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삶입니다. 그러나 욕망에 집중하여 살기 위해서는 용기가 필요합니다. 대부분 이 용기가 부족하여 좌절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사회는 그 좌절을 공감하는 사람이 적기 때문에 더더욱 그렇고요. 욕망을 다스리는 삶을 시작할 때, 대부분 서투르고 넘어지기 마련입니다. 한국에서는 그 넘어짐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물론, 요즘들어 인식의 변화가 시작하는듯 합니다. 안타까운 것은 그 주체가 소위 '갑'의 위치에 있는 부류가 아니라는 것이죠. 어쨌든, 그 기회의 기회가 많은 미국이라는 나라조차 한계가 있습니다만 적어도 미국 수준으로 실패를 인정하고, 다시 기회가 주어지는 사회가 된다면 분명 한국이 혁신의 주체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 강연자의 강연 소개 : 우리는 왜 행복하지 않을까요? 우리는 왜 일에 몰두하지 못할까요? 우리는 왜 지식이 늘어나도 자유롭지 못할까요? 우리는 왜 생기가 충만한 일상을 영위하지 못할까요? 왜 창의적이지 못하고 상상력이 충만하지 못할까요? 재미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론적 체계나 이념을 숭배하고 그것들에 지배되는 한 구체적 일상에서 작동하는 본래적 자아는 소외될 수밖에 없습니다. 본래적 자아의 생명력을 회복하여 자신의 욕망에 집중해야 합니다. 그러면 자신이 가야 할 길이 보이고, 자신이 찾은 그 길에 몰두하여 진정으로 행복하고 자유로운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삶이 재미있어집니다. 재미있어야 열심히 하고 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이 강연은 2012년 강연 영상을 고화질로 재업로드 한 강연입니다 ✻ 오상우 강연자의 강연 섭외는 세바시로 문의주세요! ☞ 문의전화 | 02-2652-2102 ✻ 강연 영상이 올라올 때마다 보고 싶다면 지금 클릭(알람설정)! ☞ http://bit.ly/2odEydm
우리는 세상에 태어나면서 나를 이해하고 알게 하는 공부가 아닌 세상에서 정해 놓은 고착화된 지식만 가르치고 배우고 했기에 진정 나를 모르고 살게 되지요 나는 없고 타인이 만든 나만 존재하게 되지요 그러다 내 삶이 엉키고 꼬이고 풍랑을 만나게 되면서 스스로 나를 찾기 시작하는 여행을 하게 되지요 누구나 그런건 아니지만요 나를 찾아야 나만의 삶을 풀어나가고 헤쳐나갈수 있기 때문이죠 자기이해... 수년이 걸리기도 수십년이 걸리기도 평생 아니 담생까지도 갈수 있을거에요 하지만 내가 숙제를 풀어 놓은 만큼 다음에 이어지기에 우리네 인생은 쉼 없이 하루하루 내 삶의 충실하며 살아갈수 밖에요
하여 저는 최고의 스승은 나에게 주어진 내 삶이라고 감히 말하고 삽니다 삶 속에 우리 인생의 모든 답이 있어요 저도 아직도 찾아가고 있는중이구요 우리 모두 행복한 삶을 위해 홧팅!
지식이 증가하고 경험이 늘어남에 따라서 더 성숙하고 더 명철해졌다고 생각하시나요? 지식이 늘어나고 경험이 늘어남에 따라서 행복해 져아하는데 , 더 창의적이 되셨나요? 가족끼리 관계가 더 좋아지고 직장에서 더 좋은대우를 받나요? 왜 더 자유스럽지 않고 행복하지 않고 더 똑똑해진것 같지도 않고 이웃과 가족과 더 좋아지지 않고 왜...왜...그렇습니까? 지식이란 정말 우리에게 좋은것인가요? 지식을 손안에 두고 다루는것이 아니고 지식의 지배를 받고 있고 지식의 주도권을 잡고 있는것이 아니라 지식에게 주도권을 넘겨주고 지배를 받고 있습니다. 우리가 어떻게 살것인가 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과 맞닿아 있습니다. 자기가 자기의 삶의 주인으로 살것인가.. 여러분 선택의 몫입니다.
싸이코패스는 자신이 욕망하고 바라는 일을 하고 삽니다.누구보다 행복한 삶을 살죠 그런 사람들을 우리는 증오합니다. 그리고 가슴속에 아무것도 하고싶지 않는 그런류에 사람도 있을 겁니다.그래서 아무것도 안하고 사는데 그게 또 굉자히 우울한 사람도 있어요 행복한 사람이 되는건 참으로 어려운거 같습니다
주위를 둘러싼 환경과 사람들이 모두 한 가지를 바라보고 있는 상황에서 그와 다르게 살아가기는 정말 어려운 것 같습니다. 하지만 자신을 돌아보고, 내가 언제 가장 행복했는지, 무슨 일을 했을 때 가장 시간이 빨리 갔는지를 돌이켜 생각하는 것이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결국 이것은 최진석 교수님께서 말씀하신 자신의 욕망에 집중하는 것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저에게 도움이 되는 강의를 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넘쳐나는 정보에 오히려 더 갈등하고 집착하고 생각이 많아지고 그래서 마음은 불행한 상태. 물론 음악 예술 취미등의 풍부한 정보가 주는 행복도 있지만 .너무 많이 알아 생기는 관리 흡수 부족 뇌의 상태. 정신병 걸리기 딱좋은 지금 세상. 그나마 훌륭한 강의가 고뇌를 씻어주는 역할을 하는거 같음.
