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과생이 수학과 코딩의 귀재가 된 이유 | 남호성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 인공지능 음성인식 음성변환 NAMZ | 세바시 1135회
남호성 교수의 강연 섭외는 세바시 홈페이지로 문의주세요! ☞ https://sebasi.co.kr/speaker/609 ✻ 강연 영상이 올라올 때마다 보고 싶다면 지금 클릭(알......
남호성 교수의 강연 섭외는 세바시 홈페이지로 문의주세요! ☞ https://sebasi.co.kr/speaker/609 ✻ 강연 영상이 올라올 때마다 보고 싶다면 지금 클릭(알......
@ludwig4055 53
2019년 12월 19일 19:12교수님 근데 영어도 마찬가지예요.. 말 한 마디 못하게 하는 영어교육도 신경 써주세요.
@johnnyljh 49
2019년 12월 23일 14:47여러 우물을 팔 때 그 중 하나는 수학을 택하라는 말씀이 가장 인상깊었습니다.
저도 한때 수포자로서 수학은 내가 넘볼 수 없는 영역이라고 생각했는데 친해지고 싶은 미련은 항상 남아 있었습니다. 학창시절에 학생들을 이해시켜주기보다 진도를 빨리 빼는 게 우선인 수학 학습 환경에서 점점 따라가는 게 벅차다가 결국엔 손을 놓아버렸지요.. 그렇게 세월이 지나고 대학원에서 통번역을 전공하면서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인공지능 통번역 기술을 보면서 그 원리가 무엇인지 공부해보고 싶은 마음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프로그래밍부터 온라인 강의를 통해 배우고 있습니다. 교수님 강의를 듣고 나니 내가 무슨 목적으로 수학을 배우고 있고 의지만 있다면 즐겁게 공부할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생깁니다. 교수님의 다른 강연이나 NAMZ에서 진행하는 세미나에도 참석해보고 싶네요!
@tata-nt7to 46
2019년 12월 26일 17:22행렬벡터를 없앤 교육부
여러우물을 파려면 다양한경험을 할수있게 하여야하는데 수능으로만 집중된교육에는 20세기에만 머물러있는듯... 수학까지 암기과목으로 변한 이상한 교육
@jakelyu1600 43
2020년 8월 19일 10:51왛ㅎㅎ 저도 영문과 출신 전 무역업 종사자입니다. 홀로 외로운 독학하며 프로그래밍 하고 이직하고 해외취업 이민까지 ㅋㅋ 정말 이거 공대생들만 하는게 아닌데 마음이 가난한 사람들은 도전하지 못하고 힘든 과정 뒤에 반드시 쌓여가는 실력이 있는데 그 순간 순간을 견뎌내지 못하더라구요. 확실히 필요한 건 딱 한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어렵고 실패하고 넘어져도 반드시 쌓여가는 게 있고, 결국 내가 생각하는 지점이 아니더라도 그 인근까지 누구나 갈 수 있다는 확.실.한 믿음. 확실하지 않으면 중간에 무너지기 쉽죠 ㅋ 참고로 저는 33살에 공부 시작했습니다. 나이는 합리화하기 좋은 비겁한 변명입니다. 마흔살도 가능합니다. 가난해지지마세요. 본인이 실력이 있는 사람인지 확인해 보고 싶으시다면 지금 당장 재취업을 시도해서 어디든 비슷한 조건 이상으로 갈 수 있겠다는 확신이 있어야합니다 그게 아니라면 정말 위험한 평화를 사치하고 있는거죠.
@ddokiiii 35
2019년 12월 19일 22:25영문과로서 수학을 잘모르는 상태에서 코딩을 배우고 있는데, 어려운걸 사실입니다. 그러나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관련된 수학은 학창시절에 배웠던 수학과는 많이 다름을 느꼈고, 필요에의해 공부하는 수학은 배우는데 시간이 많이 필요하지는 않더군요. 오히려 흐름,알고리즘을 처음에 이해하는게 너무 힘들었고, 지금도 힘드네요.
수많은 개발자의 유튜브 영상을 보긴했지만, 절박함속에서 성장하는 모습을 가장 잘 표현해주신 분이라고 생각합니다.
