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1 사연 소개 1:48 사연에 대한 상황 분석과 조언 3:30 철학을 하고싶다고 해서 그것이 직업일 필요는 없다. 철학을 공부할 수 있는 루트는 매우 다양! 5:07 대학에서 전공하면 유리한 분야는 테크트리가 필요한 과목 6:30 인생의 때에 맞는 우선순위를 잘 정해야 한다. 8:00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한다고 해도 하기 싫은 것도 결국 모두 해야 한다. 12:08 독서량과 수능결과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 16:37 어른들도 실수하는 것은 이분법적 사고! 18:18 똑같은 일도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몸이 반응하는 것이 다르다.
이분법적 사고를 극복하고 메타인지를 높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이 드네요ㅎㅎ 다른 전공을 하면서도 철학 공부는 충분히 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성공해서 하고싶은 일을 하게 되더라도 결국 하기싫은 일도 해야 하기에 하기싫은 일도 묵묵히 해낼 수 있어야만 한다는 것 배우고 가요 😊🤎 +) 고작가님 이십대 후반에 깨달으셨다니 저와 비슷하시네요 ㅎㅎ 친근감 느끼고 가용^^
제가 이 영상을 보고 같은 생각을 느꼈습니다. 정말 죽도록 목숨걸고 미친듯이 공부한 사람은 후회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과거의 자신이 했던 노력을 이길 수없기 때문입니다. 최선을 다했다는 기준이 사람마다 다르므로 메타인지를 항상 해야합니다. 자신을 객관적으로 보는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오늘도 메타인지하기, 자기객관화 시간, 성찰의 시간을 갖겠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우선순위를 생각하고 실천하는 자세를 가져야하겠다고 생각이 듭니다. 저도 하기 싫은 일들을 제쳐두고 하고 싶은 일 먼저했지만 이제 방향을 바꿔 공부해야 할 것을 해야겠다고 생각이 듭니다. 영상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우선순위를 지켜 공부하겠습니다. 하기 싫은 일들을 해낼수 있는 능력을 키우겠습니다. 우선순위를 먼저 실천하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진짜 공부 열씸히 했던 사람들이 성공할 확률 높음. 이거는 인정 ㅎㅎ. 본인 사정때문에 어릴때 외국에 있었어서 한국의 고등학교 입시 분위기는 모르겠지만, 학교 끝나고 하고싶은 것들 이것저것 찾아보고 만들고 했던 친구들중에 20대 중반부터 자수성가한 친구들 꽤 있음. 그때는 학교 끝나고 농구하고 축구만 했는데 ㅠㅠ 공부좀 할껄..
아직 영상 다 못봤지만 시작부터 좀 그런게 요즘 같은 시대에 전문대도 합격 불합격을 걱정할 정도면 전문대 비하가 아니라 전문대도 가기 힘든 것 많은데 공부를 안한 것은 맞고, 독서라는 것도 과연 깊이 있는 다독이었는지 의문이 드는 것이 철학에 관심을 둔 학생의 글이라고는 믿겨지지 않는 내용. 스스로에 대한 착각이 너무 심한 것 같음. 주변을 둘러보고 자기 객관화부터 필요할 듯. 그리고 철학의 끝판왕은 불교임. 종교라는 말의 근원이 불교이듯 중동 기원 유일신관 등 신관과는 전혀 무관한 종교이니 철학을 하려면 반드시 불교부터 시작해야한다고 생각함, 기실 근대 서양 철학 분명히 불교의 영향으로 발전했다고 생각함. 그들이 드러내지 않을뿐.
아직 고등학생이기에 그 어린나이기에 그런 생각을 할수있는 사연같네요. 한편으로 영상에서 말씀하신 걸 학교에서 말해줄 수 없는 교육 현실이 안타까운 우리나라입니다.
