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용 교수님이 탈중앙화를 메일에 비유하는건 무지한사람들 훅가게 할 수도 있는건데 단순하게 설명하겠다고 무책임하게 말하는 것 같네요 과거 국가들이 화폐의 가치를 유지시키기 위해 금본위제를 실시했었고 지금도 화폐의 가치라는게 결국은 국가의 법으로 화폐를 인정(보증)해준다는게 가장 중요한건데 그렇기에 강대국인 미국이 인정하는 달러가 기축통화가 될 수 있었던거고 탈중앙화가 다른면에서 메리트가 있다고 생각하는건 본인의 생각이니 자유지만 디메리트로 분명한건 자신의 재산을 그 누구도 어떤 기관도 국가도 보호(보증)해주지 않는다는 거고 결국 하루 아침에 누군가의 재산이 휴지조각이 될 수 도 있는건데 그걸 단순하게 재산도 아닌 메일에 비견하는건..
지금시대에 화폐라고 하면 사실상 통화를 의미하는데, 이미 코인들은 그 취지 자체가 통화가 되길 거부하고 있음. 사람들은 지폐라는 종이쪼가리나 동전이라는 금속쪼가리 자체에 가치를 부여하는게 아니라, 그걸 발행한 각국 중앙은행와 정부에 신뢰성을 부여하는거임. 그게 없으면 결국 사이버 골동품 기껏해야 사이버 금이 되는것 밖에 못함. 이번 코인 붐이 일기전에 펀드들이 코인을 샀던 것도 그걸 노리고 산건데, 엉뚱하게 다시 미래화폐가 될 가능성이 있다는 식으로 상승하고 있는데, 그냥 개미들 꼬시기 위한 재료에 지나지 않음.
16세기인가 17세기 네덜란드에서는 은 함량이 다른 여러 은화의 난립으로 거래의 어려움이 생기자 중앙은행에서 발행한 화폐만 쓰게 만들었음. 지금이야 비트 이더리움 뭐 이런거가 결제에 쓰인다고 하더라도 결국엔 국가가 만든 화폐 단 하나만 유통되지 않겠음? 게다가 발권이익을 누가 포기하고싶을까? 지금 종이 돈도 종이랑 잉크만 있으면 되는데 디지털화폐면 전기료만 내면 될텐데 ㅋㅋㅋ
빗썸에서 일방적으로 계정 차단함. 해당 계정에는 억단위의 금액이 원화로 묶여있는 상태고 거래에 있어서 정지될 수 있는 사항(이용약관에 기재되어있는)은 없음.
해당 상황을 확인하고 오후 2시경부터 전화 했는데, 계정정지에 대한 사유와 묶인 자금에 대한 확인조차 불가능하다고 함. 심지어 해당 건을 관리하는 담당자와도 유선연결도 불가능하다고 하고 이외 모든 상황에 대하여 정확한 답변이 불가능하다는 답변으로 일관 중. (이용약관도 어긴 상태고 개인 자금이 묶여 있는 것(코인 아님)에 대한 지체상금조차 보장해줄 수 없다고 하는 상황)
거래소 쓸거면 업빗이나 딴거 써야됨. 2010년에도 무작정 계정 차단해놓고 무응답으로 대응했다가 패소한 사례있음. 현재도 이러한 사례가 많은 상황.... 빗썸 쓸거면 최대 1억이상은....
화폐로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은 이미 몇년전부터 투자했던 분들은 화폐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령 비트코인은 전송속도가 30분 넘게 걸리지만 리플같은 경우는 빠르면 1분? 그정도로 빠르다보니 해외에 있는 가족에게 돈 송금할때 리플로 하는 지인들 종종 봅니다 (제 주위에 암호화폐 투자한 지인들 많아서요) 이분들 말씀이 수수료도 아주 싸고 빠르고 해서 좋다고요 변동성 말씀하시는데 몇분안에 대폭락 대폭등 거의 없죠.. 그리고 리플 받은 사람은 바로 현금화하면 되구요.. 단 돈을 송금받은 사람들이 바로 현금화를 안한다면 변동성 부분이 문제가 되겟지만 돈 받을 사람이 그런걸 잃어버리거나 놓치지는 않죠 ㅋㅋ 리플이 말이 많아서 글치 여튼 전송 속도가 빨라서 이 코인으로 돈 송금하던 분들이 있어서 예시를 들었습니다... 그리고 몇년전부터 수많은 암호화폐 리딩방들은 이미 코인으로 입금받았구요 이미 화폐로 쓰고 있다는 말씀을 드리려고 글을 썼네요.. 2017년과 좀 달라진건 변동성이 덜하긴 합니다 그당시엔 하루에 30프로 폭락 이런게 흔했는데 지금은 그렇지는 않은거 같네요..
내년 중국 올림픽쯤 디지털화폐 CBDC 상용화 최초로 하고 그다음 미국 EU 일본 한국 정도가 시작하고 나머지 국가들은 만들지도 못하고 기존의 이오스나 리플의 네트워크를 사용하게 될거예요. 만들지 못하니까요. 그리고 선진국들은 테더나 usdc, usdt로 암호화폐들을 거래하겠죠. 그래서 미 정부가 비트코인 9만개보유하고 각국에서 비트의 수량을 쟁여두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기존의 많은 사람들은 17년,18년의 비트코인만 생각하고 있죠. 다들 테슬라가 재미로 비트코인을 산거라고 생각하겠지만 상당히 의미하는게 크죠. 그러고 애플이 산다면? 그러면 다들 생각이 바뀔것 같습니다. 미 중앙정부가 비트를 가지고 있다는것도 알려지면 다들 어떻게 생각할까요? 우리가 달이나 화성가면서 기존의 디지털자산들은 사용도 못합니다. 지구와 화성까지 모두 연결되어있지 못하니까요. 그러면 화성 현지에 가서도 사용할 화폐가 필요하죠. 그 화폐들을 가진 콜트월렛을 가지고 우주여행을 하는 것입니다.