@tonylee3958 35
2019년 12월 19일 18:59문과생으로 머신러닝 데이터분석을 배우고있는 이시점 정말 큰 용기를 얻고갑니다. 교수님이 말씀하신 수학을 좋아하는지 모르고 살다가 28살에 회사원이 되어서야 깨달았습니다. 앞으로 10년간은 수학과 관련된 공부를 하고싶어 진로변경을 하네요.
@planee2439 28
2019년 12월 19일 19:344차 산업 혁명 시대에 우리 아이의 교육을 어떻게 해야할까 고민이 많은 학부모입니다. 융합을 중요시하는 시대에 한우물이 아닌 여러 우물을 파고 그중 수학은 반드시 포함시키라는 교수님 말씀이 공감되고, 남호성 교수님 책을 꼭 읽어보고 싶어지네요.
@moncw4 20
2019년 12월 19일 23:38공대졸업하고 컴퓨터디자인 공부하는 현직 디자이너입니다. 실무에선 크게 사용은 하지 않지만 제가하는 일에 수학 혹은 언어의 필요성을 느끼고 따로 시간을 내어 혼자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저도 한 우물만 파는 시대는 갔다고 생각하고 저의 영역을 확장시키고 있습니다.
그런데 고등수학의 수준이 기괴하게 올라간다고 말씀하셨는데 저는 그정도 수준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공대에서 공부하는 것들은 모두 고등수학을 베이스로 하고 있거든요. 결코 공대에만 국한된 말은 아닐겁니다. 암기만 하는 수학공부가 잘못된거지 이해와 사고에 따른 수학공부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제 전공과 다른 일을 하다보니 수학공식들? 다까먹었습니다. 하지만 그 사고의 흐름은 머리속에 남아 있더라구요. 덧붙여 저는 수학공부의 변화보다는 언어공부의 변화가 더 시급하다고 생각합니다ㅎ
@joeyseo4287 17
2019년 12월 22일 18:53수학은 중고딩때의 최고의학문인데 현상 혹은 일상을 수식화해서 검증한다는것에서 논리력 수리력 사고력 모두 검증가능함
학원에서 문제풀이법만가르쳐서 그렇지 충분히필요하고 중요한학문임
@zzangfile 16
2019년 12월 22일 15:0240 넘어서 제 2의 인생으로 데이터, AI 공부를 하려는 사람입니다. 강사님 말씀듣고 앞으로 4차 산업에서 갈아가려면 여러 우물을 파라는 말씀이 와닿네요.
@편자남편의점에서자기 14
2019년 12월 20일 12:57우리나라 수학에서 행렬 벡터는 이번 정부에서 삭제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교육이 대학입학수능으로 맞춰져 있다보니 우리 아이들이 의미없는 공부를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덕분에 사교육에 등골이 휘고요ㅠ 지금이라도 우리 부모들의 의식이 깨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이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의식전환!!이제라도 사교육 대폭 줄이고 인공지능시대에 맞는 맞춤교육을 고민할때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려면 일본과 같은 정부의 과감한교육개혁으로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늦지않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는 한강의 기적도 일궈낸 그 어떤 나라에서도 볼 수 없는 엄청난 일을 해낸 나라입니다. 지금 이 시점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tv-hn4zh 13
2019년 12월 20일 08:35수학전공을 하며 대학수학이 오히려 재밌다고 생각했습니다. 학교수학이 수포자를 많이 만들고있다는 사실이 안타까웠습니다. 교수님 말씀에 많이 공감합니다. 여러 우물을 파세요. 그 중한 우물은 수학으로 하라는 말씀, 꼭 실천하겠습니다.
ᄋᄋᄋᄋ 12
2019년 12월 29일 17:59아무리 문과라도 고려대 영문과인데 '수포자'라고 할 정도는 아니지 않나.. 기본 베이스가.. 수포자는 문과 수학도 못 따라간 사람을 말하는 건데..
@sailor0308ify 10
2019년 12월 30일 08:05강재구라는 인물이 부럽습니다. 모든게 기회 잡아야 되는데 기회에서 잡힌 인물인듯 기회에 잡혔을때 그걸 잘 받는것.. 좋른 강의에서 의외의 강의 내용에 감동..ㅋㅋ.