적어도 사회가 요구하는 건 말씀하신것처럼 철학과 교수가 되지 않은 이상 철학적 사고가 필요한거지 철학자가 필요한게아니니까요.
지내놓고보니 대학생활에서 배워야할건 학점과 스펙에 따른 취직의 문을 넘어서자가 아니라 소통과 협력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결과를 도출해내는 성과를 보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 기저에 깔리는 것이 자신의 전공이고 그로부터 영역의 확장을 통해 자신이 할수있는 영역 관심있는 영역을 넓혀가는거라 보입니다. 웅이사님 책터뷰 보고 폴리매스를 보며 공감이 많이된 건 위의 생각이 기존의 제 생각과 같았기 때문이죠.
어땠든...어린친구에게 나이든 친구들이 도움이 되는 선순환이 되는 사회가 되길, 그리고 그리.만들어주시는 두분께 감사!
조금씩 조금씩 나아지고 있는 나... 진짜 열심히 살아보려고 빈말이 아니고 정말 셀 수 없이 많은 시도와 실패를 했는데 그러면서 조금씩 바뀌는 건 희망적이다. 그러나 내 기준에서 "진짜 열심히." 라는 것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며칠 못견딜정도로 스트레스가 극심하다... 그리고 에너지도 부족하다... 생각과 집중을 위한 칼로리가 부족함을 느낀다... 언제까지 미래를 위해 현재를 희생하며 살면 되는걸까? 여긴 지옥인가? 여기가 바로 지옥인가? 끝나지 않는 번뇌와 스트레스. 넷플릭스 "굿 플레이스" 처럼 여기가 지옥인가보다..
@sldlxm12 94
2021년 2월 15일 16:10하고싶은걸 하려면 하기 싫어도 해야하는게 있다.
이효민 52
2021년 2월 15일 16:25많은 기회를 위해 공부를 해야하는건 진리임
@은서-d9n 31
2021년 2월 15일 16:050:21 사연 소개
1:48 사연에 대한 상황 분석과 조언
3:30 철학을 하고싶다고 해서 그것이 직업일 필요는 없다. 철학을 공부할 수 있는 루트는 매우 다양!
5:07 대학에서 전공하면 유리한 분야는 테크트리가 필요한 과목
6:30 인생의 때에 맞는 우선순위를 잘 정해야 한다.
8:00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한다고 해도 하기 싫은 것도 결국 모두 해야 한다.
12:08 독서량과 수능결과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
16:37 어른들도 실수하는 것은 이분법적 사고!
18:18 똑같은 일도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몸이 반응하는 것이 다르다.
이분법적 사고를 극복하고 메타인지를 높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이 드네요ㅎㅎ
다른 전공을 하면서도 철학 공부는 충분히 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성공해서 하고싶은 일을 하게 되더라도 결국 하기싫은 일도 해야 하기에 하기싫은 일도 묵묵히 해낼 수 있어야만 한다는 것 배우고 가요 😊🤎 +) 고작가님 이십대 후반에 깨달으셨다니 저와 비슷하시네요 ㅎㅎ 친근감 느끼고 가용^^
@jsjs5780 28
2021년 2월 15일 16:31제가 이 영상을 보고 같은 생각을 느꼈습니다. 정말 죽도록 목숨걸고 미친듯이 공부한 사람은 후회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과거의 자신이 했던 노력을 이길 수없기 때문입니다. 최선을 다했다는 기준이 사람마다 다르므로 메타인지를 항상 해야합니다. 자신을 객관적으로 보는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오늘도 메타인지하기, 자기객관화 시간, 성찰의 시간을 갖겠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정찬-e8n 19
2021년 2월 15일 18:32먼저 이분법적 사고를 버리라는 말에 적극 동의헤요.
어떤일을 하든지 안되는 방법보다 되는 방법을 찾아야하는데 대부분 "난 일때문에 안돼" "공부때문에 안돼" 하기싫다는 마음을 감추기 위해서 안되는 방법을 자랑이랍시고 나열하고 나중으로 미루죠..