니체가 행복도 훈련이 필요하다고~했던가?한살 더 먹고,아들도 내손을 더 필요로 안하니,온전히 나자신에 집중해본다~어느유명여배우수상소감이던가!누구의딸,누구엄마,오누이,아내가 아닌 자신으로 살길바란다고~인생은 그리 길지도않으니 주변에 얽매여 너무 힘들어하지말라는~인생의 중반이되니 딱히 남을 의식 안하고,비교는 안하는데~정작 내가 뭘 욕망하는지~뭘할때 가장 행복한지 !우스개소리~재수없으면 의학의발달로 200살 가까이 살게된다는데~푸하하
누구나 개별자의 삶을 살지만 대부분의 인생은 보편자로 살아간다. 획일적인 세상의 구습에젖어 산다. 누군가의 아들로.남편으로 친구로. 욕망을 따라산다는건 상상계의 삶을 산다는 말이다. 좌파적 무의식의 이데아적 상상이 아닌. 철학적이고 영적인 삶이다. 이것은 끝임없는 내적자아의 붕괴와 오랜기다림을 통해 승화되어 간다. 대부분의 인간은 환경의 노예. 돈의 노예. 지식의 농예. 관심의 노예. 인정의 노예.죽음의 노예로 살아간다. 질적인 비약은 완전히 자신이 놓여있는 판이 뒤집히는것을 말한다. 수학을 잘하던 사람이 더 잘하는 그런유형의 성장이 아닌. 우리 안에 내재하는 무의식의 무수한 내가 벗겨지며 나타나는 본질적이고 질적인 서광의 빛이다.보이지 않는 불안과 위험앞에 눈을 담고 귀를 감고 현실에 더 순응한다. 어쩌면 이또한 자신의 그릇이고.분량인지도 모른다. 저영상의 철학자의 개념과는 다른사유와 질적인 비약을 경험해나가기 위해선 자기극기라는 수도의 삶은 사실 크나큰 매력이 없다. 시인 고x. 연출가 이 모x기 처럼 . 개별 영역의 스승이고 구도자로 생각 되는 인물들은 대체로 상상을 하며 자기를 깨트린 자아의 ㅇ화를 경험해나가는 인간들이다. 두려움은 피할것이 아닌 싸워야할 대상을 배운 존재들. 결국 보편적 자아와 조명에서는 그들은.슈퍼맨이 였지만 보편적 조명이 붙잡는 상식과 도덕이란 윤리성 아래서는 그들은 괴물이였다. 빛과 그림자는 언제나 비례한다. 커다란 빛의 사람이 되고 싶은가. 깊은 어둠의 터널을 지나가라. 자아의 죽음. 끝없는 내안의 거짓된 욕망과 타락한 마음과 싸우라. 원천적 기쁨은 쥐어짜냄이 아니다. 내안에서 흘러 넘침이다. 생수같은 기쁨과 평안이..
충분히 공감되고 이해되는 강의입니다ㆍ제가 유튜브강의보고 생각지도 못한 새로운것을 깨달았습니다ㆍ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욕망ㆍ자신을 사랑하라ㆍ이런것이 나답게 사는것이라는 드는 강의를 다른유튜브로 보고 했는데 개인적인 생각이 드는데 사실그렇지 못한 주변 환경도 많고 그렇다고 나 혼자 사는 세상도 아닌데 혼란스러울때가 많아요ㆍ
이시대 정신적 방향타를 가진 최진석 교수님 화이팅 우리들 마음속에 노벨상 최진석 자신의 욕망에 집중하라 삶의 충동 생명력 자발성 다른곳으로 가려는 의지가 욕망이다 즉 고유한 나만의 것이다 지식과 경험이 늘어남에 따라 이웃과 가족과 잘 지내고 명철 성숙해지고 자유롭게 살고 행복 해진다 즉 지식의 지배를 받지 않아야 한다
JJ 323
2020년 1월 05일 20:23왜 사람들은 창의적이지 못하는가
왜 상상을 하지 못하는가
자기가 자기로 존재하지 않고
이미 체계의 노예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연화 292
2020년 1월 04일 19:50이런 강연을 집에서 이불덮고 누우면서 볼 수 있다니!
Harry E 135
2020년 1월 04일 06:53노래하라 아무도 듣고 있지 않는 것처럼
Right영어 124
2020년 1월 03일 18:22공유되지않는 나만의 고유성과 자발성을 죽이지말고 발현하기
낮달 124
2020년 1월 03일 19:11제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삶입니다.
