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부의 규제가 시장을 바꾸는 요소가 될 것이다. 2. 미국의 금리 인상 (금리 오르면 부동산 하락) 3. 영끌하지 말고 좋은 자산을 사는 게 좋다 (무리하면 망) 4. 오르면 체감상 좋고, 내려가면 내가 살 집 알아볼 마인드 5. 방어의 개념으로 단계적으로 접근하세요.
잘 몰랐던 부동산의 세계를 알 수 있었네요 ㅎㅎ 천천히 접근해보겠습니다. 오늘 얘기 감사합니다~
신사임당님 최근에 몸 안좋으시다고 들었습니다 일 무리하시지 말고 건강 잘 챙기셨으면 좋겠어요,, ㅜㅜ
협심증 관리 제대로 안하시면... 나중에 갑자기 사망하거나 아니면 수면중에 사망하는 무서운 돌연사(突然死)의 원인이 되는 심근경색증으로 갈 위험성이 크니 많은 시청자들을 위한 건전한 경제컨텐츠도 좋지만... 흔히들 웃어른들께서 말씀하시는대로 "돈보다는 건강이 최우선"이니 항상 과로하시지 않는 좋은 생활패턴 즉, 건강관리에 힘쓰셨으면 좋겠습니다 어차피 간접적으로 늘 응원해주고 좋아요 눌려 주시는 든든한 구독자님들이 계시니 돈은 건강회복해서 버셔도 큰문제되는건 없으시니깐요 아무튼 건전하고 발전성있는 경제식견와 부자되는 방법을 가지게 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오늘 인상깊었던 3가지 1. 금리 인상의 조짐이 보이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 맞출려고 안하는 것이 좋음 --> 여러가지 상황에 대하여 대비를 해야 함 --> 집없는 사람은 집을 사야 함(만약 금리가 인상 안되고 계속 가면 초인플레이션이 오게 되면 어떻게 하나) --> 단, 영끌로 사지는 말고 좋은 자산을 사라는 것임 --> 좋은거 사고 싶지만 돈이 없으면 지방으로 눈을 돌려서 지방에 있는 좋은 것을 사면 된다고 생각함 --> 이미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무리하게 매도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함 2. 내가 부동산을 가지고 있으면 둘다 괜찮을수도 있음 --> 올라가면 올라가는데로 좋고, 내려가면 좋은데로 갈아탈까? 고민할수도 있음 3. 내가 원하는 자산을 한방에 사려고 하지 말고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음 --> 일단 방어부터 하는 것도 중요함 --> 재테크 행위는 한번에 끝나는 것이 아님 --> 일단 가지고 있으면 스트레스를 덜 받을수 있음
사실 폭락할일만 남았죠 지금 집값으로는 집살수있는 서민들이 남아 있지 않습니다. 서울20평대 아파트가 10억이 넘어가는데... 언제 어떻게 10억을 모아요... 말이 안됩니다. 서울 아파트 집값은 20평대 기준 2~3억 정도가 적당한거죠 부동산은 주거의 개념인데 언제 부터인가 투자나 투기의 개념으로 자리잡아서 집값이 올라간거죠
정부정책이 어떻든, 금리가 어떻든 조금만 멀리보면 인구절벽이라는 누구도 바꿀수 없는 "정해진 미래"가 옵니다. 빠르면 8년이내에 온다고 하네요. 이미 작년부터 인구 순감소 시작됐고요, 학생 없어서 폐교하는 서울 초등학교도 등장했습니다.앞으로 2년정도는 가구수 증가와 수도권 밀집현상이 인구감소를 상충해서 버티겠지만 인구감소는 출산률이 개선되지 않는이상 기하급수적으로 감소율이 증가합니다. 얼마 안 남았습니다 처음 경험하는 패러다임으로 이미 진입했으며 누구도 바꿀수 없습니다. 일본 출산율 우리나라 두배입니다. 우리는 일본과는 상황이 달라서 비슷하게 가지 않을거다라구 말 하시는 분들 있는데, 네, 비슷하지 않습니다. 한국 출산율 0.8이고 기축통화국이 아니고, 내수시장이 작은 우리나라는 일본보다 훨씬 더 심각할 겁니다. 일본은 초저금리로 대출해준다고 해도 아무도 집 안삽니다. 3기 신도시입주시작하고,임대법 해제물량 풀리고, 공급위주 정책, 연준 금리인상 되면 인구감소와 맞물려 볼만할겁니다. 무주택자분들은 긴호흡으로 최소한 3기 신도시 물량 풀릴때까지 여유있게 대응하셔야 합니다. 시간은 무주택자들 편입니다. 일본 도쿄 외곽 위성도시들에는 분양가 3천만엔 짜리가 10년째 천만엔 이하로 내놔도 안팔리는 아파트도 수두룩 합니다. 여기 댓글중에 부동산은 절대 안떨어진다는 분들있있는데 인구감소 하에 부동산 시장 겪어봤나요? 인구절벽으로 인한 영향이 한 50년후에 올 것같나요? ㅎㅎ 웃고 갑니다.
