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 뭐 나쁜 의도로 말한거 전혀아닌데.. 아무래도 철밥통의 대표적인 예라서 질문 던져본건데...사실 저도 정답은 알죠 .. 철밥통이 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죠 ㅋㅋ 세상은 변하니까요. 이 유튜버의 말을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능력없이는 영원한 철밥통이 있을 수 없다이겁니다. 저는 공무원을 싫어하지 않습니다. 저는 폐지 줍는 할머니도 싫어하지 않고 재벌들도 싫어하지 않습니다. 그냥 일단 시험 합격하면 평생 직장을 보장해준다는 개념이 이 시대에 맞는가?라는 생각을 해보는거죠..가만히 있는 공무원의 심리를 건드리는 것이 아니라..이런 질문이 공무원에게는 짜증나게 느껴질 수 있죠. 밥그릇 뺏어가려는 것 처럼 느껴지니까요. 하지만 당신들이 주장하듯이 공무원들이 더 능력있는 사람들이고 우리가 당신보다 멍청하다면 왜 밥그릇 뺏기는 것을 두려워하나요? 당신들이 경쟁에서 이기게 될게 분명한데.. 그냥 생각 해보자는거죠. 왜냐? 공무원은 국민의 세금을 월급으로 받기때문에 우리가 공무원이 철밥통인게 타당한가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기때문이죠.
이젠 대기업 공채는 사라지고.. 중소기업,중견기업,스타트업에 들어갈껀 들어가되 이직이 보편화된다라.. 취준생입장에서는 전혀 모르는 부분이지만.. 사회적인부분에서는 엄청나게 빨리 바뀌게 되는거네요. 그리고 진짜 속시원한 말씀을 하신게 진짜 실력없는 진따명찰쟁이들은 싸그리 짤라내야 한다는데 정말 찬성입니다! 심지어 면접관중에서도 제대로 된 면접관이 없는게 태반이예요 다 시간대충떼우고 대충 사람뽑을려 그러고 개인적인 감정으로 지 맘에 안들면 차별적으로 짜르거나 뽑지도 않고 되게 재능있고 잠재력도 있고 능력도 있고 실력있는 친구들도 많은데 그런애들에게 기회의 눈길조차 주지도않죠. 이런 개뼈따귀같은놈들이 회사에 많기때문에 취준생들이 취직도 힘들고 심지어는 수도권을 제외한 대부분 지방에서는 오죽하면 그런 회사들의 명칭을 '좃소 기업'이라고 말합니다. 진짜 노동법에 보호받고 부당하게 돈받아ㅊ먹는놈들도 싸그리 짤라내야하구요 진짜 이나라는 손봐야할께 한두가지가 아닙니다. 쓰레기놈들은 진짜 제대로 짤라버리고 실업자경험을 시켜봐야 정신차리구요 취준생들에게는 제대로 실력을 갖출수있도록 성장시키는 방향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미국에서는 능력주의 사회의 문제점에 대해 얘기하는 사람들이 나오기 시작했어요 실력 떨어지는 사람도 최소 반이상은 될텐데 그 많은 사람들은 거지같이 살아야만 합니까? 임금격차가 해도 너무합니다. 월2~300 받는 노동자들은 왜이렇게 착해빠져서 예전처럼 시위를 안할까요 답답합니다
동감합니다. 대학진학-취업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어요. 직장이 아닌 직업 그것도 n좝러의 세상이 옵니다. 대한민국 시스템이 아니라 전세계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는데 우리애들을 국영수에 비싼사교육비 들여 좋은대학보내 대기업에 취직시키려는 생각부터 버려야해요. 스몰비지니스 긱좝 공유경제 등 바뀌는 세상속 내자리를 찾아야합니다.
Enjoying your program so much, it is a great reminder to focus on "invisiable hand" and unseen things. I am 48 years old, I have been working and studying over 90 hrs a week. 14 years later now, I have accumulated 5 degrees, 4 properties, $200k salary annum, no debt and a new degree by the end of 2021 as well. So please do try 100 hrs a week. I am not here to pump up my own tyres, but happy to share my own experience.
코딩 못하는 문화는 누가 만들었을까요? 직급 낮을 때 코딩 잘 하던 사람인데 왜 갈수록 못하게 되는지? 그 사람의 문제라기 보다는 기업의 문화가 더 큰 문제입니다. 관리자들 중에 코딩은 아무나 개발자 구해서 이용하면 되니 코딩 못해도 된다. 코딩 하지말고 설계만 해라.. 이러는 관리자들이 많이 있어요. 시간지나면 그 설계자들이 코딩을 못하게 되어요. 처음에는 대부분 코딩을 열심히 하려고 해요. 기업 문화나 관리자의 문제가 더 큽니다.
토론토에 있는 IATSE 873에 소속되어 선진 시스템을 경험 하고있는 목수로서 미래 변화에 대한 많은 부분에 공감을 느낌니다. 멀지않은 미래에 제가 경험한 시스템을 한국으로 수입 하려는 꿈에 도움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상상을 뛰어넘는 철학을 공유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원래 학벌중심 대량공채 시스템은 일본에서 배워온건데(일본은 아직도 이 시스템을 굴림) 이제 한국 대기업들 입장에서는 세상이 바뀐거지. 중국 동남아와의 경쟁이 빡세지고 회계감사도 빡세지고 하여튼 모든게 빡세지다 보니 더이상 옛날처럼 000 명 막 뽑는 그런 시대는 끝났음. 그래서 필요한 영역의 자격과 라이센스 경력이 있는 사람만 뽑겠다는거야. 인사 노무쪽 관리할 인력이 필요하면 노무사 자격증이 있는 사람, 태국에 보낼 인력이 필요하면 태국어 전공자나 거주 경력자 뭐 이런식으로 뽑겠다는거. 고딩때 아무 생각없이 언외수만 열심히 공부해야 좋은 대학가면 무조건 대기업 정규직은 쟁취할 수 있다는 시중의 믿음이 이제 끝난거야. (문과는 특히 이게 더 심할게 분명하고) 그런데 아직 한국 부모들은 여전히 스카이 캐슬의 신화에만 매달리고 있으니 그냥 애들만 불쌍하지.
