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신 박사님 고 작가님 일본 내에서 졸꾸 중인 청년입니다!! 전 일본에서 대학교를 졸업한 후 현재 일본 분들에게 한국어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지부리 작품은 일본 대학교 내 강의 자료로도 많이 다루고 있을 정도로 철학・사회・문화적인 면 등 많은 부분을 내포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번외로 한국에서도 인기가 있는 “나루토” “원피스” 도 그 안을 자세히 살펴보면 많은 것이 담겨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러한 의미로 “아는 만큼 보인다” 는 말씀 매우 공감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번 영상의 핵심은 마지막 부분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아름다운 영상미와 디테일! 작품성까지 지니고 있고 천재적인 지부리지만 복잡계에 대한 이해를 못 하고 사후 해석을 했다는 말씀!!
저는 신 박사님 고 작가님이 쓰신 일취월장 “운” 장을 읽고 난 후 대학교 후배나 주변 비즈니스를 하시는 분들에게 “운”에 대해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공감하시는 분이 많이 없어서.. 와이프에게만 주야장천 이야기하다가... 잔소리 들은 적이 있습니다.
복잡계 비즈니스에서 운 적인 부분에 대해서 얕게나마 이해하고 난 뒤 삶을 대하는 태도 자체가 달라졌습니다. “언제나 최악의 상황에 대해 생각하자!” “내가 하는 것들! 이게 터질지 안 터질 지 모른다! 그러니까 컨텐츠 하나 하나의 퀄리티를 높이기 위해 매일 온 힘을 쏟아 붙이는 것은 미친 짓이다!” “그 시간에 기본 실력을 올려라!” “결론은 졸꾸 밖에 없다”
말은 이렇게 하지만 자빠질 때도 많고.. 늦게까지 자고 나태해진 제 자신이 싫어질 때도 있습니다. 그래도 다시 일어나서 닥치고 졸꾸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메타인지를 높여 폴리메스 능력을 갖춘 녀석으로 거듭나기 위해 의식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고작가 님 죄송하지만.. 친일파의 친은 친하다 아니다의 뜻이 아니라, 어버이 친 자로 일본을 우리의 주인, 어버이로 모셨던 사람을 지칭하는 말입니다. 그렇게 장난스럽게 쓰시면 안되는 단어 같아요. 많은 사람들이 그 의미를 잘 모르더라구요. 고작가님도 잘 알지 못하고 대충 뜻을 짐작하여 잘못아신 거 일 겁니다. 이번 기회에 꼭 인지하셨으면 좋겠습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미래소년코난 말씀이신가요??센카치히로하고 토토로, 천공의성 라퓨타,바람의계곡 나우시카는 들어는 봤네요^^검색해보니 지브리가 뭔가했더니 이런 애니메이션을 통칭한 거였군요~저도 한때는 만화 애니메이션에 관심이 많아서 그쪽 분야로도 갈마음이 있어서 지원도 해보려했었는데..^^; 우리때는 드래곤볼,슬램덩크가 짱이었지요??관심이 가져져 먼저 위에 거론했던 애니메이션들부터 하나씩 파고들고 싶어지네요 과거에 이루고싶었던 꿈의 호기심을 자극하게 한 영상 감사합니다.
안타까운 내용이 보이는군요. 재패니메이션의 아버지인 데스카 오사무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이 미야자키 하야오, 마쓰모토 레이지, 데자키 오사무 등등 그 나이대 사람들인데요. 데스카 오사무가 디즈니 애니메이션에서 재패니메이션으로 넘어오게 만든 역사적인 인물인데, 시작이 바로 스토리 만화라는 측면이었는데요. 스토리보다 작품성에 더 심혈을 기울여서 재패니메이션이 K-웹툰에 밀린다고 하니 뭔가 역사적으로 의미가 있는 장면인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ㅎㅎ
어렸을 때 지브리 애니메이션을 몇 편 인상 깊게 봤던 기억이 나는군요! ㅎㅎ 책을 읽어보고 다시 한번 봐야겠어요. 전에는 스토리와 음악 중심으로 봤는데 책을 읽고 난 뒤 무엇이 보일지 상당히 기대되는군요!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PS "미래는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하는 것이다." 진짜 멋있는 말이군요.