협심증은 결코 만만한 병이 아니니, 잘 관리하시길요.. 부인이 잘 챙겨 주시겠지만 본인이 스스로 알아서, 생활습관부터 관리하셔야 해요..제 가족도 같은 증상이 있었습니다..더 이상은 얘기 안할께요..일상생활의 불편이 없다고, 의사가 괜찮다고 해서 그러려니 하지 말구요, 늛..잘 챙기셔야 합니다..♡
지방에서 괜찮고 가격 낮은 물건 사려면 엄청 발품 팔아야합니다.하루이틀 들여다보고 사면 실패할 확률 높습니다.이미 괜찮은 곳은 투자자들이 가격 다 올려놨으니 그건 제대로 된 투자가 아니고 역세권 재래시장 병원 기준으로 관리비 저렴한 다세대주택을 잘 찾아봐야합니다.노령인구가 늘고 있으니 장기적인 관점으로 내버려두면 결국 오릅니다
@소금돌이 99
2021년 2월 02일 17:051. 정부의 규제가 시장을 바꾸는 요소가 될 것이다.
2. 미국의 금리 인상 (금리 오르면 부동산 하락)
3. 영끌하지 말고 좋은 자산을 사는 게 좋다 (무리하면 망)
4. 오르면 체감상 좋고, 내려가면 내가 살 집 알아볼 마인드
5. 방어의 개념으로 단계적으로 접근하세요.
잘 몰랐던 부동산의 세계를 알 수 있었네요 ㅎㅎ
천천히 접근해보겠습니다. 오늘 얘기 감사합니다~
신사임당님 최근에 몸 안좋으시다고 들었습니다
일 무리하시지 말고 건강 잘 챙기셨으면 좋겠어요,, ㅜㅜ
@김성태-c6u1c 74
2021년 2월 02일 21:55협심증 관리 제대로 안하시면... 나중에 갑자기 사망하거나 아니면 수면중에 사망하는 무서운 돌연사(突然死)의 원인이 되는 심근경색증으로 갈 위험성이 크니 많은 시청자들을 위한 건전한 경제컨텐츠도 좋지만... 흔히들 웃어른들께서 말씀하시는대로 "돈보다는 건강이 최우선"이니 항상 과로하시지 않는 좋은 생활패턴 즉, 건강관리에 힘쓰셨으면 좋겠습니다 어차피 간접적으로 늘 응원해주고 좋아요 눌려 주시는 든든한 구독자님들이 계시니 돈은 건강회복해서 버셔도 큰문제되는건 없으시니깐요 아무튼 건전하고 발전성있는 경제식견와 부자되는 방법을 가지게 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효니-i8o 69
2021년 2월 02일 16:37임당님 건강 괜찮으신가요?..조심하세요 :)
내면&경제적자유 나오TV[재테크&행복&북튜버] 69
2021년 2월 02일 18:51오늘 인상깊었던 3가지
1. 금리 인상의 조짐이 보이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 맞출려고 안하는 것이 좋음
--> 여러가지 상황에 대하여 대비를 해야 함
--> 집없는 사람은 집을 사야 함(만약 금리가 인상 안되고 계속 가면 초인플레이션이 오게 되면 어떻게 하나)
--> 단, 영끌로 사지는 말고 좋은 자산을 사라는 것임
--> 좋은거 사고 싶지만 돈이 없으면 지방으로 눈을 돌려서 지방에 있는 좋은 것을 사면 된다고 생각함
--> 이미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무리하게 매도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함
2. 내가 부동산을 가지고 있으면 둘다 괜찮을수도 있음
--> 올라가면 올라가는데로 좋고, 내려가면 좋은데로 갈아탈까? 고민할수도 있음
3. 내가 원하는 자산을 한방에 사려고 하지 말고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음
--> 일단 방어부터 하는 것도 중요함
--> 재테크 행위는 한번에 끝나는 것이 아님
--> 일단 가지고 있으면 스트레스를 덜 받을수 있음
신사임당님 오늘도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건강조심하시기 바랍니다.
