 오르고 있습니다.
은행에서 이 시점에 왜 금리를 올리고
있는지요?
@elsein72 10
2020년 12월 29일 17:21영상 감사히 잘 봤습니다. 급등은 없다는 작가님 말씀에 동감합니다만, 아시다피시 국고채10년물 시장금리는 이미 완만하게 오르고 있고 내년에도 계속 오를수 있을거 같은데, 이거 자체가 시장참여자들에게 강한 시그널이 되지는 않을까요.
2% 금리가 2.5%만 되어도 비율로는 25% 상승이니까요
ᄋᄋ열심히 살자 7
2020년 12월 28일 07:01촛불 배신한 역대급 쓰레기 정권
@user-vc4dz7eo9k 7
2020년 12월 28일 12:34경제지표 관련하여 기본기를 탄탄하게 항상 잘 알려주셔서 도움이 많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김점점 6
2020년 12월 28일 11:17물까 떨어지고 금리 못 오르니까 많이 사세요
난 돈없고 호구가 아니라 안사요
곱버스 5
2020년 12월 28일 06:51문정부 아무말 대잔치가 어제오늘일인가요
@yuhunkim9763 5
2020년 12월 28일 07:11메모하면서 두번 들었습니다.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bb bb 5
2020년 12월 28일 07:47영상 잘 보았습니다! 저 그런데 제가 뉴스를 보다보니 음료, 즉석밥 같은 공산품 가격이 오르고 구리, 옥수수같은 원자재가 오른다 해서 원자재 etf도 오르고 있고...전기세도 서서히 올라갈수밖에 없을 것 같은데..전 이게 인플레인줄 알았는데 물가가 급격하게 오르진 않는다는 표를 보니 이건 어떻게 해석해야할지 어렵네요 ㅎㅎ
@user-yx7vp5qy1o 4
2020년 12월 28일 10:57논리적인 설명에 쉽게 이해가갑니다
미어캣 4
2020년 12월 29일 14:42금리가 당장 오르지 못한다 해도 가계부채 문제는 심각 합니다
대부분 언론사 대주주가 건설사라 그런지 몰라도 영끌을 유도 하는 것은 문제가 있습니다
@user-ce6ur5bk8z 4
2020년 12월 28일 12:05코로나로 인해 급격하게 내린 금리는 코로나가 어느정도 잡히면 그때 내린 만큼 물가와 관계없이 올리지 않을까요?
김미온 3
2020년 12월 30일 20:21디플레 오는걱 아닌가요? 부동산 급등으로 가처분 소득 감소하고 , 실물 완전 바닥이고 구조조정 도 있을것 같은데..
이광훈 3
2020년 12월 28일 13:08조류독감으로 홍수로.. 쌀값 계란값 치솟았고 물가지수에 전월세 상승률 들어가는데 임대차 3법으로 치솟고 있고 유가도 그새 20프로 올랐는데요. 공부 더하세요. 눈에 보이는것 만 보지마세요.
그리고 추가로 반도체 파운드리 ASP 10프로 이상 인상 되었네요.. 내년 1월부터 적용입니다. 동부 삼성 주가가 왜 오를까요?
빠꾸없다 3
2020년 12월 28일 06:58금리를 억지로 올릴수도 있을듯요 지금 하는짓 보면
OTL절규 3
2020년 12월 28일 11:31금리오르고있는디?
뭐지
@mingkong8368 3
2020년 12월 31일 10:21코로나가 어느정도 없어진다면 사람들이 그동안 참아왔던 소비가 폭발한다면 물가가 상승할수도있지않을까요? 예를들면 전반적인 참아왔던 여행으로인해 비행기표도 많이비쌀거같고 등등이요
오호요홋 3
2020년 12월 28일 07:47도대체 왜 저렇게 거짓 선동까지하면서 집을 사지 말라할까요? .....
@300yardsmr.7 3
2020년 12월 28일 10:06항상 좋은 내용 잘 듣고 있습니다. 오늘 내용은 장관의 현안질의 답변 내용 소개하면서 시작하였는데 그 내용에 내년에 금리가 오른다는 내용은 없습니다.
주택대출은 보통 짧게는 수년간 길게는 수십년간 갚아나간다고 볼 때 내년 한해 금리전망으로 비판하기에는 무리가 있지 않나요?