@복작북작-l9u 9
2019년 12월 19일 20:30색도, 음가도 숫자열과 1:1 대응으로 연결된다는 것이 재미있네요. 선형수학 배울때 왜 배우는지 모르고 배웠는데 행렬이 데이터로 나오는 것도, 그것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예를 구체적으로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활용하는 방법, 그리고 의미를 아니까 쉽게 이해가 되고 흥미롭고 재미있었어요.
2005년 대학생때 언어심리학 배우면서 로봇과 대화다운 대화가 먼~먼~ 이야기일것만 같았는데 불과 10여년 만에 siri가 대략의 말을 알아듣는 정도로 발달한 것도 놀랍습니다. 남즈 같은 분들의 열정덕이겠지요.
우리나라 교육이 (특히 대입이) 성적을 줄 세우기 위한 공부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필요한 공부를 했으면 좋겠어요.
@david-ji8tw 9
2019년 12월 20일 13:46저도 문과 전공으로 개발 공부하고 있는 사람인데요. 수학에 대해 항상 공교육 수학만 생각했는데 다른 생각을 갖게 해주셔서 감사하네요. ^^
@sss3593 9
2019년 12월 19일 18:23저도 문과생인데 컴퓨터를 전공하고 있어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juy1353 8
2019년 12월 21일 23:26이것저것 하고싶은 것 중에 무엇을 전공으로 하고 살아야 할까? 너무 고민됐었는데, 교수님 말씀 들으면서 지금 제가 좋아하고 관심 있는 일을 여러군데서 계속 도전해나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한 우물만 파서 사는 시대는 이미 지났다는 말에 더 용기를 얻기도 하고요! 앞으로도 제가 좋아하는 것, 열정을 느끼는 일에 고민말고 시도하고 공부해보며 살아가야겠어요! 그러다보면 저도 교수님처럼 제가 나눠주고 가르쳐줄 수 있는것들이 점점 생기기 시작하겠죠? 즐겁게 배우고, 즐겁게 나눠주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용기를 얻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sebasi15 8
2019년 12월 19일 18:18[책 선물 이벤트]
시청 소감을 댓글로 남겨주신 분들 중 추첨을 통해 세바시 강연자의 책을 드립니다!
(참여 기간 12/19~12/25, 세바시 유튜브 커뮤니티 및 영상 댓글에 12/26 발표)
✻ 남호성 교수의 강연 섭외는 세바시로 문의주세요! ☞ 02-2652-2102
✻ 강연 영상이 올라올 때마다 보고 싶다면 지금 클릭(알람설정)! ☞ http://bit.ly/2odEydm
✻ 강연자의 강연 소개 : 문과 출신의 ‘수포자’였던 저는 지금 대학에서 수학과 코딩 그리고 인공지능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제가 가르치는 학생들도 모두 문과생입니다. 수포자였던 저와 우리 아이들이 국내 최고의 수학과 코딩, 인공지능의 인재가 된 비결을 여러분에게 공개합니다
✻ 세바시 콘텐츠의 A 부터 Z까지 누릴 수 있는 유튜브 멤버십 http://bit.ly/2URQKU4
✻ 가장 빠른 세바시 강연회 신청 https://apply.sebasi.co.kr
✻ 세바시 홈페이지에서 강연회와 연사들의 다양한 강의를 만나보세요! ☞ http://www.sebasi.co.kr
세바시 페이스북 페이지 | http://www.facebook.com/sebasi15
세바시 인스타그램 | http://www.instagram.com/sebasi15/
세바시 카카오스토리 | http://story.kakao.com/ch/sebasi
✻ 세바시 강연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세상을바꾸는시간15분’에 있습니다. 영상 및 오디오의 불법 다운로드 및 재업로드, 재가공 등의 행위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hszzh 7
2019년 12월 20일 08:55저 또한 수포자이며 교사를 꿈꾸고 있는 사람으로서 우리 아이들이 너무 교과목에만 자신의 재능과 흥미를 국한시키는 현실이 참 안타깝습니다. 저도 전에 일을 하며 프로그래밍을 잠시 접했던 적이 있는데 저랑은 안맞을거라 생각했던 것과 반대로 너무 재미있더라구요. 수학, 과학을 못하니까 이공계 계열의 일은 난 못할거야 라고 선을 그어버리고 생각하는 것이 어리석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교수님과 같이 우리나라에 많은 융합형 인재가 양성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뚜시-i2y 6
2019년 12월 24일 11:33공대갔지만 수학이 너무 싫었습니다...
