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샌델&짐 로저스와의 지적 대화 | 불평등 강화하는 능력주의 | 2021 주식시장 전망 #월간커넥트
랜선 너머 그 사람. tvN 인사이트 {월간 커넥트} 1회 랜선 게스트 - 마이클 샌델, 짐 로저스 두 번째 인터뷰 ▷ 2월 첫째 주 Come Back! #월간커넥트 #마이클샌델 #짐 ......
랜선 너머 그 사람. tvN 인사이트 {월간 커넥트} 1회 랜선 게스트 - 마이클 샌델, 짐 로저스 두 번째 인터뷰 ▷ 2월 첫째 주 Come Back! #월간커넥트 #마이클샌델 #짐 ......
@sweetmind8303 118
2021년 1월 13일 07:51마이클 샌델 교수님의 겸손에서 자신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개인의 능력도 결국 사회적 인프라와 운에 의해 많은 부분이 결정된다는데 동의합니다.
@james77861 87
2021년 1월 20일 17:47이런 훌륭한 석학과 세계적인 투자자의 강의를 아무 조건 없이 스마트폰 하나로 보고 느낄수 있다는것이 대한민국에 태어 난 것에 대해 너무나도 감사하게 느껴집니다 존중과 인내 하겠습니다
김토비 72
2021년 1월 16일 09:15tvn 섭외력보소 ㄷㄷㄷㄷㄷ 마이클 센델이라니 ㄷㄷㄷ
@user-xz4zc1cq8u 53
2021년 1월 15일 00:35인간은 자연과 멀어지면서 감사함을 잊었고
공동체와 멀어지면서 도덕성이 사라져 갔다
인간은 자연과 가까워야 하고 밥 한톨에도 감사함을 가져야 하고 공동체를 이루면서 나뿐이 아닌 우리.모두를 생각 해야 할것이다
@youngbeakim4612 34
2021년 1월 14일 00:54마이클 샌델 교수님 강의 듣는데 눈물이 날라카네...
@user-mi6hy2ez6c 28
2021년 1월 24일 12:50Tvn의 책읽어드립니다로 시작해서 미래수업, 커넥트 매번 찾아보고 있습니다. 본방 놓치면 너무 아쉬운데, 좋은 프로그램 유튜브로 잘 정리해서 올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pitgrace1929 26
2021년 1월 15일 09:46한분은 겸손, 또 다른 한분은 인내!
'겸손'과 '인내' 두단어 잘 기억하겠습니다
오늘 영상 쵝오로 좋았습니다~~♡
@goyangyi 24
2021년 1월 16일 14:51마이클 교수님 너무 좋탸💕 너무 젠특하심
형들.. 운칠기삼이라는 말이있잖아... 운이 7이고 능력이 3이랬어
그러니 당장은 잘 안풀리더라도 실망하지말고 다른 곳에 도전하다보면 언젠가는 빛을 볼 수 있을거야
플랭크하며노래부르기 23
2021년 1월 12일 21:43와- 모처럼 대박 프로그램 만난 듯.
이 시대에 꼭 맞는, 한국을 비롯한 세계 지성들의 오픈 토크.
게다가 '월간'이라니, 세상에.
정말 기대 됩니다!
@user-hg1sm5xl8m 22
2021년 1월 24일 10:26성공의 태도, 겸손의 회복, 존중, 운칠기삼…
James Moon 14
2021년 1월 13일 22:55사회 불평등을 논의 하는 거 같은데..... 탁상공론 같은 생각이 드는 방송 이네요.... 여기계신 다섯분은 진정 배고파 본적 있으신가요? 그리고 사회정의를 뭐라고 정의를 해보신 적이 있으신 가요? 강 건너 불구경은 어 떤 사람에게는 즐거운 일이 되죠..... 실제로 당하고 있는 사람들은 뒤를 돌아볼 ... 여유조차 없습니다.... 강 건너에서는 발을 동동굴리면서 어떤 말도 할수 있습니다..... 실제로 강으로 뛰어 드는 사람과는 엄청난 차이가 있겠죠??
여기 계시는 5 분은 어디에 계신가요? 강 이쪽인가요? 아님... 저 쪽 인가요??