@user-vr3qr8hd4r 3
2020년 12월 30일 21:11기준금리는 인상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부분에는 동의합니다... 그런데 시장금리는 다르게 움직일 가능성이 충분해 보이기도 합니다. 특히 연준도 장기채금리 상승을 용인하면서 자산시장 버블 및 빈부격차 양극화를 조절하려 할 가능성은 있지 않을까요? 달러가치 하락도 계속 방치할 수 있을지도 의구심이 들구요. 그냥 그런 생각이 드네요 ㅋ
@user-zh9fk2ed7l 2
2021년 1월 03일 17:38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그런데 마이크소리가 조금 울려서 마이크소리가 좀더 안정적였으면 좋겠습니다 !!
witten Edward 2
2020년 12월 28일 14:04물가지수에 전세 월세는 포함되어 있는데 왜 물가 안 오르나요?
@bka6390 2
2020년 12월 28일 09:30강의 잘 들었습니다. G2시대에 미국과 중국 그리고 우리나라 금리도 같이 비교 설명해 주시면 좀더 좋은 강의가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wp1ll7ev6y 1
2020년 12월 28일 14:31늘 해박한 지식을 통해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08년 서브프라임 사태이후 증가되고 있는 국가부채와 가계부채가 급격히 늘어난 이유로 각국의 이자부담에 대한 우려가 장기적으로 금리인상에는 부정적 요인일 것 같은데요. 적당한 인플레이션과 낮은 금리정책을 인위적으로 유지하여 부채부담을 롱텀에서 완화하거나 줄일 수는 없는지 궁금합니다.
ESG 1
2020년 12월 28일 08:39집값이 확실히 많이 뛴건 확실히 현실입니다. 10년전 개그맨이 서울에 2억3천정도면 전세집 가능해요 라며 풍자하듯 언급한 것만 봐도 느낌이옵니다... 금리와 관련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매번 불사조유튜브와 잘 챙겨보고있어요.
@collectr_k 1
2020년 12월 29일 00:12다양한 요인들이 이렇게 물가에 영향을 주는군요! 퍼즐이 맞춰지는 기분이드는 설명 감사합니다
ᅳᅳᅳ빡ᅳPro 1
2020년 12월 28일 12:54현미쌀 반대로하면 부자됨.
@thomasbragard2438 1
2020년 12월 28일 08:36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San 20 1
2021년 1월 06일 03:17금리를 올려야 부동산 폭등을 멈추고
대출투기꾼들에게 철퇴를 내릴터인데...
@user-lr2oz5zm3b 1
2020년 12월 28일 10:44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산수유 1
2020년 12월 28일 11:53금리가 오르니 지금집사야하는거아닌가
@user-zx7pk4fc5n 1
2021년 2월 12일 07:42박사님이 쓰신 디플레전쟁을 읽으면 더 깊은 이해를 할 수 있겠네요 감사합니다.
@user-od6gb3ne5n 1
2020년 12월 28일 17:39쉬운설명 감사합니다
@user-se6dl4se2i 1
2020년 12월 29일 00:32박사님 사..랑합니다
Bill Le 1
2020년 12월 29일 03:52박사님 신고가 찍었다던 아파트 거래량도 분석해주심 감사하겠습니다
신고가 찍었다는 대단지 아파트들 몇달동안 거래 한 건도없다가 요번에 전거래보다 3억 비싸게
딱 신고가 한 건찍혔던데요
이렇게 거래도 없는 상황에서 몇억 더 비싸게 찍힌 신고가를 경제학에서는 어떻게 보나요? 이 가격을 정상 시세로 봐야하나요?
https://youtu.be/hsjJ0tmDq7I
제가 듣고 있는 강의입니다.
4분 부터 들어봐주세요
이런 기이한 상황을 경제학에서는 어떻게 분석하는지 궁금합니다
skhj ou 1
2020년 12월 28일 12:06오늘도 은행금리 올린다고 계속 은행에서 문자왔는데..미국에서 내년에 올리는건 확실한데 한국에서 안올 릴 수 없음
김민희 1
2020년 12월 28일 11:26근데 왜 금리가 오르고 있죠?
Seung Yeol Lee
2020년 12월 31일 08:19고정금리인데 오르던 말던...
@user-le3gx4kv4k
2020년 12월 28일 12:50한국은 OECD국가들중 주택가격 상승률이 지극히 낮은수준이라는데 국제적인 기준에 비하면 아직 서울집은 저평가라는 주장도 있는데요.
