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게는 이상기후(라리냐)로 인한 생산량 감소, 코로나로 인한 수요 증가, 이로 인한 공산국가/사회적인 국가들의 곡물가 상승에 대한 자국민 보호인 것 같습니다. 가장 중요한 요인은 이상기후 입니다. 원래는 19/20년의 곡물 최대생산령애 이어 20/21년에는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이 되었었는데요..
1. 작년 곡물가 상승은 라리냐에 따른 기상현상 (아시아 폭우, 미/남미 가뭄, 유럽 가뭄) 2. 기존 중국의 옥수수 재고보유 정책에서 2억톤 이상의 재고를 매년 보관 중 broken, 곰팡이 등 품질 저하 문제로 재고량 감소 정책 =>연간 수입량 약 4백만톤=>12백만톤 정도 증가 전망 3. 경작지 증대 및 풍작 예상으로 상당히 낮았던 곡물가에서 미리 시카고선물에 연동해서 판매한 대량의 곡물의 숏커버링 물량 증가 =>곡물은 선적월에 따른 가격이 다르고, 실제 선적기일을 못 맞추면 어마어마한 패널티가 있음 4. 위 풍작전망으로 시카고선물에 short물량이 많았었으나 생산량 감소로 short-covering등 가격 상승 요인 증가 5. 유동성 증가로 funds상품에 자금 유입. 이 중 농산물을 일부 포션으로 가지고 있는 경우엔 가격에 상관없이 일정포션의 농산물 매수로 가격 상승 6. 코로나로 인한 기존 밀 수입국 뿐만 아니라 생산국에도 수요량 증가 7. 달러 약세로 인한 미산 곡물가격 수출경쟁력 강화 (eu/남미산대비) 8. 다만, 코로나로 인한 유가감소 및 바이오에탄올 수요량 감소로 그나마 상승 제한됨 9. 현재 주요 곡물 수출국인 아르헨티나의 파업 심화로 대량의 곡물 수출 중단 사태 =>주요 수입국인 브라질의 미산 밀 수입 증가로 가격 상승세 10. 세계 1위 밀 수출국 러시아의 내수 곡물가격 안정화를 위한 21년 2/15일부터 6월까지 밀 신곡 수출세 25유로/톤 부과 11. 주요 옥수수 수출국인 아르헨티나 자국 곡물가 안정을 위해 21년 2/28일까지 옥수수 수출 금지 조치
등등 21년 1분기 또는 2분기까지는 지금처럼 강세로 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겨울작물인 밀이 수확이 되어감에 따라 다르겠지만... 아직도 미/아르헨티나/브라질은 상당히 건조하다고 합니다...
오늘 전혀 안그럴거 같은 분께서 주식에 대해서 물어보네요. 버핏지수, CAPE 지수 또한 역대급으로 높아지고 있고요. 제 생각에도 가장 걱정되는 요소중의 하나가 신흥국발 경제위기인데, 보호주의가 더 강화되면서 신흥국 실업률 상승, 농산물가격급등 인데, 여기에 정말 금리까지 높아지면...이럴때일수록 교수님 영상이 알고리즘으로 위에 많이 떠야되는데 ㅜㅜ 모두가 다른사람들의 수익률만을 보기 시작한거 같습니다. 정말 어느때보다 리스크관리에 집중해야할 시기 인거 같습니다. 오프라인 강의로도 직접 봤었는데 이렇게 좋은 영상을 올려주셔서 항상 고맙습니다.
@월급의종말 18
2021년 1월 04일 07:17현재 곡물가 상승의 원인은 대략적으로 하기와 같습니다.
크게는 이상기후(라리냐)로 인한 생산량 감소, 코로나로 인한 수요 증가, 이로 인한 공산국가/사회적인 국가들의 곡물가 상승에 대한 자국민 보호인 것 같습니다. 가장 중요한 요인은 이상기후 입니다. 원래는 19/20년의 곡물 최대생산령애 이어 20/21년에는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이 되었었는데요..
1. 작년 곡물가 상승은 라리냐에 따른 기상현상 (아시아 폭우, 미/남미 가뭄, 유럽 가뭄)
2. 기존 중국의 옥수수 재고보유 정책에서 2억톤 이상의 재고를 매년 보관 중 broken, 곰팡이 등 품질 저하 문제로 재고량 감소 정책
=>연간 수입량 약 4백만톤=>12백만톤 정도 증가 전망
3. 경작지 증대 및 풍작 예상으로 상당히 낮았던 곡물가에서 미리 시카고선물에 연동해서 판매한 대량의 곡물의 숏커버링 물량 증가 =>곡물은 선적월에 따른 가격이 다르고, 실제 선적기일을 못 맞추면 어마어마한 패널티가 있음
4. 위 풍작전망으로 시카고선물에 short물량이 많았었으나 생산량 감소로 short-covering등 가격 상승 요인 증가
5. 유동성 증가로 funds상품에 자금 유입. 이 중 농산물을 일부 포션으로 가지고 있는 경우엔 가격에 상관없이 일정포션의 농산물 매수로 가격 상승
6. 코로나로 인한 기존 밀 수입국 뿐만 아니라 생산국에도 수요량 증가
7. 달러 약세로 인한 미산 곡물가격 수출경쟁력 강화 (eu/남미산대비)
8. 다만, 코로나로 인한 유가감소 및 바이오에탄올 수요량 감소로 그나마 상승 제한됨
9. 현재 주요 곡물 수출국인 아르헨티나의 파업 심화로 대량의 곡물 수출 중단 사태
=>주요 수입국인 브라질의 미산 밀 수입 증가로 가격 상승세
10. 세계 1위 밀 수출국 러시아의 내수 곡물가격 안정화를 위한 21년 2/15일부터 6월까지 밀 신곡 수출세 25유로/톤 부과
11. 주요 옥수수 수출국인 아르헨티나 자국 곡물가 안정을 위해 21년 2/28일까지 옥수수 수출 금지 조치
등등 21년 1분기 또는 2분기까지는 지금처럼 강세로 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겨울작물인 밀이 수확이 되어감에 따라 다르겠지만... 아직도 미/아르헨티나/브라질은 상당히 건조하다고 합니다...
