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게 접니다. 저 명문대나와서 삼성 최종떨어지고 짜증나서 그냥 진짜로 시흥 공단에 있는 소기업부터 일단 다녔습니다. 이런말 뭐하지만 외국인 노동자도 있는 정말 폼안나는 기업이었어요. 그 경력으로 중견기업 거기서 커리어 전문성 길러서 지금 SK계열사 다닙니다. 일단 일하세요. 그리고 다른 사람대비 잘하는 역량 기르면 반드시 뛰어오를 수 있습니다.
37살 해외로 사업하러 갔다. 13년이 지났다. 외국다니다 보면, 한국이 얼마나 매우 급성장한 국가라는걸 150% 실감한다. 대한민국 똑똑한 청년들을 좁은 한반도에 가둬두고 기성세대들의 변하지 않는 좌.우 정부비판, 부동산출세, 공무원출세만이 인생다인것처럼 하는게 안타깝다. 한국이 얼마나 살기 좋은국가인데 말이다.
저... 근데요... 20대라고 한정 짓지는 않아주셨으면 좋겠어요. 저는 30대 거의 중반을 보고 달리고 있는데도 같은 위치거든요... 열심히 안 산것도 아닌데 갈수록 왜 이러나 이젠 체력도 예전같지 않은데... 그냥 포기할 생각만 늘어갑니다... 암튼 30대. 아직 인생을 포기하기엔 너무 이르다고들 하지만 모든 청년 일자리 지원 프로젝트나 이런게 다 20대만을 응원해주는거 같아서 가끔 넘 슬퍼요. 일이 안풀리는 30대, 40대는 뭘 어떻게 살아 남아야 하죠??
34살 이지만 대학 졸업하고 졸업장 한장 아무것도 없이 26살 어중이떠중이 놀고만 있을수 없어 취업전선에 뛰어들었죠 5년전이군요. 결과요? 하다못해 반도체 공장도 못들어갓습니다. 왜일까요? 대학 4년 졸업장 가지고 있는놈이 왜 여길오냐는 질문에 " 절박해서요.. " 이한마디 했었습니다. 물론 떨어졌죠. 그렇게 찾고 찾아 30명 중소기업 사무직으로 2년 사무직은 비전이 없다고 여기고 퇴직하고 수리정비직으로 선회해서 10인 소기업으로 이직했습니다. 중간 1~2번 경정비 업체일하고 3년 죽었다 생각하고 노하우,일머리,능력향상 많을 시간을 들였죠.
3년후 다시 퇴직하고 점프해서 200인 미만 중견 업체로 이직했습니다. 물론 경력직으로 공채서류 넣으면 그냥 오라고 전화왔습니다. 경력직은 경력이 깡패라고 제가 가장 원하는 업체로 이직했구요. 그리고 저는 다시 점프하기위해 다시 준비중입니다. 대기업이든 공기업이든 해보자구요.
포기하면 거기서 끝나지만 실패하면 다시 도전하면, 일어설수있으니까요. 넘어지는거 당연한거예요. 쫄지마세요!
20대가 힘든 6가지 이유 1. 코로나로 인하여 취업이 늦어지면 인생에서 벌어들이는 총 수익이 낮을 가능성 높음 2. 코로나로 인하여 첫 연봉이 낮으면 인생에서 벌어들이는 총 수익이 낮을 가능성 높음 3. 돈 없어서 주식 못함 4. 돈 없어서 부동산 못함 5. 다른 나라도 똑같으므로 탈조선 불가 6. 회사가 효율을 따지기 시작하면서 공채를 없애고 경력직을 뽑기 시작함
해결책 1. 좋을 때는 발전하고 안좋을 때는 진화를 해야 한다. 2. 경력자는 공채보다는 실력이 있으면 잘 통한다. 가짜 공부가 아니라 진짜 공부를 해야 한다.