그러나 욕망에 집중하여 살기 위해서는 용기가 필요합니다. 대부분 이 용기가 부족하여 좌절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사회는 그 좌절을 공감하는 사람이 적기 때문에 더더욱 그렇고요.
욕망을 다스리는 삶을 시작할 때, 대부분 서투르고 넘어지기 마련입니다. 한국에서는 그 넘어짐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물론, 요즘들어 인식의 변화가 시작하는듯 합니다. 안타까운 것은 그 주체가 소위 '갑'의 위치에 있는 부류가 아니라는 것이죠.
어쨌든, 그 기회의 기회가 많은 미국이라는 나라조차 한계가 있습니다만 적어도 미국 수준으로 실패를 인정하고, 다시 기회가 주어지는 사회가 된다면 분명 한국이 혁신의 주체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소수지만 이렇게 지속적으로 자극하는 분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저를 위로합니다.
윤윤 88
2020년 1월 05일 08:10눈치를 보는 오랜 습성이 있는데요,, 주기적으로 최진석 교수님 강의를 찾아들으며 힘을 냅니다. 충동, 생명력, 자기만의 고유한 자발성, 힘, 의지!
세바시 강연 Sebasi Talk 74
2020년 1월 03일 18:20✻ 강연자의 강연 소개 : 우리는 왜 행복하지 않을까요? 우리는 왜 일에 몰두하지 못할까요? 우리는 왜 지식이 늘어나도 자유롭지 못할까요? 우리는 왜 생기가 충만한 일상을 영위하지 못할까요? 왜 창의적이지 못하고 상상력이 충만하지 못할까요? 재미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론적 체계나 이념을 숭배하고 그것들에 지배되는 한 구체적 일상에서 작동하는 본래적 자아는 소외될 수밖에 없습니다. 본래적 자아의 생명력을 회복하여 자신의 욕망에 집중해야 합니다. 그러면 자신이 가야 할 길이 보이고, 자신이 찾은 그 길에 몰두하여 진정으로 행복하고 자유로운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삶이 재미있어집니다. 재미있어야 열심히 하고 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이 강연은 2012년 강연 영상을 고화질로 재업로드 한 강연입니다
✻ 오상우 강연자의 강연 섭외는 세바시로 문의주세요! ☞ 문의전화 | 02-2652-2102
✻ 강연 영상이 올라올 때마다 보고 싶다면 지금 클릭(알람설정)! ☞ http://bit.ly/2odEydm
✻ 세바시 콘텐츠의 A 부터 Z까지 누릴 수 있는 유튜브 멤버십 http://bit.ly/2URQKU4
✻ 가장 빠른 세바시 강연회 신청 https://apply.sebasi.co.kr
✻ 세바시 홈페이지에서 강연회와 연사들의 다양한 강의를 만나보세요! ☞ http://www.sebasi.co.kr
세바시 페이스북 페이지 | http://www.facebook.com/sebasi15
세바시 인스타그램 | http://www.instagram.com/sebasi15/
세바시 카카오스토리 | http://story.kakao.com/ch/sebasi
✻ 세바시 강연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세상을바꾸는시간15분’에 있습니다. 영상 및 오디오의 불법 다운로드 및 재업로드, 재가공 등의 행위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오뚝쓰 66
2020년 2월 23일 05:42노래하라 아무도 듣고있지 않은 것처럼(= 자신의 욕망에 집중.)
체계에서 자유로워져야 욕망에 집중 할 수 있다.
*체계 : 남의 시선, 남의 틀, 남의 기준 욕망 : 나의 시선, 나의 틀, 나의 기준
신공이산-인생문답TV 63
2020년 1월 09일 22:40나로 살았는가,아님 남이 원하는대로 살았는가는 죽을때 안다..
ram ram 44
2020년 1월 10일 19:37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선에서 본인이 원하는 것, 하고싶은 것, 좋아하는 것을 하라는 의미로 받아들이겠습니다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
Water Existing 43
2020년 1월 07일 09:10살아가라, 최초의 인간인 것 처럼
caramelo 38
2021년 7월 16일 16:37욕망을 사랑하지 않으면 자기는 존재 하지 않아요 ㅠㅠ 눈물나는 말씀입니다. ㅠㅠ
김김김기김 37
2020년 1월 05일 11:10교수님 책이 군생활중에 큰 도움이되었습니다. 구체적으로 뭐라 할 순 없지만 지금도 제 머리 한구석에서 저의 주체성을 받치고있는 기둥의 하나로 남아있습니다.
전체주의 성격이 강한 한국사회에 이런 지식인이 있다는것이 큰 행운입니다
효도는셀프 37
2020년 1월 03일 21:30내 삶은 내가 주인으로 사는것!! 명쾌하고도 중요한 것이네요.👍
jcate 34
2020년 1월 04일 14:24창의성은 어떻게 나오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대답을 해주신거 같네요. 연초에 이런 강의 듣게 돼서 정말 좋네요. 감사합니다.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남산 31
2020년 1월 04일 18:24늘 화두를 던지는 최진석 교수님 대단하다.
