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이든 부동산이든 언젠가 이것이 언젠가 폭락을 할 수 있다는 걸 다 알고 진입하는 거고 다만 얼마나 오르냐 언제까지 오르냐가 각자 판단인 거지. 올라도 부러워할 거 없고 떨어져도 원망할 거 없다. 다 각자가 스스로 판단하거나 누군게에게 조언을 구해 투자를 하고 거둬들이고 보류를 하는 거고 거기에 대한 책임과 과실들은 다 본인이 지는 거지
1인가구가 늘었다고 해서 그 1인가구들이 주택수요를 견인한다. 그래서 집값이 오른다. 비현실적 연결고리.. 대부분의 1인가구는 잠만자는 반지하, 9평이하의 오피스텔 같은 곳... 주택의 수요와는 거리가 멀다. 부동산 자산가치의 폭락이 필연에 가까워 지고 있는 이때 잘못된 믿음을 심어줄 수 있는 논리.
인구비율이 중요합니다 5천만에 노인인구가 1천만인거랑 2천만 다르듯이 경제 규모 자체가 줄어들고 1인가구는 큰 아파트들은 필요없고 서울경기 일대는 계속 해서 모여들고 이쪽은 어떻게든 올라가고 나머지 지역은 망하는 수순 일본은 그나마 출생 1.4명대 어떻게든 유지하고 있고 우리나라는 사실상 0.7명대 문제는 젊은 세대들이 우리나라 미래에 답이 없다고 생각하고 가면 갈수록 출산 혼인은 떨어지고 일본처럼 받쳐주는 인구가 없고 더 가파르게 줄기 때문에 언제까지 그놈의 집값 잡고 있을 수는 없을겁니다 먼 미래라 하겠지만 2,30년 금방 갑니다.
여러 의견일 뿐 아무도 모르지. 각자도생. 자산시장 하락 시작 땐 그 많던 전문가 다 사라지더라ㅎㅎ 2012년 담보대출이랑 전세금 합하니 매도가를 훌쩍 넘더이다ㅎㅎ 반면 2014년 매수때는 너도나도 꼭지라고 미쳤냐고 하더라구요ㅋ 인구감소도 어떤영향을 줄지 사실은 아무도 모름. 훗날 과거를 인구문제와 껴맞춰 해석하겠죠. 즉 예상은 의미가 없다..
가장큰 원인 중 하나는 의학발달에 따른 수명연장 입니다. ... 주택 보유자의 장수로 청년인구 주택 부족 요인이 되었는데 이제 수연장에 의한 노령인구가 최고연령에 도달하여 향후 급속한 사망이 시작 되었습니다. 청년인구 감소와 노령인구 사망자 증가현상이 겹쳐 발생하는 시기가 시작 되었습니다.
일본 도쿄부동산을 주의 깊게 계속보는 중입니다. 인구구조도 보고 있고요. 어설프게 보지 말고 주의 깊게 자세히 봐보세요. 복잡합니다. 파악하는 것 쉽지 않습니다. 우리나라 부동산도 사람마다 의견이 다르듯이 일본 부동산을 보는 시각도 다 다릅니다. 연령대 별로 다 다르고.. 신축 구축다르고.. 인구구조도 잘 봐야 합니다. 그냥 인구를 보는 것이 아니라 집 수요층의 인구와 지역분포와 유입정도 다 살펴야합니다. 일본도 인구 감소라고 하지만 집과는 무관한 어린애들이 줄어든 겁니다. 집이랑 인구랑 아직 관련 크지 않아요. 대도시는 인구유입이 있지만 집 잘 안사고 세계적인 도시이다 보니 외국인이 주로 사고, 가격도 비싸다고 생각되어 미분양도 많은 편
강력한 서울인구유입은 대학입니다. 서울권대학으로 진학한 사람은 계속 서울에 살게 됩니다. 강남에는 중앙법원부터 외교관시설, 학술단체, 고용부 관련 등등 꼭 강남에 있을 필요가 없는 국가기관이 구석구석에 넘쳐납니다. 기업들은 말할 것도 없고요. 국가는 과연 집값상승의 주범역할을 하는 강남집값을 잡고 싶은 걸까요?
