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하신 근거에 의한 국민연금의 방향성에 대해서는 100% 동의합니다. 특히 위험관리 측면에서는 더더욱 그렇습니다만, 최근의 매도 규모를 보면 너무 무책임하다는 느낌도 있습니다. 워낙 포트폴리오가 크니 천천히 조정 하면 좋을텐데 너무 급작스럽게 매도 일방으로 가면서 11월말 현재 수익률이 6%수준이라면 수익률은 대실망이고 국내 주식시장에 부정적 영향은 너무 커서 윈-윈은 커녕 loss-fail 전술을 시행하는 것 같습니다. 요즈음은 국민연금이 마치 초단기투자자 같은 매매 전략을 구사하는 것 같습니다.
그냥 정해져 있는 룰 대로 어쩔 수 없이 주식 보유 비율을 맞춘다고만 생각했는데 그보다 더 깊은 속사정이 있었군요!!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드는데요...국민연금이 하는 투자방식의 포트폴리오를 개인이 응용해서 그대로 적용한다면 자산배분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앞으로 수 년 간 반대로 미국 주식 시장보다 이머징 즉 한국주식 수익률이 더 높아진다면 또 리벨런싱 한다고 한국주식 팔고 미국주식 사겠네요.. 대주주 역할도 제대로 못하고 삼물 합병하는데 수 천 억씩 날려먹고 공매도 투기세력의 뒷배라는 의심도 받는 연기금의 행태를 보면 국민연금 고갈이 더 빨라질까 무섭네..
님의 논리가 맞다면 국민들도 국내 투자하지 말고 미국으로 나가야 되겠고 그리고 국내에 투자한 금액 들도 전부 빼서 미국에 투자하는 게 낫겠네요. 국내 기업에 투자하지 말라는 얘기도 들립니다 님의 이야기는 그러면 국민들과 정부가 투자하지 않으면 우리 기업들은 어떻게 될까요. 국민들과 정부가 주식투자를 하면서 우리 국내 기업들을 바꾸어 나가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배당 문제도 그렇습니다 배당 문제를 늘리려고 해 보셨나요 정부에서 국민들이 주식을 투자하면서 기업에 압력을 한번 넣어보셨나요. 제대로. 투자를 하면 그 배당금을 돌려주는 거는 당연합니다 미국과 같이 그런 제도를 해볼려는 노력이 먼저 있어야 되지 않을까요. 국민연금에서 조차 주식 배당금을 적게 주어서 투자하기가 맞지 않다 이런 말을 할 주제가 되나요?
이번 주제와는 무관하지만 궁금해서 여쭙습니다. 동남아에 살고있는데요, 코로나로 계속 봉쇄와 해제를반복하고있습니다. 분위기가 조만간 경제적으로 크게 휘청할것같은데요. 부동산도 2016년정도까지 붐이다 과잉공급으로 정체기구요. 이런상황에 현금자산을 가지고 있는게 나을까요, 부동산과 같은 현물자산을 지금이라도 구입하는게 나을까요? 이런 경제위기때 현금의 가치가 떨어지는지, 부동산 가치가 떨어지는지 .. 경알못이라 어쩌면 기본적인 질문인지 모르겠지만, 이런 위기가 기회가 될수있지않을까해서 여쭤봅니다.
@cenobitepinhead8780 33
2021년 2월 01일 07:12썸네일 ㅋㅋㅋㅋㅋㅋㅋ
@김용현-h3l 9
2021년 2월 01일 07:39옛날에도 해외 주식이 배당이 높았을텐데...
일반인들이 주식을 시작하자.
국민연금이 국내를 파는건 안타깝네요 ㅎㅎ
이은규 8
2021년 2월 01일 07:06옳은 말씀 입니다!
그렇다면 한국의 개인 독립 투자자들도 미국, 중국, 독일 등 선진국에 자산배분 투자하는 것이 애국자들 아닙니까?