숲이야기 김포스 Forest Story FosKim 31
2020년 1월 03일 18:15자신의 욕망을 사랑하자!
박상현 23
2020년 1월 03일 21:25제가 존경하는 최진석 교수님 ~ 새해에 출연하셨네요
너무나도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wealthy person 21
2020년 1월 03일 21:45함축적이지만 명확하게 우리나라에 필요한 마음가짐을 잘 전달해주셨네요! ^^
changho lee 20
2020년 1월 06일 16:08너무 좋네요 머리가 맑아지고 가슴이 시원하게 뚫리는 느낌입니다.
Success Code, 데일리 동기부여 채널 20
2020년 1월 03일 18:58제가 정말 존경하는 교수님이 세바시에 나왔네요 ㅎㅎ 욕망에 집중하라! 소중한 강연 감사합니다
ᆞ소화델사 19
2020년 1월 06일 09:41욕망해도 괜찮다고?
욕망하는게 맞다고?...!
너무 늦었다고..?
이제라도 다행이라고..!😢
Bona Park 18
2020년 1월 07일 02:47철학과 명예교수님은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님을 깨달았다!
임미류나무 17
2020년 1월 07일 18:37교수님
이짧은 강의는
정말 명확합니다
내가 나로 존재해야하는 이유
감사합니다
이지향 16
2020년 1월 06일 01:36구체적 일상에서
본래적 자아의 생명력회복이 강의핵심인거 같네요
우리는 세상에 태어나면서 나를 이해하고 알게 하는 공부가 아닌 세상에서 정해 놓은 고착화된 지식만 가르치고 배우고 했기에 진정 나를 모르고 살게 되지요
나는 없고 타인이 만든 나만 존재하게 되지요
그러다 내 삶이 엉키고 꼬이고 풍랑을 만나게 되면서 스스로 나를 찾기 시작하는 여행을 하게 되지요
누구나 그런건 아니지만요
나를 찾아야 나만의 삶을 풀어나가고 헤쳐나갈수 있기 때문이죠
자기이해...
수년이 걸리기도 수십년이 걸리기도 평생 아니 담생까지도 갈수 있을거에요
하지만 내가 숙제를 풀어 놓은 만큼 다음에 이어지기에 우리네 인생은 쉼 없이 하루하루 내 삶의 충실하며 살아갈수 밖에요
하여 저는 최고의 스승은 나에게 주어진 내 삶이라고 감히 말하고 삽니다
삶 속에 우리 인생의 모든 답이 있어요
저도 아직도 찾아가고 있는중이구요
우리 모두 행복한 삶을 위해 홧팅!
Jason Kim 15
2020년 1월 05일 15:01지식이 증가하고 경험이 늘어남에 따라서 더 성숙하고 더 명철해졌다고 생각하시나요? 지식이 늘어나고 경험이 늘어남에 따라서 행복해 져아하는데 , 더 창의적이 되셨나요? 가족끼리 관계가 더 좋아지고 직장에서 더 좋은대우를 받나요? 왜 더 자유스럽지 않고 행복하지 않고 더 똑똑해진것 같지도 않고 이웃과 가족과 더 좋아지지 않고 왜...왜...그렇습니까? 지식이란 정말 우리에게 좋은것인가요? 지식을 손안에 두고 다루는것이 아니고 지식의 지배를 받고 있고 지식의 주도권을 잡고 있는것이 아니라 지식에게 주도권을 넘겨주고 지배를 받고 있습니다. 우리가 어떻게 살것인가 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과 맞닿아 있습니다. 자기가 자기의 삶의 주인으로 살것인가.. 여러분 선택의 몫입니다.
Duck Koon Chung 15
2021년 7월 24일 01:30이세상은 내가 주인으로 산다고.남의 눈치볼것없이..살아도 나요...죽어도 나요...왜 .눈치보면서 사느냐....💯💖👍
덴마큰 농장 14
2020년 1월 05일 10:24충격적인 강의! 감사합니다.
이동현 14
2020년 1월 05일 23:32와 진짜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23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이런 말씀 들을 수 있어서 다행입니다.
Tactical Gun 11
2020년 1월 05일 09:09균형과 분별의 끝판왕
tangs Goos 11
2020년 1월 11일 19:39철학과 교수는 다르네. 개돼지들만 넘치는 세상에서 뭔가 말같은 소리를 한다.
하바나 11
2021년 7월 17일 18:48이제 한국 공교육 초등과정부터
늦어도 중등과정부터 이런 철학교육의
필요성을 뼈저리게 느낍니다.
알지못한다 11
2020년 1월 05일 08:26자신의 욕망을 지배하는 자는 세상을 움켜지진 않아도 자신의 삶에서 가장 강력한 힘을 사람이 되겠네
위트가이K 11
2020년 1월 04일 12:55진짜..나 댓글 잘 안쓰는데 이건 진짜 인생의 진리가 담긴 강연이다.. 최고다..