대부분의 부분에 공감하나 문제가 있는 부분이 있네요. 경력직(실력자가)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이든 어디던 들어가서 경력을 쌓아야 하는데 이때 중소기업에서는 무엇을 보고 사람을 뽑을까요 ? 결국 현재 대기업 공채에서 보는 스펙들을 보고 뽑지 않을까요 ? 저도 사람을 오래 뽑아 왔지만 결국 확률의 문제라 생각됩니다. 기업에 도움이 될 사람을 뽑을 확률의 문제죠. 그동안 이 확률을 높이기 위해 또한 편차를 줄이기 위해 사용되어 왔던 방법이 전통적인 인재 채용입니다. 누구에게나 첫 직장이 있을 터인데 이때 직장에서 사람을 뽑는 기준이 어떻게 바뀔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 것이라 봅니다.
외국에서는 채용때 성적을 거의 안 봅니다. 이유는 순위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기본 자질이나 능력을 기준으로 뽑습니다. 특정대학을 나왔다는 것은 자질은 갖추었다고 보고 선발해서 기업에서 필요한 교육을 시켜 사용하는 개념입니다. 미국 대학을 지원할때 토플 650점 이상을 요구하면 그 점수만 넘으면 되지 만점을 받는다고 가산점 없습니다. 토플을 요구하는 이유가 대학 수업을 받을 수있는지 여부만 평가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한번씩 생각하는게 사회에 적용하기전에 미디어,방송에서 먼저 실험 적용해보는거 같음 대표적인게 아이돌들 옛날엔 각 그룹당 1명이 1가지 특출나는게 있으면 되었음 근데 요즘엔 다 잘해야됨 노래,춤,얼굴,패션,예능센스,학창시절 공부 성적,상식,인성 등등등 시켜보니까 이게 되네??하고 사회에도 적용 시키는거 같음
오늘 이 영상을 보고 10년묵은 체증이 확!!!!!!!!!!!!!!!!!!!!!! 밀려 가는 거 같습니다. 이 영상을 전국민이 봐야 합니다. 모든 조직에 능력없는 암덩이리들을 제거하고 실력있는자들이 선방해야 합니다. 가장 썩어빠진 공무원 조직 공기업 조직을 비롯하여 일반 기업도 쓸모없는 폐물들이 사라져야 합니다.!!! 신박사님과 체인지 그라운드 응원합니다. 매일 정주행 중입니다!!!!!!!!!!!!!!!!!!!
한번씩 생각하는게 사회에 적용하기전에 미디어,방송에서 먼저 실험 적용해보는거 같음 대표적인게 아이돌들 옛날엔 각 그룹당 1명이 1가지 특출나는게 있으면 되었음 근데 요즘엔 다 잘해야됨 노래,춤,얼굴,패션,예능센스,학창시절 공부 성적,상식,인성 등등등 시켜보니까 이게 되네??하고 사회에도 적용 시키는거 같음
신박사님은 정말 좋은말씀도 많이 해주시고 중요한 정보들도 영상으로 만들어주십니다 정말 감사하게 생각 하고 있죠 반년정도 체인지그라운드 영상을 시청하다보니 한가지 아쉬운점이 생겼습니다 신박사님이 말씀하실때 뭔가 말이 되게 세다고 해야하나 약간 듣다보면 잉? 할때가 있어요 귀싸대기 맞아야한다던지 욕을 중간중간 하시는거 말이에요 제가 좀 예민한것일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강조하시기 위해 쓰시는 거겠죠 약간 신경이 쓰였달까 그랬답니다 참고해주시면 감사할 거 같습니다!! 체인지그라운드 직원분들 항상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깨달음을 얻게 해주시는 영상을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 공감있게 잘 봤습니다. 결국엔 이제는 실력과 결과물로 승부를 걸어야 겠어요. 당장 대기업가는거 보다는 중견,중소기업에서 3~4년 정도 경력을 쌓이고 실력도 출중해지면 대기업으로 노려봐야 하는 시대가 왔네요. 그러므로, 퇴근후 마냥 쉬는것이 아닌, 자기계발을 꾸준히 해서 평소 본인의 몸값을 올려야 겠습니다.
극 공감합니다. 이직도 능력되는 사람들만 가능하고, 이직 가능한 것도 본인 능력이 다른 부서나 다른 직장에서도 유명해야 그 사람을 추천하여 채용이 가능합니다. 이런 방식은 이미 많은 회사에서도 경력직이나 우수한 인재 스카우트할 때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더욱이, 이제는 사람과 행정업무를 통제하기 위한 회사 내규나 정책에 따라 업무하기 보다는 그보다 앞선 생각으로 업무방향과 다양한 분야에 두루 지식이 있는 경험 많은 소수 그룹을 더욱 우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효율이 결국 회사의 수익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무능력한 사람들 10명 모여봐야 능력 있는 사람 2~3명에도 못 미칩니다. 저 또한 회사를 다녀보니, 뼈져리게 느낍니다. 코딩 못하거나, 기타 기본적인 프로그램을 제대로 이용못하면서, 그림이나 글자 형태 등에 집중하는 관리자는 솔직히... 없어도 별 티가 안나니까요.
맞는 말씀이 너무 많고 공감이 가는 부분도 너무 많지만.... 고령화 되는 사회에.... 집 사려고 이빠이 대출받은 상태에서 직장에서 일하면서 근근히 자식 새끼들 기르다 보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나이가 40, 50 될텐데.... 능력없으면 무조건 나가라? 30대에 일 잘하고 능력 있을때는 호봉제에 근거해서 돈 많이 못 받고 시다바리 역할도 이빠이 해가면서 이제 월급이 좀 올라가는데... 갑자기 패러다임을 바꿔서 그렇게 하기에는 무리가 있지 않을까요? 참.... 좋은 시절 다 지나갓고 내 자식 새끼들은 참 살기 힘들겠네...