이렇게 언젠가는 하겠지 하다보면 한달은 그냥 순식간이더군요.
저도 지금부터 당장 스르로와 했던 약속들을 시작하고 졸꾸하겠습니다. 좋은말씀 덕분에 많은 자극을 얻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Ivan-ec6cr 18
2021년 2월 15일 16:26더 열심히 할 수 있는데 안하는 경우가 많다 라는 말에 후드려 맞았네요..
@claratoeic 17
2021년 2월 15일 17:3221:50 제 지인중 크게 자수성가 하신 분이 한 분이 계신데 성실하기로 소문난 그 분의 좌우명이 '평범한 노력은 노력이 아니다!!' 입니다. 신박사님 말씀에서 그 분의 말씀이 오버랩 되네요. 오늘도 뼈때리는 강의 감사합니다. 👍👍
@user-oq7wq5fz5o 13
2021년 2월 15일 17:44'진짜 열심히'하는 사람들이 '진짜 열심히' 하는 모습을 한번 찍어 올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직장인수험생 등등요
그러면 더 확 올거같아요 졸꾸러기분들도 더 느끼지 않을까싶어요
@워니챌린지 12
2021년 2월 15일 16:28과연 난 정말 열심히 했던 적이.. 한 것이 있는지.. 반성하게 되네요.
@studian365 11
2021년 2월 15일 16:22HELP@changeground.com으로 여러분의 고민과 사연을 보내주세요~♡
@PKan00 7
2021년 2월 15일 19:42삶의 우선순위를 무시하고 원하는 것들만 골라 행동하면 나중에 피본다는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고신세보다가 관절염 걸리겠어요 ㅠ
보충제에 밥말아먹기 7
2021년 2월 15일 16:021분전은 못참지 훗훗
@kkomi_hisam 7
2021년 2월 15일 16:28♥100번째 좋아요 👍 눌렀쪄요
조은소식 있습니돠앙
이번에 집 3개와 유투브 수익 1천만원을 얻었습니다
이게다 씽큐베이션 7기 폴리매스의 힘 덕분이예이
작년코로나로 인해 저에게는 오히려 복이 되었어요 너무나 감사합니다♥
@성이름-i2b3e 5
2021년 2월 16일 16:33삶의 우선순위를 잘 알려면 메타인지가 필요함. 그 메타인지라 함은 자신의 현주소를 인정할 줄 알아야되는 거고.
조금은 욕심을 덜고 존버단 입성하듯이, 또 겸손하게 자신을 받아들이는 연습을 해보는 게 좋을듯
@jbha0110 5
2021년 2월 15일 18:25하... 요즘 고신세 보는 맛에 삽니다
@adios-2968 5
2021년 2월 15일 18:14본인 기준에서 철학을 많이 공부한 거지 절대량은 진짜 죄송한데 안 많아 보입니다. 하기싫은 것도 잠줄여 하는 마당에 좋아한다면 그정도는 해 줘야 "업"으로 삼을 수 있다고 봅니다. 무언가를 해서 돈을 번다는 건 절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염승준-l2q 5
2021년 2월 15일 16:25우선순위를 생각하고 실천하는 자세를 가져야하겠다고 생각이 듭니다. 저도 하기 싫은 일들을 제쳐두고 하고 싶은 일 먼저했지만 이제 방향을 바꿔 공부해야 할 것을 해야겠다고 생각이 듭니다.
영상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우선순위를 지켜 공부하겠습니다.
하기 싫은 일들을 해낼수 있는 능력을 키우겠습니다.