늘 응원합니다. ^_^
구독자 52
2021년 2월 02일 18:04흠 지방에도 1-2억으로는 좋은 곳을 살 수가...없읍니다.
게임특파원 47
2021년 2월 02일 16:34부동산은 이제 그만. 위험
hyunse park 41
2021년 2월 02일 22:17그럼에도 한 가지 확실한 건, 분수에 맞는 투자를 하라는 것이다. 반드시 하락하라는 법도 없고, 상승하리라는 법도 없다. 그리고 자산을 굴리는 건 전문가의 돈이 아니라, 내가 번 돈이니 분수에 맞게 써야하겠다.
@독일피엠-슈피렌스그 41
2021년 2월 02일 16:39신사임당님 건강 잘 챙기세요~ 항상 많은정보주셔서 고마워요. 건강하세요🌟
닥치고 돈벌기-Shut up and Earn 39
2021년 2월 02일 18:33무리하면 망한다는 건 굳이 부동산투자가 아니어도 그냥 인생전체에 적용되는 진리인듯...과유불급이라고 무리할바엔 부족한게 차라리 나음.
@forsuho 37
2021년 2월 02일 17:05영끌 안한 좋은 자산이 있나요?
@lifestory7000 37
2021년 2월 02일 16:47부동산 너무 과열된거 아닌가 싶긴하네요 ㅎㅎ 좋은영상 잘봤습니다!
시민복지 35
2021년 2월 02일 18:43지방은 수도권하고 달라서 언제 폭락할지 모릅니다. 실수요자는 제한적이죠 일자리가 없어서 젊은이들은 점점 떠나는데...
@사과나무-b5y 34
2021년 2월 02일 23:29최근 집사고 후회하는 사람들 주위있어요 팔지도 못하고 ㅡ
Brian 30
2021년 2월 03일 01:01사지 말라는 소리를 참 애매모호하게 하시네요.
지금 가격이 어깨인지 꼭지인지 그럴텐데...
얼마나 벌겠다고... 리스크 고민하며 살 사람이 있을까?
bong jong 29
2021년 2월 02일 17:25무리안했다면 집값은 올라도 내려도 좋다 둘다 기회니깐 ㅋㅋㅋ
@바람의그림자-x9i 27
2021년 2월 02일 22:51지방 가서 사라고... 서울 경기 살면서~??? 장난하냐???
@jun-qb6jc 26
2021년 2월 02일 20:194년후에 나가면 4년치 올라간 전세값을 감당하기 힘드니 세입자를 위해 매년 옮기게끔 해야한다는 기적의 논리ㅋㅋㅋ
집값이 떨어지면 된다는 생각은 하기도 싫으시죠?ㅎㅎ
@언택트 26
2021년 2월 02일 18:48건강 조심하세요~ 응급실 가셨다는 소식 듣고 안타까웠어요~~
개렬 게임채널 25
2021년 2월 02일 16:44딸랑 1...2억이라...
@요정-p3i 24
2021년 2월 02일 17:06신사임당님
바쁘시더라도 운동도하시고 건강챙기세요
두산베어스 20
2021년 2월 02일 23:54아파트 매물이 쌓이고 거래가 안되요..ㅜ
@sieg1026 17
2021년 2월 03일 15:13본인 집 없단 말에서 부터 모든 혼란이 시작...
밍밍뚜뚜 15
2021년 2월 02일 18:24영끌 안하면 좋은 자산을 못사요
@koreauncensored6022 15
2021년 2월 03일 00:38LTV 40%입니다. 70~80% 시절이랑 다릅니다. 영끌? LTV DTI DSR까지 다 묶여있는데 영끌은 무슨...
금리 인상하면 자가보유자가 가장 건전한 재무상태일 겁니다.
@parkandy5182 13
2021년 2월 02일 18:54주담대도 원금상환으로 전환되는거 아시고. 대출은 형편에 맞게 받으시기 바랍니다.