@twoikorean 18
2021년 2월 03일 09:20안녕하세요 신 박사님 고 작가님
일본 내에서 졸꾸 중인 청년입니다!! 전 일본에서 대학교를 졸업한 후 현재 일본 분들에게 한국어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지부리 작품은 일본 대학교 내 강의 자료로도 많이 다루고 있을 정도로 철학・사회・문화적인 면 등 많은 부분을 내포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번외로 한국에서도 인기가 있는 “나루토” “원피스” 도 그 안을 자세히 살펴보면 많은 것이 담겨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러한 의미로 “아는 만큼 보인다” 는 말씀 매우 공감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번 영상의 핵심은 마지막 부분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아름다운 영상미와 디테일! 작품성까지 지니고 있고 천재적인 지부리지만 복잡계에 대한 이해를 못 하고 사후 해석을 했다는 말씀!!
저는 신 박사님 고 작가님이 쓰신 일취월장 “운” 장을 읽고 난 후 대학교 후배나 주변 비즈니스를 하시는 분들에게 “운”에 대해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공감하시는 분이 많이 없어서.. 와이프에게만 주야장천 이야기하다가... 잔소리 들은 적이 있습니다.
복잡계 비즈니스에서 운 적인 부분에 대해서 얕게나마 이해하고 난 뒤 삶을 대하는 태도 자체가 달라졌습니다. “언제나 최악의 상황에 대해 생각하자!” “내가 하는 것들! 이게 터질지 안 터질 지 모른다! 그러니까 컨텐츠 하나 하나의 퀄리티를 높이기 위해 매일 온 힘을 쏟아 붙이는 것은 미친 짓이다!” “그 시간에 기본 실력을 올려라!” “결론은 졸꾸 밖에 없다”
말은 이렇게 하지만 자빠질 때도 많고.. 늦게까지 자고 나태해진 제 자신이 싫어질 때도 있습니다. 그래도 다시 일어나서 닥치고 졸꾸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메타인지를 높여 폴리메스 능력을 갖춘 녀석으로 거듭나기 위해 의식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이 자리를 빌려 신 박사님 고 작가님에게 감사 인사 올립니다.
감사합니다^^😁
@에쏘94 10
2021년 2월 03일 08:26아이랑 코로나겸 방학겸 미야자키 시리즈를 하나씩 보는중이였는데 좋은 시너지가 날거같아요.
@pohangdefence 8
2021년 2월 03일 07:54지브리 ost를 만든사람이 궁금해서, 다음달에 사려구했어요.
신박사님과 고작가님께서 말씀하신 책들은
다 사서 읽었는데, 이번 책은
정말 기대되고 궁금하고 설레이는 거 같아요.
좋은 책을 빨리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김종환-l3j 7
2021년 2월 03일 08:08일하는 세포 이 애니메이션도 대박임. 고등 생명과학 1이 한눈에 이해됨^^
@forestlee 6
2021년 2월 03일 08:45지브리 스튜디오의 그림들도 많이 그려봤고,
거의 모든 애니메이션을 봤습니다! 🙂
지브리의 책을 몇권 샀었는데 흥미롭네요 : )
그림 그리는데 도움될 것 같습니다👍
@꾸러기-q6b 6
2021년 2월 03일 08:49초등학생 때 학교에서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보여줬던 게 기억난다.
빨려들어갔는데
인상 깊었다.
노래도 좋았구.
다시 한 번 봐야겠다.
@이재홍-d4s 5
2021년 2월 03일 08:42지브리빠는 바로 구매갑니다..