인지와 적응, 기록이 쌓이다보면 그 어떤 현물, 대상이 되었던 결국 지금의 통화와 차이는 없을 것. 교환의 가치를 갖는 커런시라는 상호 믿음만 있으면 됨. 더 나아가 본원화폐(원,달러)는 기축 통화 등으로 통폐합 될 것이고 입출직불 나라별 디지털화폐의 "비율"로 통용될 것. 그 커런시를 현재 CBDC로 봄. 현 비트코인 이더리움은 자산의 성격을 갖고 실생활 거래의 급부로 사용되기엔 규모가 적음, 말그대로의 자산으로 존재할 것. (발행권리를 중앙은행에서 놓지 못 함, big government화됨) 거래의 편의성이 간편해지는 한편 보안과 개인간 사기,탈취 행위가 심해질것(영화인타임,마이너리티 리포터)
싸이도토리로 스벅결제하는거가 되지 않듯이 각각의 업체별로 충전식 사이버 머니가 될 순있지만, 비트코인처럼 널뛰기하므로 화폐의 기능이 어려움. 아직은 투자, 자금세탁 자산은닉 같은 블랙머니용도임. 일반인은 헷징을 하지않음. 게다가 비트코인으로 아직 스벅 못감. 현금지폐대신 카드쓰듯 원화 사이버지갑으로 결제는 가능할것 같다. 지폐제조하는데 비용은 줄일 수 일을 듯.
핸드폰결제와 종이지폐를 예로 든것 자체가 화폐에 대해 1도모르는 사람인것이고, 화폐라는건 특정 상품의 교환가치를 나타낼 수있는 보편적인 무언가여야 하는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그 화폐를 사용하는 사회의 공통된 합의가 전제되어야 하는것이고. 즉 예를들어 '이더리움'이 화폐라면, 누구나 이더리움 자체로 무언가를 거래할 수 있어야한다. 하지만 현실은 현재 비트코인 결제시스템만해도, 비트코인으로 결제를 하는 것이아닌, 그 비트코인에 현재 가치에 해당하는 '엔화'나 특정 '화폐'의 가치로 환산되어 그 결제가 되고있는 상황이다. 그러면 나중에는 화폐로 쓰일 수 있을까에 대해 생각해보면 암호화폐가 정말 화폐로 가치를 인정받으려면 변동성이 우선 해소가 되어야 하지만 애초에 암호화폐를 정말 '화폐'라 생각하고 투자를 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왜냐? 막상 그들도 그 암호화폐에대한 '가치'를 모르겠거든. 실제 존재하지도 않고 암호화폐가 정말 화폐로 가치를 인정 받으려면, 내가 햄버거를 사먹는데 현재 암호화폐차트가 어떻든지를 떠나서 0.1비트코인을 결재하고 이에 대해 아무도 전혀 문제의식을 갖지 않는것이 화폐이다. 하지만 정말 암호화폐로 이렇게 결제를 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 그리고 앞으로도 있을까??
이러한 의문이 해소되지 않는것은, 결국 화폐에 조건중 하나인 사회적 합의는 중앙화된 힘에의한 약속에서부터 나오기 떄문이고, 이는 암호화폐에 컨셉인 탈중앙화와 정면으로 충돌한다. 인간이 사회적인 동물로 진화된 이상, 암호화폐는 몇만년이지나도 '화폐'로는 인정받지 못할것이다.
다만 '자산'으로는 인정받을수도있겠지?? '자산'과 '화폐'의 차이를 아는 사람이라면, 사실 누구나 신사임당과 같은 생각을 가질 것이고 화폐의 정의조차 모르는사람들만이 '암호화폐'가 화폐가 될수도 있지 않냐는 허상에 빠지는 것이다.
ㅎㅎ 화폐가 언제부터 국가가 주도하는 중앙화폐 였나요? ㅎㅎ 역사적으로 봐도 원래 민간주도 였는데...미연준도 국가통제 받나? 유대자본이 미국중앙은행이 됐을 뿐이지...자본은 국경이 없고, 편익때문에 거기에 머무를 뿐임. 한 국가가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이 아님. 일반인의 지극히 개인적인 시각으로 암호화폐, 블록체인은 현재에 다가온 미래임. 미래를 미래시점으로 보는데...이미 미래는 우리 앞에 와 있는데 부정하고 있으며, 느끼지 못하는듯.
그냥 사이버 머니임. 코인 몇개가 현재 달러 엔화가 통용되는 것처럼 사람들 사이에서 교류가 일어나겠지. 그러나 달러 엔화는 국가에서 이미 널리 쓰고 있잖아. 허나, 이제는 화폐 개념 자체가 거의 무너졌음. 여자분이 말씀하신 것처럼 이미 지문 하나로 사이버 머니가 통용되는데 물물교환이 이리 쉽게 되는데 화폐가 무슨 의미가 있음. 기업에서 발행하는 쿠폰이랑 다를바 없음. 종이쿠폰에 비해 신뢰성이 확보되는게 지금 비트코인이고 수표와 비교해서 자신의 신분을 숨길 수 있는게 비트코인이지. 각각 비트 이더 리플이 달러에 비해 어떤 장점이 있고 시장을 얼마나 장악할 수 있는가가 중요하지. 근데 지금은 워낙 수수료가 비싸서 모르겠다.