근데 이젠 인공지능공부하고 있네요.
여러우물들을 파고 있는데 수학은 꼭 가져가야 겠네요..
@바나나우유-s4f 6
2019년 12월 21일 19:03수학에 대해서 생각해볼수 있는 시간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남호성 교수님덕분에 수학과 인공지능에 관심을 더욱더 가지게 됐습니다세바시 강연 앞으로도 유익한 영상 부탁드릴게요 늘 감사합니다 :)
플랭크하며노래부르기 6
2019년 12월 29일 21:20우리나라 진짜 왜 이러냐 요새.
포텐 제대로 터지려는 조짐이려나...
이렇게 진짜 목소리를 내어주시는 교육자분들, 존경합니다 진심!
수능 제도 어서 바꾸자.
수학 좀 제발 쉽게 가르치자.
한 우물 그만 좀 팝시다 진짜!
호기심 가는 거 싹 다 공부해봅시다!
유튜브에 다 있고
인생마저 길어졌다는데!
@jiwon21c 5
2020년 8월 15일 21:36저도 IQ 검사에서 수리력 점수는 아주 높게 나왔는데 어느 순간 놓치면서 결국 고 3때 수포자를 선언했죠. 주위에서 전산과를 가라고 할 때 수학이 무서워서 이상하게 쉽고 좋아하던 불어를 배우려 불문과에 들어갔습니다. 그런데 졸업도 하기 전에 프로그래머로 취업하는 행운을 얻었고 비메모리 반도체 회사에 입사하면서 그 경험으로 지금은 임베디드 엔지니어로 20년 넘게 살아가고 있네요. 그 때는 이해 못하던 걸 일로써 접근하면서 절실하게 들여다보고 이해할 때까지 보니 이해가 되더군요. 맞아요. 한국의 입시 수학이 숫자 따지는 것조차 두렵게 만드는 것 같아요. 전자의 원리가 일상의 현상으로도 설명 가능한 걸 깨닫게 되면서 선생님들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인지 새삼 느낍니다.
@joiesong 5
2019년 12월 19일 18:34감동적인 교수님의 강의! 가슴에 새기겠습니다.
@godwithahj 4
2019년 12월 25일 22:14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로 살아가면서 내 전공만 잘 가르치면 된다는 착각 속에 살다가 최근에 와서 다양한 분야에 대한 교사의 도전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여러 우물을 파서 그 안에서 나온 다양한 보물들을 잘 조합해서 학생들에게 전달해야겠습니다.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hyeonjahwang8292 4
2019년 12월 20일 09:23멋집니당^^최근 코딩을 배우기 시작하며 컴퓨터 울렁증을 극복해가고 있습니다
@이게닝겐이다로봇들아 4
2019년 12월 21일 06:06수포자라는 트라우마를 없애주는 강의.....,감사합니다!!!
@nanakim76 4
2019년 12월 20일 11:43전혀관심없었던 분야였는데 아이를 낳고 키우다보니
나부터 먼저 알아야겠다는 생각이드는 강의입니다
감사합니다 ~^^
@땡큐다이어리 4
2019년 12월 20일 15:07늘 좋은 강의로 동기부여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naisu 4
2020년 1월 09일 14:33그냥 IT쪽의 성장세가 어마어마 하므로 쉽게 선점했다는 정도인듯
@주종사랑감사 4
2021년 1월 25일 20:35저건 응용수학이죠.
수학이 괴물이라고 문과적이해를하는건
아닙니다.
속지말고.제대로된 수학?
수포자다운 수학의 이해인듯.
수학에대해 한이 맺힌듯..
벡터가 어떻게 저게 전 내용일까요?
순수수학이 바탕이되어 암호학같은 응용도 나오는거니..
단정은 겸손치못하죠.
자기가 모르는분야를 아는쪽으로 정의내리면 안되죠.
순수수학중 미분과벡터가
아인슈타인의 물리를 풀어내고.
확률과 적분등 양자역학이 앞으로의
컴퓨터도 만들어낼거고..