우선순위를 먼저 실천하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박사순 5
2021년 2월 15일 16:043분전은 못참지 훗
@하이퍼도룡뇽 4
2021년 2월 15일 18:59진짜 공부 열씸히 했던 사람들이 성공할 확률 높음. 이거는 인정 ㅎㅎ. 본인 사정때문에 어릴때 외국에 있었어서 한국의 고등학교 입시 분위기는 모르겠지만, 학교 끝나고 하고싶은 것들 이것저것 찾아보고 만들고 했던 친구들중에 20대 중반부터 자수성가한 친구들 꽤 있음. 그때는 학교 끝나고 농구하고 축구만 했는데 ㅠㅠ 공부좀 할껄..
@_banbok 3
2021년 2월 15일 17:3720살 동갑 친구의 이야기라 잘 들었습니다 :)
@hyunwookim4113 3
2021년 2월 15일 17:01무효자 ㅋㅋㅋㅋㅋ 와 한 1분 배찢어지게 웃음
성이름 3
2021년 2월 15일 18:10좋은말씀 감사합니다.
@elikim269 2
2021년 2월 15일 16:58고신세! 완전 좋아~
어려운 얘기인데 신기하게 재밌어
뭐든지 오래하면 재밌다 2
2021년 2월 16일 14:44메타인지란 말은 좀 오글거리고
자기객관화가 무난한 말인것같음
@tjdnfeo11gkrqjs 2
2021년 2월 15일 16:24좋네요. 과정이 있으니 이리 좋은모습을 보여주시는듯합니다. 하기싫은 것도 하기좋게만드는 능력을 가지신듯요 두분모두
@bym9677 2
2021년 2월 16일 12:02아직 영상 다 못봤지만 시작부터 좀 그런게 요즘 같은 시대에 전문대도 합격 불합격을 걱정할 정도면 전문대 비하가 아니라 전문대도 가기 힘든 것 많은데 공부를 안한 것은 맞고, 독서라는 것도 과연 깊이 있는 다독이었는지 의문이 드는 것이 철학에 관심을 둔 학생의 글이라고는 믿겨지지 않는 내용. 스스로에 대한 착각이 너무 심한 것 같음. 주변을 둘러보고 자기 객관화부터 필요할 듯. 그리고 철학의 끝판왕은 불교임. 종교라는 말의 근원이 불교이듯 중동 기원 유일신관 등 신관과는 전혀 무관한 종교이니 철학을 하려면 반드시 불교부터 시작해야한다고 생각함, 기실 근대 서양 철학 분명히 불교의 영향으로 발전했다고 생각함. 그들이 드러내지 않을뿐.
@chacha6527 2
2021년 2월 15일 16:22내말이 ㅎㅎㅎ
@행복한초록이 1
2021년 2월 15일 18:38ㅋㅋㅋ 천상계
@Winfieldkr 1
2021년 2월 15일 17:37진짜 열심히가 어느정도인지 궁금합니다.
신박사님 고작가님
일주일정도 주말 포함 스케줄(실제) 궁금하네요. 버라이어티 쇼 식으로 컨텐츠 나와도 좋을거 같아요
@user-dokkabi 1
2021년 2월 15일 17:35아~~!!!
ㆍㆍㆍㆍ
똑같은 친구가 있었구나~~~🙄
@김동휘-s3b 1
2021년 2월 18일 08:36아직 고등학생이기에 그 어린나이기에 그런 생각을 할수있는 사연같네요.
한편으로 영상에서 말씀하신 걸 학교에서 말해줄 수 없는 교육 현실이 안타까운 우리나라입니다.
적어도 사회가 요구하는 건 말씀하신것처럼 철학과 교수가 되지 않은 이상
철학적 사고가 필요한거지 철학자가 필요한게아니니까요.
지내놓고보니 대학생활에서 배워야할건 학점과 스펙에 따른 취직의 문을 넘어서자가 아니라 소통과 협력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결과를 도출해내는 성과를 보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 기저에 깔리는 것이 자신의 전공이고 그로부터 영역의 확장을 통해 자신이 할수있는 영역 관심있는 영역을 넓혀가는거라 보입니다. 웅이사님 책터뷰 보고 폴리매스를 보며 공감이 많이된 건 위의 생각이 기존의 제 생각과 같았기 때문이죠.