내가 가진 물건을 많은 사람들에게 이득을 붙여 판다 = 장사 = 비즈니스 = 비트코인에 사람들의 기대에 따른 가격을 붙여 판다. 화폐가 아닌 비트코인이라는 무형의 상품, 제품. 게임 속 아이템들은 게임을 더 재미있게 하기 위해 사고, 여건에 따라 판다. 비트코인이라는 상품에 수익 기대치를 가지는 사람들이 구입을 희망할 수록 가격은 오른다. 10원에 샀는데 1000원이라도 사고 싶어 하는 사람이 있다. 1억원 어치 코인을 1000원에 팔면? 로또 보다 비트코인
내가 죽을 때 까지 돈을 벌어 봐야 퇴직까지 10억 벌어 모은다면 잘 버는 것이라 생각하는데, 서울 아파트를 살 방법이 없다. 비트코인이 돈이 아니라 무형의 금과 같은 개념으로 바라 본다면, 보유하고 있는 코인 1만원이 10억, 100억이 될 기회가 지금 전세계 사람들이 공유하고 있는 것인데 투기이니 실질적 화폐이니 사용 하느니 못하느니 이야기 하고 있을 때, 누군가는 자고 일어나서 10억 1000억 자산가가 되어 있는 세상이라는 걸 사람들이 말해 주지 않고 있다. 대부분의 월급 생활자들이 죽을때까지 집을 구하는게 인생의 목표인 한국 사회 시스템이 이미 국민들이 살기 좋은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실패한 것이라 보는데 난 내일 잠에서 깨어났을 때 1000억 자산가가 되어 있을 방법을 찾아 봐야겠다. 그 방법은 있고 이미 많은 사람들이 실패도 하지만 성공을 해 가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부의 파이프 라인을 늘려가길 바란다.
부동산만 투기가 아니다. 주식도 투자이지만 투기를 할 수 있고 많이들 한다. 비트코인은 투기이며 재산을 잃을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죽도록 일하면서도 벌 수 없는 금액의 돈을 만져 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기도 하다. 내 재산의 10%~20%는 0 이 되어도 다시 벌 수 있기 때문에 나는 이정도의 금액을 더 큰 이익으로 돌아올 코인에 사용해 보겠다.
2세대든 뭐든 비트코인 직접 결제를 이야기를 할 필요가 없다. 1000억 규모의 비트코인이 생기면, 비트코인으로 무언가 결제할 필요없이 원화와 달러로 환전해서 그 금액 만큼을 사용하면 된다. 자산의 가치가 커지는 것이지.
내가 비트코인 60만 단위 넘어가기 전에 손님중에 한분이 비트코인 이란걸 알려줫는데 설명들으니까 너무 생소하고 어려워서 회원가입에서 그만 둿는데 그때 사둿으면 내가 서울에 살고있을건데 삶에서 3번의 기회중 1번을 이렇게 놓쳣는데 오늘 갑자기 알고리즘에 메타버스 NFT 이더리움 요 딱 3개가 뜨더란 말이지? 정보를 알려주는 매체가 사람에서 영상으로 바꼇을 뿐 인건데 내가 지금 이걸 공부해서 생활에 지장 없을만큼 투자하면 큰돈을 만질수가 있는건가 싶은 생각이 드는데 과연 2번째의 기회가 온걸까..? 주변에 코인넣고 돈 잃은 사람만 있어서 주저하게 된다..
내가 비트코인 60만 단위 넘어가기 전에 손님중에 한분이 비트코인 이란걸 알려줫는데 설명들으니까 너무 생소하고 어려워서 회원가입에서 그만 둿는데 그때 사둿으면 내가 서울에 살고있을건데 삶에서 3번의 기회중 1번을 이렇게 놓쳣는데 오늘 갑자기 알고리즘에 메타버스 NFT 이더리움 요 딱 3개가 뜨더란 말이지? 정보를 알려주는 매체가 사람에서 영상으로 바꼇을 뿐 인건데 내가 지금 이걸 공부해서 생활에 지장 없을만큼 투자하면 큰돈을 만질수가 있는건가 싶은 생각이 드는데 과연 2번째의 기회가 온걸까..? 주변에 코인넣고 돈 잃은 사람만 있어서 주저하게 된다..
Youb Oh 116
2021년 2월 25일 22:12티비에서 이더 설명도 하고 세상 참 많이 변했네 ㅋㅋㅋ
청춘은바로지금 54
2021년 2월 28일 13:55이현이씨는 가상화폐에 대한 이해도가 상당히 높으시네요
씸 40
2021년 2월 25일 21:562:36 이현이님의 의견 너무 와닿네요
@user-mw2wc4jg2f 40
2022년 2월 05일 20:44영상 너무 잘봤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포인트를 잘잡아주시네요
흐름을 알기 쉬워서 좋아요
@user-ol3jf9ho1i 37
2021년 2월 25일 21:46이더리움을 알아버린...
seung hyun 29
2021년 4월 16일 12:59이때라도 들어갔으면 지금 수익률 100%다
@pentoshi9680 19
2021년 3월 15일 02:35디지털 화폐가 도입되면 국가입장에선 일단 세금의 투명성이 보장됨
송지수 19
2021년 2월 28일 13:38신사임당님 김정은 옷 뺏어 입고 오신줄 ㅋㅋㅋ
@HUHNH 18
2021년 4월 25일 03:43박수용 교수님이 탈중앙화를 메일에 비유하는건 무지한사람들 훅가게 할 수도 있는건데 단순하게 설명하겠다고 무책임하게 말하는 것 같네요
과거 국가들이 화폐의 가치를 유지시키기 위해 금본위제를 실시했었고
지금도 화폐의 가치라는게 결국은 국가의 법으로 화폐를 인정(보증)해준다는게 가장 중요한건데
그렇기에 강대국인 미국이 인정하는 달러가 기축통화가 될 수 있었던거고
탈중앙화가 다른면에서 메리트가 있다고 생각하는건 본인의 생각이니 자유지만 디메리트로 분명한건 자신의 재산을 그 누구도 어떤 기관도 국가도 보호(보증)해주지 않는다는 거고 결국 하루 아침에 누군가의 재산이 휴지조각이 될 수 도 있는건데 그걸 단순하게 재산도 아닌 메일에 비견하는건..
@ganjanggejangman 18
2021년 4월 18일 16:36이현이님 인사이트 좋으신 것 같아요!
2:36
성이름 18
2021년 2월 27일 18:53늘 대중들은 새로운 것을 거부함
ki ka 16
2021년 3월 02일 18:55CBDC는 미래화폐
비트코인 이더리움은 대체 투자자산
화폐다 사라진다의 논쟁거리가 안되요 서로 영역이 다르므로 함께 공존 가능합니다
이미 USDT나 USDC같은 미국 달러에 기반한 스테이블코인들도 이더리움 ERC 20 기반으로 만들어져 발행되고 있어요
Shimka Smile 16
2021년 2월 26일 02:21비트코인은 반드시 흥할 수 밖에 없게 되어 있음. 왜?