우리나라 인구줄면 중국인들에게 팔아 넘기면 돼 ㅋㅋㅋㅋ 중국부자들 우리나라에 자금 숨기고싶어서 환장한다 우리나라 민족 특성상 그러고도 남는다 ~ 젊은이들아 나중에 일본처럼 집값폭락하고 빈집생긴다고 거저가져갈 생각 하지 말아라~ 기득권층은 나라 팔아먹는한이 있더라도 절대 그렇게 놔두질 않는단다
그래서 서울 공화국이라고 하잖아요. 왜 굳이 모든것을 서울에 집중합니까! 땅도 작은 나라에서 과감하게 분사시켜 인구도 주택도 모두 골고루 평준화시키면 될걸.. 서울공화국에서 모든걸 꽉쥐고 놓치 않으니 지금처럼 이런 걱정을 하고 있는거겠죠. 제발 광역시 별로 하나씩 나누어 주고 세계속에서 서울뿐 아니라 다른 지역도 골고루 여행 관광도 올수 있게하고, 지역 특성도 다르게해서 서로 경쟁할수 없게했으면 좋겠습니다.
전 부동산 폭락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제일 먼저 인구 대폭락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이 쫍디 쫍은 땅떵이에 인구 5천만이 넘는다는것이 말이 됩니까!? 한국은 국토대비 적정 인구수가 50만이면 적정 하다고 봅니다!! 연간 출산율 가파르게 0.001%까지 떨어지고 그상태를 100년간 유지해야 올다고 봅니다!!
서강빈 113
2021년 1월 27일 12:16인구 감소가 부동산에 타격을 주기전에 제가 먼저 하늘 나라로 갈듯 합니다.
붕어싸만코 37
2021년 1월 27일 14:41주식이든 부동산이든 언젠가 이것이 언젠가 폭락을 할 수 있다는 걸 다 알고 진입하는 거고 다만 얼마나 오르냐 언제까지 오르냐가 각자 판단인 거지. 올라도 부러워할 거 없고 떨어져도 원망할 거 없다. 다 각자가 스스로 판단하거나 누군게에게 조언을 구해 투자를 하고 거둬들이고 보류를 하는 거고 거기에 대한 책임과 과실들은 다 본인이 지는 거지
영일만빵선생 23
2021년 1월 29일 22:31현재 출산율 추이로 봣을때 8년안에 초등학생수 100만명이 줄어듭니다
현재 270만대인데 170만까지 빠지고 이는 3인 이상 가구가 확 줄어든다는거죠
정말 핵심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아파트값의 하락은 필연이 아닐까 싶습니다
김제용 23
2021년 1월 27일 17:25세대수 증가부분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네요
1인가구가 60%이상....
이 1인 가구가 35평이상의 아파트를 원할까요?
Kihong Kim 16
2021년 1월 27일 16:341인가구가 늘었다고 해서 그 1인가구들이 주택수요를 견인한다. 그래서 집값이 오른다. 비현실적 연결고리.. 대부분의 1인가구는 잠만자는 반지하, 9평이하의 오피스텔 같은 곳... 주택의 수요와는 거리가 멀다. 부동산 자산가치의 폭락이 필연에 가까워 지고 있는 이때 잘못된 믿음을 심어줄 수 있는 논리.
freeman J 14
2021년 1월 27일 12:20홍춘욱
저분은 부동산 투기 전문가
처럼 토론하던데...
버블의 산 증인이다.
1인가구가 늘었다고?
서울과 수도권 1인 인구가
집을 아파트를 살수있는 금액인가?
허구다.
투기꾼들의 허상과 변명에
불과하다.
소위 전문가라는분들 믿지말라
아마구단 13
2021년 1월 27일 17:06창원 살고있는데 마창진이 세계적인 클러스터였다니..
우주절대에너지 13
2021년 1월 27일 12:49인구감소의 근본 원인을 외면한 채 시대의 흐름이 돼서 몇 백 년 후, 순수혈통 한국인의 소멸과 어느 나라의 속국이 되더라도 지구에게는 이익이며 그 몇 백 년이 오기도 전에 몇 십 아니 십 년 안에 지구의 환경으로 인간의 생존은 가늠할 수 없습니다
스터디언 12
2021년 1월 27일 12:01홍춘욱 박사님의 "돈의 역사2" 📘를 소개합니다.
👉 https://bit.ly/3nosLWq
첸란TV - 사람&관계 수업 12
2021년 1월 27일 15:43사람들이 모두 수도 중심의 대도시로 모여서 서울 등 대도시는 집값이 계속 오르고
지방은 비어가는 현상은 한국이나 중국이나 마찬가지네요.