@Adol_5656 13
2021년 1월 13일 21:25좋은 방송을 유튜브에 올려주셔서 고맙습니다. ^^
@efefaw457 12
2021년 1월 17일 21:16재밌네요 ㅋㅋ 개미는 뚠뚠 아저씨 질문 되게 직접적이고 날카롭네요
마지막 유현준 교수님은 짐 로저스씨에 대한 불신이 가득하신 거 같습니다 ㅋㅋㅋ
@s.y7682 12
2021년 1월 21일 11:05똑똑한 사람은 자기가 잘나서 암기력이 좋아서 당연히 잘산다고 생각하죠.암기력나쁘고 공부못한사람을 무시하죠.
마지막 말씀 너무 옳아요. 그래서 사회에서 아주 성공하지 못하죠.
감사하고 겸손하고 존중사회, 공동체에서의 역할은 그똑똑한 머리로 그렇지 못한 사람을 돕는것뿐인데~ 자신의 능력으로 사회가 발전되도록 돕는것 자신이 누린풍요를 사회에 환원합시다
강철건 11
2021년 1월 12일 20:48두발로 직접 디뎌야 비로서 "진짜를" 느낄수 있는 세계여행를 2번이나 한 투자가~ 짐로져스~ 입담이 아주~ ㅋㅋ
@user-xz4zc1cq8u 11
2021년 1월 15일 00:23대입추천제? 실력이 아닌 운을 강조.
부자집에 태어난건 운인가 실력인가?
활발한 정자운동으로 그집으로 갔기 때문에
실력이다? 아니다 그건 운이다.
애초에 그 부잣집에서 태어난것도 운이 아닌가?
그운과 저운은 조금은 다른 운이겠지만
지금 10
2021년 1월 13일 11:1818:20 이렇게 삿대질.. 해도 되나여..?
Junyoung Heo 8
2021년 1월 13일 07:28대학입시 입구컷에 로터리로 하자는거 격공이네ㅋㅋ
@Findingwaldo95 8
2021년 1월 13일 08:07보세요 두번보세요 세번보세요 너무 감사합니다
@ShrimpRoyalNewRoyal 8
2021년 1월 16일 09:11능력주의가 말이 좋아 능력주의지 한 분야,종목에서 줄 세우기가 얼마나 이기주의적이고 답 없는 비효율인데
그렇다고 사회의 불평등한 사람들을 버릴건가? 누구나 말하듯 돈은 돈을 불러온다. 그걸 해결 할 방법으로 기본소득이 떠오르곤 있지만
기본소득도 결국 한걸음이 아닌 생존을 위한 제자리 걸음.. 모든걸 정상화 하기 위해선 제도를 바꿔야하고 인식을 바꿔야한다.
누군가는 그걸 어떻게 한번에 바꾸냐며 소리치겠지만 거기에 생존과 죽음이 달렸다면 못바꿀것도 없다.
냐옹멍멍 7
2021년 2월 12일 14:33미국이나 한국이나 학벌 주의 타파하겠다고 만들어낸 정책들이 오히려 부정비리 통로로 사용되는것이 더 큰 문제라서, 학벌과 노력을 경외시하는것 이야말로 너무 구식으로 보이네요. 노력하는 학생들을 '겸손하라'라는 이유만으로 뺑뺑이 돌려서 고통 주는게 어떻게 정의로운 해결책이 되는지도 이해가 가지 않네요.
Bonz Mac 7
2021년 1월 14일 10:49여성 채널의 표정은 역겹습니다. 오직 그녀만이 오만함으로 가득한 표정으로 일관하고 있습니다.
마지막 부분에만 정상적인 사람같지만 그외에는 정말 역겹습니다.
@user-iy6qj4ei1t 7
2021년 5월 13일 22:0518:08 짐로저스 강의 시작.
@sunnychae8926 6
2021년 1월 28일 04:46지금 처럼 급박하게 변화 되는 세상에서 학벌과 부모의 경쟁력은 극복 할수 있습니다.
미래의 부는 지금까지의 방식과는 다른 곳에서 옵니다. 한국의 변하지 않는 교육 방식은 이제 더이상의 부나 계층의 변화를 형성 할수 없습니다.
지금까지의 교육을 버리고 다가올 미래 변화를 따라 잡을 수 있는 방송을 만들어 보시면 어떨까요?