세상에 수많은 화폐들이 있지? 그런데 그 화폐들의 가장 근본이 되는 것은 바로 '금' 본위제였던건 다들 알거임
세상에 수많은 화폐들이 디지털화 되었지? 앞으로도 수많은 각국 디지털 화폐와 사기업들이 발행하는 코인과 화폐들이 난무하겠지
그런데 그 모든 디지털 화폐들의 가장 본위가 되는 그것이 바로 '비트코인'으로 '가치 포지셔닝'이 되버린거야
그렇게 해서 '금' 본위제 대신에 '비트코인' 본위제의 시대가 도래한거
지금 달러 유로 엔 있어도 금은 따로 있지? 그것과 똑같이 디지털 화폐의 홍수 속에 비트코인은 따로 금처럼 존재하는 것임
그러니까 이 비트코인은 바로 이러한 본위제의 상징성 획득했기 때문에 영원히 금처럼 사라지는 법이 없는거야
이런 포지셔닝을 누가 먼저 생각하고 고안해 낸 것인지 정말 엄청난 천재 혹은 천재 그룹이라고 말할 수 밖에 없지
@ggict77 13
2021년 3월 10일 05:42지금시대에 화폐라고 하면 사실상 통화를 의미하는데, 이미 코인들은 그 취지 자체가 통화가 되길 거부하고 있음. 사람들은 지폐라는 종이쪼가리나 동전이라는 금속쪼가리 자체에 가치를 부여하는게 아니라, 그걸 발행한 각국 중앙은행와 정부에 신뢰성을 부여하는거임. 그게 없으면 결국 사이버 골동품 기껏해야 사이버 금이 되는것 밖에 못함.
이번 코인 붐이 일기전에 펀드들이 코인을 샀던 것도 그걸 노리고 산건데, 엉뚱하게 다시 미래화폐가 될 가능성이 있다는 식으로 상승하고 있는데, 그냥 개미들 꼬시기 위한 재료에 지나지 않음.
상민 13
2021년 5월 05일 05:1821년 2월25일기준 이더리움 가격164만원 > 21년 5월5일 이더리움 425만원
livelong Q 12
2021년 3월 01일 07:335년전에 사두고 완전 잊고 있었다. ㅋㅋ
H B 11
2021년 3월 01일 15:10비트코인은 화폐가 아니라 자산입니다.
@Wag-the-dog 10
2021년 2월 27일 22:4716세기인가 17세기 네덜란드에서는 은 함량이 다른 여러 은화의 난립으로 거래의 어려움이 생기자 중앙은행에서 발행한 화폐만 쓰게 만들었음. 지금이야 비트 이더리움 뭐 이런거가 결제에 쓰인다고 하더라도 결국엔 국가가 만든 화폐 단 하나만 유통되지 않겠음? 게다가 발권이익을 누가 포기하고싶을까? 지금 종이 돈도 종이랑 잉크만 있으면 되는데 디지털화폐면 전기료만 내면 될텐데 ㅋㅋㅋ
김은우 10
2021년 2월 27일 19:02이더리움이라... 김해의 그 남자가 생각나네요...
oshoᄒᄒ 10
2021년 2월 27일 18:54도박이지 ㅋㅋ 비트코인 이더리움 왜 사냐 화폐로써 사냐 한탕할려고 사지 한탕하면 화폐로 쓰냐 ㅋㅋ 팔아서 현금화하지 ㅋㅋ 하루에 급등락하는게 화폐 ㅋㅋ
왜냣맨 10
2021년 3월 01일 01:20와 이현이 진짜 통찰력 미쳤다
도지 9
2021년 5월 11일 11:33이 때 보고 산 사람들 ㅊㅋㅊㅋ
멘탈코인 9
2021년 4월 09일 17:23닉네임이 신사임당(5만원권)인데 당연히 싫지
손자 9
2021년 4월 14일 13:24내세대때는 아니지만 다다음시대은 코인시대일꺼같음 난참고으로지금30대
미츄 8
2021년 2월 26일 01:56빗썸에서 일방적으로 계정 차단함.
해당 계정에는 억단위의 금액이 원화로 묶여있는 상태고 거래에 있어서 정지될 수 있는 사항(이용약관에 기재되어있는)은 없음.
해당 상황을 확인하고 오후 2시경부터 전화 했는데, 계정정지에 대한 사유와 묶인 자금에 대한 확인조차 불가능하다고 함.
심지어 해당 건을 관리하는 담당자와도 유선연결도 불가능하다고 하고 이외 모든 상황에 대하여 정확한 답변이 불가능하다는 답변으로 일관 중.
(이용약관도 어긴 상태고 개인 자금이 묶여 있는 것(코인 아님)에 대한 지체상금조차 보장해줄 수 없다고 하는 상황)
거래소 쓸거면 업빗이나 딴거 써야됨. 2010년에도 무작정 계정 차단해놓고 무응답으로 대응했다가 패소한 사례있음. 현재도 이러한 사례가 많은 상황....
빗썸 쓸거면 최대 1억이상은....
ilillili 6
2021년 3월 03일 21:20탈 중앙 집권화는 뭐지ㅋㅋ
탈중앙화도 아니고ㅋㅋ
엔지맘의 에세이 6
2021년 4월 22일 22:17근데 뜻도 좋고 다 좋은거 알겠는데 요즘처럼 미친듯이 올라가고 내려가고 하면 이건 뭐 투기밖에 안되는거 아닌가.
뭔가 세상이 너무 빠르게 미친듯이 바껴가니까 무섭다.
그냥 나는 세상이 열심히 일하는 사람이 정상으로 먹고 살수 있는 그런 세상이면 좋겠는데 참 그런세상이 어렵네.
rnfmamf 6
2021년 3월 01일 00:26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이 미래수단이 될 수는 있어도 테슬라나 최근 하루만에 몇배 급등했던 게임스톱같은 급등주에 코인이라는 이름을 붙여서 화폐라고 선동(?)한다면 그건 사기지. 헷징수단이 안되어있으면 그냥 작전주.
donghyun Lee 6
2021년 2월 25일 23:26이더리움은 수수료가 비싸다.75달러 비용(비트코인같이 채굴형이라 지구 온난화를 촉진 시킨다.)