자기 자신을 스토리 텔링있는..즉 왜 내가 뭐엇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준비하고 현재와 미래를 준비 대비했는지 어떤 노력을 어떻게 했는지 그 과정에서 오려움은 뭐 였고 그 어려움을 나는 어떻게 극복했는지 또는 단점을 보완할려고 노력했는지 그러고 그게 개선효과를 보았는지.. 이런 내용에 준해 자기소개서를 솔직하고 진솔하게 작성하는게 중요하다고 봅니다.resume와 introduction letter
@TV-dp7qn 325
2021년 2월 08일 18:32공무원도 능력 안되면 그만두게 해야합니다.
@ladybear4225 111
2021년 2월 08일 16:09결국 남는건 실력이고, 그 실력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역량은 메타인지가 되겠군요
@younggwangwon884 105
2021년 2월 08일 17:21대학이 점점 의미가 없어지겠네요
@sijinkim4457 104
2021년 2월 08일 17:29엎친데 덮친격이네요;
요즈음 많이 느끼고있는게 뭐냐면, 가면 갈수록 이제는 다 잘해야되는 그런 시대가 왔다는 것을..
@kbs__ 83
2021년 2월 08일 17:36법륜 스님도 그러셨죠.
나중에는 직업도 없어질 거라고.
쩐의전쟁 76
2021년 2월 08일 21:32이러면 더욱더 도전전인 사람 VS 공무원준비생으로 나뉘겠네요..
임하니 74
2021년 2월 08일 16:58국내 명문대의 존재 이유가 더 희박해졌음.
@user-ec2zh5on9o 69
2021년 2월 08일 23:55앞으로 5~10년은 지나야 엄마들이 깨달을 것 같아요 지금 90년대 졸업생들 취직이 안되고 공채가 없다고 해도 코로나 때문인 줄 알고 있다니까요 ㅠㅠ
고다메TV 아기아빠의 루틴 브이로그 68
2021년 2월 08일 16:19와... 앞으로 취업 전망을 명확하게 짚어 주시네요!! 대기업에 실력보다 좋은 스펙으로 입사해서 큰 아웃풋없이 자리만 꽤차고 있는 분들 많은데 그 분들 보시고 자극좀 받았으면 좋겠네요!!
코로나가 기업에 공채를 안해도 되는 명분을 줬다는게 포인트네요~
손미화 63
2021년 2월 08일 18:13결국 실력이네요.일반 회사에 식충이같은 직원이 얼마나 많은줄 아시나요??돈을 받았으면 일을 해줘야하는데..이런회사 우리나라에 반은 넘는다에 한표
진우 53
2021년 2월 08일 20:20역시 붕어빵 기술 배워두길 잘했다.
Yuriko 52
2021년 2월 08일 18:58공채 사라진다고 몇 년 전부터 강조하셨는데 정말 그렇게 되 가는거 보면 역시 공부가 필요한가봐요!! 이런 고급 정보 얻을 수 있는 덴 여기밖에 없는 거 같아요 ㅋㅋ
물뿌레 나무산속에 미친 다람쥐 44
2021년 2월 09일 00:47스마트폰 나온지 불과 10년이다 세상이 바뀌었다 조금있으면 AI 가 웬만한일 다한다
@user-uo5uj6qi9i 44
2021년 2월 08일 17:28대학 복학을 더 고민하게 된다... 대학에서 배워도 실무는 결국 다시 첨부터 시작이더만
하현상 38
2021년 2월 08일 23:32인문계는 대학 졸업장 의미 없음 ㅋㅋ 심지어 대졸자가 돈을 더 못벌어요. 호황산업인 유튜브, 게임, 엔터, 플랫폼, 유흥업에 돈이 몰립니다. 반면 사무직은 인공지능으로 다 대체되고요. 주식 펀드도 etf로 대체되고, 트레이더, 은행원도 다 사라지는 중입니다.
@user-ck7my6mo2m 37
2021년 2월 08일 18:442~3년전부터 박사님께서 채용 시장 관련해서 언급하셨을때, 허투로 듣지 않고 대비했는데 역시 통찰력이 대단하십니다.
실력(=본업의 전문성+인성)을 갖추기 위해 더 부단히 노력해야겠습니다.
채용 관련 영상, 감사합니다. :)
@user-ki7dj4kc5o 32
2021년 2월 08일 16:11급변하는 시대에서 앞으로 기업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에서 노동유연화, 긱워커 현상은 아주 자연스러울 것입니다. 미국은 이미 이런 현상이 굉장히 보편적으로 자리잡았죠. 결국 핵심경쟁력은 개개인의 인성과 실력이 앞으로 점점 더 중요하게 부각될 것 같네요.
HI KIM 31
2021년 2월 08일 16:16결국 실무 능력과 인성만 본다는건가여?
@seok-jokim6069 31
2021년 2월 09일 03:50여기 미국처럼 신입조차 인턴이나 volunteering등으로 관련분야에 대한 경험과 실력이 필수가 되어버린 채용분위기가 형성되는군요. 이는 기업관점에서는 인적자원에 대한 효율적 인적관리라 한국의 채용도 변화의 파장은 피할수 없을듯 합니다.
@user-dokkabi 30
2021년 2월 08일 17:33산다는 게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살아내야 하는 거라고..
적응하라~~~~~~!
돈벌이는뒷전 30
2021년 2월 08일 16:32공무원의 경우는 능력없어도 철밥통인가요?
E K 29
2021년 2월 11일 04:13대기업 공채가 없어진다는 말은, 학벌 안보고 실력으로 뽑겠다는게 아니고 고학력 석박사 위주로 뽑는다는 말이죠..