송숙현TV 10
2020년 1월 03일 18:28역시! 최진석 교수님~~!!!👍👍👍
고맙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김동수 10
2020년 1월 04일 05:20"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
이 화두는 욕망을 만들어낸다
"나 삶이 나에게 요구하는 삶은 무엇인가?" 이것은 사명감을 만들어낸다...사명감이 우선되어야 한다...
사명감보다 우선인 것은 견성체험이다.
마음속에 숨겨져있는 참나를 만나면서 진정한 공부는 시작되는 겁니다.
철학은 더 많이 학습하고자 하지요. 하지만, 진리공부는 모르고 있다는 것을 알아가는 공부이지요. 그래서, 진리공부는 하면 할수록 적어지지만, 철학은 하면 할수록 많아져, 더 혼란스러워지지요...
Beyou 9
2020년 1월 04일 05:11너무 와닿는 강연이에여:)보이지 않는 너머의 것들을 늘 염두하며 살아갑니다. 일단 지금 이순간에 주어진것, 감사하며 행복을 선택합니다.
berryberry 8
2021년 3월 06일 06:41교수님 강의는 핵심을 꿰뚫는 힘이 있어요. 교수님,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Kyu-Sang Park 8
2021년 7월 05일 06:38이런 내용은 자기자신을 절제하고 인생을 경영할 자질을 수련한 사람에게 적용되는 철학적 가치이다. 마지막 결론만 아무에게나 쉽게 도용되면 허망하거나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Eric Yoon 8
2020년 1월 04일 00:02나에게 있어서 세바시 역사 중에 최고의 명강연이었다! 그냥 게임 끝!
옥팀장TV 8
2020년 1월 05일 21:42초보유투버인 저에게 가장 필요한 말씀 이네요 나의 욕망과 유투버 ^♡^~
아낙 7
2020년 1월 03일 18:06무지한것보다낫다.철학~철학과교수님 좋아했는데 ㅍㄷㄷ
JIN's garden & paintings 6
2021년 3월 19일 12:34최고의 강의였습니다
k97cho 6
2020년 1월 08일 01:17싸이코패스는 자신이 욕망하고 바라는 일을 하고 삽니다.누구보다 행복한 삶을 살죠 그런 사람들을 우리는 증오합니다. 그리고 가슴속에 아무것도 하고싶지 않는 그런류에 사람도 있을 겁니다.그래서 아무것도 안하고 사는데 그게 또 굉자히 우울한 사람도 있어요 행복한 사람이 되는건 참으로 어려운거 같습니다
ᄋᄋ 6
2021년 7월 20일 18:03그 전에 그 욕망이 타인과 사회의 인정을바란 욕망인지 스스로 욕망하는 진짜 욕망인지 구별부터 해야할듯.
sukmin won 6
2020년 1월 07일 22:11반갑습니다~!
현대철학자 노자 강의(전강) 3번이상 봤습니다~(여행갈때 비행기에서 맨날봄^^)
무위, 유무상생~^^
세상을 보고 느끼는 힘을 갖게 되었던 강의!
이번 세바시 강연도 주옥같았습니다!
건강하시고 또 좋은 강연, 강의 해주세요~!!
amour 6
2021년 2월 21일 17:15탁월한 사유의 시선 제일로 애정하는 책인데 책 표지의 아저씨가 교수님이셨구나 ... 내 안에서 갈망하는건 언제나 나만의 철학, 내 자신의 가치 그리고 그 옆엔 항상 교수님이 계셧군요. 이번에도 선생님을 한번 더 찾게되었습니다. 저는 롤모델을 이제야 찾았네요
이정섭 6
2020년 1월 11일 20:31주위를 둘러싼 환경과 사람들이 모두 한 가지를 바라보고 있는 상황에서 그와 다르게 살아가기는 정말 어려운 것 같습니다. 하지만 자신을 돌아보고, 내가 언제 가장 행복했는지, 무슨 일을 했을 때 가장 시간이 빨리 갔는지를 돌이켜 생각하는 것이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결국 이것은 최진석 교수님께서 말씀하신 자신의 욕망에 집중하는 것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저에게 도움이 되는 강의를 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Eun Kim 6
2020년 1월 07일 10:31이강의조차 지식이다
윤들레씨 5
2021년 2월 22일 09:40나와 주파수가 맞는 강의:) 감사합니다 🙏
정이 5
2020년 1월 09일 03:25최진석 교수님 존경합니다.🙆🏻♀️ 좋은 지식을 늘 나누어주셔서 감사해요.🖤🖤🖤
초코송이 5
2021년 11월 22일 13:13말도 안되는 고퀄리티 강연이네요.몇 번이고 반복해서 다시 봐야 교수님의 뜻을 조금이나마 득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세바시 감사합니다🙏
SeokJin Bae 5
2020년 1월 06일 02:55요즘 이 생각 하고 있었는데
SH Know 4
2020년 1월 05일 09:18철학은 끝까지 잘들어야한다.