속도도 느리다..
이나현 5
2021년 2월 26일 09:41화폐로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은 이미 몇년전부터 투자했던 분들은 화폐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령 비트코인은 전송속도가 30분 넘게 걸리지만 리플같은 경우는 빠르면 1분? 그정도로 빠르다보니 해외에 있는 가족에게 돈 송금할때 리플로 하는 지인들 종종 봅니다 (제 주위에 암호화폐 투자한 지인들 많아서요) 이분들 말씀이 수수료도 아주 싸고 빠르고 해서 좋다고요 변동성 말씀하시는데 몇분안에 대폭락 대폭등 거의 없죠.. 그리고 리플 받은 사람은 바로 현금화하면 되구요.. 단 돈을 송금받은 사람들이 바로 현금화를 안한다면 변동성 부분이 문제가 되겟지만 돈 받을 사람이 그런걸 잃어버리거나 놓치지는 않죠 ㅋㅋ 리플이 말이 많아서 글치 여튼 전송 속도가 빨라서 이 코인으로 돈 송금하던 분들이 있어서 예시를 들었습니다... 그리고 몇년전부터 수많은 암호화폐 리딩방들은 이미 코인으로 입금받았구요 이미 화폐로 쓰고 있다는 말씀을 드리려고 글을 썼네요..
2017년과 좀 달라진건 변동성이 덜하긴 합니다 그당시엔 하루에 30프로 폭락 이런게 흔했는데 지금은 그렇지는 않은거 같네요..
GT 5 5
2021년 3월 10일 23:49이현이 씨는 미래를 읽는 능력이 있다.
Anthony IYI {:̲̅:̲̅:̲̅{̲̅ ̲̅ ̲̅ ̲̅ ̲̅ ̲̅ ̲̅ ̲̅ ̲̅ ̲̅{} 5
2021년 3월 01일 15:03내년 중국 올림픽쯤 디지털화폐 CBDC 상용화 최초로 하고 그다음 미국 EU 일본 한국 정도가 시작하고 나머지 국가들은 만들지도 못하고 기존의 이오스나 리플의 네트워크를 사용하게 될거예요. 만들지 못하니까요. 그리고 선진국들은 테더나 usdc, usdt로 암호화폐들을 거래하겠죠. 그래서 미 정부가 비트코인 9만개보유하고 각국에서 비트의 수량을 쟁여두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기존의 많은 사람들은 17년,18년의 비트코인만 생각하고 있죠. 다들 테슬라가 재미로 비트코인을 산거라고 생각하겠지만 상당히 의미하는게 크죠. 그러고 애플이 산다면? 그러면 다들 생각이 바뀔것 같습니다. 미 중앙정부가 비트를 가지고 있다는것도 알려지면 다들 어떻게 생각할까요? 우리가 달이나 화성가면서 기존의 디지털자산들은 사용도 못합니다. 지구와 화성까지 모두 연결되어있지 못하니까요. 그러면 화성 현지에 가서도 사용할 화폐가 필요하죠. 그 화폐들을 가진 콜트월렛을 가지고 우주여행을 하는 것입니다.
512ram 5
2021년 3월 05일 03:57이더리움(주요원인임) 때문에 그래픽카드를 정가의 2배가 넘는 가격이 판매되는걸 보면
제발 0원으로 빠르게 폭락해서 정가주고 살수 있는 시장으로 다시 돌아와야된다.... 하.. 씌.....
@user-ph5hn9dt8m 5
2021년 2월 25일 21:28인지와 적응, 기록이 쌓이다보면 그 어떤 현물, 대상이 되었던 결국 지금의 통화와 차이는 없을 것. 교환의 가치를 갖는 커런시라는 상호 믿음만 있으면 됨.
더 나아가 본원화폐(원,달러)는 기축 통화 등으로 통폐합 될 것이고 입출직불 나라별 디지털화폐의 "비율"로 통용될 것. 그 커런시를 현재 CBDC로 봄.
현 비트코인 이더리움은 자산의 성격을 갖고 실생활 거래의 급부로 사용되기엔 규모가 적음, 말그대로의 자산으로 존재할 것.
(발행권리를 중앙은행에서 놓지 못 함, big government화됨)
거래의 편의성이 간편해지는 한편 보안과 개인간 사기,탈취 행위가 심해질것(영화인타임,마이너리티 리포터)
@tossummer5819 5
2021년 5월 11일 03:45화폐로써 모든걸 대체한다게 아니지 금같은 자산으에로 저장하는거고 금같이 그 가치를 부여하는건 사람들이라는것
김mj 4
2021년 2월 28일 13:47기업이야 헷지수단을 사용해서 위험을 방어하면 그뿐 돈만벌면되니까ㅋㅋㅋ
개인은 결국 도박이네 ㅋㅋㅋㅋ
kkoo ddoo 4
2021년 2월 27일 21:09그만해!!!아직은 아니다 아직은!!! 닥쳐요 좀 제발
건강수다원 4
2021년 2월 26일 15:00이더리움은 안전하네요.통화가치도 무너지게 될듯해요
이키 4
2021년 2월 28일 21:02저래봤자 일상생활에 쓰이는게 전혀없음
아무런 가치도 없는 허상인게 장난질에 가치가 저만큼 뻥튀기 된거임
@user-tr6fx7bj3g 4
2021년 3월 12일 00:50이더리움은 플랫폼기반으로 쓰이는게 좋고 화폐들은 채굴개념이 사라지도록 방향성을잡는게 좋을것같음
Chloe Lee 3
2021년 2월 26일 02:16싸이도토리로 스벅결제하는거가 되지 않듯이 각각의 업체별로 충전식 사이버 머니가 될 순있지만, 비트코인처럼 널뛰기하므로 화폐의 기능이 어려움. 아직은 투자, 자금세탁 자산은닉 같은 블랙머니용도임. 일반인은 헷징을 하지않음. 게다가 비트코인으로 아직 스벅 못감. 현금지폐대신 카드쓰듯 원화 사이버지갑으로 결제는 가능할것 같다. 지폐제조하는데 비용은 줄일 수 일을 듯.