오히려 더 학벌위주로 가는 사회입니다... 지금 대기업들 미디어 뒤로는 해외 박사 인력들 대거 고용하고 있습니다.
준호 28
2021년 2월 08일 19:21일명 저소비 고효율형식이네...
실력있는 최소한의 고급인력으로 최대한의 성과를 이루겠다는 야기인가??
오제호 / 학생 / 보건학과 26
2021년 2월 08일 19:46능력없는 임원급들은 어떻게 될까요. 우리나라 구조상 안잘리고 있을거 같아서요 밑에 놈들만 잘리고
@miraniflower 25
2021년 2월 08일 16:48여기 호주도 마찬가지에여. 전공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학위가 있어도 인턴이든,실습, 봉사활동이든 실무경험 없음 일 구하기 아주 힘든듯해요.
장찐찐 24
2021년 2월 08일 17:28노동의 종말에대해서 말씀하시는건가요..............3년뒤에 그만둘생각하고있는데;;
양타로Yang Tarot 24
2021년 2월 08일 19:38년간 대규모 대졸공채는 일본 한국이 유일하지 싶습니다..
@hwakyungkang6735 23
2021년 2월 08일 20:34능력있는 사람들은 더 기회가 생길것 같아요 ^^
@shaneisacc 22
2021년 3월 01일 16:5690년대생들이 제일 불쌍한듯. 대학 나오면 다 된다는 윗세대 거짓말에 속아서 시간 날리고 돈 날리고. 힘내라 90년대생들
돈벌이는뒷전 21
2021년 2월 08일 18:27와...우 뭐 나쁜 의도로 말한거 전혀아닌데.. 아무래도 철밥통의 대표적인 예라서 질문 던져본건데...사실 저도 정답은 알죠 .. 철밥통이 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죠 ㅋㅋ 세상은 변하니까요. 이 유튜버의 말을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능력없이는 영원한 철밥통이 있을 수 없다이겁니다. 저는 공무원을 싫어하지 않습니다. 저는 폐지 줍는 할머니도 싫어하지 않고 재벌들도 싫어하지 않습니다. 그냥 일단 시험 합격하면 평생 직장을 보장해준다는 개념이 이 시대에 맞는가?라는 생각을 해보는거죠..가만히 있는 공무원의 심리를 건드리는 것이 아니라..이런 질문이 공무원에게는 짜증나게 느껴질 수 있죠. 밥그릇 뺏어가려는 것 처럼 느껴지니까요. 하지만 당신들이 주장하듯이 공무원들이 더 능력있는 사람들이고 우리가 당신보다 멍청하다면 왜 밥그릇 뺏기는 것을 두려워하나요? 당신들이 경쟁에서 이기게 될게 분명한데.. 그냥 생각 해보자는거죠. 왜냐? 공무원은 국민의 세금을 월급으로 받기때문에 우리가 공무원이 철밥통인게 타당한가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기때문이죠.
꽥꽥이 21
2021년 2월 10일 21:11이젠 대기업 공채는 사라지고.. 중소기업,중견기업,스타트업에 들어갈껀 들어가되 이직이 보편화된다라..
취준생입장에서는 전혀 모르는 부분이지만.. 사회적인부분에서는 엄청나게 빨리 바뀌게 되는거네요.
그리고 진짜 속시원한 말씀을 하신게 진짜 실력없는 진따명찰쟁이들은 싸그리 짤라내야 한다는데 정말 찬성입니다! 심지어 면접관중에서도 제대로 된 면접관이 없는게 태반이예요 다 시간대충떼우고 대충 사람뽑을려 그러고 개인적인 감정으로 지 맘에 안들면 차별적으로 짜르거나 뽑지도 않고
되게 재능있고 잠재력도 있고 능력도 있고 실력있는 친구들도 많은데 그런애들에게 기회의 눈길조차 주지도않죠. 이런 개뼈따귀같은놈들이 회사에 많기때문에 취준생들이 취직도 힘들고 심지어는 수도권을 제외한 대부분 지방에서는 오죽하면 그런 회사들의 명칭을 '좃소 기업'이라고 말합니다.
진짜 노동법에 보호받고 부당하게 돈받아ㅊ먹는놈들도 싸그리 짤라내야하구요 진짜
이나라는 손봐야할께 한두가지가 아닙니다. 쓰레기놈들은 진짜 제대로 짤라버리고 실업자경험을 시켜봐야 정신차리구요 취준생들에게는 제대로 실력을 갖출수있도록 성장시키는 방향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enslow 2016 19
2021년 2월 08일 16:37인생은 날먹하면 안되는거임. :)
유칼립투스 19
2021년 2월 09일 02:54공채가 없어지긴 해야함. 진정한 실력으러 가야함.
@user-ue2dl9bf4q 17
2021년 2월 08일 16:27세상이 변했으니 공부해야지 !! 좋은 자극 받고 갑니다.^^ 언제나 귀한 이야기 들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lee.dong.jun. 17
2021년 2월 12일 17:34저는 20년 전부터 회사는 주업이 아닌 부업으로 생각 했슴요...
즉 나를 책임지지 않는다는거죠...
때문에 빠른 시일 내 자본금 형성하여 밑 빠진 독 구멍을 매꾸고 내 미래에 장기 투자를 해야 한다는 생각만 했죠...
어차피 대기업이나 공무원이 될수 없다면 중소기업 엿 같은 회사에 목매일 필요가 없다는 거에요...
내 일만 열심히 하고 수입이 크든 적든 돈만 벌면 끝이라는거에요...
내 에너지를 회사에 다 던지는 것 보다는
보유한 내 자산을 불리는 방법에 에너지를 쓰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 생각하고 있구요...
결국 직장이 내 노후대책이 될수 없다면 내가 직접 "노후대책"을 세우면 되요...