철학은 요약할 수 없다, 생략의 미를 살리는 것일 뿐.
사람마다 기표에 대한 기의가 다르다.
이 분이 말하시는 욕망의 뜻은 무엇인가?
그게 이해되었을 때
이 분이 무얼 말하려하는가를
보고,
어떻게 말하는가를 볼 줄 알아야한다.
결국, 이 분이 말하는 욕망은,
"타인의 인권을 침해하지않는 선에서
자기자신을 알라."
가 아닐까?
"어떻게 나를, 에고들을 알 수 있을까?"를 철학적 관점으로
대중에게 최대한 쉽게 파문을 던지기위해 표현하는 것 같아보인다.
준토 4
2021년 3월 23일 14:46너무 이상만 쫓다보니...가끔 지칩니다
YJ Lee 3
2020년 1월 05일 16:15내적 동력, 욕망을 마주하고 긍정할 수 있는가? 해야하는 일을 하면서 살고 있는가? 하고 싶은 일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살고 있는가? 내가 내 삶의 주인인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Lisa L. 3
2021년 3월 06일 22:36마음을 울리는 강연 정말 감사합니다
김 3
2021년 3월 18일 00:29와 이건 너무 철학적이다 말이 어렵다
Lee 3
2021년 3월 09일 08:05넘쳐나는 정보에 오히려 더 갈등하고 집착하고 생각이 많아지고 그래서 마음은 불행한 상태. 물론 음악 예술 취미등의 풍부한 정보가 주는 행복도 있지만 .너무 많이 알아 생기는 관리 흡수 부족 뇌의 상태. 정신병 걸리기 딱좋은 지금 세상. 그나마 훌륭한 강의가 고뇌를 씻어주는 역할을 하는거 같음.
샤봉스 3
2020년 1월 05일 03:07니체가 행복도 훈련이 필요하다고~했던가?한살 더 먹고,아들도 내손을 더 필요로 안하니,온전히 나자신에 집중해본다~어느유명여배우수상소감이던가!누구의딸,누구엄마,오누이,아내가 아닌 자신으로 살길바란다고~인생은 그리 길지도않으니 주변에 얽매여 너무 힘들어하지말라는~인생의 중반이되니 딱히 남을 의식 안하고,비교는 안하는데~정작 내가 뭘 욕망하는지~뭘할때 가장 행복한지 !우스개소리~재수없으면 의학의발달로 200살 가까이 살게된다는데~푸하하
simzo u 3
2021년 7월 06일 01:30단순하지만 매우 중요한 주제~~~
다시산이 3
2020년 1월 05일 11:39새해 복 많이 받으세유~
풍디코지 3
2021년 9월 03일 12:42교수님의 명강의를 만날 수 있어서 너무 감사합니다^^
조개햇살바다 2
2020년 1월 04일 02:34이분 뭔가 전생에 중국철학자였을 것 같다...순간 족자안에 그림생각남
Dr. Dotori TV : 2500년의 음악역사 2
2020년 1월 06일 00:00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5 분간 아름다운 라구나비치로 초대합니다.
진리완전한 2
2020년 1월 06일 22:56누구나 개별자의 삶을 살지만 대부분의 인생은 보편자로 살아간다. 획일적인 세상의 구습에젖어 산다. 누군가의 아들로.남편으로 친구로. 욕망을 따라산다는건 상상계의 삶을 산다는 말이다. 좌파적 무의식의 이데아적 상상이 아닌. 철학적이고 영적인 삶이다. 이것은 끝임없는 내적자아의 붕괴와 오랜기다림을 통해 승화되어 간다. 대부분의 인간은 환경의 노예. 돈의 노예. 지식의 농예. 관심의 노예. 인정의 노예.죽음의 노예로 살아간다. 질적인 비약은 완전히 자신이 놓여있는 판이 뒤집히는것을 말한다. 수학을 잘하던 사람이 더 잘하는 그런유형의 성장이 아닌. 우리 안에 내재하는 무의식의 무수한 내가 벗겨지며 나타나는 본질적이고 질적인 서광의 빛이다.보이지 않는 불안과 위험앞에 눈을 담고 귀를 감고 현실에 더 순응한다. 어쩌면 이또한 자신의 그릇이고.분량인지도 모른다. 저영상의 철학자의 개념과는 다른사유와 질적인 비약을 경험해나가기 위해선 자기극기라는 수도의 삶은 사실 크나큰 매력이 없다. 시인 고x. 연출가 이 모x기 처럼 . 개별 영역의 스승이고 구도자로 생각 되는 인물들은 대체로 상상을 하며 자기를 깨트린 자아의 ㅇ화를 경험해나가는 인간들이다. 두려움은 피할것이 아닌 싸워야할 대상을 배운 존재들. 결국 보편적 자아와 조명에서는 그들은.슈퍼맨이 였지만 보편적 조명이 붙잡는 상식과 도덕이란 윤리성 아래서는 그들은 괴물이였다. 빛과 그림자는 언제나 비례한다. 커다란 빛의 사람이 되고 싶은가. 깊은 어둠의 터널을 지나가라. 자아의 죽음. 끝없는 내안의 거짓된 욕망과 타락한 마음과 싸우라. 원천적 기쁨은 쥐어짜냄이 아니다. 내안에서 흘러 넘침이다. 생수같은 기쁨과 평안이..