@이세계에이방인 5
2021년 2월 03일 08:39ㅠㅠ이번 책은 정말 재미있게 읽을수 있겠네요
이번책은 무조건 필독!
nowhere man 4
2021년 2월 03일 07:53정말 소개해주시는 책하나하나가 다 흥미롭네요 너무 행복해요
@김민자-m6b 4
2021년 2월 03일 07:33안녕하세에~~~
감사함 맘으로 시청할께요~^^
@adler-985 4
2021년 2월 03일 09:20이 영상을 보고 지브리 재주행을 하기로 결심했습니다
@fable-leo 4
2021년 2월 03일 12:41와 컨텐츠를 제작하는 사람으로서 이번 책의 추천은 정말 격하게 공감하는 바입니다
너무 좋은 책이라고 생각했는데 고작가님과 신박사님의 추천의 깊이에 감탄하고 갑니다
@0-0a. 3
2021년 2월 03일 13:10신박사님 궁금한게 있는데 국외서적을 국내서적으로 들고오는 부분에서는 이렇게 홍보영상으로도 많이 접해봤는데
혹시 국내서적을 국외로 번역,출판 하는 쪽으로 추진하고 있는 내용이 있을까요?
지승후 3
2021년 2월 03일 08:04좋은 책 추천 감사합니다~!
@LJM-yb9qx 3
2021년 2월 03일 07:50오늘도 좋은 얘기 감사합니다! 출근 길에 잘 듣고 갑니다.
@채인-b1e 3
2021년 2월 03일 07:44감사합니다 잘 듣고있습니다
김주원 3
2021년 3월 10일 12:47고작가 님 죄송하지만.. 친일파의 친은 친하다 아니다의 뜻이 아니라, 어버이 친 자로 일본을 우리의 주인, 어버이로 모셨던 사람을 지칭하는 말입니다. 그렇게 장난스럽게 쓰시면 안되는 단어 같아요. 많은 사람들이 그 의미를 잘 모르더라구요. 고작가님도 잘 알지 못하고 대충 뜻을 짐작하여 잘못아신 거 일 겁니다. 이번 기회에 꼭 인지하셨으면 좋겠습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jhkeum0124 2
2021년 2월 03일 08:55책 하나에서 인사이트가 몇 가지인지.. 크~
Harz Han 2
2021년 2월 03일 15:31와.. 미야자키 정말 프로다
@현정-u9i 2
2021년 2월 03일 09:49일단 넷플에서 영화부터 보겠습니다 ㅎ
@romad7504 2
2021년 2월 03일 12:51꺄아악~!! 자칭 타칭 오타쿠라 이 책 정말 좋을 것 같네요 ㅠㅠ 꼭 사봐야지~^^
좋은 책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편자남편의점에서자기 2
2021년 2월 03일 08:31미래소년코난 말씀이신가요??센카치히로하고 토토로, 천공의성 라퓨타,바람의계곡 나우시카는 들어는 봤네요^^검색해보니 지브리가 뭔가했더니 이런 애니메이션을 통칭한 거였군요~저도 한때는 만화 애니메이션에 관심이 많아서 그쪽 분야로도 갈마음이 있어서 지원도 해보려했었는데..^^; 우리때는 드래곤볼,슬램덩크가 짱이었지요??관심이 가져져 먼저 위에 거론했던 애니메이션들부터 하나씩 파고들고 싶어지네요 과거에 이루고싶었던 꿈의 호기심을 자극하게 한 영상 감사합니다.
@romad7504 2
2021년 2월 03일 13:16안타까운 내용이 보이는군요. 재패니메이션의 아버지인 데스카 오사무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이 미야자키 하야오, 마쓰모토 레이지, 데자키 오사무 등등 그 나이대 사람들인데요. 데스카 오사무가 디즈니 애니메이션에서 재패니메이션으로 넘어오게 만든 역사적인 인물인데, 시작이 바로 스토리 만화라는 측면이었는데요. 스토리보다 작품성에 더 심혈을 기울여서 재패니메이션이 K-웹툰에 밀린다고 하니 뭔가 역사적으로 의미가 있는 장면인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ㅎㅎ
딍딍 1
2021년 2월 03일 19:45이웃집 토토로,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하울의 움직이는 성, 원령공주 이 4개 작품은 꼭 보셔야 합니다.
None 1
2021년 2월 09일 10:300:40 명탐정 코난이요?