김뭐 5
2021년 1월 21일 21:53김지윤인가 저여자말고 다른 사람 나왔으면 좋겠네
gene K 5
2021년 1월 30일 22:17마이클 샌델 책 갖다 버림... 문과 고딩이 임상논문 최단기에 제1저자에 올라서 반칙으로 대학 가고 의사 되는 나라에서, 정의는 소원한 얘깁니다.
일찍 태어나 그나마 다행이죠. 애는 안 낳을 겁니다.
@paul-ik6zt 4
2021년 1월 14일 20:04함께 합시다 다 함께 행복합시다 그게 행복입니다
@sirenk3126 4
2021년 1월 24일 21:29프랑스처럼 대학 서열이 없어지도록 서울시내 대학을 동에서 서로 순서 대로 1대학 2대학 번호 로 매겨 등록순으로 고졸시험 합격한 사람은 입학시켜 주고 대학 입학후 한 학년 올라갈때
마다 시험통과 못하면 유예시켜 졸업을 힘들게 하면 정말 공부하고 싶은 사람만 대학에 가지 않을까? 이러면 기업들도 대학 상관없이 사람 자체와 능력만 보고 채용하게 될 거고 대학공부에 흥미가 없거나 자신없는 학생은 일찌감치 적성에 맞는 직업을 찾아 실무에 필요한 전문교육만 받고
바로 취업할 수 있도록 하면 효율적이지 않을까?
@user-eb5pw7wq8w 4
2021년 3월 16일 19:25나도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며
살아가고 싶지
그 행복감이 가난을 이길거란
확신만 있어도
홍길동 4
2021년 1월 13일 00:14워렌버핏 이나 일론 머스크 , 트럼프, 같은사람 섭외하세요 다른 사람들은 재미 없어요
뽀잉뽀잉 3
2021년 2월 16일 01:20능력, 경쟁주의에 반대하더니 지금 세상이 공정한가?? 평등, 인권, 공정 같은 달콤한 추상적 개념들이야말로 더 경계해야할 것들임.
@n2ljoy 3
2021년 1월 19일 23:27스스로 일어나는 것 개인의 몫, 지혜는 나누어지자
Kira 3
2021년 1월 15일 22:59노력하면 다 된다
하지만 노력도 하지도 않고 자기는 노력을 한줄 착각한다.
다 똑같이 공부하고 다 똑같이 일하면서 자신만 노력한줄안다.
누군간 공부하면서 다른것도 하는데 말이다.
@japs815 3
2021년 6월 06일 06:16"99%"가 바라는 건 "정의"지 배려가 아니다.
simon jeon 3
2021년 1월 18일 04:45선생님! 제가 한 가지 질문을 해도 될까요?
제가 드리는 말씀이 실례가 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만일 선생님께서 오늘 밤에 죽는다면 어디에서 영원히 살 것입니까?
성경은 천국이 아니면 지옥 중에 한 곳을 갈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것에 대해 오늘 곰곰히 생각해 보시겠습니까?
하나님께서 선생님을 축복하시기를 빕니다!’
선생님을 긍휼히 여기사 이 땅에 살 동안 구원받고
영생을 얻도록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축복하며 기도합니다.
thanks
박이숙 3
2021년 2월 04일 21:46현재 대한민국이 세계최고의 방역선진국이 된것은 지독한 교육열때문입니다.그때문에 우리나라는 세계최고가 되고 있습니다...교육의 평등이야말로 진정한 평등입니다.
@user-dg9fy9kt5k 3
2021년 2월 17일 20:4028:21 여기부터 뭔가 의미심장해지는데,,?
@user-tk7im3so1g 2
2021년 1월 16일 23:08일단 일본주식 다 팔았다는게 굿
@chanywill 2
2021년 1월 14일 02:52오~
아주 좋았습니다 ^^
책을 통해 두 분의 이야기를 접했는데 영상으로 보니 더 좋네요
많이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Hello D 2
2021년 2월 14일 11:41조국 생각나네 ㅋ 절대 공정하지 않음 ㅋㅋㅋ
slow boat 2
2021년 2월 15일 06:56근데 저 정치학 여자 박사는 왜 사람을 저렇게 눈을 내려 깔면서 보는지 모르겠네. 아주 나쁘지는 않지만 오만하고, 자기만 착하게 살아왔다는 생각이 쩔것 같다고 생각하는 눈 빛.