와우~오늘 영상은 댓글을 안 남길 수 없네요~ 9살 아들키우는 40대 엄마입니다. 늘 영상 보면서 알찬 정보도 얻고, 추천도서 읽으며 정신 바짝 차리려고 노력합니다. 고박사님 신박사님 같은 어른들이 있어서 아이들의 미래가 좀더 희망적이라 생각합니다~ 늘 유익한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결국 기업에선 효율적인 사람을 뽑기에 생각해 보면 기업에서 원하는 '기계'에 가까운 인력만을 채용하는 상황인 거고 그렇기에 훗날 AI 연구와 활용이 활성화 되는 거네요. 오차가 거의 나지 않을 테니까요. 그렇기에 우리는 공부하며 효율적인 능력을 갖추되 우리만이 가질 수 있는 "고유성"을 찾고 기르고 나아가야 되겠습니다. 당장은 힘들겠지만 언젠가는 독자적으로 이끌고 조금이나마 이뤄냈던 게 우리 세대가 중년쯤의 나이가 됐을 때부터 시대를 이끄는 힘이 될 지도 모르니까요. (헐 왜 위로 받고 가죠.. 감사합니다 ㅠㅠ.)
백번천번 지당하신 말씀입니다. 전 40대 아저씨인데요. 몇년전까지만해도 20대 의지문제로만 봤었는데 공부하면할 수록 그게 아니라는것을 알게 되었어요. 코로나로 급변하고 있지만 사회체계가 바뀌는건 그 이전부터 일어나고 있었고 그 피해는 20-30대들에게 가고 있어요. 이들뿐만아니라 나머지 세대들도 피해를 보고 있고요. 40대들도 명퇴칼바람이 불기시작했고. 올해 아니면 내년에는 더 힘들어질듯합니다. 산업이 바뀌면 회사원은 필요가 없거든요. 앞으로는 경력직도 어려운 세상옵니다. 뭐랄까 이건 노력한다고 해결될것이 아니라는거죠. 우리는 컴퓨터를 이길 수 없어요. 단 컴퓨터가 닿지않은 영역을 찾아서 창직이나 창업을해야 살수있는 시기가 오는 듯합니다. 20대만 정신차릴게 아니라 직장이 필요한 전세대가 정신차려야해요. 앞으로 100세시대라는데 돈을 벌어야하잖아요.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의 흐름으로 보았을 때 여전히 경제 자체는 지속적으로 우상향 하리라 보여 집니다. 그러나 이제 사회에 진입하는 청년들은 이러한 혜택을 받지 못할 것입니다. 보통 경제성장의 과실은 주식이나 부동산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 가져가기 마련이니까요. 또한, 이는 기업이 발전할 수록 사람이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구조로 가기 때문에 경쟁은 더욱 더 치열 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신입으로 취업하기 점점 어려워지는 다른 이유는 시대가 지날 수록 업무가 더욱더 고도화 되면서 기존의 인력이 교체가 어려워지는 것도 한 몫 한다고 생각합니다. 예전에 사장님 마인드는 "경력자 한명 그만두게 하고 신입 두명 뽑지 뭐. 어차피 몇달 하면 다 똑같겠지" 라고 생각하는 것도 없지 않아 있었는데, 요즘엔 "아~ 일 제대로 하려면 최소 2~3년은 교육시켜야 하는데 굳이 뽑아야 하나. 그러다 딴 회사가면 남 좋은일 시키는 건데, 그냥 경력자 뽑아야 겠다"라고 생각하는 회사가 늘어나는 거 같습니다. 신입을 뽑더라도 1년내에 어느정도 업무 가능한 탑급신입을 뽑으려고 하겠죠.
또 다른 이유로는 경쟁의 스펙트럼이 증가 됬기 때문이라고 보여 집니다. 예전에는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연세 드신 분들이 그대로 새로운 세대들에게 일자리를 내 줄수밖에 없었죠. 농경사회 혹은 산업사회 초기의 분들은 컴퓨터나 인터넷 혹은 모바일에 관련된 직종에서 예전 세대에서는 약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밀려 나갔다고 보입니다. 그러나, 지금 기성세대는 예전 기성세대와는 다르게 이러한 신문물(?)에 능숙한데다가 경험까지 있어서 새로운 세대에 대한 요구가 더 적어진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발전이 아닌, 진화해야하는 시기... 감사합니다! :) 제가 고민했던 부분에 해답을 찾은 것 같습니다!ㅎㅎ 어느덧 저도 모르게 분위기에 휩싸였던 부분이 있던 것 같습니다 ㅠㅠ 체인지그라운드를 통해 더 빨리 깨우치고 정신 차릴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객관적이고 현실적인 시각으로 너무 맞는 말씀을 하시니 공감이 안 갈 수가 없네요. 저야말로 제 욕심에 이것저것 하다보니 어느덧 40대임에도 한 곳에 제대로 정착하지는 못 했지만, 그간의 경험으로 고작가님과 신박사님의 의견에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자리를 잘 잡으신 기성세대가 사회초년생들을 잘 이끌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항상 보면서 느끼는 거지만, 오늘도 많이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도림림하게 165
2021년 2월 23일 12:54그게 접니다. 저 명문대나와서 삼성 최종떨어지고 짜증나서 그냥 진짜로 시흥 공단에 있는 소기업부터 일단 다녔습니다. 이런말 뭐하지만 외국인 노동자도 있는 정말 폼안나는 기업이었어요. 그 경력으로 중견기업 거기서 커리어 전문성 길러서 지금 SK계열사 다닙니다. 일단 일하세요. 그리고 다른 사람대비 잘하는 역량 기르면 반드시 뛰어오를 수 있습니다.