또 어떤분은 주택가격 상승을 예상하지만
급등한 매매가에 실수요자들의 매수력이 줄어들어 2%남짓 오를것이다 주장하시는 분이 있습니다
박사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고견들 듣고싶습니다!
@kimprotv8369
2020년 12월 28일 12:29객관적인 진단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ensogo8137
2020년 12월 28일 06:57감사합니다!
@skywalkerhbh
2020년 12월 28일 06:55좋은영상 감사합니다
@user-su4us7tv6u
2020년 12월 28일 07:06감사합니다
전정희
2020년 12월 28일 11:48감사합니다
@seungjilee4333
2020년 12월 28일 06:53감사합니다^^
이은경
2020년 12월 28일 10:57백신 어쩌면 좋나요..어떻게 다른나라는 구입했는데 이런짓를 저지른 문재인때문에 홧병납니다 ..경기가 이렇게 엉망진창 인데 어떻게 백신구입을 안했는지 ..
김중앙
2020년 12월 28일 23:55좋은 영상 매번 감사해요
0707 jhey
2021년 1월 06일 14:42잘봤습니다^>>~
kery cho
2021년 1월 01일 23:42여러가지 요소들이 혼란 스럽지만 달러 약세 지속이 인플레이션을 잡아 둘거란 생각이 최종 결론 입니다.
Hee Sung Park
2021년 1월 08일 16:24아니 생활물과는 올랏는데 가까운 이마트만 나가보면 팩트를
Charles Hahm
2020년 12월 31일 17:54김현미야. 내년에 금리 오르니까 네 집 팔아라.
이춘희
2020년 12월 28일 12:53부동산과 친한 어머니가 2019년에 집을 넓은평수로 갈아타다자고 부동산의 조언을 듣고 그대로 했다러면 거의 4~5억을 벌었을텐데
고지식한 저의 고집으로 기회를 놓쳤네요
어쩔수 없이 개원이나 2021년은 제전문분야의 기술을 더배우고 노력하기로 하였는데
인생은 정말 알수 없는거 같아요
돈을 그때 좀 벌었더라면 40대후반 이제좀 쉬자 했을텐데요
항상 객관적 설명 감사합니다
오봉자
2020년 12월 28일 12:54👍👍
Daniel Lee
2020년 12월 28일 11:18우리덜 편이라고 무식한 장관을 앉혀 놓으니 부동산이 이모양이지. 어휴....역대급 무능. 잘 듣고 갑니다.~
충무
2021년 1월 27일 07:29영끌해서 집사다 집에 영혼팔아 노예되지 마세요
@ovestlago927
2020년 12월 28일 09:02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황프로
2021년 5월 15일 07:12집값이 지금도 엄청 오르네요
경제도 사회도 모르고 원칙도 없는 정권이 한심할 따름입니다
chi hoon Han
2021년 1월 03일 20:00한국이 경제성장하면 할수록 서울집값은 올라갈거임
H.K C
2020년 12월 29일 22:17그리고 어디선가 본거 같은데 향후 몇년간은 금리 인상은 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말 했던 적이 있어서
적어도 내년은 금리 인상이 힘들어 보입니다. 코로나가 진정되는 걸 보고 진행해도 늦진 않을거 같거든요
@user-xi3rm7ni6t
2021년 1월 05일 22:53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월부 팟캐스트 듣고 여기까지 왔습니다 !! 많이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
Danny Ocean
2020년 12월 28일 14:08아마존과 그 형제들이 존재하는 한, 연준이 몇년간 돈을 풀더라도 물가가 빠르게 오를거 같진 않습니다. 이 문제와 증시, 특히 위험자산과의 관계가 오묘해지는 요즘이네요 박사님 생각도 궁금합니다
김미온
2020년 12월 31일 20:58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어떤 애널분들은 내년 백신으로 상반기 지나면서 보복 소비가 증가로 인하여 물가상승과 인플레가 유래없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하더라구요.. 이부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부분이 금리 상승의 요인이 될것 같은데...
@eunjooshim5091
2020년 12월 28일 17:58늘 쉽고 이해하기 좋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빅데이터기술
2020년 12월 28일 08:41박사님 최고👍
H.K C
2020년 12월 29일 22:15오일쇼크 그러니까 석유 가격이 치솟는 일은 쉽게 일어나기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당장에도 서로 감산으로 가격을 조율하고 있고
원유를 팔아서 돈을 벌어야 되는 중동 국가 입장에선 일정 가격 이하로 원유가격이 떨어지면 안되는데
미국 쉐일 가스 업체가 그동안 너무 생산을 해서 이익을 챙겨가니 죽어보라고 가격을 내렸는데 코로나로 인해서 다시 가격을 조정하는 분위기 거든요..