중국의 3선 도시 아파트는 몇집이 비어있는 것이 아니라 단지 전체가 비어있는 현실입니다.
Yong Aaron 12
2021년 1월 27일 12:33현재 태어나는 아이가 20년30후에 경제력이 생기는 시점을 볼께아니라 미혼이나 2인가구가 현재 많다는게 포인트 30평 큰평수가 인기없어지고 가격을 주도한 주류가 지금 필요없다는 이야기임
이장호 11
2021년 1월 27일 14:50부동산에 정답은 너무 어려워요
보통사람은 그냥 사는데로 삽시다 욕심 내지 말고~~
차분하게 10
2021년 1월 27일 14:17수도권은 외국인들이 부동산 투자를 많이 할것 같아요
LiveItUp 10
2021년 1월 27일 19:05지방 대도시도 서울로 올라갈 사람 많이 없어요.
Utube4ever 10
2021년 1월 27일 12:22인구가 주는데 뻔하지
리엇 9
2021년 1월 28일 02:30그럼 일본 도쿄.오사카는 왜 세대수가 증가하는데 아파트가 70% 폭락했을까?
그리고 지방 공기업,대기업분점 지방인재 의무,우선 채용으로 지방거점 국립대 인기가 하늘을 치솟고 있는데 먼소리인지..잘 좀 알아보쇼.
BK Song 8
2021년 3월 09일 18:27저는 인구증감보다 고령화가 더 큰 문제일 수 있다고 봅니다. 향후 수십년 안에 우리나라 인구의 큰 부분이 요양원 생활을 하고 있을 것이고, 그런 분들은 집이 필요 없습니다.
범키 8
2021년 1월 27일 21:1990년대와 현재의 인구수를 비교해 본 결과 서울을 포함한 다른 곳들은 몇십만명밖에 안변했지만, 경기도만 700만명이 늘었습니다.
서울에 살고 싶지만 집값이 비싸서 밀려난 사람들이 아닐까 추측됩니다
이아오 8
2021년 1월 28일 12:15인구가 줄어드는데 세대수는 늘면
아파트 수요가 더 드라마틱하게 줄어드는거 아닌가? 인구도 줄었는데 그 줄은 인구 중에도 자취로 1인가구들도 늘어났으니 누가 주택을 사주는 인구도 줄었는데 줄은 인구 그마저도 1인가구로 내몰린다 음
Hur henry 7
2021년 1월 27일 13:52이 양반 알고 이야기하나 짐작으로 이야기하나? 96년부터 2010년대 사이에 도쿄지역 집값은 그럼 왜 50%가량 하락했나? 정확히 알고 이야기 해 주세요
성이름 7
2021년 1월 27일 13:26결론은 저출산으로 한국인 인구감소해도 집값은 안떨어진다 라는 소리죠?
a a 7
2021년 1월 29일 02:10인구비율이 중요합니다 5천만에 노인인구가 1천만인거랑 2천만 다르듯이 경제 규모 자체가 줄어들고 1인가구는 큰 아파트들은 필요없고 서울경기 일대는 계속 해서 모여들고 이쪽은 어떻게든 올라가고 나머지 지역은 망하는 수순 일본은 그나마 출생 1.4명대 어떻게든 유지하고 있고 우리나라는 사실상 0.7명대 문제는 젊은 세대들이 우리나라 미래에 답이 없다고 생각하고 가면 갈수록 출산 혼인은 떨어지고 일본처럼 받쳐주는 인구가 없고 더 가파르게 줄기 때문에 언제까지 그놈의 집값 잡고 있을 수는 없을겁니다 먼 미래라 하겠지만 2,30년 금방 갑니다.
dm 5 7
2021년 1월 28일 01:34이제 앞으로 저절로 층간소음 걱정 안해도 될듯해요..부산 영도구 아파트는 90가구중 3가구 노인만 거주하는 아파트도 있습니다
Finkvine Iowa 6
2021년 2월 04일 23:32ㅎㅎ 일본얘들도 동경팔아서 미국산다고 큰소리 빵빵쳤다
헌데 일본 버블붕괴가 28년째 지속되고 있다.
김꼬리 5
2021년 1월 27일 13:36창원: 우리가?