광수 126
2021년 2월 23일 12:2537살 해외로 사업하러 갔다. 13년이 지났다.
외국다니다 보면, 한국이 얼마나 매우 급성장한 국가라는걸 150% 실감한다.
대한민국 똑똑한 청년들을 좁은 한반도에 가둬두고 기성세대들의 변하지 않는 좌.우 정부비판, 부동산출세, 공무원출세만이 인생다인것처럼 하는게 안타깝다. 한국이 얼마나 살기 좋은국가인데 말이다.
@earth_english 80
2021년 2월 23일 12:23정말 '너희의 문제'가 아닌 '우리의 문제'라고 인식해주는 아저씨(?) 같은 분들 많이 계셨음 하네요! 대한민국 청년들 화이팅입니다💪
복뚱아 Peach QoQ 54
2021년 2월 23일 17:00저... 근데요... 20대라고 한정 짓지는 않아주셨으면 좋겠어요. 저는 30대 거의 중반을 보고 달리고 있는데도 같은 위치거든요... 열심히 안 산것도 아닌데 갈수록 왜 이러나 이젠 체력도 예전같지 않은데... 그냥 포기할 생각만 늘어갑니다... 암튼 30대. 아직 인생을 포기하기엔 너무 이르다고들 하지만 모든 청년 일자리 지원 프로젝트나 이런게 다 20대만을 응원해주는거 같아서 가끔 넘 슬퍼요. 일이 안풀리는 30대, 40대는 뭘 어떻게 살아 남아야 하죠??
@enslow 48
2021년 2월 23일 12:05정신 바짝 차려야죠. 인생 런닝머신은 세계성장과 함께 가속화되어감. 안뛰면 늦음
30대도 많이 쫄립니다 ;;
@SEBS-ql5qo 46
2021년 2월 23일 12:57휴무때마다 카페가서 공부하는데 오늘은 번아웃이 된것처럼 모든게 싫어지고 다 포기했어요. 잠시 멍하니 있다가 체인지그라운드를 틀었는데, '20대 힘내라' 링거를 맞은것 같네요. 정신바짝 차리고 살아갈게요. 감사합니다.
@user-jf8pl3nk1k 35
2021년 2월 23일 18:1634살 이지만 대학 졸업하고 졸업장 한장 아무것도 없이 26살 어중이떠중이 놀고만 있을수 없어 취업전선에 뛰어들었죠 5년전이군요. 결과요? 하다못해 반도체 공장도 못들어갓습니다. 왜일까요?
대학 4년 졸업장 가지고 있는놈이 왜 여길오냐는 질문에 " 절박해서요.. " 이한마디 했었습니다. 물론 떨어졌죠. 그렇게 찾고 찾아 30명 중소기업 사무직으로 2년 사무직은 비전이 없다고 여기고 퇴직하고
수리정비직으로 선회해서 10인 소기업으로 이직했습니다. 중간 1~2번 경정비 업체일하고 3년 죽었다 생각하고 노하우,일머리,능력향상 많을 시간을 들였죠.
3년후 다시 퇴직하고 점프해서 200인 미만 중견 업체로 이직했습니다. 물론 경력직으로 공채서류 넣으면 그냥 오라고 전화왔습니다. 경력직은 경력이 깡패라고 제가 가장 원하는 업체로 이직했구요.
그리고 저는 다시 점프하기위해 다시 준비중입니다. 대기업이든 공기업이든 해보자구요.
포기하면 거기서 끝나지만 실패하면 다시 도전하면, 일어설수있으니까요. 넘어지는거 당연한거예요. 쫄지마세요!