박문희 3
2019년 12월 19일 23:11우와 수포자로서 인생폭망했다고 생각하고 살고있어요 강의만 들어도 뿌듯합니다
@artcaster로렌리 3
2019년 12월 20일 09:17저는 국문학과 전공생인데 이 강연을 듣고 더 큰 꿈이 생겼습니다. 정말 멋져요♡♡♡
@successcode_motivation 3
2019년 12월 20일 00:07소중한 영상 감사합니다
@영어단어장애니보카 3
2019년 12월 21일 07:03잘 보았습니다. 이 시대의 학생들이 봐야 할 영상 이었습니다. 저역시 늘 불만? 이었고요. 아들한테 전달했습니다
@codemikoistheenglishteache5989 3
2020년 8월 08일 17:01지금 한국에서 국문과, 영문과 등 어문학과에 계신다면 더욱 여러 우물을 파시길 권합니다. 진심으로 그리 권합니다.
붐붐 3
2019년 12월 25일 05:15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강재구 죽어나가는 이야기ㅋㅋㅋㅋㅋㅋ 연구실 잘못선택햇누
자아성찰 3
2019년 12월 23일 15:08아아아책받고싶다아아
Saeyup Han 2
2019년 12월 24일 04:27내 우물을 만들고 내 셰계를 만들어보고싶습니다
보글보글 2
2019년 12월 29일 20:35교육이 실무와 너무 동떨어져서 의미가 없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은거 같아요.
@봉찬우-p3z 2
2019년 12월 22일 00:10의미있는 강연 감사합니다. 잘들었습니다.
힘나는 이야기 2
2019년 12월 19일 23:49이상하게 발전된 괴물이라....음..
아타적 이기심...남을위해 자기를 위해..여러 우물을 파는 사람만이 세상을 바꿀 수 있습니다. 쉬운 수학은 충분히 가능하지만...어려운건 ㅜㅜ
@kyugeuncho2020 2
2020년 8월 06일 22:56인공지능을 위한 수학이 수학의 전체가 아닙니다. 대학교 1학년 공대수학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않지요. 기계공학, 전자공학에서 쓰는 수학은 또 다르지요. 순수수학은 또 다른 영역이구요. 수학자들이 관심분야의 연구를 하고 그 결과물 중의 일부를 다른 분야의 실력자들이 가져다 쓰는 거지요. 분명히 한 분야의 학문발전에 집중해야하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만약, 순수 수학자들이 행렬과 벡터의 개념을 발견하고 학문 발전을 이루지 못했다면 인공지능은 다른 형태로 존재하였겠지요.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만드는 분들도 필요하지만, 그 학문자체에서 새로운 성과를 내야하는 딸깍발이도 필요합니다.
リヒチョン 2
2019년 12월 19일 23:38죄송해요 .
배타적과 햇갈렸네요
@seaottersbookshop 2
2019년 12월 20일 10:27공감합니다!!!
@リヒチョン-f9k 2
2019년 12월 19일 21:04이타적 이기심 아닙니다.
그 열정이 같은곳을 바라보고 같은꿈을 꾸게하죠.
자의든 타의든 선한 영향력을 알아갈수 있다는건 가치있는 일입니다 .
박승민 2
2020년 8월 26일 16:17수학은 이산수학, 공업수학, 대학수학 굉장히 각각 이질적이라고 볼수있어여 중고등학교는 공업수학의 기초로 절대 쓸모없는것이 아니며, 괴물이 아닙니다. 이산수학밖에 모르는 분, 공과분야에 무지한 분이 말하는 선동이죠. 문과에 대한 편견이 생길정도네요 ㅋㅋㅋ
또한 고등학교에서 하는 영어는 대학교, 대학원가서 원서, 논문을 읽기위한 영어입니다. 필요,필수인 영역중 하나입니다.
하고픈말은 청소년기에 배운게 쓸모없다는게 아니라는 것과 다만 다른영역(코딩에쓰이는 이산수학, 영어회화 등)의 비중을 올리면 좋겠다는 것 정도...
문과가, 이산수학이 수학의 전부인줄 알면서 수학 좀 한다라면서 나와선 공업수학을 까는게 강연이라니 조금은 ... ㅎㅅㅎ 수능문제를 못푼다는게 자랑인가싶고요 수학에 무지해서, 수학의분야도모르면서.