양반 5
2021년 1월 30일 14:44여러 의견일 뿐 아무도 모르지. 각자도생. 자산시장 하락 시작 땐 그 많던 전문가 다 사라지더라ㅎㅎ 2012년 담보대출이랑 전세금 합하니 매도가를 훌쩍 넘더이다ㅎㅎ 반면 2014년 매수때는 너도나도 꼭지라고 미쳤냐고 하더라구요ㅋ 인구감소도 어떤영향을 줄지 사실은 아무도 모름. 훗날 과거를 인구문제와 껴맞춰 해석하겠죠. 즉 예상은 의미가 없다..
쓰앙남자 5
2021년 1월 27일 12:38인구 밀집 최고의 해결책은 차등 세금 입니다. 기업, 가구 모두 효율적으로 많이 밀집되는 지역일수록 세금이 세다면 모두에게 효과가 있습니다
김정윤 4
2021년 1월 27일 23:57일본처럼 훗날 아파트에 남는 곳이 많을거라 봅니다.
그까이꺼 4
2021년 2월 08일 20:45가장큰 원인 중 하나는
의학발달에 따른 수명연장 입니다. ... 주택 보유자의 장수로 청년인구 주택 부족 요인이 되었는데
이제 수연장에 의한 노령인구가 최고연령에 도달하여 향후 급속한 사망이 시작 되었습니다.
청년인구 감소와 노령인구 사망자 증가현상이 겹쳐 발생하는 시기가 시작 되었습니다.
DONGHA GONG 4
2021년 1월 30일 22:20창원 살기 좋아서 10년 전부터 타지역 분들이 많이 오셨죠..
니얼굴도라삭라삭 3
2021년 1월 27일 14:42일본보다 더 심한 일본 따라가기
김정은 3
2021년 1월 31일 06:27인구가 감소하면 현세대와 다음 다음세대까지는 경제적으로 힘들겠지만
그 후손들은 풍요로운 나라에서 살 수 있어요. 초원에서 소 양이 풀을 뜯고
밀밭 옥수수밭 콩밭이 쫙 펼쳐져 있는
그런 뷰를 상상해봅니다.
스카이라운지 3
2021년 1월 27일 12:58금리 오르면 폭락할께 뻔한데 전문가 맞니?
Finkvine Iowa 3
2021년 2월 04일 23:34지금 동경도 23구내에 한국 돈으로 1억대 집이 널부러져 있다..
5분이면 조회되니 들어가보셔
Sangwoo Bee 3
2021년 1월 27일 13:36ㄴㄴ 대륙에서 넘어와서 다 사갈 듯
Jj Y 3
2021년 1월 31일 01:08당연한 거죠.
결혼하고 아이 낳아야 집을 사죠. 근데 결혼도 안하고 아이 안 낳으면 걍 원룸 투룸 살면 끝
겸손한마음 2
2021년 2월 05일 16:59일본 부동산은 오른게 아닙니다. 90년대 고점을 아직도 회복 못했습니다. 폭락후 소폭 반등을 급등이라 할수 있나요
Cherry Butter 2
2021년 1월 28일 03:37외국인 = 중국인 --> 결국 중국민국
w.k cho 2
2021년 1월 29일 12:11빈집이 많이 생길듯
최적 2
2021년 1월 27일 12:02선댓글 후감상!
ML Jeong 2
2021년 1월 30일 00:48창원 : ??
閤무위자연 2
2021년 1월 28일 12:05인구 감소는 자연스럽다.. 지금은 노령인구로 정체기이다..
hai da 2
2021년 2월 05일 18:31이혼해서 또분가
dm 5 2
2021년 1월 28일 01:45앞으로 양극화는 더 심해질듯..강남에서 조선족 칼부림 사건 들어 보신적 있나요?? 항상 대림동에서 사건 발생 하잖아요
프리덤 2
2021년 1월 27일 14:09인구수도 비례하지만 산업혁명으로인한 부동산은 어려울것입니다 기업은 변화하는시기에 맞춰 건물들을 매각하고 홈워크시스템구축 온라인언텍트판매방식으로인해 상가나 대기업회사주변 그리고 서울까지 가지안않아도 일을 할수 있기때문에 서울도 내려갈것입니다
곧건물주 2
2021년 1월 31일 15:50집짒은 향후 떨어집니다
인구 감소 집소유욕 하락등등
Soo Shin 2
2021년 1월 27일 12:11홍춘욱님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바람의그림자 2
2021년 1월 30일 23:58세대수...1인세대가 뭔 돈이 있나? 1인 세대는 돈을 쓰는데 집중하지 모으는데 집중하지 않는다... 결혼 후와 전은 삶의 자세가 틀려진다.. 단순 1인 세대 아무리 늘어나 봐야 이무 의미가 없다. 세대수 가지고 말장난 하지마라~~~
기계과선배_오디오북 1
2021년 1월 27일 12:11감사합니다.