방구머겅 2
2021년 1월 13일 00:07로저스형님도 빅숏충이였누
맞춤법 고슴도치 2
2021년 2월 15일 00:45한국이 코로나 대처를 잘한 나라고 마이크 샌델 가치관과 어느정도 맞다고 생각이 드네요
GS26 2
2021년 2월 23일 18:42짐로저스의 말은 옳고 좋은 말이지만
지금의 한국에서 저 말을 믿고 행동하면 정말로 굶어 죽는수가있다.
이상을 쫒아가기 위해선 사회안전망이 어느정도 있어야한다.
허나 한국은 사회안전망이 없다.
따라서 성공은 항상 죽음을 각오하고 도전해야한다.
하지만 누구는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하지 않아도
태어날때부터 성공한 인생으로 상류층이되어 태어나는 현실을 보며
깊은 절망감을 내면화하고 스스로 노예가되고 족쇄를 채우거나
삶을 마무리하러 한강에서 인생 로그아웃한다.
@hiworld1448 2
2021년 6월 19일 17:31불공정에 더욱 더 분노해야 한다.
소니zk 2
2021년 1월 14일 16:07개천에서 용재난다 아닌가?
이다음에 2
2021년 2월 13일 21:05👍 돈주고도 못들을 강의
@user-ih5ey2vu9i 2
2021년 1월 16일 00:32귀한영상 감사합니다
@jenniferjung9970 2
2021년 3월 13일 10:15이기적인 삶보다는 조금은 이타적인 삶을 살 수 있기를 노력해보겠습니다. 사놓고 읽어보지 못한 책 오늘부터 읽어봐야겠습니다...
@jim_kim_6127 2
2021년 1월 12일 21:25진짜다
@groundstate7444 2
2021년 3월 21일 21:40나의 아이들뿐 아니라
우리 동네..나아가
이 나라의 모든 아이들이
배움에 있어서는 평등한 기회가 주어질수
있기를 빕니다..
그린뉴딜,전기차 정책도 좋지만
2030 세계최고의 공교육 수준 정책
을 세워야 한국의 미래가 보입니다
@cogitoergosum9182 2
2021년 1월 16일 20:53그러면 그 대학 입시에서 추첨제로 입학시키기까지의 성적은 어떻게 cut 할건지??? 여하튼 성적이라는 변수가 개입될 수 밖에 없는데 ㅋㅋㅋ
@japs815 2
2021년 6월 06일 05:25소득불평등문제는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작년 오스카상 4개부문을 휩쓴 영화 기생충의 키워드 역시 부의 불평등이었고 당시 영화가 오스카상을 수상한 이유로 전세계가 공감할 수 있는 문제라는 점을 꼽은 경우도 많았다. 또한 수년 전 월가의 탐욕에 반발해 일어난 내가 99%다,라는 운동 역시 금융자본의 탐욕과 가난을 부채질하는 사회시스템에 대한 보통사람들의 분노임을 알아야 한다. 이는 경기변동이나 정책에 의한 문제가 아니라 자본주의의 본질적 한계가 빚어낸 불가피한 결과라고 보아야 한다. 아는 만큼 보이고 생각한만큼 길도 보인다. 지금 내가 어떤 사회에 살고 있는지 어떤 미래를 원하는지 제대로 짚지 않으면 실패는 계속 이어질 거다.
Ricky Ahn 2
2021년 1월 21일 12:41짐 로저스 한물간지가 언제인데 아직도....
@primekim8114 1
2021년 8월 24일 20:24와.. 짐 로저스의 말이 확 와닿네요. 짧은 시간이었지만 좋은 명강의 하나 들은것 같습니다.