@주사랑-i1p 3
2021년 2월 01일 06:47박사님 너무 존경 합니다
@leap2440 2
2021년 2월 21일 14:12국민연금 고갈 우려 때문에 수익이 훨씬 좋은 해외투자 비중 늘인다는거네요
@도시탈출-g3g 2
2021년 2월 01일 07:55러블리홍ㅎㅎ
Name L 2
2021년 2월 16일 00:13잘 봤습니다.... 미래를 위해서 국민연금이 미국 투자를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golts00 2
2021년 2월 21일 23:38다른나라 증시 키워주라고 연금 꼬박꼬박내고 그러라고 만든 연기금이 아닌걸로 아는데
우리나라 증시가 박스권에서 못벗어나는 이유가 연기금이 쓰레기짓해서라고 생각되네요
개인들사서 증시 오르니 팔고 나스닥으로 갈아타는게 심히 비상식적입니다
@user-pk8ow2vu5w 2
2021년 2월 21일 14:06국내주식은 답이 없네요 기업이 잘되도 배당금도 야박하고
@그래비티-f9j 1
2021년 2월 01일 07:57박사님 감사합니다. 그럼 국민연금의 해외주식은 주로 미국이나요.. 아시아나 유럽에도 투자하나요?
@jhpark8320 1
2021년 2월 01일 16:33말씀하신 근거에 의한 국민연금의 방향성에 대해서는 100% 동의합니다. 특히 위험관리 측면에서는 더더욱 그렇습니다만, 최근의 매도 규모를 보면 너무 무책임하다는 느낌도 있습니다. 워낙 포트폴리오가 크니 천천히 조정 하면 좋을텐데 너무 급작스럽게 매도 일방으로 가면서 11월말 현재 수익률이 6%수준이라면 수익률은 대실망이고 국내 주식시장에 부정적 영향은 너무 커서 윈-윈은 커녕 loss-fail 전술을 시행하는 것 같습니다. 요즈음은 국민연금이 마치 초단기투자자 같은 매매 전략을 구사하는 것 같습니다.
@ameniya0702 1
2021년 2월 01일 19:53전 국민연금이 우리나라에 투자할때는 대형주는 제외하고 투자를 했으면 좋겠어요.
막강한 자본력으로 유망중소기업들에게 골고루 투자를 한다면, 서로 윈윈 아닐까요?
@주사랑-i1p 1
2021년 2월 01일 06:471등입니다
@실천부자-z1h 1
2021년 2월 03일 23:13그냥 정해져 있는 룰 대로 어쩔 수 없이 주식 보유 비율을 맞춘다고만 생각했는데 그보다 더 깊은 속사정이 있었군요!!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드는데요...국민연금이 하는 투자방식의 포트폴리오를 개인이 응용해서 그대로 적용한다면 자산배분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Rain12948 1
2021년 2월 01일 07:49홍춘욱형님 짱이십니다
@D.octopus 1
2021년 2월 01일 08:48크읅 ㅜㅜ 앞으로도 계속 줄이겠네요. 잘봤습니다!
@레드로즈-m5q 1
2021년 2월 01일 07:06감사합니다!
@dsong3450
2021년 2월 02일 10:26근데 2050년에 국만연금이 고갈된다는 가정은 늘어나는 수익률울 0으로 가정했을때 맞나요?
@지현김-k4m9x
2022년 4월 30일 10:20고래가 연못을 강으로 바다로 만들면 되지 않을까? 책임감 없는 고래
@uf6278
2021년 2월 01일 21:56앞으로 수 년 간 반대로 미국 주식 시장보다 이머징 즉 한국주식 수익률이 더 높아진다면 또 리벨런싱 한다고 한국주식 팔고 미국주식 사겠네요..
대주주 역할도 제대로 못하고 삼물 합병하는데 수 천 억씩 날려먹고 공매도 투기세력의 뒷배라는 의심도 받는 연기금의 행태를 보면
국민연금 고갈이 더 빨라질까 무섭네..