저 같은 쓰레기도 미래에 대응할수 있는 방법은 얼마든지 있다 생각하고 있구요...
"실력과 능력없고 스펙없는 분들 기죽지 마세요~"
주어진 환경에 최선을 다 해보고 안되면 포기 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내가 할수있는 길을 찾아가는 용기도 한번 키워 보세요...
주변에 대단하다는 사람들 별거 없어요...
자기만의 노하우와 정보일뿐 내게 효과적이고 필요한 정보는 스스로의 실전 경험 뿐이에요...
다만 참고만 하면 되는거죠...
노파심에 남기는 글이지만 생각과 견해가 다르다고 다 병신은 아닙니다...
반응이 궁금해 지켜 보겠으나
아마도 본문으로 하여금 비난 글이 많아지면 미련없이 ㅁㄹㅅㅂ 하며 삭제!...ㅎㅎ
@user-yu1bu6bw1w 16
2021년 2월 11일 14:05신박사님이 말씀하신 망하는 조직이 딱 공무원사회네요
@online-leopard 14
2021년 2월 09일 12:02실력직이 되려면 인턴이나 , 일단 중소 중견가서 직무역량쌓아야되는데 그것조차 처음 들어가려면 여전히 정량적 스펙이 필요한 현실 , 즉 스펙에다가 플러스 직무실력까지 필요한 지옥의 세대임
이사랑 12
2021년 2월 12일 20:51미국에서는 능력주의 사회의 문제점에 대해 얘기하는 사람들이 나오기 시작했어요
실력 떨어지는 사람도 최소 반이상은 될텐데 그 많은 사람들은 거지같이 살아야만 합니까? 임금격차가 해도 너무합니다. 월2~300 받는 노동자들은 왜이렇게 착해빠져서 예전처럼 시위를 안할까요 답답합니다
@adler-985 11
2021년 2월 08일 18:30좋은 방향성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woodtea6450 11
2021년 2월 09일 17:50동감합니다. 대학진학-취업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어요. 직장이 아닌 직업 그것도 n좝러의 세상이 옵니다. 대한민국 시스템이 아니라 전세계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는데 우리애들을 국영수에 비싼사교육비 들여 좋은대학보내 대기업에 취직시키려는 생각부터 버려야해요. 스몰비지니스 긱좝 공유경제 등 바뀌는 세상속 내자리를 찾아야합니다.
Harz Han 11
2021년 2월 08일 20:10실무에 빨리 뛰어드는게 답이네요 !!
cmrw park 10
2021년 2월 08일 23:02저는 이제 한달차 신입사원 입니다. 앞으로의 방향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즈뮤 10
2021년 2월 08일 18:48IT업종은 코딩 테스트로 실력을 검증한다지만. 다른 업종들은 어떤 식으로 실력을 검증하나요?
한지연 10
2021년 2월 08일 22:12저는 일찍이 이런 변화를 예상하고 스펙보다 경험(인생을 즐겁게)위주로 자녀 교육을 했습니다.지금은 S에 운좋게 입사한지 4년차입니다.군대필, 대학재학중, 나이25세~ 일반적이지 않은 스토리가 있답니다.모든 이들과 같은 길을 가면 재미없습니다.
@user-cr5ip8tr5w 10
2021년 2월 09일 06:48공채가 적어지는건 필연 같아요.. 일은 팀웍인데 일머리 있는 사람 만나기 쉽지 읺더라구요... 더구나 한번 사람들이면 내보내기도 쉽지 않으니 공채는 효율성이 떨어지죠...
@jjavida 10
2021년 2월 10일 11:09대학공부도 일종의 실력인건데 고등 졸업자가 효율적 실력을 쌓는 방법이 무엇일지 그들에게 어떤 기회로 실력을 쌓게 될지 궁금합니다.
친절한때지 9
2021년 2월 08일 17:05저도 예전부터 같은 생각을 하면서 개인 실력을 늘릴려고 노력했습니다.
하지만 한가지 걸리는게 코로나라는 특수한 상황이 없어지면 나라에서 신규 채용으로 세금감면같은 특혜를 줄것이고 그러면 공채를 부활하지 않을까요? 궁금하네요
Double Double 9
2021년 2월 10일 00:22그럼 세트로 정규직이 사라지겠군 전 직원을 계약직으로 해서 실력을 매해 재평가 하는게 맞겠네
조영상 9
2021년 2월 08일 16:42무조건 노동개혁 해야합니다. 박근혜가 하려다 노조에게 역풍맞고 저지경이 됬지만 누가됬든 강행해야 우리 젊은이들에게 미래가 생깁니다. 노동개혁 당장 못하면 지금 고등학교 대학생들은 정말 직장 찾는게 하늘의 별따기가 될겁니다.
김지태 9
2021년 2월 08일 16:07공부해야지
@hanskang5612 9
2021년 2월 08일 21:21Enjoying your program so much, it is a great reminder to focus on "invisiable hand" and unseen things. I am 48 years old, I have been working and studying over 90 hrs a week. 14 years later now, I have accumulated 5 degrees, 4 properties, $200k salary annum, no debt and a new degree by the end of 2021 as well. So please do try 100 hrs a week. I am not here to pump up my own tyres, but happy to share my own experience.
@user-sp1ul4cr7p 8
2021년 2월 11일 13:27그래서 지금 사회는 똑똑한사람은 흘러 넘치는데 창의적인 사람은 찾기가 힘들고 또 창조적인 사람은 정말 보기 힘들지요 21세기는 지식의 시대는 가고 또 학력은 의미가 없지요
창의적인 사람이 곳 21세기의 인제라고 봐야지요
Happy Life 8
2021년 2월 09일 00:41코딩 못하는 문화는 누가 만들었을까요? 직급 낮을 때 코딩 잘 하던 사람인데 왜 갈수록 못하게 되는지? 그 사람의 문제라기 보다는 기업의 문화가 더 큰 문제입니다. 관리자들 중에 코딩은 아무나 개발자 구해서 이용하면 되니 코딩 못해도 된다. 코딩 하지말고 설계만 해라.. 이러는 관리자들이 많이 있어요. 시간지나면 그 설계자들이 코딩을 못하게 되어요. 처음에는 대부분 코딩을 열심히 하려고 해요. 기업 문화나 관리자의 문제가 더 큽니다.