굿굿 3
2021년 3월 11일 05:36신사임당이 말한 화폐는 종이화폐로 한정해서 말한 게 아니잖아...말그대로 물거이나 소비활동을 하는 수단이 되겠냐는 의문형식으로 했는데, 거기다가 저 무식한 여자패널이 본인 자녀는 전자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얘기하고 있어 무식하게
김laviee 3
2021년 4월 14일 03:21뭐 비트의 변동성을 숏으로 햇징을 잡는다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엌ㅋㅋ
@user-wi6nk9ls2x 3
2021년 3월 12일 19:46그런데 이더리움은 발행갯수가 무제한이던데 일년 1800만개 한정이지만 총량은 무제한 괜찬은건가?
섬특 3
2021년 2월 27일 07:19신사임당 채널 ㅋㅋㅋ 이름이 신사임당으로 나와 .... 유튜버 붙여주지.
조한신 3
2021년 3월 03일 18:37도지도지
Joshua H 3
2021년 2월 28일 13:39이더리움은 쓰레기지
쿨쥬시 3
2021년 3월 02일 14:31이런 암호화폐를 문제인 정부는 등한시 했지,,,,
@user-od8lj7xy7y 3
2021년 5월 25일 17:19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구독하고 자주올께요...^^
jk k 3
2021년 3월 17일 12:27이더리움도 스캠이야 250만원 > 12만원 > 200만원 ㅋㅋㅋ 스캠차트
한결같은오스틴 3
2021년 3월 04일 18:06더코인님?
WITCH QUEEN 3
2021년 3월 18일 10:06신사임당같은 분이 많아졌음 좋겠네요
멋진 생각이십니다
김Lion 3
2021년 2월 26일 04:54일반인이 전기차를 사면서 선물 헷징을 합니까? 할수있다는 가능성에 국한되지 현실생활로 적용하기는 아직은 시기상조죠.
지금 비트코인만봐도 투기(?)의 대상물이지
실생활에 화폐로 적용하기는 아직은 시기상조죠
인플레이션을 반영한 화폐가치의 상대적 하락이 아닌 단기간 변동성에 의한 90%가치의 하락...
아직 일상생활에 적용키는....
@hwk7995 2
2022년 3월 05일 11:47서강대학원에서 박수용교수님
강의 듣던 생각이 나네요
잘 들었습니다 ᆢ
이영진 2
2021년 5월 17일 18:22신사임당은 왜나왓냐
Metaler메탈러 2
2021년 4월 26일 20:08가상화폐결제도 신용카드처럼 결제하게되면 화폐에 더 가까이 다가올듯
@user-oh8my8qr7y 2
2021년 4월 14일 22:08김서준 대표님도 나오시네 대박 결제해서 봐야겠다
@LGamja 2
2022년 4월 19일 17:02나는 암호화폐에 대해 극단적 비관론자를 많이 발견할 수록 기분이 좋다 ㅎㅎ
그런사람들이 있기 때뭄에 그 만큼 먹을거리를 오래 가져갈 수 있는 느낌+그들도 늦게 진입할거라는 확신이 있음 ㅋ
@user-fb1mc3in2d 2
2021년 4월 18일 18:07디지탈 화폐를 구매하기 위해선 결국 실물화폐가 필요한데 그럼 중앙은행이 발행한 실물화폐가 필요하단것인가요??
이상우 2
2021년 7월 01일 09:38핸드폰결제와 종이지폐를 예로 든것 자체가 화폐에 대해 1도모르는 사람인것이고,
화폐라는건 특정 상품의 교환가치를 나타낼 수있는 보편적인 무언가여야 하는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그 화폐를 사용하는 사회의 공통된 합의가 전제되어야 하는것이고.
즉 예를들어 '이더리움'이 화폐라면, 누구나 이더리움 자체로 무언가를 거래할 수 있어야한다.
하지만 현실은 현재 비트코인 결제시스템만해도, 비트코인으로 결제를 하는 것이아닌, 그 비트코인에 현재 가치에 해당하는
'엔화'나 특정 '화폐'의 가치로 환산되어 그 결제가 되고있는 상황이다.
그러면 나중에는 화폐로 쓰일 수 있을까에 대해 생각해보면
암호화폐가 정말 화폐로 가치를 인정받으려면 변동성이 우선 해소가 되어야 하지만
애초에 암호화폐를 정말 '화폐'라 생각하고 투자를 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왜냐? 막상 그들도 그 암호화폐에대한 '가치'를 모르겠거든. 실제 존재하지도 않고
암호화폐가 정말 화폐로 가치를 인정 받으려면, 내가 햄버거를 사먹는데 현재 암호화폐차트가 어떻든지를 떠나서 0.1비트코인을 결재하고
이에 대해 아무도 전혀 문제의식을 갖지 않는것이 화폐이다. 하지만 정말 암호화폐로 이렇게 결제를 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
그리고 앞으로도 있을까??
이러한 의문이 해소되지 않는것은, 결국 화폐에 조건중 하나인 사회적 합의는 중앙화된 힘에의한 약속에서부터 나오기 떄문이고,
이는 암호화폐에 컨셉인 탈중앙화와 정면으로 충돌한다. 인간이 사회적인 동물로 진화된 이상,
암호화폐는 몇만년이지나도 '화폐'로는 인정받지 못할것이다.
다만 '자산'으로는 인정받을수도있겠지?? '자산'과 '화폐'의 차이를 아는 사람이라면, 사실 누구나 신사임당과 같은 생각을 가질 것이고
화폐의 정의조차 모르는사람들만이 '암호화폐'가 화폐가 될수도 있지 않냐는 허상에 빠지는 것이다.