도송이 12
2021년 2월 02일 22:09이런얘기는 10년전 부터 했다ㅋㅋ;;;;
감사합니다 11
2021년 2월 02일 16:55찐투자자시네요. 주변 투자자들도 자가없이 월세 사는데 임사등록한 아팟은 여러채있더라구요.
@김슨생-b2x 11
2021년 2월 02일 23:121.영끌해서사지마라 + 좋은매물을 사라 ....????
2. 나도아직 거주할집 안샀다 (지방에 집사놓으신듯)->사람들보고 지방에사라고 ㅋㅋ 지방집값떨어질까봐?
@whitekelly911 11
2021년 2월 02일 19:45지금 상황에서 금리가 올라간다면 정말 큰일나겠네요..
@IAMPZE 11
2021년 2월 02일 17:55몸건강을 잘 챙기셔요~~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10
2021년 2월 03일 00:57월급이라고 차포떼고 2백가져오는 우리 자식들이 10억넘는 집을 언제 사겠습니까. 인서울대학들도 학생모집안되 모집정원 줄일때가 조만간 옵니다. 지금이 가장 화려한 날이죠. 마음껏 부를 즐기세요
@기분좋은인생 10
2021년 2월 03일 11:56사실 폭락할일만 남았죠
지금 집값으로는 집살수있는 서민들이 남아 있지 않습니다.
서울20평대 아파트가 10억이 넘어가는데...
언제 어떻게 10억을 모아요...
말이 안됩니다.
서울 아파트 집값은 20평대 기준 2~3억 정도가 적당한거죠
부동산은 주거의 개념인데 언제 부터인가 투자나 투기의 개념으로 자리잡아서 집값이 올라간거죠
@비너스콩캉 9
2021년 2월 03일 15:55설 아파트 보유하고있는데 지금은 구입할때가 아닙니다. 연봉이 쎄면 모를까.
이용한 8
2021년 2월 02일 16:18백신효과좋다고나오고있는데. . .
쑥이네복덕방🏠 7
2021년 2월 02일 21:37공인중개사 자격증 따려고 학원갔다 집 가는중에 보고 있어영~ 법좀 바꾸지 말았음 ㅠㅠ 자꾸 법안바뀌니까 난이도 심해져여 퓨😥📚😭
@MJ-pc1wx 7
2021년 2월 02일 23:37누구를 위한 법인지 모르겠다는 말
와 닿네요
@박태현-s5k 7
2021년 2월 02일 17:30오르면 좋고, 내려가면 내가 살 집 알아볼 마인드~조으네요^^
@조휘바이든 6
2021년 2월 03일 16:51지방은 일자리가없습니다 청년들은 일찾아 위로 올라가고 거리에 3분의1이 노인들임
BK Lee 6
2021년 2월 02일 16:23금리 2.5%까지 올리면 부동산 최소 30% 빠진다
Hoonkoo Lee 6
2021년 2월 03일 06:43근데 금리가 올해 인상할지는 모르는것 아닌가요..
sangtee1 5
2021년 2월 02일 16:26금리인상이 되어도 대출규제받은 고가주택엔 별 변화가 없고 빌딩가격이 많이 떨어질듯...
@persongod 5
2021년 2월 03일 13:16영끌 안하면 좋은 자산 어케 사요?
노사원의 퇴근길 5
2021년 2월 03일 08:33신사임당 채널을 자주보는 구독자 입니다.
나오시는 게스트 분들마다 계속해서 건강관리 하라고 말씀해주시는 거 많이 봤었는데 정말 이제라도 운동하셔서 푹 자는 습관을 한번 길러보세요. 응원할게요 ㅠㅠ
곽상민 4
2021년 2월 02일 16:151
해보고싶었어요.. :)
Jj Y 4
2021년 2월 09일 12:17분수에 맞게 살라는 말을 따라야죠.
분수에 맞게 소비, 분수에 맞게 투자.
그리고 전문가분 말씀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지금 떨어질 조짐이 보이기에 둘 다 대비해야죠. 무조건 오를 것이라고 확신하고 대출 계속 받아서 투자하는 것은 미친 짓.
Helen Jeong 4
2021년 2월 02일 20:54내 생활권이 아닌 지방 좋은 아파트를 사라는 것은 집을 순전히 투자개념으로 보는 경우죠?