이지훈 32
2021년 2월 23일 12:28노력도 중요한데 그 노력이 헛고생이 아니였으면 좋겠습니다. 솔직히 방향을 모르겠어요.
@footballsculptor9223 28
2021년 2월 23일 13:08세상을 모른다고 세상은 우릴 봐주지 않습니다.
정신차리고 깨어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hg7ui7el4m 21
2021년 2월 23일 12:23절대 포기하지 않고 진화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ic8tj1kg8s 18
2021년 2월 23일 12:4822살 청년입니다 박식하신 두분 덕분에 현실자각+동기부여가 정말 많이 되었습니다 가족들과도 이런 얘기 요즘 많이하는데 정말 정확하게 짚어주시는거 같아요 초반 5분듣고 이 영상 가족톡방에 공유했습니다 영상 너무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대조화💓 16
2021년 2월 23일 12:15내문제는 내가
해결해야지 누구도
대신에 해줄수 없다
최고 밑바닥 일도 할줄
도 알아야지 ...
일은 무지 무지하게 많이있다
사람이 없는거지 일이 없는 것은아니다
@kona-wz1xr 15
2021년 2월 23일 12:16진화 해야 한다는 말이 정말 공감 되네요
@Cuuzen 14
2021년 2월 23일 14:04취업준비하면서 혼자라는 생각을 많이 했었는데 우리의 문제고 20대를 위해 도와주신다고 하니 힘이 나면서 위로가 됐습니다.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해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ci4vs1iq3n 14
2021년 2월 23일 22:0420대가 힘든 6가지 이유
1. 코로나로 인하여 취업이 늦어지면 인생에서 벌어들이는 총 수익이 낮을 가능성 높음
2. 코로나로 인하여 첫 연봉이 낮으면 인생에서 벌어들이는 총 수익이 낮을 가능성 높음
3. 돈 없어서 주식 못함
4. 돈 없어서 부동산 못함
5. 다른 나라도 똑같으므로 탈조선 불가
6. 회사가 효율을 따지기 시작하면서 공채를 없애고 경력직을 뽑기 시작함
해결책
1. 좋을 때는 발전하고 안좋을 때는 진화를 해야 한다.
2. 경력자는 공채보다는 실력이 있으면 잘 통한다. 가짜 공부가 아니라 진짜 공부를 해야 한다.
jm o 13
2021년 2월 23일 13:13국가.. 국민.. 경제 중추역활로 . 부국강병 만드는 .. 기업을 때리는 자들은 어느 나라 세력들이죠 ..~??!~ 그들은 딴 나라 세력들 입니다 절대 우리 대한민국 세력들이 아닙니다 ..~~~ 심각 합니다 ~~~
김지태 12
2021년 2월 23일 15:53청년실업 못지않게 중년 실업도 많아요
Juno K 11
2021년 2월 23일 22:02법륜스님께서 하신 말씀과 같네요~눈을 낮춰서 취업해서 성과를 내면 사장 눈치 볼필요도 없고 사표 쓸려고 하면 사장이 잡는다고 그리고 실력이 더 쌓이면 이직도 쉬워지고 아니면 그 회사에서 높은 자리에 올라갈수 있다. 그러니 일단 들어가라라고 하신 말씀이 생각나네요.
@user-ue2fi2sm6s 10
2021년 2월 23일 18:5120대뿐만 아니라 30대도 어렵고 대부분 다 어렵습니다. 경력직이라고 해서 취업하기 쉬운 거 절대 아니에요. 경력이나 신입이나 현재 경쟁률 살인적입니다
@thegraph__ 10
2021년 2월 23일 12:55학생때 더 스펙을 쌓지 못해 후회하며 당장 취직을 준비중입니다. 오늘 이 영상을 본게 정말 인생의 큰 축복이 될 수 있을거라는 생각이듭니다. 너희가 아닌 우리 모두의 문제 라고 얘기해주신 작은 위로가 큰 힘이 되네요!
저도 제 공부를 성실하게 하며, 오늘 체인지 그라운의 영상이 저를 위로해주신 것 처럼, 나중에 저 역시 후배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줄 수 있는 선배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원장 9
2021년 2월 23일 12:44잘될 때는 발전 안될 때는 진화
자유란무엇인가 9
2021년 2월 23일 12:49정말 25세인데 대학 중퇴에다 직업학교 다니다가 전기자격증 따고 전기회사 다니다가 너무 아닌거 같아서 현재 택배회사 취직해서 다니다가 출근하다가 울었습니다 일을 너무 하기 싫어서랑 무슨일을 해야될까요 어떤 발전을 해야될까요 대체 무엇을 해야 할까요
@toyhound 9
2021년 2월 23일 19:0810:00 좋을 때는 발전하고 나쁠 때는 진화해야한다.