@futureself_KYO 1
2021년 2월 03일 11:37ㅋㅋㅋㅋ 큐블리케이션이 누적되니 알파고에도 오류가 ㅋㅋㅋㅋ 책이 오는 사이에 못 봤던 애니메이션도 보고 있어야 겠네요~ ㅎㅎ
@Helena_z 1
2021년 2월 09일 05:40코난~~ 매주 일욜 아침마다 재미나게 봤어요~ㅎㅎㅎㅎㅎㅎ
@Vinjae 1
2021년 2월 03일 13:54토토로? 사. 미야자키? 사! 토토로? 사. 미야자키? 사! 토토로? 사. 미야자키? 사! 토토로? 사. 미야자키? 사! 토토로? 사. 미야자키? 사! 토토로? 사. 미야자키? 사! 토토로? 사. 미야자키? 사! 토토로? 사. 미야자키? 사! 토토로? 사. 미야자키? 사! 토토로? 사. 미야자키? 사! 토토로? 사. 미야자키? 사!
@kkomi_hisam 1
2021년 2월 03일 15:20오 맞아요
폴리매스라는 단어를 모르고 어찌살았나 싶음
공감×100개
@kkomi_hisam 1
2021년 2월 03일 15:16ㅋㅋㅋ지브리 ost♥
저 3시간전에 주문했어요 ㅋㅋㅋ 위메프에서 올예정
@getthankyou8650 1
2021년 2월 03일 08:43지브리?! 이분 만화는 예전부터 1도 안내키던 1인.
이번 기회에 지브리 만화 한번 봐야겠네요 두분이 소개하실 정도면..
지브리가 사람이름이 아니었엌ㅋㅋㅋ
@해오름달-q3s
2021년 2월 24일 08:30지브리 사야겠네요.애니를 몇번을 반복해서 봤는데 읽고 다시 봐야겠군요.
감사합니다
@뱅구뱅구
2022년 3월 18일 13:42지브리 짱 좋아
@김초보-n7o
2021년 2월 03일 18:58꼭 읽어봐야겠습니다!
저는 지브리 애니중에 하울, 원령공주, 센과치히로가 제일 재밌더라구요!
그 중에서 재미로는 원령공주 강추합니다!
@coodinator_rehealth
2021년 2월 07일 15:44미야자기 하야오는 모든 내용이 지나칠 수 없는 것들이 많아요 요소 요소, 색감 하나, 멋진 것들이 많아요 ^^
He Do
2021년 2월 21일 21:08미야자키는 대단하지 우리가 생각하는 일본 이미지를 만들어준 작가는 미야자키 하야오랑 히사이시조 지금의 일본 특유의 분위기와 이미지를만들어준 장본인들이지
@해오름달-q3s
2021년 2월 24일 08:34빨간머리 앤이 아니고 린드그렌이면 삐삐 아닌가요? 빨간머리가 공통이긴 해요.
햄튜브랄랄라
2021년 2월 20일 02:52이시국에 일본 컨텐츠보네.. 우파인가?
@serinyun7972
2021년 3월 04일 00:11애니메이션 업계 종사자인데 관심이 가네요
@이연승-f1l
2021년 2월 04일 04:44선한 영향력을 늘 끼쳐주시는 두분께 감사드립니다
@celsius200do
2021년 2월 04일 08:34이열~ 이채널에서 자기개발서가 아닌 문화생활을 누릴수있게 해주는 책 선정이라니.. 영화 촬영 사진 촬영 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도 애니와 만화의 감성은 따로 존재 하여 불멸할거라 생각하는 1인입니다. 좋은 책과함께 다시 봐보아야 하겠네요
@b.t.y2023
2021년 2월 05일 14:38어렸을 때 지브리 애니메이션을 몇 편 인상 깊게 봤던 기억이 나는군요! ㅎㅎ
책을 읽어보고 다시 한번 봐야겠어요. 전에는 스토리와 음악 중심으로 봤는데 책을 읽고 난 뒤 무엇이 보일지 상당히 기대되는군요!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PS "미래는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하는 것이다." 진짜 멋있는 말이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