0707 jhey 1
2021년 1월 06일 21:57땅 ㅈ ㄱ에 홍박사님 ㅋ출연료좀 올려 주는게 좋겠다고 댓글 달았는데
홍박사님 보기전에 얼른 지우라고 답글 달림 ㅋㅋㅋ
@jampbsc1952 1
2021년 1월 08일 23:58교수님..! 불황시 선진국은 디플레가 일어나고 신흥국은 디플레가 일어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브롤하는우동 1
2021년 1월 11일 06:23홍박사님....말이 너무 빨라요
@leeultimatum 1
2021년 1월 07일 15:28이런 좋은 컨텐츠를 제공해주시는데 구독자수가 안 따라주네요;; 늘 잘 보고있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교수님 ^^
@오돼지-h8o 1
2021년 1월 06일 02:21조금 쉽게 말씀해 주세요~ㅋㅋ
@esg6087 1
2021년 1월 04일 08:48감사합니다 교수님 농작물 인플레이션이란 용어인것같아요 증시에도 충분히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이 새롭게 와닿네요 불사조님과 함께 공부하고있습니다. 새해복많이받으세요!!
@m.p4357 1
2021년 1월 07일 23:14안녕하세요 교수님, 말씀 잘 듣고 있습니다. 예전에 몇번 진행하셨던 라이브 방송은 이제 안하시나요? 많이 바쁘시겠지만 가끔이라도 진행해 주시면 소통 및 궁금증 해결에 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everybobygetrich
2021년 1월 12일 10:26현물 시장이나 다른 여러 시장의 불안이 정치적 전복과 혁명과 관계가 있다니 신기하고 놀랍습니다.
그럼 혹시 촛불시위 혹은 혁명이 있던 그 즈음 에는 영향 을 미친 시장 상황이 있었나요? 궁금합니다!
@sooshin3569
2021년 1월 04일 11:03감사합니다.
김귀리 모두의 재테크
2021년 1월 04일 08:47오늘도 감사합니다.
@김이다-n1y
2021년 1월 05일 15:32흠... 걱정마시오
@yhsdj22222
2021년 1월 09일 07:13오늘 전혀 안그럴거 같은 분께서 주식에 대해서 물어보네요. 버핏지수, CAPE 지수 또한 역대급으로 높아지고 있고요. 제 생각에도 가장 걱정되는 요소중의 하나가 신흥국발 경제위기인데, 보호주의가 더 강화되면서 신흥국 실업률 상승, 농산물가격급등 인데, 여기에 정말 금리까지 높아지면...이럴때일수록 교수님 영상이 알고리즘으로 위에 많이 떠야되는데 ㅜㅜ 모두가 다른사람들의 수익률만을 보기 시작한거 같습니다. 정말 어느때보다 리스크관리에 집중해야할 시기 인거 같습니다. 오프라인 강의로도 직접 봤었는데 이렇게 좋은 영상을 올려주셔서 항상 고맙습니다.
@qodnxnx
2021년 1월 04일 14:57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늘 기다리고 있어요😄
@tiokim7633
2021년 1월 04일 11:31뇌색남~~ 감사합니다
@김종연-o4s
2021년 2월 17일 21:44항상 잘 듣고 있숩니다.
남들 20분 걸릴 것을 8분 이내로 간결하게 설명해 주시니 참 좋습니다.
@in8316
2021년 1월 04일 06:54좋은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에그플레이션이라는 용어는 처음 들어봤는데, 국제 유가와 더불어 곡물 생산량/가격 변화도 주시해야겠네요.
@tonykim3501
2021년 1월 05일 16:28오늘도 감사합니다
@엘시에더리
2021년 1월 04일 07:47감사합니다 박사님
@그래비티-f9j
2021년 1월 04일 06:47교수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0707 jhey
2021년 1월 06일 14:13땅짚고 영상보고 구독하러왔습니다~^^
@노인선-c2w
2021년 1월 06일 10:18작가님 책을 읽고 리스크 헷징용으로 미국 채권을 etf로 구매했는데 달러약세시 대비용으로 맞는 것입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