Always Tony 2
2021년 5월 20일 11:58가상화폐는 말그대로 가상이라 허구인듯
Pi Lover 2
2021년 5월 05일 11:55인터넷 >> 스마트폰 >> 블록체인(코인)
박물관고양이 1
2021년 2월 27일 20:02외계행성 녀석들이 우리들한테 암호 화폐를 쓰라고 하고
지구의 금들을 모조리 훔쳐 가려는구나. ㅋㅋㅋ
추수의 시기인가?
꽃마차 1
2021년 5월 14일 15:01맥도날드에서 사용 가능한 코인이라 하셨는데 그런 비슷한건 몇년전부터 있어왔지요.
예를들어 홈쇼핑 캐쉬등 현금처럼 사용 가능한 포인트
Kim코스모스 1
2021년 3월 05일 13:34사기꾼
김현순 1
2021년 3월 31일 21:30이거때매 글카가격이...
쌀국수뚝배기 1
2021년 4월 18일 17:28근데 코인이 저래 나뉘면 실효성이 있음?
만약 맥날 전용 화폐 가지고 있는 사람이 정부와 거래하기 위해 맥날 전용 화폐로 정부 발행 코인을 사서 거래해야하는 건데?ㅋㅋㅋㅋ 그럴 바엔 그냥 지금 현금 거래가 낫지 않나??
내가 보기에도 코인은 그냥 자산 정도일듯?
후후훟훗 1
2021년 5월 05일 13:413세대는 바로 도지다!!
최동욱 1
2021년 3월 09일 18:16화폐를 통제한다는 것은 강력한 권력을 갖게 한다 민간이 국가권력을 벗어나 화폐를 사용하는것을 용인하지 않을 것이다 결국은 무용지물이 될 것이다
BitBoy Crypto 1
2021년 4월 22일 20:36저는 90 일 만에 $ 100에서 $ 1 백만으로 바꾸는 과제에 도전했습니다.
💵 ➡️ 💵 💵 💵
나는이 비밀을해야만했다.
𝙉𝙊𝙒𝙃𝙀𝙍𝙀 중간에 떨어졌습니다.
소셜 미디어가 없었습니다.
내 원래 연락처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시작할 집은 없지만 트럭.
모든 일은 Covid 동안 일어났습니다. 저는 실제로 Covid를 잡았습니다.
... 그리고 거의 포기했습니다.
이 도전을 "어려움"이라고 부르는 것은 과소 평가입니다.
그러나 나는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Mr. Cheng 거래 비밀로 더 많은 수익을 올림으로써 목표를 초과하여 암호 화폐 거래시 자금 조달을 두 배로 늘 렸습니다.
WhatsApp +1 (204) 410-6881
텔레 그램 +1 (786) 632-6002
제주남자 1
2021년 2월 28일 00:13에이다의 시대가올것이다
Pig Tail 1
2021년 4월 24일 16:11ㅎㅎ 화폐가 언제부터 국가가 주도하는 중앙화폐 였나요? ㅎㅎ 역사적으로 봐도 원래 민간주도 였는데...미연준도 국가통제 받나? 유대자본이 미국중앙은행이 됐을 뿐이지...자본은 국경이 없고, 편익때문에 거기에 머무를 뿐임. 한 국가가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이 아님. 일반인의 지극히 개인적인 시각으로 암호화폐, 블록체인은 현재에 다가온 미래임. 미래를 미래시점으로 보는데...이미 미래는 우리 앞에 와 있는데 부정하고 있으며, 느끼지 못하는듯.
킹오 1
2021년 3월 10일 00:19이더리움은 증명이 된게 거의 없어서 불안한데
ᄋ서바이벌 1
2021년 5월 12일 13:49그냥 사이버 머니임. 코인 몇개가 현재 달러 엔화가 통용되는 것처럼 사람들 사이에서 교류가 일어나겠지. 그러나 달러 엔화는 국가에서 이미 널리 쓰고 있잖아. 허나, 이제는 화폐 개념 자체가 거의 무너졌음. 여자분이 말씀하신 것처럼 이미 지문 하나로 사이버 머니가 통용되는데 물물교환이 이리 쉽게 되는데 화폐가 무슨 의미가 있음. 기업에서 발행하는 쿠폰이랑 다를바 없음. 종이쿠폰에 비해 신뢰성이 확보되는게 지금 비트코인이고 수표와 비교해서 자신의 신분을 숨길 수 있는게 비트코인이지. 각각 비트 이더 리플이 달러에 비해 어떤 장점이 있고 시장을 얼마나 장악할 수 있는가가 중요하지. 근데 지금은 워낙 수수료가 비싸서 모르겠다.
withMask2020
2021년 2월 25일 21:44사실 비트코인 1세대, 2세대 뭐 기술적인 내용이 중요한게 전혀 아니다.
내가 가진 물건을 많은 사람들에게 이득을 붙여 판다 = 장사 = 비즈니스 = 비트코인에 사람들의 기대에 따른 가격을 붙여 판다.
화폐가 아닌 비트코인이라는 무형의 상품, 제품.
게임 속 아이템들은 게임을 더 재미있게 하기 위해 사고, 여건에 따라 판다.
비트코인이라는 상품에 수익 기대치를 가지는 사람들이 구입을 희망할 수록 가격은 오른다.
10원에 샀는데 1000원이라도 사고 싶어 하는 사람이 있다.
1억원 어치 코인을 1000원에 팔면?
로또 보다 비트코인
내가 죽을 때 까지 돈을 벌어 봐야 퇴직까지 10억 벌어 모은다면 잘 버는 것이라 생각하는데, 서울 아파트를 살 방법이 없다.
비트코인이 돈이 아니라 무형의 금과 같은 개념으로 바라 본다면, 보유하고 있는 코인 1만원이 10억, 100억이 될 기회가 지금 전세계 사람들이 공유하고 있는 것인데
투기이니 실질적 화폐이니 사용 하느니 못하느니 이야기 하고 있을 때, 누군가는 자고 일어나서 10억 1000억 자산가가 되어 있는 세상이라는 걸 사람들이 말해 주지 않고 있다.