@yohankim671 7
2021년 2월 09일 09:17토론토에 있는 IATSE 873에 소속되어 선진 시스템을 경험 하고있는 목수로서 미래 변화에 대한 많은 부분에 공감을 느낌니다. 멀지않은 미래에 제가 경험한 시스템을 한국으로 수입 하려는 꿈에 도움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상상을 뛰어넘는 철학을 공유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rotlqkf 6
2021년 2월 10일 20:34이제는 좋은 대학 간판 ,학력, 스펙 좋아봐야 아무 의미 없는 짓거리가 될것이다... 이젠 4차 산업의 시작이라 애지간하면 인력이 필요가 없음.. 변호사도 지금 허접이고 그나마 의사는 괜찮음..
bestplayer08 6
2021년 2월 11일 13:34원래 학벌중심 대량공채 시스템은 일본에서 배워온건데(일본은 아직도 이 시스템을 굴림) 이제 한국 대기업들 입장에서는 세상이 바뀐거지. 중국 동남아와의 경쟁이 빡세지고 회계감사도 빡세지고 하여튼 모든게 빡세지다 보니 더이상 옛날처럼 000 명 막 뽑는 그런 시대는 끝났음. 그래서 필요한 영역의 자격과 라이센스 경력이 있는 사람만 뽑겠다는거야. 인사 노무쪽 관리할 인력이 필요하면 노무사 자격증이 있는 사람, 태국에 보낼 인력이 필요하면 태국어 전공자나 거주 경력자 뭐 이런식으로 뽑겠다는거. 고딩때 아무 생각없이 언외수만 열심히 공부해야 좋은 대학가면 무조건 대기업 정규직은 쟁취할 수 있다는 시중의 믿음이 이제 끝난거야. (문과는 특히 이게 더 심할게 분명하고) 그런데 아직 한국 부모들은 여전히 스카이 캐슬의 신화에만 매달리고 있으니 그냥 애들만 불쌍하지.
@user-dc9ik4fi4i 6
2021년 2월 08일 18:16아아 정말로 기다리던 영상 정말 속이 빵뚫리는 말 ...
@user-zq1tz7mb9v 5
2021년 2월 08일 16:03감사합니다 🙇
@donnakang8522 5
2021년 2월 10일 01:10능력 효율 떨어져도 여전히 아부 잘하고 라인 잘 타면서 승승장구 하는게 아직 가능합니다.
그리고 호봉제 없어진지는 아주 오래 전으로 아는데...
@user-wp6yo9vz5o 5
2021년 2월 09일 05:43여러번 고민하다가 올립니다.
혹시 예전에 올리셨던 체인지그라운드 영상 중
"기브앤테이크 호구" 영상을 올려주실 수 있을까요?
※ 기브앤테이크 호구라고 치면 나왔는데, 기브앤테이크 내용을 흥부 놀부 이야기에 비유하여 잘 풀어낸 영상입니다.
제가 사실은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줘야하는 직업에 있는데
그 영상을 보면서 힘을 많이 얻었거든요
그렇게 힘을 얻으며 저 또한 이 땅을 변화시키는 그런 사람이 되고자 합니다.~
혹시 영상을 올리시는 게 힘드시다면, 구매라도 하고 싶습니다.~
moo her 5
2021년 2월 12일 14:07힘있고 빽있는 넘들만
좋아 지게 생겼네
지금도 그런데 더더욱
..존나 위험한 사회에
진입하게 되는거다
李 5
2021년 2월 08일 20:36인생에 있어서 필요한 것만 가르치길🙏🏻 직업교육이랑 인성교육만
므 5
2021년 2월 09일 10:25와ㅋㅋㅋ 내가 중딩때부터 생각했던 시나리오가 맞았다니 미쳤다
알고있었지만 엄마가 난리쳐서 대학은왔지만..
김준성 5
2021년 2월 09일 14:59대학을 갈까 말까에 대해서 매우 고민중인 고2입니다 꿈은 인공지능 개발자고요 현재 인공지능 프로그램 짜보면서 공부중이고요 제가 인공지능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이랑 대학원 가는게 중요할까요 아니면 경력을 쌓는게 중요할까요
Doo Doo 4
2021년 2월 09일 21:13고작가님 의견도 듣고싶습니다:)
항상 영상에서 신박사님만 너무 말을 많이하셔서 고작가님이 ..ㅎㅎ
물론 두분의 케미겠지만요
U & me 4
2021년 2월 12일 19:04말을 좀 짧게 하는게...
넘 산만하게 길게 중복이 많음
Youngwoo Cheon 4
2021년 2월 11일 06:44대부분의 부분에 공감하나 문제가 있는 부분이 있네요. 경력직(실력자가)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이든 어디던 들어가서 경력을 쌓아야 하는데 이때 중소기업에서는 무엇을 보고 사람을 뽑을까요 ? 결국 현재 대기업 공채에서 보는 스펙들을 보고 뽑지 않을까요 ? 저도 사람을 오래 뽑아 왔지만 결국 확률의 문제라 생각됩니다. 기업에 도움이 될 사람을 뽑을 확률의 문제죠. 그동안 이 확률을 높이기 위해 또한 편차를 줄이기 위해 사용되어 왔던 방법이 전통적인 인재 채용입니다. 누구에게나 첫 직장이 있을 터인데 이때 직장에서 사람을 뽑는 기준이 어떻게 바뀔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 것이라 봅니다.
