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는 우리의 마음을 읽고 있다.
[고신세] 고작가와 신박사의 세상 읽기! 참고: Think With Google, YouTube 데이터를 통해 관찰한 현재 한국 소비자의 욕구 (https://bit.ly/3p6o9Fj) 문의 이메일: ......
[고신세] 고작가와 신박사의 세상 읽기! 참고: Think With Google, YouTube 데이터를 통해 관찰한 현재 한국 소비자의 욕구 (https://bit.ly/3p6o9Fj) 문의 이메일: ......
@motionenglish 12
2021년 1월 25일 17:15자기 돌봄 욕구 - 홈트 코로나시대가 끝나면 지속되지 않을 수 도. 경제적 자기돌봄 주식,부동산
10:15 새로운 경험에 대한 욕구 -캠핑 차박/요리
14:00 사회적 연결의 욕구-댓글놀이/어몽어스-코로나때문은 아닌듯
와 오늘 내용 너무 좋네요. 두분의 사견까지 더해주시니 더 좋았습니다.👍👍👍
@studian365 6
2021년 1월 25일 16:42같이 보면 좋은 영상!
https://youtu.be/RNfZwm_uQ7Q
@Vinjae 2
2021년 1월 25일 18:36깡.패 초기멤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2019년 12월 정도에 처음본것같은데, 저 양반들 아직도 저러고 놀고있습니다.)로서 보태자면, 선넘은 조롱과 비난들이 시간을 거치며 유쾌한 병맛 댓글들 위주로 살아남기 시작했고(물론 비가 아닌 사람 관점에서) '댓글 맛집'이라는 타이틀을 달게 되었습니다. 이후 본영상이 알고리즘을 탔고, 곱하기로 기존영상에 댓글을 모아 덧붙여 리믹스하는 스타일의 영상으로 재확산되며 부활의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결론적으로 한 줄짜리 유저 생산 콘텐츠들이 댓글창이라는 작은 복잡계에서 만들어낸 블랙스완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깡에서 인상적이었던 덧글이 있는데 '우울할때마다 보러 온다. 올때마다 정신없이 웃으면 기분이 좋아진다.'라는 내용의 글이 있습니다. 저도 댓글창을 30분도 넘게 내리다가 본 그 댓글에 많은 공감이 되었는데, 글에서 말한 사회적 연결은 이런 부분 같아요. 꼭 신분과 취향 드러내고 공통된 주제로 이야기를 하는 전통적인? 연결이 아니라, 누군지도 모르고 알고싶지도 않은 사람들과 대충 아무렇게나 만나서 웃기는 잡담이나 하는 셈이죠. SNS로 뚝딱 만나서 노는 후랜드who+riend라는 신조어(문화나 트랜드라기엔 아직..)와 비슷한 맥락입니다. 물론 코로나 전부터 저 모양이었으니 코로나랑은 크게 상관없겠습니다.
어몽어스는 게임유튜버 g식백과님 영상을 봤는데, 게이머는 헤비유저와 라이트유저로 분류합니다. 아싸와 인싸로 치환해도 무리가 없죠. 어몽어스는 인싸들이 오프에서 못만나서 궁여지책처럼 모여서 노는 공간으로서 티핑포인트를 맞이해 대중적으로 보급되었다고 합니다. 저도 어몽어스 안해봤고 옛날에 본 영상 가물가물 짚어가며 글쓰는거라 확신은 없지만, 앞서 설명드린데로 라면 인싸에서 아싸로 확산되는 <티핑포인트>의 전형적인 사례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연결욕구로 인한 떡상이라고 봐도 무방할것 같습니다.
@user-tr8qv4yv8z 2
2021년 1월 26일 16:01출처: "YouTube 데이터를 통해 관찰한 현재 한국 소비자의 욕구", Think with Google.
@user-nb4qo2ln7z 1
2021년 1월 25일 22:44고작가님 신박사님 좋은 내용 감사합니당!!!!!!!!
김수빈 1
2021년 1월 25일 17:52여러 나라 정보가 있네요??
일본에서 디지털 마케팅 하는데 일본꺼도 따로 나와서 너무 도움이 되었어요!! 고맙습니다 ㅎㅎ
@pingununuu 1
2021년 1월 27일 00:26인트로 보고 갑자기 생각난건데 강호동이 했던 말이 생각나군요
"책을 많이 읽은 사람이나 하나도 안 읽은 사람이 무서운 게 아니라 책을 한 권만 읽은 사람의 철학이 가장 무섭다" 라는게 생각나군요 ㅎㅎ
저는 앞으로 계속 배워나가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
영상 잘 볼게요 ㅎ
@user-yg8mc5bn2h 1
2021년 1월 26일 03:12고작가님 신박사님 이런 컨텐츠 계속 해주세요~
두분이 주는 인사이트가 재밌으면서도 큰 도움이됩니다!
@30feeling75 1
2021년 1월 26일 05:35이런 데이터 위주 현재의 상황을 파악하고 객관적으로 분석해주시는 컨텐츠 너무 좋습니다!! 항상 아침에 보면서 공부하고 요즘 시대를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
@sung-jinchoi3948
2021년 3월 13일 08:42아침부터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코로나가 오고나서, 우리 삶의 5년이 빨리 앞당겨졌고 급속도로 변했다. 코로나가 완화되어도 우린 이 변해버린 삶에 적응했다. 그럼 어떤 방식으로 선택과 집중을 해 나갈 것인지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ky3yy5vi9h
2021년 1월 25일 16:38항상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기다리고 있던 영상이예요 열심히 보겠습니다
@a01046596920
2021년 1월 25일 22:34AI
@user-zw6zb9qx6p
2021년 1월 26일 00:25신박사님 목소리톤 완전히 부드러워 지셧네요.
@wattdr
2021년 2월 05일 12:12존봉준 ㅋㅋㅋㅋㅋ👍🏻👍🏻👍🏻
@user-ks9ym6ux5h
2021년 1월 26일 20:42자기 돌봄 욕구
(홈트가 대세)
@dngjsrbs
2021년 2월 07일 20:37구독자 수는 100만인데 투자영상만 10만이 넘고 정말 중요한 인사이트 주는 영상은 만 단위밖에 안 되네요. 이게 현실.
@gosim312
2021년 1월 26일 18:23오늘도 좋은 인사이트 얻고 갑니다. 앞으로도 많은 데이터로 좋은영상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