@Cindy-hr1ms 2
2019년 12월 20일 09:47수학을 제법하지만 재미없어하고 영어도 실력은 비슷하지만 그나마 언어는 재미있어하는 아들이 이번에 외고에 지망하며 진로에대한 고민이 더 커집니다. 예술적 재능도 있고 코딩이나 아직은 앱을 활용하는 수준이지만 다양한 프로그램을 익히고 다루는데도 소질이있는 정말 진로를 하나로 정하기 쉽지않은 아이에요. 융합형 인재가 필요한 시대에 적합한 재능을 지녔다고 생각되지만 이 재능들을 어떻게 발전시켜 조합해나가게 될지 염려반 기대반으로 지켜보고있습니다. 교수님의 강의가 많이 도움이 되었어요. 또 다른 NAMZ가 되도록 열심히 응원하도록 하겠습니다.
toto k 1
2019년 12월 25일 22:43교수님 감사합니다^^
SW Soh 1
2020년 8월 09일 11:26영어도 엉터리다
외국서 미국학교 다니다온 우리아들이 말도 하고 영화도 보는데 한국문법 학원을 다니고 있다.
중고 영어선생님들 그분들이 출제하는 학교시험문제가 30년전 나때와 다르지 않다. 미친~ 엉터리~
만들 1
2021년 4월 29일 11:34He is a genius
@ManChoitube 1
2020년 8월 08일 19:35교육과정에서 말하는 '수학'과 교수님이 말한 '수학'의 괴리를 어떻게 줄일지 고민입니다. 최만드림
BLACK 1
2020년 6월 21일 19:39수학 영어는 기득권의 출세도구로 전략한지 오래...
hanami 1
2020년 1월 03일 08:37어제도 비슷한이야기하는 영상을 봤는데... 우리나라 교육에 문제점..
@ShrimpRoyalNewRoyal 1
2019년 12월 26일 10:02대한민국 교육시스템은 비효율인것은 누구나 다 알지만 누구도 바꾸지 못하는 함정
Ji-won Lee 1
2020년 8월 15일 21:30미디어젠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자동차에 음성인식 기술을 통합할 때 우리 한국어와 한국 사람들의 영어 억양 등을 제대로 인식해주는 것에 아주 놀라워 했던 기억이 납니다. 전세계 음성인식 시장을 뉘앙스라는 회사의 엔진이 모두 독식하는 와중에 미디어젠의 음성인식 기술은 놀랍습니다. 그런 성능의 결과가 다 이유가 있었습니다.
@abc978abc 1
2022년 7월 28일 06:10이런 이유로 정치인은 수학을 알고 경제를 아는 똑똑한 사람이 해야 하는것이구나^^ 국가 경쟁력이 국가 정치인에 달려 있다.*^^*
gs Yoo
2020년 8월 14일 08:26선한 영향력이 눈매에 목소리에 강렬하게, 남호성교수 같은 사람이 정말 많아져야 이나라가 버팁니다.
@j-n9f
2024년 7월 17일 17:01와우 와우, 남호성교수님에 욕심이 없는 교수님 제자사랑에 도전과 솔직한 내용에 강의에 감동을 느끼면서 감사의 표현을 남긴다 😁👍💕👏👏👏👏👏
생태사랑
2020년 7월 26일 19:11인공지능과 수학이 친숙하게 다가오네요.^^
남호성
2020년 3월 26일 04:02저도 융합형 인재에 굉장히 관심이 많고, 이과 문과 음악까지 모두 거쳐왔는데 저랑 동명이인이시네요. 이름마다의 특징이 있나봅니다. 저도 융합형 인재가 되겠습니다.
@Gggggggggggiiii
2023년 4월 29일 22:03수학읽어드립니다 책 우연히 보고 영상까지도 보게 되었습니다.
책 안읽어보신 분들은 꼭 책읽어보세요. 작고 가볍지만 엄청 알찹니다.
이 영상에서는 그 책 내용을 너무 축약하려다보니 그 모든걸 나타내지는 못한거 같아요.