카리바 4
2021년 2월 09일 09:00사람보고 쓰레기라니ㅜ참 나
@auralove1004 4
2021년 2월 11일 16:43오 정말 맞는말씀이네요 뛰어난 통찰👍
@user-wd8fr3kr3j 4
2021년 2월 08일 19:59자녀교육에 참고할수 있겠네요 무작정 대입을 위한 시간과 비용을 사교육에 몰빵하는게 아니라 적절한 직업교육과 인성교육도 더불어 해야겠어요.
Only One 4
2021년 2월 09일 02:00외국에서는 채용때 성적을 거의 안 봅니다. 이유는 순위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기본 자질이나 능력을 기준으로 뽑습니다. 특정대학을 나왔다는 것은 자질은 갖추었다고 보고 선발해서 기업에서 필요한 교육을 시켜 사용하는 개념입니다. 미국 대학을 지원할때 토플 650점 이상을 요구하면 그 점수만 넘으면 되지 만점을 받는다고 가산점 없습니다. 토플을 요구하는 이유가 대학 수업을 받을 수있는지 여부만 평가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화물양사장 3
2021년 2월 08일 19:00박사님 지적수준을 못따라가는 거에요
sy an 3
2021년 2월 08일 23:19역시 신박사님 멋져요~
존버빠사오파 3
2021년 2월 11일 23:30내가 정말 반에 머리가 티가나게 않좋으면 대학가지말고 기술배워서 분야에 짱먹는게 더 안전합니다.....기술자라고 다 무식한게 아닙니다 유식한 기술자가 되면됩니다
lpvmens 3
2021년 2월 15일 17:04Other's painful stories and anecdote are very easy to expose like the small talk over the drinking table. It must be their heartbroken.
푸른미소 2
2021년 2월 17일 11:27외국은 이미 개별적으로 지원해서 입사하죠. 그리고 일자리 탄력성 존재, 능력없으면 자를수 있는 기업문화. 우리나라는 고용의 비탄력성으로 더 일자리가 없음. 결국 쓸데없이 모두 일안해도 정년 유지되는 공무원되는게 꿈이란.
@user-wp6yo9vz5o 2
2021년 2월 09일 05:36참 좋네요
Zzong Youn 2
2021년 2월 16일 12:00명문대생이 아닌 사람 뽑는게 아니라
능력있는 사람 뽑는건데
능력도 없는데 비명문대생인 나를 뽑아줄 것만 같아서 설레벌임 능력키워야지
@hongdoojung9574 2
2021년 2월 08일 20:28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Charlie 2
2021년 2월 09일 00:4822:20 고작가님이 말씀하시는게 경제용어로 회색코뿔소가 아닌가 합니다.
@user-pn7zq7ig6l 2
2021년 2월 09일 08:45오늘도 정말 좋은영상 감사해요 !!
김민호 2
2021년 2월 16일 10:23상위 10개대학이랑 지방국립대 빼고는 싹 없어지는게 여러모로 좋을 것 같다. 내 모교 포함
13워니미니 2
2021년 2월 08일 16:44공감합니다.
Zzong Youn 2
2021년 2월 16일 12:00명문대생이 아닌 사람 뽑는게 아니라
능력있는 사람 뽑는건데
능력도 없는데 비명문대생인 나를 뽑아줄 것만 같아서 설레벌임 능력키워야지
코스모스 1
2021년 2월 09일 09:26아들인데 보냈어요...🤔
데스노트 1
2021년 2월 08일 16:58솔직히 사람 많이 뽑으면 기업 입장에선 노조가 탄생할거고 노조때문에 회사도 골치고 그냥 사람 안뽑는게 답이지
이얍!k 1
2021년 3월 01일 07:56한번씩 생각하는게 사회에 적용하기전에
미디어,방송에서 먼저 실험 적용해보는거 같음
대표적인게 아이돌들
옛날엔 각 그룹당 1명이 1가지 특출나는게 있으면 되었음
근데 요즘엔 다 잘해야됨
노래,춤,얼굴,패션,예능센스,학창시절 공부 성적,상식,인성 등등등
시켜보니까 이게 되네??하고 사회에도 적용 시키는거 같음
나유정 1
2021년 2월 11일 15:29공무원들도 능력제로 이직이 가능한 세계가 되면 좋겠네요.
고인 썪은물들은 빨리 하수구로 보내야해요.
출사 1
2021년 2월 09일 18:40취준생인데 아직 와닿지가 않아요ㅋㅋㅋ
@rolexsong343 1
2021년 3월 03일 15:48오늘 이 영상을 보고 10년묵은 체증이 확!!!!!!!!!!!!!!!!!!!!!! 밀려 가는 거 같습니다. 이 영상을 전국민이 봐야 합니다. 모든 조직에 능력없는 암덩이리들을 제거하고 실력있는자들이 선방해야 합니다. 가장 썩어빠진 공무원 조직 공기업 조직을 비롯하여 일반 기업도 쓸모없는 폐물들이 사라져야 합니다.!!! 신박사님과 체인지 그라운드 응원합니다. 매일 정주행 중입니다!!!!!!!!!!!!!!!!!!!
이얍!k 1
2021년 3월 01일 07:56한번씩 생각하는게 사회에 적용하기전에
미디어,방송에서 먼저 실험 적용해보는거 같음
대표적인게 아이돌들
옛날엔 각 그룹당 1명이 1가지 특출나는게 있으면 되었음
근데 요즘엔 다 잘해야됨
노래,춤,얼굴,패션,예능센스,학창시절 공부 성적,상식,인성 등등등
시켜보니까 이게 되네??하고 사회에도 적용 시키는거 같음
조창현 1
2021년 2월 08일 16:42결국 실업률이높아서 정권들은 공격의 대상이되겠네요
롸뽀TV 1
2021년 2월 16일 10:27걍 각자 자기 능력으로 사업한다는 마음으로 회사다니든 자영업하든 투자하든 살면 이게 특별한 일이 아닙니다.이게 당연한거죠.