@kira-bgm 8
2021년 2월 23일 14:20고박사님,신박사님 두분 정말 지금 필요한 말씀해주신듯
@ahlimkim7011 8
2021년 2월 23일 14:59미국 사는 아줌마 구구절절 동감하고 갑니다..대한민국 청년들 힘내세요! 일단 지금 할수 있는것을 열심히 합니다. 영어공부도 틈틈이 열심히 해두세요..기회는 언제 어디서 올지 모르니까요..
@user-tv2vl5oj1q 7
2021년 2월 23일 12:2820대 응원합니다~👍
@user-sh3oh6rx6h 6
2021년 2월 23일 15:30와우~오늘 영상은 댓글을 안 남길 수 없네요~ 9살 아들키우는 40대 엄마입니다. 늘 영상 보면서 알찬 정보도 얻고, 추천도서 읽으며 정신 바짝 차리려고 노력합니다. 고박사님 신박사님 같은 어른들이 있어서 아이들의 미래가 좀더 희망적이라 생각합니다~ 늘 유익한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user-jy5wq3mb2s 6
2021년 2월 23일 21:55얼마전에 온 20대손님이 자기는 이생망이라고..집도 돈도 자기들한테는 기회가 안 온다고 하는데..정말 마음 아펐습니다
결혼은 꿈도 못꾼다고 하네요
@user-fi1er1xj1l 6
2021년 2월 23일 13:30면접 떨어져서 기운빠지고 무기력했는데, 힘내서 꼭 합격하겠습니다!
@seanpark5766 6
2021년 2월 24일 11:2620대는 그래도 정부에서 지원금도 주고
여러방면으로 생각이라도 해주니까 그나마 버틸만 한 편임
30대는 지원도 없고, 취직도 안되고, 코로나 덕분에 창업도 장사도 망하고 완전노답
지금의 초저출산률은 30대가 망했다는 방증임
young ji kim 5
2021년 2월 23일 12:47과연 이십대만의 문제일까요
답답하네요
@user-fx6fh1kr8j 5
2021년 2월 23일 14:05중소기업,공장도 취직 안 되는 사람들은 어떡해야 할까요? 구체적으로 어떤 방법을 해야하는지? 이력서 지원해도 채용이 안 되네요. 학사학위여도 일반고 고졸이 친구랑 상황은 똑같네요.
@claratoeic 5
2021년 2월 23일 15:4410:00 '좋을 때는 발전하는 것이고 나쁠때는 진화 하는 것이다' 신박사님께서 몇년 씩이나 공부 하고 느끼신점 함께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ㅠ
조영욱 5
2021년 2월 23일 12:45전 스물하나 청년입니다 정말 요즘 체인지 그라운드에서 많은 힘을 얻어서 주 100시간도 하면서 정말 앞서가는 느낌이 들고있어요 정말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jazzbpiano162 4
2021년 2월 23일 13:49전 이십대같은 30살입니다.정말 위로가 되고 든든합니다. 어른다운 선배가 되고싶어 내 능력을 키우는것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물론 나를위함이지만요. 정말정말 인생을 바꿔보기위해 힘내고 성장하기위해 노력할거예요
김민재 4
2021년 2월 23일 12:021빠
@user-ow1qo3ck2z 4
2021년 2월 23일 12:29울컥하네요 정말 ~~부정의 의미가 아닙니다.
Jiwon Kim 4
2021년 2월 23일 14:35아조씨 땡큐우 베리머취!!!
@hwang-min-yeong 4
2021년 2월 23일 13:46결국 기업에선 효율적인 사람을 뽑기에 생각해 보면 기업에서 원하는 '기계'에 가까운 인력만을 채용하는 상황인 거고 그렇기에 훗날 AI 연구와 활용이 활성화 되는 거네요. 오차가 거의 나지 않을 테니까요. 그렇기에 우리는 공부하며 효율적인 능력을 갖추되 우리만이 가질 수 있는 "고유성"을 찾고 기르고 나아가야 되겠습니다. 당장은 힘들겠지만 언젠가는 독자적으로 이끌고 조금이나마 이뤄냈던 게 우리 세대가 중년쯤의 나이가 됐을 때부터 시대를 이끄는 힘이 될 지도 모르니까요. (헐 왜 위로 받고 가죠.. 감사합니다 ㅠㅠ.)