파란님 4
2021년 2월 02일 16:25몸 좀 괜찮으셔요? 걱정했어요
오미소 3
2021년 2월 02일 16:22신사임당님 홧팅!건강조심~~♡
당신은 소중한 사람입니다~~♡♡♡
@matroos8393 3
2021년 2월 07일 01:30영상보니까 딱 알겠다 금리인상으로 혹은 유동성장세가 꺽임으로 집값이 떨어지는 정도는 영끌, 무리한 대출로 인한 매물, 가격이 떨어짐에 따라 패닉셀링하는 정도일듯. 말씀하시는 분처럼 많은 분들이 버텨줘서 부디 부동산시장이 와르르 무너지지 않기를 바랍니다.
변동금리일 경우, 빚 5억인 사람이 기준금리 인상으로 연이자 5프로로 갚아나가야 할 경우 ...
이자만 매년 2500만원이다.
얼마나 버틸지에 대한 판단은 개인들의 몫
허쌤 미술 GENE ART 3
2021년 2월 02일 16:34지방에 빈집 널렸음
joo각자도생 3
2021년 2월 02일 17:02아파트 답답해서 내가 살고 싶은곳 전셰 사는데~ 임차법 때문에 다시 아파트 들어가야할듯~
홍성자 3
2021년 2월 02일 19:51운동을 하셔요 건강이 최고에요 건강잃으면 모든걸 잃어요
김성은 3
2021년 2월 02일 19:23이분 방송을 좀 더 빨리 들었으면 좋았을텐데요 ㅜㅡㅜ
@jaehokim5996 3
2021년 2월 20일 19:03정부정책이 어떻든, 금리가 어떻든 조금만 멀리보면 인구절벽이라는 누구도 바꿀수 없는 "정해진 미래"가 옵니다. 빠르면 8년이내에 온다고 하네요. 이미 작년부터 인구 순감소 시작됐고요, 학생 없어서 폐교하는 서울 초등학교도 등장했습니다.앞으로 2년정도는 가구수 증가와 수도권 밀집현상이 인구감소를 상충해서 버티겠지만 인구감소는 출산률이 개선되지 않는이상 기하급수적으로 감소율이 증가합니다. 얼마 안 남았습니다 처음 경험하는 패러다임으로 이미 진입했으며 누구도 바꿀수 없습니다. 일본 출산율 우리나라 두배입니다. 우리는 일본과는 상황이 달라서 비슷하게 가지 않을거다라구 말 하시는 분들 있는데, 네, 비슷하지 않습니다. 한국 출산율 0.8이고 기축통화국이 아니고, 내수시장이 작은 우리나라는 일본보다 훨씬 더 심각할 겁니다. 일본은 초저금리로 대출해준다고 해도 아무도 집 안삽니다. 3기 신도시입주시작하고,임대법 해제물량 풀리고, 공급위주 정책, 연준 금리인상 되면 인구감소와 맞물려 볼만할겁니다. 무주택자분들은 긴호흡으로 최소한 3기 신도시 물량 풀릴때까지 여유있게 대응하셔야 합니다. 시간은 무주택자들 편입니다. 일본 도쿄 외곽 위성도시들에는 분양가 3천만엔 짜리가 10년째 천만엔 이하로 내놔도 안팔리는 아파트도 수두룩 합니다. 여기 댓글중에 부동산은 절대 안떨어진다는 분들있있는데 인구감소 하에 부동산 시장 겪어봤나요? 인구절벽으로 인한 영향이 한 50년후에 올 것같나요? ㅎㅎ 웃고 갑니다.
확신 3
2021년 2월 02일 23:29집 하나 가지고 있어야 한다..
@루루-b6k6g 3
2021년 2월 03일 13:07저 분의 말은 다 싸게 사서 가지고 있다가 집값떨어지면 또 싸게 사는겁니다.
2016년~2018년에 집사신분들은 2배이상올랐으니 리스크를 가지고 가도 상관없지요.
하지만 현재 집사면 무조건 대출 끼고 사는거라 부담일수밖에없어요.
김유라TV 책/육아/재테크/자기계발 3
2021년 2월 02일 16:30신사임당님 늘 감사합니다 ^^
정남균 2
2021년 2월 02일 18:42양털깍기.