구름이
2021년 2월 09일 19:53리얼 이런분 밑에서 일하면 배우는 것도 많고 오점도 고칠 수 있을 듯. 너무 효율적이다.
책낭독과 명언Maxims & Funny Lee
2021년 2월 08일 17:09대기업, 그것도 곧 잘립니다... 혼자 잘 먹고 살려고 하면 결국 자신에게 돌아가지... ㅎㅎㅎㅎㅎ
@eunice5069
2021년 2월 10일 07:56너무 공감해요^^*
JY Seo
2021년 2월 08일 18:26속시원~
@evpart
2021년 2월 14일 02:10필터링 용어는 이사님진에서만 사용하는줄 알았는데...진또배기이십니다
귀요미강쥐들
2021년 10월 15일 02:53신박사님은 정말 좋은말씀도 많이 해주시고 중요한 정보들도 영상으로 만들어주십니다 정말 감사하게 생각 하고 있죠 반년정도 체인지그라운드 영상을 시청하다보니 한가지 아쉬운점이 생겼습니다 신박사님이 말씀하실때 뭔가 말이 되게 세다고 해야하나 약간 듣다보면 잉? 할때가 있어요 귀싸대기 맞아야한다던지 욕을 중간중간 하시는거 말이에요 제가 좀 예민한것일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강조하시기 위해 쓰시는 거겠죠 약간 신경이 쓰였달까 그랬답니다 참고해주시면 감사할 거 같습니다!! 체인지그라운드 직원분들 항상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깨달음을 얻게 해주시는 영상을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xn3ov9ub5j
2021년 2월 24일 19:09영상 공감있게 잘 봤습니다. 결국엔 이제는 실력과 결과물로 승부를 걸어야 겠어요. 당장 대기업가는거 보다는 중견,중소기업에서 3~4년 정도 경력을 쌓이고 실력도 출중해지면 대기업으로 노려봐야 하는 시대가 왔네요. 그러므로, 퇴근후 마냥 쉬는것이 아닌, 자기계발을 꾸준히 해서 평소 본인의 몸값을 올려야 겠습니다.
@user-sr9vh5dg5t
2021년 2월 09일 20:32절대적으로 공감합니다!!!!
Just Rene
2022년 1월 11일 19:3121:12 고작가님의 명언 : 인생은 어떻게 될지 절대 모른다 열심히 살자
22:47 신박사님의 명언 : 세상은 아마존이다 위기에서 잘 살아나가자
염경향
2021년 2월 09일 18:13기업에서 일하는 게 쉽지 않은 현실 앞으로 인공지능과 경쟁해야 하는데 착잡 ㅠ
마임마임
2021년 2월 12일 13:36극 공감합니다. 이직도 능력되는 사람들만 가능하고, 이직 가능한 것도 본인 능력이 다른 부서나 다른 직장에서도 유명해야 그 사람을 추천하여 채용이 가능합니다. 이런 방식은 이미 많은 회사에서도 경력직이나 우수한 인재 스카우트할 때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더욱이, 이제는 사람과 행정업무를 통제하기 위한 회사 내규나 정책에 따라 업무하기 보다는 그보다 앞선 생각으로 업무방향과 다양한 분야에 두루 지식이 있는 경험 많은 소수 그룹을 더욱 우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효율이 결국 회사의 수익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무능력한 사람들 10명 모여봐야 능력 있는 사람 2~3명에도 못 미칩니다. 저 또한 회사를 다녀보니, 뼈져리게 느낍니다. 코딩 못하거나, 기타 기본적인 프로그램을 제대로 이용못하면서, 그림이나 글자 형태 등에 집중하는 관리자는 솔직히... 없어도 별 티가 안나니까요.
주장개빵
2021년 2월 08일 17:46맞는 말씀이 너무 많고 공감이 가는 부분도 너무 많지만.... 고령화 되는 사회에.... 집 사려고 이빠이 대출받은 상태에서 직장에서 일하면서 근근히 자식 새끼들 기르다 보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나이가 40, 50 될텐데.... 능력없으면 무조건 나가라? 30대에 일 잘하고 능력 있을때는 호봉제에 근거해서 돈 많이 못 받고 시다바리 역할도 이빠이 해가면서 이제 월급이 좀 올라가는데... 갑자기 패러다임을 바꿔서 그렇게 하기에는 무리가 있지 않을까요? 참.... 좋은 시절 다 지나갓고 내 자식 새끼들은 참 살기 힘들겠네...
따쌤화이팅!
2021년 2월 08일 16:02111
삶무엇인가
2021년 2월 18일 01:47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장찐찐
2021년 2월 08일 17:36그런데 진짜로 머리가안좋은사람들은 단순조립직에서 먹고살아야하나요...
...아니면 뭐 노동법의 보호를못받는사람들을 내보내고 음............
sunghan myung
2021년 2월 16일 07:07자기 자신을 스토리 텔링있는..즉 왜 내가 뭐엇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준비하고 현재와 미래를 준비 대비했는지 어떤 노력을 어떻게 했는지 그 과정에서 오려움은 뭐 였고 그 어려움을 나는 어떻게 극복했는지 또는 단점을 보완할려고 노력했는지 그러고 그게 개선효과를 보았는지..
이런 내용에 준해 자기소개서를 솔직하고 진솔하게 작성하는게 중요하다고 봅니다.resume와 introduction letter
@user-ip7fn8no4i
2021년 2월 09일 19:48희망하던 사람들이 절망으로 --------
절망에서도 희망의 빛을 찾아내는게
우리들이라고 말하고 싶군요
불확실한 미래 용기를 주는 말씀 기대합니다
릴렉스백
2021년 2월 08일 18:25경력직도 블라인드 하는지가 관건 아니겠습니까? 고위 공무원 정치인들 자녀 특혜 인맥 특혜..없어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