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습니다 [최재천 교수 동기부여 영상]
[최재천 교수의 강연 풀영상] □ With Corona and Ecological Turn | 최재천 | 생명다양성재단 대표 | 이화여대 석좌교수 | 1부 https://youtu.be/t5hi17hVn8s □ With ......
[최재천 교수의 강연 풀영상] □ With Corona and Ecological Turn | 최재천 | 생명다양성재단 대표 | 이화여대 석좌교수 | 1부 https://youtu.be/t5hi17hVn8s □ With ......
이흰둥이 30
2021년 1월 09일 20:381회용품 비닐류 되도록이면 안쓰고 고기 덜 먹고 모든 생활용품을 동물실험 안하는 친환경으로 쓰고 있습니다 우리 아이들 동물들에게 좋은 환경 물려주고 싶습니다 강의 감사합니다
최유민 20
2021년 1월 09일 20:08동식물 그리고 바이러스의 입장에서 보면 너무나도 자연스러운 흐름이었네요. 우리는 결국 지구를 가지고서 젠가를 하고 있었고 이미 점점 불안해 지고 있었고 하필 중국이 거지같은 블록을 건드려서 최악의 사태를 불러온 것 같습니다. 생각해보면 친환경 지구를 살리자 는 등의 말은 조금 이상합니다. 지구가 살아나기 위해서는 인간이 사라져야 하는게 자연스러운 거니까요. 우리가 원하는 것은 인간과 자연(지구) 가 서로 피해보지 않으면서 공생할 수 있는 걸 목표로 해야하는 것 같습니다. 늘 생각하게 하는 좋은 영상 감사 드립니다.
위민영 18
2021년 1월 09일 21:52무분별한아파트공사.산을깍고밀어버려서,야생동물도.빌라.도심에서내려와.차에치이는걸.제앞에서..목격하고말았어요,결국.인간이,이렇게만들어놓은거예요~혼자힘으론.역부족이고.더이상.나무와산을.없애지말아줬음하는.맘이예요~
체인지 그라운드 17
2021년 1월 09일 20:08최재천 교수의 강연 풀영상 놓치지 마세요! >> https://youtu.be/t5hi17hVn8s
밤하늘의별을 16
2021년 1월 09일 20:49정말 귀한 강연을 이렇게 유튜브를 통해 들을 수 있어서 감사한 마음입니다. 감사합니다.👍
김현숙 16
2021년 1월 09일 20:25감사합니다
생활속에서, 자연을 훼손 하는 일!
없도록 노력 하겠습니다~~
마음챙김 12
2021년 1월 09일 21:46모든 재화를 아껴쓰고,
플라스틱 포장 용기나 나무젓가락 같은 일회용 제품을 가급적 쓰지 않아야겠어요.
배달음식도 줄여야..
흐린하늘 11
2021년 1월 09일 20:11이제부터는 자연이 1순위입니다
손학길 9
2021년 1월 09일 21:14매우 현명한 자연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될거 같습니다.
min kang 9
2021년 1월 10일 09:39가장 우선적으로 실천해야할 것이 고기를 덜 먹는 것입니다.
특히 소고기...
lucky 8
2021년 1월 09일 20:03항상 힘을 주는 동영상 감사합니다
marvelousone 7
2021년 1월 10일 05:305천만 한국이 다 참여해도 15억 중국이 저모양이면 희망없음
김연희 7
2021년 1월 09일 20:56새로운 자연을 가지는 새로운태도!
"이 영상만큼은 역사에 남을 소중한 자료!"
모션영어 6
2021년 1월 09일 20:53자연파괴가 엄청 큰 두려움이지만...🌝⛅⛈🌤🌧🌩
바로 눈 앞에 안보이니... 심각히 생각안하고 눈 앞에 편함만을 쫓는 것 같아요. 좋은 말씀 듣고 갑니다.
김명규TV 6
2021년 1월 09일 21:12새로운 자연관!! 우리는 절실히 자연과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감사합니다. 자연을 소중히 여기는!!
krapshe 6
2021년 1월 10일 01:38중국인때문이라 생각했는데 우리 인간들이 모두 잘못한 것이라는 생각이듭니다. 생태계 문제에 관심을 가질 수 있게 된 좋은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POLYMATH 5
2021년 1월 10일 08:37코로나19가 박쥐에서 왔다는 게 기정사실화되었나요? 엄연히 중국 우한 아니었으면 이 사태가 오지도 않았을 텐데요. 현재 불평등한 기준으로 인한 정부 대처도 그렇고 "인류가 감내해야 한다" 이론적인 접근법으로 얻은 깨달음도 좋습니다만 현 시국에서 보고 있자니 울화통이 치미는 게 사실입니다. 더 이상 얼마나 버텨야 할까요? 제가 아직 견문이 부족한 건가 싶습니다.
강은율TV 5
2021년 1월 09일 20:48기후 변화의 문제와 생물 다양성의 문제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움직이겠습니다.