박용 4
2021년 2월 23일 14:00고작가님 아마, 토픽은 완전 정복하실것 같은데요?
<완벽한 공부법> 영어에 이렇게 써져 있잖아요. "알아야 들린다." 고요
완공 읽고 적용하면서 진짜 열심히 영어공부 중에 있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김태운 4
2021년 2월 23일 12:42지금 영상 중학생 고등학생이 봐도 될까요?
@sallyvery5339 4
2021년 2월 23일 13:22좋은 말씀 입니다
@horakhti98 4
2021년 2월 24일 16:00백번천번 지당하신 말씀입니다. 전 40대 아저씨인데요. 몇년전까지만해도 20대 의지문제로만 봤었는데 공부하면할 수록 그게 아니라는것을 알게 되었어요. 코로나로 급변하고 있지만 사회체계가 바뀌는건 그 이전부터 일어나고 있었고 그 피해는 20-30대들에게 가고 있어요. 이들뿐만아니라 나머지 세대들도 피해를 보고 있고요. 40대들도 명퇴칼바람이 불기시작했고. 올해 아니면 내년에는 더 힘들어질듯합니다. 산업이 바뀌면 회사원은 필요가 없거든요. 앞으로는 경력직도 어려운 세상옵니다. 뭐랄까 이건 노력한다고 해결될것이 아니라는거죠. 우리는 컴퓨터를 이길 수 없어요. 단 컴퓨터가 닿지않은 영역을 찾아서 창직이나 창업을해야 살수있는 시기가 오는 듯합니다. 20대만 정신차릴게 아니라 직장이 필요한 전세대가 정신차려야해요. 앞으로 100세시대라는데 돈을 벌어야하잖아요.
@user-xi1uy9hp2u 4
2021년 2월 23일 12:32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제대하고 복학해서 학교 다니는데 실력을 어떻게 키울까 고민해보겠습니다.
김홍재 4
2021년 2월 23일 12:55존경합니다
카롱이 2
2021년 2월 23일 12:21감사합니다.
전준호 2
2021년 2월 24일 02:25모두 노력합시다 체인지그라운드 후드티 체인지 해주고싶어요~~~ 토미 협찬인가요? 챔피온 입어주세요 모자 🧢 밝은 컬러로요~~~
@skyfly4755 2
2021년 2월 23일 18:32두분 정말 맛있다 젊은이들을 사랑해주는 마음이 느껴집니다
형오나 2
2021년 2월 23일 17:39제1금융기관 은행점포도 대부분 폐업
꿔바로 2
2021년 2월 23일 14:44감사합니다. 또 감사합니다
eunjeong kwon 2
2021년 2월 23일 14:04체그를 정치로
@nangmanlifes 2
2021년 2월 23일 16:49발전이 아닌 진화를 해야된다는 말이 많이 와닿습니다.
VII IX 1
2021년 2월 23일 13:01감사합니다.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김남운 1
2021년 2월 23일 14:11나라에서 로봇 대수당 세금걷어서 지원해주면 안 되는거니?
@gracelim8382 1
2021년 2월 24일 02:3220대 자녀가 셋이나 있는 ~ 고맙고, 감사한 생각드는 새벽입니다!
울림 1
2021년 2월 23일 18:04정신 바짝 차리겠습니다!
엄태준 1
2021년 2월 24일 09:03좋은형들^^
마잌 1
2021년 2월 23일 12:16에휴..그래도 힘 나네요!!
@hyunmoyang5132 1
2021년 2월 24일 09:16고맙습니다! 청년이 살아야 나라가 살아요~~두분 참 멋져요^^
Yuseong 1
2021년 2월 23일 19:21고마워여
@user-zd8xm3sx6j 1
2021년 2월 23일 19:17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next2ndq418 1
2021년 2월 23일 21:39오늘도 배우고 갑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user-zh7ot5fd4l 1
2021년 2월 23일 19:56진짜 고맙습니다 형님. 손에서 다 놓고 있어는데, 다시 뭐라도 잡을 용기가 생겼어요
@dongleD2016 1
2021년 2월 24일 07:21진화의 시기라는 말씀이 와 닿습니다.