@주사랑-i1p
2021년 2월 01일 08:21옛날에 시골의사 박경철 선생님이랑 느낌이 비슷하네요 칭찬입니다 요즘 안보여서 아타까운데 박사님이 계셔서 다행이네요
GyuJin LEE
2021년 2월 02일 12:37최근 골드만삭스가 한국인들이 테슬라나 게임스탑같은 주식에 많이 유입되어 미국 시장 리스크에 노출됐다고 합니다. 외국자본 투자자 여러분 조심하세요.
@현명한엉덩이k
2021년 4월 10일 11:31님의 논리가 맞다면 국민들도 국내 투자하지 말고 미국으로 나가야 되겠고 그리고 국내에 투자한 금액 들도 전부 빼서 미국에 투자하는 게 낫겠네요. 국내 기업에 투자하지 말라는 얘기도 들립니다 님의 이야기는 그러면 국민들과 정부가 투자하지 않으면 우리 기업들은 어떻게 될까요. 국민들과 정부가 주식투자를 하면서 우리 국내 기업들을 바꾸어 나가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배당 문제도 그렇습니다 배당 문제를 늘리려고 해 보셨나요 정부에서 국민들이 주식을 투자하면서 기업에 압력을 한번 넣어보셨나요. 제대로. 투자를 하면 그 배당금을 돌려주는 거는 당연합니다 미국과 같이 그런 제도를 해볼려는 노력이 먼저 있어야 되지 않을까요. 국민연금에서 조차 주식 배당금을 적게 주어서 투자하기가 맞지 않다 이런 말을 할 주제가 되나요?
@david-gilmoer
2021년 2월 02일 20:12헐박사님 썸네일!
Dore Sol
2021년 3월 03일 02:07도적들이 만든 나라니 사기 그 자체지
@유침침
2021년 2월 01일 22:35아~~~그런이유가 .... 그래도 요즘엔 얄미워요 ~근데 이해가 됩니다
@김또깡-y3o
2021년 2월 01일 12:49존경합니다.
@ddokki55
2021년 2월 03일 19:10박사님 덕분에 항상 많이 배우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썸네일도 아름다우시네요😀😄
@young_ant97
2021년 2월 01일 10:40잘들었습니다~
@유마-d3l
2021년 2월 03일 07:57또듯고 또듯는 박사님방송
침뽕
2021년 8월 18일 12:172021.08.18 감사합니다.
@luckysbi
2021년 2월 01일 21:18늘 감사드립니다.
@김영-l7w
2021년 2월 01일 17:57유쾌한 이코노미스트의 스마트한 경제 공부와 디플레 전쟁 읽었습니다.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현숙-w3d
2021년 2월 01일 09:46박사님 산자부 들어가서 2월 수출입통량 보려니 넘 어려워요 박사님 책에는 설명이 쉽게 나왔어요 어려워요 어떻게 찾아가지모~^^
@user-fj3sc6vq4g
2021년 2월 01일 13:24늘 좋은 영상 도움 많이 받습니다. 감사합니다~~
@princessdami2968
2021년 3월 30일 12:35감사합니닷₩!!
@joshuako5192
2021년 2월 01일 22:56이번 주제와는 무관하지만 궁금해서 여쭙습니다. 동남아에 살고있는데요, 코로나로 계속 봉쇄와 해제를반복하고있습니다. 분위기가 조만간 경제적으로 크게 휘청할것같은데요. 부동산도 2016년정도까지 붐이다 과잉공급으로 정체기구요. 이런상황에 현금자산을 가지고 있는게 나을까요, 부동산과 같은 현물자산을 지금이라도 구입하는게 나을까요? 이런 경제위기때 현금의 가치가 떨어지는지, 부동산 가치가 떨어지는지 .. 경알못이라 어쩌면 기본적인 질문인지 모르겠지만, 이런 위기가 기회가 될수있지않을까해서 여쭤봅니다.
@김광일-j1r
2021년 2월 13일 17:15단점
코스피지수를 장기간 낮춰
자국민의 주식투자금이 해외로 이탈돼 외국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국내기업의 경쟁력을 떨어뜨려 점점 더 못사는 나라가 될수도 있겠네요
박정우
2021년 2월 01일 13:33연못의 고래, 또 배워 갑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