@user-tz3id3nr3s 1
2021년 5월 19일 21:48우리나라 젊은이들이 좀 봐야 할 것같네요
@goodluckgodbless315 1
2022년 3월 03일 00:49최소한 돈 없으면 불행, 불평등을 만드는 문화,사회,국가는
싫다
다만,어떤형태의 집단이든 어딜가든 어디에든 불공정,불평등은 차별은 존재한다
맞춤법 고슴도치 1
2021년 2월 15일 00:47운이라니 확실히 학부모들이 정신 차리겠네
@jpark1207 1
2021년 1월 23일 02:53This was such an awesome lecture
@user-qn8rl2mm5e 1
2021년 3월 18일 19:55진정한 멋짐은 지식이지
@lazykat607 1
2021년 2월 24일 00:03역시 강의를 많이 하셔서 그런지 말이 정말 깔끔하고 명확하시다
Oasis
2021년 8월 10일 04:2519:59 이거 너무 잘느끼지 당장 삼성전자 주식갖고있는 대한생 애들중에 파운드리 펩리스는 알아? 삼성이 뭐하는 기업인지 알아? 이러면 "핸드폰 파는곳 아니냐하고" , "그런거 몰라도 감이 있으면 돈벌어" , "그냥 저점에 팔고 고점에 사들이지~" 라 하면서 그냥 도박 하듯이 주식하는 차트쟁이들이 너무 많음 코인 차트 보는 법을 책으로 사서 공부하는 애도 있더라
Low Lower Lowest 낮은, 더 낮은, 가장 낮은
2021년 4월 25일 13:59존중.
중국을 싫어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독립된 나라라는 사실"을 전면적으로 부정하며,
아무도 동의한 적 없는 "속국"이라는 거짓을 국제사회에서 떠드는 시진핑이 장기간 독재하고 있는 나라인데 그 시민들은 무력해서 바꿀 생각도 없이 한국에 와서 기발한 사기질로 해마다 1조가 넘는 한국(한국인) 소유재산을 도둑질 해 가고 그것에 대해 떳떳해서.
분단국가, 독립국가로서의 한국에 대한 존중.
한국이라는 한 나라에 대한 존중.
존중.
이게 없이 호시탐탐 한국을 "식민지화"하려드니까.
hyunsoo jin
2021년 2월 13일 23:241940대생이 2000년생보다 취직하기 더 쉬웠고 집장만이 더 쉬웠다고 해서 불공정하다고 말할 수 있나? 1940년대생이 1-2차 세계대전을 겪었다.
그럼 2000년대생도 1940년처럼 전쟁을 겪으면 된다. 100마리의 쥐가 전쟁을 겪어 10마리는 죽고, 10마리는 병신이 되면 나머지 80마리의 삶은.
100마리 모두가 전쟁경험 없이 쌩쌩한(2000년생) 상황보다 유리해지겠지. 당연한 것 아닌가? 2000년대생도 전쟁한번 나서 겪어봐라. 살아돌아왔을때 더 풍요로울꺼다.(물론 승리해야하고)
2차 세계대전 승전국인 미국 뿐 아니라. 남한도 마찬가지지. 2000년대생들은 자기 동기들이 월남전 참전했거나 중동 사막에 건설을 뛰었나? 그건 몸을 상하게 하는 작업이다.
초등학교때부터 보일러 버튼만 누르면 온수나오는 아파트에 살며, 부모가 보내준 학원다니다 남들 다 가는 대학졸업한 것 밖에 없는 세대들이 왜 자기세대의 불평등함을 토로하지?
@user-hg2cb1pf1b
2021년 9월 09일 10:48이번에 매경 세계지식포럼에 마이클 센델 온다는데 뭐라고 말씀하실지 궁금하네요 ㅋㅋㅋ
@jaeinjung1213
2021년 4월 12일 10:38제가 제일존경하는 분들을 유튜브에서 만날수있다니 강의 잘들었습니다.
@kangsman77
2021년 3월 05일 21:14실시간으로 번역해주는건가요 ?
Jung Logan
2022년 4월 12일 06:59어디까지가 공정이고 어디까지가 운이 좋았던지를 알려주지 못하고 사실상 불가능하다는점에서 개인과 집단의 이기심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좋은날
2021년 2월 16일 23:272030 선택적 분노. 본인외적인 공정은 관심조차없음ㅋ 본인들의 공정도 외적인 영역에서 형성된건데.