정말로 원유가격이 치솟게 되면 쉐일 가스 업체들은 생산에 명분이 생기고 원유 가격을 다시 하락시킬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직도 쉐일 가스 업체가 생산 할 수 있는 석유는 많은 거 같습니다
양반
2020년 12월 31일 09:19물가상승과 정책금리 설명 주신 부분 너무나 동의합니다. 하지만 조금 스탠스에 헷갈리는 부분이 있습니다. 박사님은 현재 30대들의 영끌 패닉바잉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요즘 3~4억 이상의 빚이 우스워진것은 능력이 상승한것이 아니라 그야말로 패닉때문인데요. 정책금리는 아니더라도 시중금리는 조금씩은 오르고, 당장 내년이 아니라도 FOMC 발표보다도 시장 상황에 따라 시기가 앞당겨질수도 있다 봅니다. 실제로 아파트 구입은 중장기적 계획으로 접근해야 한다봐서, 패닉 영끌이 상당히 걱정되보입니다. 저도 2012년 매도해서 손해도 보고 2016년 매수로 이익도 봤습니다만, 요즘 30대 영끌을 지지하시는지 궁금합니다.
호랭이
2021년 1월 02일 14:10금리가 오르면 집값이 하락하는게 아닙니다. 부동산이 그렇게 단순한게 아닌데 ㅎㅎ
원탑
2021년 1월 04일 19:24박사님 통게청 자막 오타났어용~ ㅎㅎ
H.K C
2020년 12월 29일 22:15오일쇼크 그러니까 석유 가격이 치솟는 일은 쉽게 일어나기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당장에도 서로 감산으로 가격을 조율하고 있고
원유를 팔아서 돈을 벌어야 되는 중동 국가 입장에선 일정 가격 이하로 원유가격이 떨어지면 안되는데
미국 쉐일 가스 업체가 그동안 너무 생산을 해서 이익을 챙겨가니 죽어보라고 가격을 내렸는데 코로나로 인해서 다시 가격을 조정하는 분위기 거든요..
정말로 원유가격이 치솟게 되면 쉐일 가스 업체들은 생산에 명분이 생기고 원유 가격을 다시 하락시킬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직도 쉐일 가스 업체가 생산 할 수 있는 석유는 많은 거 같습니다
양반
2020년 12월 31일 09:19물가상승과 정책금리 설명 주신 부분 너무나 동의합니다. 하지만 조금 스탠스에 헷갈리는 부분이 있습니다. 박사님은 현재 30대들의 영끌 패닉바잉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요즘 3~4억 이상의 빚이 우스워진것은 능력이 상승한것이 아니라 그야말로 패닉때문인데요. 정책금리는 아니더라도 시중금리는 조금씩은 오르고, 당장 내년이 아니라도 FOMC 발표보다도 시장 상황에 따라 시기가 앞당겨질수도 있다 봅니다. 실제로 아파트 구입은 중장기적 계획으로 접근해야 한다봐서, 패닉 영끌이 상당히 걱정되보입니다. 저도 2012년 매도해서 손해도 보고 2016년 매수로 이익도 봤습니다만, 요즘 30대 영끌을 지지하시는지 궁금합니다.
@user-fj4vd3rn6d
2020년 12월 28일 21:23감사합니다 강의가 너무깔끔해서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user-bb8ly4pm9z
2020년 12월 28일 15:57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교수님.
@sirkahong1809
2020년 12월 30일 10:08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주로 10분 안쪽의 강의로 집중력 있게 들을 수 있는 점이 좋습니다. 너무 길면 집중력이 떨어지거든요.
박사님 말씀에 아주 동감합니다.
@up-so-you
2020년 12월 30일 06:21선생님 영상 재밌게 잘 보고 늘 배웁니다 궁금한게 있는데 기준금리 인상은 안하더라도 시중금리는 우상향 할 수 있지 않나요? 물론 2021년까지는 집값이 계속 상승할 거 같습니다만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kd-te9ny
2021년 1월 04일 13:26결국 교수님께서는 금리가 오를수는 있으나 그 폭이 아주 미미하다는 것이네요 강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