@user-sp4jj7ht2e 1
2021년 2월 23일 18:11퇴근길에 축쳐져서 듣다가
아다리 아다리에 푸웃 하고 웃음나오면서 ㅋㅋ
기운이 났습니다
두분 정말 감사해요 ^^
@pop5770 1
2021년 2월 23일 14:18우리나라의 경제성장의 흐름으로 보았을 때 여전히 경제 자체는 지속적으로 우상향 하리라 보여 집니다. 그러나 이제 사회에 진입하는 청년들은 이러한 혜택을 받지 못할 것입니다. 보통 경제성장의 과실은 주식이나 부동산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 가져가기 마련이니까요. 또한, 이는 기업이 발전할 수록 사람이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구조로 가기 때문에 경쟁은 더욱 더 치열 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신입으로 취업하기 점점 어려워지는 다른 이유는 시대가 지날 수록 업무가 더욱더 고도화 되면서 기존의 인력이 교체가 어려워지는 것도 한 몫 한다고 생각합니다. 예전에 사장님 마인드는 "경력자 한명 그만두게 하고 신입 두명 뽑지 뭐. 어차피 몇달 하면 다 똑같겠지" 라고 생각하는 것도 없지 않아 있었는데, 요즘엔 "아~ 일 제대로 하려면 최소 2~3년은 교육시켜야 하는데 굳이 뽑아야 하나. 그러다 딴 회사가면 남 좋은일 시키는 건데, 그냥 경력자 뽑아야 겠다"라고 생각하는 회사가 늘어나는 거 같습니다. 신입을 뽑더라도 1년내에 어느정도 업무 가능한 탑급신입을 뽑으려고 하겠죠.
또 다른 이유로는 경쟁의 스펙트럼이 증가 됬기 때문이라고 보여 집니다. 예전에는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연세 드신 분들이 그대로 새로운 세대들에게 일자리를 내 줄수밖에 없었죠. 농경사회 혹은 산업사회 초기의 분들은 컴퓨터나 인터넷 혹은 모바일에 관련된 직종에서 예전 세대에서는 약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밀려 나갔다고 보입니다. 그러나, 지금 기성세대는 예전 기성세대와는 다르게 이러한 신문물(?)에 능숙한데다가 경험까지 있어서 새로운 세대에 대한 요구가 더 적어진다고 생각합니다.
@user-um6hz6lx4c 1
2021년 2월 27일 22:03정신 바짝 차린다고 다 잘 되나요? 대기업 못가면 삶이 힘들어 지나요? 스펙, 취업,성공 중요하긴 하지만 더 중요한게 있지 않나요?
취업이 힘든 20대건 코로나로 갈 곳 잃은 30대건40대건 각자의 역량으로 자신의 삶을 살아기시길
@user-ce8xd9qd5f 1
2021년 2월 23일 15:31응원합니다.
hyun woo Kim
2021년 2월 23일 18:35제도 탓할 시간이 없다 ㅠㅜ 어차피 기후위기 해결 못하면 아무것도 남는게 없겠지
@user-tv4hh4od8e
2021년 2월 23일 19:40나라는 노인복지보다는 젊은이들을 위한 정책을 더 많이 내고 실행해야합니다. 하지만 이놈의 나라는 표심에만 미쳐서 국가의 미래는 뒷전이죠.
@HH-lh8vs
2021년 3월 26일 21:15안녕하세요.
26살 취준생입니다.
토익시험공부대신 그럼 어떻게 영어를 공부해야하나요..?ㅠㅠ
취업을하려면 토익점수는필요한데 단순히토익시험을 위한 공부만을 하면 안된다고 말씀하셨는데.,.
@dlsdud2k
2021년 2월 25일 14:30감사합니다!! 무기력해지는 요즘 뭘해야할지 모르겟엇는데 덕분에 용기를 얻어갑니다
@user-jw2ji7sy6n
2021년 2월 24일 09:56감사합니다 저도 사회를 책임질 기성세대인데 먹고사느라 젊은이들 위한 일을 못하고 있는데 이런 방송해주셔서 감사드려요
젊은이의 미래는 나의 미래입니다 백번 옳은 말씀
Andrew Choi
2021년 6월 10일 08:0620대 화이팅
@user-bx2fr6jk3u
2021년 2월 27일 23:41멋지십니다 존경스럽네요~다들 핫팅
우리에 문제
mad No
2021년 2월 23일 14:07훌륭한 분들이네요...^^
Max K
2021년 2월 23일 12:05so serious
박재형
2021년 2월 24일 22:15감사합니다.