책읽는 하하쌤 4
2021년 1월 12일 05:44자연을 보호하고 존중하자.
자연과의 관계 재정립 해야한다.
자연과 공생 관계임을 기억하겠습니다.
이유환 4
2021년 1월 09일 23:42엘 고어의 불편한 진실이
더욱 업그레이된 버전
같습니다.
행동백신, 생태백신, 기후변화 !
세부다이어리 3
2021년 1월 09일 20:11힘이되는 체인지그라운드...구독하고 갑니다
좋은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5am club 3
2021년 1월 09일 22:30이 영상이 널리널리 퍼지기를... 🙏🙏🙏
Emily 3
2021년 1월 09일 23:18자연보호의 중요성을 이렇게나 임팩트있게 전달해주시다니 정말 감사합니다. 안들었으면 큰일날 뻔 했네요.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육식 줄이기, 제가 할 수 있는 한 자연을 지키도록 노력할게요.
전준호 3
2021년 1월 10일 00:09너무 감동적이였습나다.저 부터 바뀌겠습니다.
마흔혁신 2
2021년 1월 10일 12:23최재천교수님의 풀영상도 보고 구독까지 했는데 벌써 몇년전부터 경고했던 기후변화이지만 당면하지 않고서는 인지하지 못하고 비로소 눈앞에 보이고 지금 코로나처럼 주변에서 큰일이 벌어지고 누군가 죽어야 그때서 행동하는 모습들은 인간의 본성이 바뀌지 않는 한 바뀌기는 어렵다고 봅니다.결국엔 지구가 그 어떤 생명체도 살아갈 수 없을 정도가 되야 깨닫고 또 다른 행성을 찾아 정복사업을 펼칠 수 있는 능력의 소유자가 바로 우리인간이라 생각합니다.제가 볼때도 지금 이순간에도 북극의 얼음이 기하급수적으로 녹아내려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저지대의 섬나라들이 바다속으로 사라지고 있는 상황에서 교수님말씀대로 이대로 그냥 가다가는 현재의 세계지도도 어떻게 바뀔지 모를 상황입니다.현재는 많은 매체를 통해 그 심각성의 전달이 많이 되어 알고는 있지만 개인이 실천하는 일은 극히 일부라고 생각됩니다.그나마 그것도 귀찮아서 남의 눈치를 보거나 안하는데 나혼자 하면 뭐해?하는 식이다보니 행동백신이 어려운거 아닌가 생각됩니다.제가 볼때는 1차적으로 전세계적으로 정부관계부처와 관련업계와기업들 그리고 사회단체와 환경단체가 먼저 앞장서서 시작을 하고 그런 분위기를 조성한 후에 국민을 계몽에 이끄는것이 시간적인 면과 효율적인 면에서 더 낫지않나 생각해봅니다.물론 개인스스로가 실천하는 일은 정말 좋은일이고 의미있는 일이지만 지구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고 한계가 분명히 있다라는 생각에서 드리는 말씀입니다.이 문제는 거의 모두가 알고는 있지만 행동으로 쉽게 다가오는 사안이 아직아니라는 판단이 앞서기 때문에 그리고 자본주의시대에서는 경제가 기본틀로 돌아가야하기때문에 앞장서야하는 정부부처와 기업들의 환경을 대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형성되지 않는한 그리고 그런 분위기를 조성하지않는한 전체가 한마음이 되기는 어려울것이고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기 힘들다고 봅니다. 우리인간이 자연과 공존하려면 원래 인간보다 앞서 지구에 생명의 씨를 뿌렸던 생명체들에게 피해가 되지않을만큼의 보금자리를 제공해야하는것을 기본으로 어떻게 하면 모든 생명체가 살수 있는 이 아름답고 고마운터전을 후대에도 아무문제없이 이어지게 해줄 수 있을까를 아주 깊게 고민하고 생각한 내용을 통해 실천할수 있는 것들을 하나하나씩 해나가야겠습니다.저도 제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지금부터라도 찾아가야겠습니다.많은걸 생각하게하는 영상 감사합니다.
김도윤 2
2021년 1월 10일 11:21자연에 대한 계몽... 이번이 아니라 전부터 거론되던 주제였고 정말 중요한 주제라는 게 참 와닿습니다.
YUJIN AN 2
2021년 1월 10일 21:31교수님의 훌륭한 말씀이 너무나 가슴에 와닿습니다.자연과 동물에 너무나 미안한 마음뿐입니다.
작은것부터라도 나부터 실천 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개코ᄒᄒ 2
2021년 1월 09일 23:52그 중심에는 중국부터죠
Seongmok Jeong 2
2021년 1월 09일 20:30좋은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마지막말씀. 새로운 계몽이 필요하다라는 말씀이 여운이 깊네요.
신비페키Sinb 2
2021년 1월 10일 08:43동물과 자연을 보존해야 살길입니다~~
인간의 욕심이 지구멸망을 초래할것 같습니다...
앞으로 가자! 2
2021년 1월 09일 20:25아..국민만 잘하면 되는구나 ....