M GROOVE 2
2021년 2월 07일 00:15정책은 매일 바뀌고 내 월급은 한정적이고
ㅈㄴ 노오력해서 지방에 좋은 부동산에도 투자 못할거 같은데여ㅋㅋㅋㅋ진짜 너무 모르신다ㅋㅋ
@와우-o2z 2
2021년 2월 03일 16:42계약갱신쓰고 총4년살고 임차인 마음대로 못 내보냅니다. 특별히 정당한 사유가 있지 않는 한 임차인이 재계약한다고 하면 거절할 수가 없어요. 정정해주세요
MS JANG 2
2021년 2월 02일 23:33신사임당님~~건강하셔요!
도깨비 2
2021년 2월 02일 19:23금리 인상으로 인한 주식시장에 자금이 많이 빠질때를 기다리면서 오늘도 열심히 원화를 캡니다 물론 주식을 팔진 않겠지만요..
출발 2
2021년 2월 02일 16:38드디어"김사부님"이신사임당에나오셨네요.여기서뵈니더반갑습니다^^
@행복한부자-b5t 2
2021년 2월 03일 22:28협심증은 결코 만만한 병이 아니니, 잘 관리하시길요..
부인이 잘 챙겨 주시겠지만
본인이 스스로 알아서, 생활습관부터 관리하셔야 해요..제 가족도 같은 증상이 있었습니다..더 이상은 얘기 안할께요..일상생활의 불편이 없다고, 의사가 괜찮다고 해서 그러려니 하지 말구요,
늛..잘 챙기셔야 합니다..♡
수리 1
2021년 2월 02일 19:48오래만에 금리 인상이 보이다가 다시 금리 하락 조짐이 보이면 다시 폭등하는건가요?
@hehs1533 1
2021년 2월 03일 14:38김사부님 말씀 들으면 조급한 마음이 조금씩 안정되어서 좋아요.
전dalkomm 1
2021년 2월 02일 23:44신사임당님 협심증은 관리 잘 하셔야해요
약 잘 챙겨드세요%
Mr.Q 1
2021년 2월 04일 17:17부동산을 지방에 직장 있지 않는이상 출퇴근 때문에 안될듯 ㅠ
sh park 1
2021년 2월 02일 16:183등
@bp807 1
2021년 2월 07일 11:28금리가 올라갈일만남았다 금리인상이되면 부동산한번에 잡힌다. 대출받아 집사는게 어려우니까. 연쇄적인파급효과. 결국매물로쌓일가느성있다. 금리인상의조짐이보일때의 추후전략? 집없는사람은일단집을사라. 총인플레이셔으로갈 가능성인데 자산없으면안된다 다만영끌하진말자. 제가치를 인정받게되니까 /
@천하장사-h1y 1
2021년 3월 03일 20:52지방매매 안되고 있어요💜
@소정-z5i 1
2021년 2월 06일 14:07건강하세요~
유익한 방송 계속 시청하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인생은 설렘 1
2021년 2월 02일 20:33공감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
@K부동산월드 1
2021년 2월 03일 13:59다른 자산이 없다면 자기가 살집은 골라서 1채는 먼저 구입해야 합니다.
인플레가 된다고 해도 헷지수단의 제 1방법은 부동산입니다.
물론 금리인상이 되면 부동산 가격이 어느정도 조정 받을 수도 있겠지만~
@요정-p3i 1
2021년 2월 02일 17:05너무 긍정정사고
배우고 갑니다~~~^^
@까망소-r9c 1
2021년 2월 04일 11:01지방에서 괜찮고 가격 낮은 물건 사려면 엄청 발품 팔아야합니다.하루이틀 들여다보고 사면 실패할 확률 높습니다.이미 괜찮은 곳은 투자자들이 가격 다 올려놨으니 그건 제대로 된 투자가 아니고 역세권 재래시장 병원 기준으로 관리비 저렴한 다세대주택을 잘 찾아봐야합니다.노령인구가 늘고 있으니 장기적인 관점으로 내버려두면 결국 오릅니다
@hdssxhjjgjk 1
2021년 2월 04일 16:46지방이고
진주지역입니다
올연말에 집 안사고 전세를 하는게 나을까요?
@seyoungkim1337 1
2021년 2월 24일 04:27부동산을 투자라고 생각하는 인식 자체부터 바껴야죠.....대한민국의 집값이 정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한명도 없을겁니다 부동산의 하락은 불보듯 뻔한데 영끌하신분들 큰일이네요...누굴 원망하리.....
유영신 1
2021년 2월 02일 16:38잘봤습니다!!