유령물고기 1
2021년 1월 28일 01:36일본 도쿄부동산을 주의 깊게 계속보는 중입니다. 인구구조도 보고 있고요.
어설프게 보지 말고 주의 깊게 자세히 봐보세요. 복잡합니다. 파악하는 것 쉽지 않습니다. 우리나라 부동산도 사람마다 의견이 다르듯이 일본 부동산을 보는 시각도 다 다릅니다.
연령대 별로 다 다르고.. 신축 구축다르고.. 인구구조도 잘 봐야 합니다. 그냥 인구를 보는 것이 아니라 집 수요층의 인구와 지역분포와 유입정도 다 살펴야합니다.
일본도 인구 감소라고 하지만 집과는 무관한 어린애들이 줄어든 겁니다. 집이랑 인구랑 아직 관련 크지 않아요. 대도시는 인구유입이 있지만 집 잘 안사고 세계적인 도시이다 보니 외국인이 주로 사고, 가격도 비싸다고 생각되어 미분양도 많은 편
wo wa 1
2021년 1월 30일 01:34마창진이라... 서로 가깝고 하긴한데 막상 여기 살지만 모르겠네요 ㅋㅋ
담비 1
2021년 3월 23일 11:49인구가문제가 아니라 인구감소로 경제가 내리꽂을예정이라 문제지 당장 사교육시장부터 백수될놈들 천지인데
AMOLA L 1
2021년 6월 21일 08:15인구감소가 아니라 정상화 아닐까. 너무 많아. 지배계층에게는 불편한 진실이겠지만.
ᄋ서바이벌 1
2021년 2월 20일 13:57어차피 나이 들어서 몸 아프기 시작하면 집 팔아야 돼. 그리고 평균 수명이 80이라도 생존자 얼마 없고, 한국이 계속 발전한다는 하에 노후대비하기 좋고 땅 값 싼 지역으로 가게 되어있어
박스티브 1
2021년 1월 28일 05:43서울 인구와 대한민국 인구는 줄고 있다~
보배 1
2021년 5월 25일 21:49창원 집값은 요 1~2년 사이에 10억대로 올라간게 많습니다 .. ㅠ
창원이 세계적 글러스터..!!!
노가리털다 1
2021년 1월 28일 07:27부동산을 수익률로만 보는 대한민국 삶의 질을 위한 일주택은 가격이 하락해도 사용가치가 있기에 큰 타격없음.
가격이 내리면 막 진입한 사람들은 좋은거고 장단이 있음.
김정은 1
2021년 2월 22일 18:40한국의 인구밀도는 세계 3위입니다.
방글라데시 대만에 이어서요.
인구가 많아도 너무 많아요.
식량 자급률은 20프로 대 이구요.
곡물 고기 과일을 자급자족 할 수준까지
인구가 줄어야 한다고 봅니다.
적정인구는 1000만명 정도라고 생각 합니다 .
도리도리 1
2021년 1월 30일 00:44서울 집값은 안 떨어진다고 본다. 현재 해외거주하지만 은퇴하면 서울에 살고 싶으므로 서울에 집 사고 싶음.
J Koo 1
2021년 1월 28일 00:15ㅋㅋㅋ 퍽이나 폭락하겠다
김정은 1
2021년 3월 13일 07:20인구감소가 문제라면
이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방법도 있어요.
약간의 돈만 들고 오면
쉽게 받아들이면 돼요.
또 어린 자녀가 있는 가족을
우선 받아들이구요.
그리고 1
2021년 1월 27일 13:05먹자라인 중심상가는 안떨어지죠 먹자촌 중심으로 이삼층 그리고 외곽 상가부터 나오네요
그런데도 중심은 권리금이 더 올라갑니다
아파트도 그럴듯
유상철 1
2021년 1월 27일 12:14서울시장 후보 테스트라는데 http://m.site.naver.com/0KlPi 전 안철수가 나오는군요... .!
김명국 1
2021년 2월 02일 19:25일인가구만 많은걸 쯧쯧
꿈 1
2021년 1월 27일 13:3313:02
차미
2021년 2월 08일 03:02강력한 서울인구유입은 대학입니다. 서울권대학으로 진학한 사람은 계속 서울에 살게 됩니다.