비니의마케팅이야기 1
2021년 1월 10일 16:32지구를 소중히하고 플라스틱사용 줄이고 비닐봉지 줄이고 일상속에서 지킬 수 있는 사소한 것들을 해나가야겠어요
Junho Oh 1
2021년 1월 14일 08:25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고통 받았습니다. 앞으로는 이런 일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자연을 보호하는게 중요하다는 것 잘 배웠습니다.
덤벼라개같은세상아 1
2021년 1월 09일 21:15인류가 언제나 그랬듯이 적응하고 극복하면 좋겠네요
코코샐리 1
2021년 1월 12일 00:47감사합니다 경각심과 반성을 느끼게 하는
훌륭한 영상이네요
조금이라도 자연보호할수있도록
주변을 찾아보고 실천해보겠습니다
유한 1
2021년 1월 11일 20:05일어날수밖에 없는 일이었고 자연을보호하며
존중해야한다는거네요 자연은 자연그대로 냅두고 우리 사회에서
인간은 살아하는거고
j수축사회 1
2021년 1월 09일 22:36북극한파로 기후위기가 실감나서 오늘 하루종일 온난화관련된 자료들을 살피다가 제가 제일 존경하는 최재천교수님의 강의까지 오게됐네요
1.5도 상승까지 7여년밖에 남지않았다는
2030년에는 우리나라 면적의 6%가 물에 잠길꺼라는 끔찍한 예측을 보면서 인류가 맞닥뜨릴 재앙에 불안감이 밀려오다가 이미 우리로 인해 동식물은 오래전에 재앙과 멸종이 시작되었구나
동식물이 본능적으로 느꼈을 공포감에 대해
생각하게되었습니다
삶은 잠시 여행을 온 거라는 데
우리는 다시 별로 돌아갈 수 있을까
인류가 별이 되어서 또 지구에 우주에 행여 피해를 주는 존재가 되진 않을까
무거운 죄책감이 드는 하루입니다
hernan kim 1
2021년 1월 10일 07:24근본적으로 지구상의 인구를 지금보다 대폭 줄여야 한다...그리고 산개해서 사는 것이아니라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도시에 집단적으로 살아야 한다...조선시대에만 해도 어디 우리가 호랑이 겁나서 설악산 같은 곳에 발이나 들여놓을 수 있었는가...최대한 인간과 자연의 접점을 줄이고 자연을 즐기려는 사람들에게선 그만한 비용을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이 청구해야 한다...우리의 식품도 도시농업같은 형태로 생산해야 한다
수티브잡스ᅵ JobStudio
2021년 1월 15일 21:20울컥하게 만드는 울림있는 메시지였네요...
최재천 교수님의 말씀을 들으면서
생각이 많아졌네요.
그리고 문득 그 생각이 들더군요.
일본에서 후쿠시마 원전의 오염수를 수개월내지,
수년 내에 보관할 수 없어서 바닷가에 방류한다는
내용의 기사...
다시금 생각을 확장시켜주셔서 감사합니다.
go just
2021년 1월 12일 21:01그래서 어떻게 할 것인가가 중요한 문제가 되겠네요
인간성끝판왕
2021년 1월 11일 20:00제발 있을때 잘하자.. 지금도 난 울고있으니까
name no
2021년 1월 14일 20:30이렇게보니 전염병은 어쩌면 당연한것 일 수 밖에 없구나
서성현
2021년 1월 10일 00:44저도 나름대로 일상생활에서 환경을 보호하고자 많이 신경썼다고 생각했는데 저보다 훨씬 먼저 자연의 곁에 계셔 주셨던 많은 봉사자분들 덕분에 나은 환경에서 살고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끼고 있습니다.👏😢
스틸알에스
2021년 1월 10일 09:07요즘 자연을 아끼기 위해 자체적으로 물티슈 사용 줄이고 있습니다. 자연을 보호해야 제 자식한테도 살기 좋은 환경을 물려줄 수 있을 것 같아요.
이유
2021년 1월 10일 23:17여태 우린 자연을 무시했습니다. 이제부터라도 자연을 존중하며 저부터 자연을 보호하겠습니다~!
강원
2021년 1월 11일 17:33너무 거대하게 느껴져요
sj k
2021년 1월 10일 10:26인류가 단합하여 범세계적인 움직임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결코 해결되지 않을 겁니다. 그 전에 인간이 사라져야 해요.
다지미양
2021년 1월 10일 23:05휴..
김상만
2021년 1월 09일 22:40어떻게 공생해야하죠? 저는 이걸 어떻게 우리사회에 도입하느냐가 중요하고 실천해야하는 시대임에도 이론적인 부분만 강조할수는 없습니다 아쉽습니다..
니들이상햌
2021년 1월 09일 20:38백r-thin
인코니
2021년 1월 09일 22:30쭝꾹이 인공으로 만든 바이러스라 이번 고비만 넘기면 일단 나죽기전에는 이런일이 없을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