@hhh-tt7tc
2021년 10월 22일 23:5818:08 로저 강의
@user-bi2eu7mm4e
2021년 7월 04일 18:01사람이 가진 이기심이란 인자를 넣지 않은 주장같습니다 지금 책을 읽고있는중인데 거기에 그 문제에 대한 해답이 있길 바랍니다
@DADA-wi2nf
2021년 8월 13일 14:42보통의 상식적인 사람은 상대를 존중하고 자신은 겸손하라 ! 라는 말에 동의하겠으나 .... 패널 비롯해 대부분의 사람은 정말 그걸 실천하기란 정말 쉽지 않은 일 입니다. 오히려 가진 만큼 힘이 있는 만큼 책임감을 갖도록 하는게 더 실현 가능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 봅니다.
Leonardo DiCaprio
2021년 8월 13일 07:15그 추첨이라는게 근데 100프로 공정할까 그럼? 대부분의 사회에서 기득권이 추첨에 당첨되는 경우가 더 커지는건 자명한거 아닌가?
너무 희망적으로 세상을 보는것 같은데
@user-cj2pd6yv5d
2021년 7월 10일 21:33미국도 학교간판이 중요하긴 하지만 배관공이 돈도많이벌고 희망직종이니 우리랑은 다르지
챈들러
2021년 2월 26일 14:53이걸 보고 386은 머라 지껄일까
김성은
2021년 7월 02일 03:26맹목적인 자랑 한 번이 인터넷을 통해 몇 명이나 부글부글하게 만드는지 생각해보면..
Jason Park
2021년 8월 14일 09:59하버드 교수 그만 하시고 교육부 장관 정도 하실때 되신것 같은데
young lee
2021년 8월 10일 13:55위기 때에만 찰흙, 평상 시엔 모래사장?
특이점은 오고있다
2021년 3월 29일 22:06카투사처럼 기준 내에만 들면 뺑뺑이로 돌리겠다... 과연 그게 맞는 일일까? 미국은 그래도 대학교들이 분야마다 전문화되어있다 인문계는 하버드 공대는 mit 의대는 존스홉킨스처럼 근데 한국은 서연고 서성한 중경외시 중 외대를 제외하고는 어느 학과든 거의 서열화되어있다 여기서부터 문제다 전문화하고 오픈소스처럼 공유하고 다양화해야한다 또, 4차산업시대라고 하는 만큼 언택트 강의와 교류로 학문을 융합하는 시스템이 생겨야한다 다양화될수록 진입장벽이 낮아지기 때문에 공정이 착각이 아니라 실현될 수 있지 않을까?
모의
2021년 8월 03일 08:17계속 강조하는 말 : 아는것에 투자하세요.
me1st
2021년 9월 10일 23:14수능만 치를 경우, 그나마 공정하다고 생각되는데....
@oo-ur3mx
2021년 4월 16일 13:57마이클 샌델의 합격자 추천제의 의도도 좋고 찬성하지만, 그것을 하게 됐을때 발생할 부작용에대한 질문이 있고, 그것에 대한 대안이 있었다면 좋았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아마 이게 맛보기라서 제가 못보는것일수도;;
100 100
2021년 3월 23일 21:47사실 자연의 냉정한 원리 승자독식 근데 인간사회에 그걸 적용하면 지금의 미국꼴 나는거지 노숙자와 총기로 이라크보다 더 많은 사람이 죽고 그런데 병원비 비싸서 엠블란스도 못부르는 나라 잘 생각해 봐야한다
주짓떼로
2021년 2월 27일 11:01파이어족? 재수없으면 120살까지 산다
@siverbelljin
2021년 3월 13일 15:44저게 명언이라 손해도없지만 큰소득도 없었던 작년이 씁슬해서 올해 공격적으로 하려했는데 역시나!
@LEERealDong
2021년 6월 17일 04:06공정하지 않다. 로 시작해서,
그래서 어떻게 사회를 구성해야 하나? 를 답해야 할 것 같네요.
@user-ij1jz4um4t
2021년 2월 14일 05:40이런 영상이 조회수 몇백만 찍으면서 누구나 다 봐야할 중요한 영상인데... 100만도 안되네.ㅠ
@goldenlight5429
2021년 6월 02일 03:59어쩌면 지금 이시대에 정말 필요한것은 인문학일지도 모른다
@lohaswinner
2021년 4월 01일 19:27확실히 사람들이 주식투자 많이 하는군요. 짐 로저스 인터뷰를 여기저기서 방송하는 것을 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