IBRD KSR 2
2020년 1월 09일 19:16유튜브 보면서 생각이란걸 해보기는 처음 입니다.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essey Q 2
2020년 1월 04일 22:17와 정말 멋진 강연 감사합니다 ... 🙏
Tomas 2
2020년 1월 06일 00:09내인생 최고의 명강입니다
mindsg lee 2
2020년 1월 07일 18:10훌륭한 강연입니다ᆢ감사합니다 ^^
Chic Modern Psychic 2
2020년 1월 12일 14:39성불하시길
스위스 사라맘 swiss_yunmi 2
2021년 2월 28일 08:30최진석 교수님에게 완전 반해서 ㅎㅎ💛🧡❤️👋🇨🇭 한국 지인에게 부탁해서 ㅎㅎㅎ <탁월한 사유의 시선> 👍 교수님 생각 날때 마다 꺼내 읽고 있네요 ㅎㅎ 자주자주 새로운 영상으로 뵙고 싶어용~ 항상 건강하세요😷💪✨
성이름 2
2020년 1월 08일 09:06내욕망은 애 돈안되는 것뿐일까;;;;
세희야TV 2
2021년 7월 06일 10:07많은생각을 하게 되는 강의였습니다~감사합니다~~♡
ᄀᄐᄒ 2
2020년 1월 08일 07:17저 밑의 댓글들을 보니 교수임의 이야기에 동의하지 못하고 공감하지 못하는 분들도 계시고 표현법의 지루함을 지적해주시는 분들도 계시네요ㅎ 이렇게 받아들이는 마음이 다른가봅니다.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미움을 녹여봐요ㅎ
박성희 2
2021년 7월 18일 03:41충분히 공감되고 이해되는 강의입니다ㆍ제가 유튜브강의보고 생각지도 못한 새로운것을 깨달았습니다ㆍ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욕망ㆍ자신을 사랑하라ㆍ이런것이 나답게 사는것이라는 드는 강의를 다른유튜브로 보고 했는데 개인적인 생각이 드는데 사실그렇지 못한 주변 환경도 많고 그렇다고 나 혼자 사는 세상도 아닌데 혼란스러울때가 많아요ㆍ
여니 1
2021년 3월 05일 21:25우리는 바람직한 일을 하면서 살고 있을까 아니면 바라는 일을 하면서 살고 있을까
여니 1
2021년 3월 05일 21:25우리는 바람직한 일을 하면서 살고 있을까 아니면 바라는 일을 하면서 살고 있을까
김조르봐 1
2020년 1월 09일 20:21최고임
가장 깊은 밤에 더 빛나는 별빛 1
2020년 1월 07일 12:25요즘하고 다른화두라서
솔깃하며 강연을 귀기울려 들었습니다.
포레 1
2020년 1월 05일 13:28감사합니다
스티스티커 1
2020년 1월 07일 22:41아따 형님 참으로 옳아 부러요~
ILDO 1
2020년 1월 11일 00:22와...
9 9 1
2020년 1월 07일 04:02팔자소관
정호떡 1
2020년 1월 07일 19:12새해에 어울리는 울림을 주신 강의 셨네요 ^^
이삼쭌 1
2020년 11월 19일 15:39'타인에게 피해를 준다, 타인의 자유를 침해한다'의 기준도 사람마다 다 다를 것 같은데 그건 어떻게 구분해야 할까요 ㅜㅜ
MRC 1
2020년 11월 13일 16:44강의전체, 특별히, 개념에 대한 의미 감사합니다.
김마르케스 1
2021년 2월 07일 01:23어떻게 철학교수란 사람이 공부를 어떻게 했길래 이런 한심한 수준에서 한낱 말장난에 불과한 소리만 떠들어대는가?
yolo K 1
2021년 2월 18일 21:02명강의 감사합니다.
백지훈 1
2021년 3월 06일 08:17요약 - '주체적으로 살라'
DDong Woory 1
2021년 3월 13일 23:42고맙습니다
Jacqueline V Lee 1
2020년 12월 19일 06:29언니의 소개로 알게되 보게된 교수님 강의들로 내인생에 화두를 처음으로 던져보게 되었습니다
JH Yellow 1
2021년 1월 28일 17:20책많이읽고싶은데..짬짬이읽어도 두시간채우기가힘드네요ㅠ
행정쟁송 1
2021년 7월 19일 17:44남들에게 말하기 부끄럽더라도 스스로에게 떳떳한 삶을 살고싶습니다
A A. A. 1
2021년 7월 07일 11:52해야하는 일도 하고
하고싶은 일도 하고
균형이 중요한 듯해요 ^^
동그리 1
2021년 7월 06일 12:19강의 듣는데 소름돋았어요.. 이런 생각못한 말씀을 들을수 있어서 충격이고... 다음엔 끄덕이게 되고.. 다음엔 생각하게 되고.. 느끼게되고.. 그다음엔 이런 강의를 해주신 교수님께.. 감사합니다. 최진석교수님 존경합니다.