어땠든...어린친구에게 나이든 친구들이 도움이 되는 선순환이 되는 사회가 되길, 그리고 그리.만들어주시는 두분께 감사!
@가는이_GaNunI 1
2021년 2월 15일 17:1022:30 반성합니다 ㅠㅠ
@편안한단타 1
2021년 2월 15일 19:18정말 꼭 봐야 할 영상. 👏👏👏
@leesse237 1
2021년 2월 15일 23:39아니 고작가님이 무효자라니......ㅎㅎ
@뜨뜨애청자 1
2021년 2월 15일 16:3320분뚝딱.. 제가20살인데 ㅠㅠ 감사합니다 영상!!
@하이다-t6j 1
2021년 2월 15일 18:32오ㅜ 다른분 사연인데 제가 뼈를 맞은 기분이네요ㅜ 광역뼈때리기에 저도 함께 반성합니다ㅜ
@Vinjae
2021년 2월 16일 13:15구라치다 걸리면 손모가지에 문화상품권 꽂아주는 아죠시들..
@gohome5733
2021년 2월 17일 05:43열심히살고싶은데 불안과 두려움 우울증과 무력증때문에 삶을 낭비하고있는거같고 알면서도 뭘해야할지모르겠고 그렇네요
우리
2021년 2월 25일 13:20철학이좋다고 철학과를가서 직업을 갖는건 너무 한가지 길만 생각하는 것 같아요 오히려 지금 경영학배우는게 더 좋아보입니다 길은 다양하고 여러길을 같이갈수도 있으니까요
@박현아-e4q
2021년 6월 06일 06:59머하냐진짜 우선순위가 먼데
@joontak181
2021년 2월 18일 22:00무효자 ㅋㅋㅋㅋ
하기 싫은 것도 할 줄 알고 메타인지를 높여라
@명품복원러
2021년 2월 15일 19:59감사합니다 🙏
@zzjj4664
2021년 3월 04일 16:14무효잨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근데 혈색과 실력이 비례하는 느낌인건가
@졸꾸-y2d
2021년 2월 16일 00:1020살에 이런생각이 든다니 성공하실꺼에요
대단하네요
@s_tartree
2021년 2월 15일 21:02진짜로,,, 두분 강연만 들으면 없던 힘이 샘솟습니다. 늘 감동 받고 가용^^ 존경의 인사를 드립니다!!
박쏜
2021년 2월 15일 20:37감사합니다. 🙏
@timebro
2021년 2월 16일 00:50공부에는 다 때가 있는 법인데.. 고3때 영어공부를 했어야지...
@wa-ng
2021년 2월 18일 15:49결과중심적으로 생각하세요. 그 결과를 객관적으로 판단하세요. 그게 자신을 진짜 노력하게 만듭니다
@박현아-e4q
2021년 6월 06일 18:06우선순위 건강..돈..집..??
@소환수-w2v
2021년 2월 17일 05:54조금씩 조금씩 나아지고 있는 나... 진짜 열심히 살아보려고 빈말이 아니고 정말 셀 수 없이 많은 시도와 실패를 했는데 그러면서 조금씩 바뀌는 건 희망적이다. 그러나 내 기준에서 "진짜 열심히." 라는 것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며칠 못견딜정도로 스트레스가 극심하다... 그리고 에너지도 부족하다... 생각과 집중을 위한 칼로리가 부족함을 느낀다... 언제까지 미래를 위해 현재를 희생하며 살면 되는걸까?
여긴 지옥인가? 여기가 바로 지옥인가? 끝나지 않는 번뇌와 스트레스. 넷플릭스 "굿 플레이스" 처럼 여기가 지옥인가보다..
Min Kim
2021년 2월 16일 20:08사는거 난이도가 너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