대부분의 월급 생활자들이 죽을때까지 집을 구하는게 인생의 목표인 한국 사회 시스템이 이미 국민들이 살기 좋은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실패한 것이라 보는데
난 내일 잠에서 깨어났을 때 1000억 자산가가 되어 있을 방법을 찾아 봐야겠다.
그 방법은 있고 이미 많은 사람들이 실패도 하지만 성공을 해 가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부의 파이프 라인을 늘려가길 바란다.
부동산만 투기가 아니다.
주식도 투자이지만 투기를 할 수 있고 많이들 한다.
비트코인은 투기이며 재산을 잃을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죽도록 일하면서도 벌 수 없는 금액의 돈을 만져 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기도 하다.
내 재산의 10%~20%는 0 이 되어도 다시 벌 수 있기 때문에 나는 이정도의 금액을 더 큰 이익으로 돌아올 코인에 사용해 보겠다.
2세대든 뭐든 비트코인 직접 결제를 이야기를 할 필요가 없다.
1000억 규모의 비트코인이 생기면, 비트코인으로 무언가 결제할 필요없이 원화와 달러로 환전해서 그 금액 만큼을 사용하면 된다.
자산의 가치가 커지는 것이지.
@user-bl3qc8vc8x
2022년 5월 17일 10:42비트코인의 규제
1.시장원리의 중심에 따라 시세와 금리로 보험회사에서 할당지급
2.공동생산물품에 사업보험금을 가입해서 시스템을 전산화시킴
3.상공업기반에서 수입매출과 공동결제를 공급라인화하여 수수료절감
4.지식재산권에 배급규정과 시장자본금을 담당하도록 투자자시급과 최대수당을 법률제정함
세모교실
2021년 4월 19일 17:26이 더러움
인줄 ㅋ
ZachKorea
2021년 11월 03일 04:54화폐가 아닌 명백한 이유는.
바로 홀로 설 수 없다는 것.
즉, 현존 화폐(달러,원화 등)없이 암호화 통화(비트코인, 이더리움 등)들만 존재할 수 없는게 현실이고 앞으로도 그럴것임.
ZachKorea
2021년 11월 03일 04:54화폐가 아닌 명백한 이유는.
바로 홀로 설 수 없다는 것.
즉, 현존 화폐(달러,원화 등)없이 암호화 통화(비트코인, 이더리움 등)들만 존재할 수 없는게 현실이고 앞으로도 그럴것임.
행복한거북
2021년 8월 17일 03:32중앙은행및 정부는
암호화폐를 통제할 능력이 안되기에 CDBC를 만드는거라고 본다.
따라서 암호화폐 거래는
통화로 사용되기 어렵다고 본다.
창고
2021년 10월 10일 04:26내가 비트코인 60만 단위 넘어가기 전에 손님중에 한분이 비트코인 이란걸 알려줫는데 설명들으니까 너무 생소하고 어려워서 회원가입에서 그만 둿는데 그때 사둿으면 내가 서울에 살고있을건데 삶에서 3번의 기회중 1번을 이렇게 놓쳣는데 오늘 갑자기 알고리즘에 메타버스 NFT 이더리움 요 딱 3개가 뜨더란 말이지? 정보를 알려주는 매체가 사람에서 영상으로 바꼇을 뿐 인건데 내가 지금 이걸 공부해서 생활에 지장 없을만큼 투자하면 큰돈을 만질수가 있는건가 싶은 생각이 드는데 과연 2번째의 기회가 온걸까..? 주변에 코인넣고 돈 잃은 사람만 있어서 주저하게 된다..
창고
2021년 10월 10일 04:26내가 비트코인 60만 단위 넘어가기 전에 손님중에 한분이 비트코인 이란걸 알려줫는데 설명들으니까 너무 생소하고 어려워서 회원가입에서 그만 둿는데 그때 사둿으면 내가 서울에 살고있을건데 삶에서 3번의 기회중 1번을 이렇게 놓쳣는데 오늘 갑자기 알고리즘에 메타버스 NFT 이더리움 요 딱 3개가 뜨더란 말이지? 정보를 알려주는 매체가 사람에서 영상으로 바꼇을 뿐 인건데 내가 지금 이걸 공부해서 생활에 지장 없을만큼 투자하면 큰돈을 만질수가 있는건가 싶은 생각이 드는데 과연 2번째의 기회가 온걸까..? 주변에 코인넣고 돈 잃은 사람만 있어서 주저하게 된다..
ZachKorea
2021년 11월 03일 05:02우표.
편지 배송에 대한 돈 냈다는 표식임.
메일이 전자화된거와 우표가 사라진거와는 아무관련이 없음. 단지 비용부담의 주최가 바뀌었고, 비용충당은 다른방법(광고 등)으로 하고있음.
>> 현존화폐가 암호화 통화로 변화할 꺼라는 예시로 전혀 맞지않음.
혹세무민 하시지 말기를...
이더리움 깎는 노인
2021년 3월 06일 13:07?
Dong-Jin Cho
2021년 3월 13일 01:10X
@rbteam4743
2022년 8월 31일 15:23저번 기수떄 참여했는데 진짜 된다는걸 알아버렸어요 ㅋㅋㅋㅋ 정🍳파🍳 , 텍님 감사해요 ♡
원지호
2021년 2월 28일 15:42아직도 이더리움을 물고빠는 수준이네
뭐? 달러를 위협? ㅋㅋㅋㅋㅋ
유동성 없으면 다 쓰레기다.
@user-od3gc9sn4i
2022년 1월 05일 06:57이제 티비에서도 언급하는거보니 우리는 빠른시일내에 공부해야한다
wims
2021년 3월 01일 22:57채굴 ㅋ 개념땜에 죽도 밥도아닌거
김태근
2021년 5월 27일 18:52신사임당... 이현이님보다 인사이트가...
산행님
2021년 5월 27일 08:10이더리움은 사기코인
무한발행이라서
그리고
이더리움만든놈은
지금 세계최대부자반열에 올랐다
거래소 상장전챙겨논 코인 팔면 말이다
그놈이 27 살이란다
코대장
2021년 5월 04일 22:12이더리움 보단 클레이스왑이다!! 자슥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