C J 1
2021년 7월 08일 21:34온 몸을 얼어붙게 만드는 강의입니다!
황태현 1
2021년 3월 28일 21:22와! 명강의... 감사합니다..
TheYSIM 1
2021년 7월 27일 16:12학교다닐때 가장 좋아하는 교수님이었는데 이렇게 유튜브에서 방송에서 자주 뵙게되어 너무 좋습니다. 교수님 건강하시고 앞으로도 좋은 가르침 주세요 ㅎㅎ
KCOYH MIK 1
2020년 1월 23일 13:33사실 아직까지 “인간이란 무엇인가?,존재란 무엇인가?” 이논지는 답이없죠 답을 내리는것은 자기자신의 판단과 믿음 생각일뿐이죠 그렇기에 어떻게 살든 정확한게 없다 그렇기에 욕망이 무엇인가?! 이말이 중요한게 아니죠 그냥 욕망이 뭔지에대해서 판단한 그대로 살아가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강의가 너무 좋았어요
백억노무사 1
2021년 3월 18일 23:23제가 더 감사합니다... 크... 강의도 교수님도 너무 카리스마 있으시고 멋찌내요... 제 삶의 주인으로 살아내겠습니다 👍
일곱소대장
2021년 11월 17일 06:35모든 구절마다 놓칠 수가 없다.........
새벽드로잉
2021년 3월 17일 08:15온전한 자기를 대면해서 욕망을 긍정하여 욕망을 사랑하여 살아라. 자기가 존재하지않는 이세상이 당신에게 무엇인가. 다시기록합니다. 감사해요^^
lawrence choi
2021년 7월 23일 17:49힐링하고 싶을때 최진석교숫님강의 들어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왜왔니
2021년 3월 10일 21:56노래하라. 아무도 듣지않은 것처럼!
Peaches Lee
2021년 3월 10일 21:43경종을 울리는 명강의입니다.
John
2021년 3월 17일 11:09말미에 우리들 자신에게 던지는 질문이 자신을 돌아보게 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엘리자베스칭다오
2021년 2월 25일 08:48욕망은 고유한 자기만의 것이다.
공감 합니다
Jacqueline V Lee
2020년 12월 19일 06:35무언가를 끊임없이 추구하고 도전하고 살라는 화두..많은 생각을 하게됩니다
Jennifer Sim
2020년 1월 07일 13:30광고때문에, 강의에 집중이 안되네요 ㅠㅠ
RCsnake
2020년 1월 08일 02:08명강의 입니다!!!!!! 현시대 에게 가장 필요한 강의라고 생각합니다
Tara's tara : 타라
2020년 12월 28일 05:39감사합니다
김승현
2020년 1월 19일 09:38와.. 정말 명강의 입니다
민선주
2020년 1월 07일 12:03아 !!!!!!!!!♡
쌤 짱♡
민경훈
2021년 3월 08일 22:11인생에 답을 찾은 느낌이에요
구원철
2021년 8월 10일 19:09노래하라 아무도 듣고 있지 않는 것 처럼. 사랑하라 한 번도 상처 받지 않은 것 처럼. 시의 깊은 통찰에 다시 한 번 놀람니다.
내면의 소리에 귀기울이며, 좋아하고 하고싶고 바라는일을 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원시인나라
2021년 7월 03일 17:03주도권을 지식에게 넘겨줬다.지식은 진리가 아니다.지식을 이루고 있는 여러요소들.개념!
평미래.계!
공통적인것.
여분의것을 깎아내린것
손에 남겨진것만 저장.컨셉트
모든 지식은 공통적인개념!
싡념과 이념이 저를 이끈다고 생각합니다.좋은 말씀 고맙습니다 ♡
초록동산에 앉아 미소짓는 여신
2021년 7월 05일 12:19교수님이 찾은 교수님의 진리를 존중합니다.
잘 들었습니다..^^
김한섭
2020년 9월 01일 15:07이시대 정신적 방향타를 가진 최진석 교수님 화이팅 우리들 마음속에 노벨상 최진석 자신의 욕망에 집중하라 삶의 충동 생명력 자발성 다른곳으로 가려는 의지가 욕망이다 즉 고유한 나만의 것이다 지식과 경험이 늘어남에 따라 이웃과 가족과 잘 지내고 명철 성숙해지고 자유롭게 살고 행복 해진다 즉 지식의 지배를 받지 않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