@jpl2851
2021년 2월 25일 14:38정말 어렵고 힘들지만 다들 힘내세요 ~ ^^
저같은 사람도 먹고 살고 있습니다.
@user-xd2cg7wm9e
2021년 2월 27일 16:42감사합니다~ 해당 연령 아니지만, 힘 납니다. 동기부여 받았습니다
여윤정희
2021년 2월 28일 01:30ㅍㅎ~ 나보다 어려보이는데.... 20대를 위한 아저씨가.... 내가 많이 늙었군....나도 포기 안해요~~
YY JEON
2021년 3월 04일 12:39그땐 다 힘들어! 이런 말 하지 맙시다 ㅠ
🔥에 기름 붓는 망언을 하는 기성세대가 되지 말았으면 합니다
IWill
2021년 2월 23일 14:3428살입니다. 좀 더 노력해야겠습니다. 좋은영상으로 세상을 체인지해주세요!
윤정현
2021년 2월 23일 14:39젊은이들은 공산주의 자들을 알아야
답이 보인다
심심이
2021년 2월 23일 16:06첫 취업시기인 20후반~30초반은 소득이 문제가 아니다. 여자들이 보는 시선이 달라진다. 무시 못하는 차이임.
예를들어,
듣보잡기업 연봉7천 < 대기업5천
이게 팩트다. 물론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크게 다르지않을거라 봄
@user-ou7ip2xv5p
2021년 10월 08일 10:31지금은 발전이 아닌, 진화해야하는 시기... 감사합니다! :)
제가 고민했던 부분에 해답을 찾은 것 같습니다!ㅎㅎ
어느덧 저도 모르게 분위기에 휩싸였던 부분이 있던 것 같습니다 ㅠㅠ
체인지그라운드를 통해 더 빨리 깨우치고 정신 차릴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둥이박
2021년 3월 14일 17:23아ㅠ평균학력이 고졸인시대의 50세주부입니다.저의남편역시 고졸이고 전기과를졸업하고 실습생을
거치면서 군대다녀와서 본인전공을살려 전기회사 막내로들어가 보고듣고 스스로 익히면서 정년이없는 전기일을30년
넘게하게하고있습니다.중요한건 50이
넘었지만 아직도 막내측에속하는게 웃픈현실입니다.저희딸역시 고등교육3년이 아깝다고
1학년반학기만 다니고 경찰공무원준비중입니다.본인의뜻이
확고하다면 자식의선택을 믿어주고 의무교육이 전부가아님을,대학졸업을 턱걸이로 들어가보니 정작본인의 꿈이
무엇인지?졸업하면 대기업에 들어가기위해서 몸은쓰기싫고 삼성,현대...이러한곳만찾는게 50이넘은 나이에도 막내소리듣는
가장큰이유인듯합니다.남편은 한달에
500을벌어옵니다.요즘은힘든일 하기싫어해서 신입이거의없는 상태이구요.남들다가는대학 고정관념
버리시고 기술을공부하되 현장에서도
많은걸배울수있는 남들이안하는 그런
일도 시도해봤으면합니다.우리나라 대부분이 대졸이죠?모두 청년실업을 외치고있고 대기업이아니면 일자리가
없다고들합니다.최종학력보다 생각을
깨지않으면 대졸뿐인우리나라의 청년실업은 영원할듯합니다.답답한마음과 안타까운생각에 저의의견을 적어봤습니다.너무길어 죄송합니다.
@user-rs5vj3ev6d
2021년 2월 23일 13:51응원합니다~
제 아들도30대여서 공감갑니다
@Ki-kt4ht
2021년 2월 23일 14:36객관적이고 현실적인 시각으로 너무 맞는 말씀을 하시니 공감이 안 갈 수가 없네요. 저야말로 제 욕심에 이것저것 하다보니 어느덧 40대임에도 한 곳에 제대로 정착하지는 못 했지만, 그간의 경험으로 고작가님과 신박사님의 의견에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자리를 잘 잡으신 기성세대가 사회초년생들을 잘 이끌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항상 보면서 느끼는 거지만, 오늘도 많이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