@jooyounglee9155 1
2021년 2월 03일 17:17심사임당님 건강하세요 일을 잠시 쉬어서라도 꼭 건강을 먼저 회복하셔야해요
@korea3060 1
2021년 2월 03일 18:53정말 좋은 말씀 잘봤습니다👍🏻
제테크를 하고싶다면 꼭 들어야 할 얘기인것 같아요
장연숙 1
2021년 2월 03일 07:06힘내세요 신사임당님
Nxy L 1
2021년 2월 03일 01:22정부 승 국민 폐
@조서영-i9u 1
2021년 2월 02일 17:46건강하세요~늘 응원합니다~
많이 놀랐을것같네요
곧 좋아지실거예요~
@wangbi8230
2022년 7월 23일 12:44오스틀로이드님은 원스텝말고 투스텝으로 바꿔 타라고 하시드라구요
냥치기집사
2021년 2월 02일 16:15흐앗
첫댓글이닷
@태준-b8j
2021년 2월 03일 14:34임당님.늘 감사드립니다.
건강이 최우선입니다.
건강 단디 챙기세요.
전직 헬스트레이너로서 진짜 걱정되서 하는말입니다.늘 건강한 임당님이 되도록 맘속으로 기도하겠습니다^^
@user-pc8qz5zi3y
2021년 2월 02일 18:04늘 좋은 정보 ㆍ소식 감사합니다
@alcnlsrjdksi109
2021년 4월 08일 12:20긍정적으로 좋은데요~?
애플
2021년 2월 03일 06:48신사임당 화이팅!
이백억
2021년 2월 02일 18:35감사합니다
@장영익-l7b
2021년 4월 01일 06:521가구 1주택자들 중 갈아타기 좋은때는 언제 일까요?
@부자되기-s3p
2021년 2월 02일 20:41오늘도 많은도움 되었습니다👍
test test
2021년 2월 03일 13:44부동산 가격이 잠잠해지는거지 폭락은 안온다는거죠?
호두코코
2021년 2월 02일 16:27변종바이러스 이미 다퍼졋다는데요;
올반딧불이
2021년 2월 02일 22:51코로나가 잡힐일은 없죠.
몇키로
2021년 2월 02일 16:39다른 분들에 비해서 논거가 약해보이시는 말씀을 많이 하시는듯 느껴지는건 왜일까요.
다현맘
2021년 2월 03일 11:23힘내세요~~ 응원합니다
Dal J
2021년 2월 02일 17:33신사임당님~ 주기적으로 건강검진하시고 늘 건강 유의하세요~ 인생롱런이요~
@minginulee9925
2021년 2월 03일 16:31요즘에 아트테크에 대한 이슈가 있는거같아요. 월에 1% 년12% 현금으로 세금도 없이 주는곳도 있는데 안전성면에서 괜찮은 투자처인지 한번 다뤄주시면 좋겠어요~
حمودي ابن البصره
2022년 3월 03일 11:25주식좀 해볼까하고 찾아보는데 너무어려워서 포기.. 그런와중에 소 베액 팅 은 진짜 혜자 인정;;
@sunshine-mu7xe
2021년 2월 06일 09:38신사임당님 좋은 말씀 잘 들어요 감사합니다 😊😊😊
Prima 2020
2021년 2월 02일 21:51저도 자가없고... 부동산은 있고... 강의하시는 분과 같은 생각입니다.
Sgarlato J
2021년 2월 02일 16:59감사합니다
@엄마가만들어주는행복
2021년 2월 06일 09:15저희집 전세놓고 왔는데 1년사이 전세가가 1억이 올랐는데 세입자가 더 살고싶다하면
5프로 밖에 못올리니 엄청 손해에요
@wangbi8230
2022년 7월 23일 12:231년전에는 그냥 그런가보다 했는데, 지금 다시 보니 김사부님 딱 맞는 말씀이네요
Oyun HD
2022년 3월 03일 11:25저는 요즘 코로나때문에 직장도 힘들어졌는데 소배 액팅 알고나서 부업으로 용돈법니다 ㅠ ㅎㅎ
이뿌니
2021년 2월 03일 08:30지방은 언제 인구가 유입될까요?
계속 살고잇어도 될까요?
Dekrant
2022년 3월 03일 11:25요즘 재테크 하는게 유행인데 찾아보다가 소배 액팅 쳐보고나서 95%수익 내고있어요!
남효욱
2021년 2월 07일 15:21뭘. 알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