강남에는 중앙법원부터 외교관시설, 학술단체, 고용부 관련 등등 꼭 강남에 있을 필요가 없는 국가기관이 구석구석에 넘쳐납니다. 기업들은 말할 것도 없고요. 국가는 과연 집값상승의 주범역할을 하는 강남집값을 잡고 싶은 걸까요?
골드슈가
2021년 1월 28일 12:02양극화의 끝은 얘기 안하네.ㅎㅎㅎ 원인이 증명되지 않았는데 저따위 논리를 펼치냐;;;
SUE Kim
2021년 1월 30일 09:07한동안 일인가구가 늘어서 대형평수가 인기가 없었지
밤하늘의별을
2021년 1월 27일 12:25감사합니다.✍️
j l
2021년 2월 05일 17:01이분은 코스피 박스권 지속 될거라는 거에서 신뢰도 하락. 코스피 지수 박스 뚫고 날라감
박수미
2021년 2월 02일 14:12그냥 오르는데만 오름 같은 수원 내에서도 군포안에서도 서울안에서도 안 오르는곳은 죽을때까지 안 오름 근데 버스5코스만 가면평당 2천짜리 나옴
소울메리
2021년 2월 09일 07:28웅이사님? 이제 유튜브 안하세요?
ㅠㅠ
신원리박대표
2021년 2월 08일 22:07우리나라 인구줄면 중국인들에게 팔아 넘기면 돼 ㅋㅋㅋㅋ
중국부자들 우리나라에 자금 숨기고싶어서 환장한다
우리나라 민족 특성상 그러고도 남는다 ~
젊은이들아 나중에 일본처럼 집값폭락하고 빈집생긴다고 거저가져갈 생각 하지 말아라~
기득권층은 나라 팔아먹는한이 있더라도 절대 그렇게 놔두질 않는단다
손민관
2021년 1월 27일 17:44좋은 주제네요 다들 코로나조심해요 올해는 힘내자구요
친절한Jason
2021년 2월 02일 06:31서울만이 답이다.
무가당지나
2021년 1월 27일 19:46정말궁금해요.
두분 형제이신가요???
성이름
2021년 2월 10일 09:28저출산 인구감소 2,30년간 지속되겠군
heungchan ju
2021년 1월 27일 13:44저출산 ->저출생 입니다
바람처럼
2021년 10월 25일 19:5170년 세대가 막강하다고 봅니다. 수도권부동산은 항상 끄떡 없을것 같은데요. 지방은 당연히 죽음이겠지만.
김종환
2021년 1월 27일 13:04뉴 노멀
Bruce Moon
2021년 1월 28일 15:45이제 뭘 해도 부동산 떨어진다는 말은 안 믿음 집 살 수 있을 때 빨리 사야 해요 집값 절대 안 떨어져요
SungEun CHOI
2021년 1월 27일 12:43서울권은 안떨어지겠군요. 도쿄가 그랬듯
서은열
2022년 2월 08일 23:23세대수 늘었다고 30평 이상 아파트 수요가 있을 거라 생각해??
H H
2021년 1월 27일 17:44이민인구는 저소득국가의 인구가 많을텐데 구매력이 강할것 같지는 않아서..
해사
2021년 7월 28일 22:49물 한컵 드리고 싶네여
두사람
2021년 1월 27일 18:04그래서 서울 공화국이라고 하잖아요.
왜 굳이 모든것을 서울에 집중합니까!
땅도 작은 나라에서 과감하게 분사시켜 인구도 주택도 모두 골고루 평준화시키면 될걸..
서울공화국에서 모든걸 꽉쥐고 놓치 않으니 지금처럼 이런 걱정을 하고 있는거겠죠.
제발 광역시 별로 하나씩 나누어 주고 세계속에서 서울뿐 아니라 다른 지역도 골고루 여행 관광도 올수 있게하고, 지역 특성도 다르게해서 서로 경쟁할수 없게했으면 좋겠습니다.
h.s lee
2021년 5월 18일 14:30전 부동산 폭락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제일 먼저 인구 대폭락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이 쫍디 쫍은 땅떵이에 인구 5천만이 넘는다는것이 말이 됩니까!?
한국은 국토대비 적정 인구수가 50만이면 적정 하다고 봅니다!! 연간 출산율 가파르게 0.001%까지 떨어지고 그상태를 100년간 유지해야 올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