교수님 삶진로,남즈연구원들업적, 수학의중요성필요성, 현재한국수학문제점, 어떻게 수학에 다가가야될지, 인공지능및미래에 쓰이는 수학종류들 등등
수포자지만 항상 미래지향적이고 기계기술,교육,수학 등에도 관심이 있어왔던 저의 취향에 딱 맞고 비단 저뿐 아니라 이시대 모두에게 유용한 책이라 봅니다.
@주정규-z9v
2021년 7월 09일 10:14융합형 사람을 만들어 가는 남호성 교수님 감동적입니다. 적극 응원합니다.
@jaeyoungyu1981
2024년 1월 25일 06:57와우 와우 교수님 훌륭한 이시대의 최고의 융합 의 교수님이 라고 감히 응원에 박수를 보냅니다 😁💖💒 아 👏👏👏👏👏Thanks you so much
@MeMe-ys1zd
2024년 2월 09일 01:27단순히 남이 잘 만든거 가져다 쓰는건 수학 몰라도 되죠
근데 학회가서 만난 제대로 된 인공지능 전문가라하는 사람 중에
- 선형대수학
- 확률론 및 랜덤프로세스
- 정보이론
- 통계추론 및 베이지안 추론
- 컨벡스 최적화
모르는 사람 본적이 없습니다.
왜? 대학교/대학원 코스웤에서 기본적으로 다 배우기 때문이죠.
인공지능은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것이 아니며 예전부터 응용수학의 한 분야로써 발전해오던 것 입니다.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툴을 사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만들어내시려면 굳이 수학은 물론 인공지능이 뭔지 모르셔도 됩니다.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푸리에 변환, 샘플링 이론 등)에 대해서 아무것도 몰라도 어도비 포토샵 잘 만 쓰는 것 처럼요.
티라미스킴
2020년 12월 28일 08:30이거 맞을걸요? 전에 서울대 수학과 교수님도 그런말씀 하셨어요 수학이 어려운게 아닌데 잘못가르쳐서 어렵다고 생각하는거라고~
YOUNGHO Mun
2020년 8월 05일 20:29문영호ㅇ
사람은선해야 한다
2020년 1월 09일 11:43그냥 한국에서 역사교육을 제외하고 다른 나라 교육을 받는게 맞음 ㅋㅋㅋ
@copy-chu
2020년 8월 10일 23:02많은 지성의 전문가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교육자들의 이기심 때문에 교육의 발전에 긍정보다 부정 요소가 많다는 것을 생각하게 됩니다. 이 땅의 교육자분들을 비판하려는 글이 아니라 해당 분야에 업을 쌓고 계시는 분들 스스로 자각하고 자성해야한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저도 어려서 수포자였는데, 막상 직업으로 수학을 해보면 우리가 산수라 부르는 수준으로도 충분히 가능했고요. 지금의 수학은 결국 학생들을 줄세우려는 의도가 더 큰 난이도 다른 문제의 양상이라고 생각이 들거든요. 그것은 수학 뿐 아니라 영어나 국어 역사 등 본질을 벗어난 교육이 많다는 것을 느끼게하거든요.
공돌이광식
2020년 3월 08일 01:16코딩 수포자도 할 수 있다? 할 수는 있다.
다만, 어떤 코딩을 원하는지에 따라 수포자는 할 수 없는 부분도 존재해서 그렇지...
@맥그슨
2022년 7월 12일 03:35코딩이랑 수학은 조금다르죠.
코딩은 모든 수학공식이 들어있는 답안지속에서 답안지를 보면서 공식이 들어있는 코드한줄이면 끝나니까요.
그냥 수학 라이브러리가 들어있는것을 이해만하고 사용만해서 프로그램을 만드는것과 최신논문을 읽고 구현하는것 등등 이것조차도 힘든게 사실입니다. 이것은 남의 개발한 지식을 이해하는수준만 되는겁니다.
진짜수학을 잘이해하고 공부해야 수학적 ai 알고리즘 모델도 만들수있습니다.
김첨지의럭키데이
2021년 9월 12일 11:16그렇다고 수능수학이 의미없는건 아닙니다.....수능 수학은 말 그대로 트레이닝. 훈련을 위한 수학이니까. 사고력을 키우는 퍼즐같은 거라고 생각하고 풀면 재밌습니다.....
@jaeyoungyu1981
2021년 3월 07일 01:04남호성 교수님
fighting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