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 시작해도 초반에는 사람들이 모를거임. 그리고 오히려 금리 인상 초반에 버블이 더 낄수도 있고. 슬슬 오르다가 "이자가 와 뭐지?" 하면서 자기 호주머니 얇아지는걸 실제로 느끼는 순간. 거기가 꼭지임. 탐옥은 늘 대가를 필요로 했고 사람들은 교훈을 얻은 척 했지만 망각은 늘 빨랐음.
무엇이든 판단은 본인이 하는겁니다. 이런 소리하지말자 어쩌자 할 시간에 본인의 견해와 다른 의견이라면 허용 하지 않으시면 됩니다. 혹은 타인의 의견을 듣고 이행하셨던 것에 대한 결과 또한 본인들 책임입니다. 어떤 목소리든 부정적이게 바라보지 마시고 알아서들 책임지면서 삽시다.
난 lmf때는 안정적직업이고 지방이라 위기 크게 못 느꼈지만 주변 장사하는 사람들 이나 도시친구들 엄청힘들었음 금융위기때는 인천서 크게 장사 하다 하나 무너지니 줄줄이 넘어갑디다 집부터 사업장까지 모두 경매넘어가고 집도 경매가 이하로 떨어집디다 경매가 너무 많이 나오니 굳이 비싸게 살필요 없죠 고급 빌라였는뎨 ᆢ 그때 후유증이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습니다 함겪어보세요 못일어납니다 안죽고 견디어낸것만해도 내자신이 대견합니다 댓글들 쓰신분들 아직젊은 분들이죠? 미리미리 준비하세요 눈에 보이지 않을뿐 이미 와 있을수도 있어요
얼마전 kbs 다큐 일본 버블편봤는데 개인적으로 느낀바가 큽니다 , 89년 도쿄에서 부동산 대표들 연말모임에서의 부동산 불패에 확신에 찬 모습들과 인터뷰를 보면서 ,, 버블인지 아닌지는 터져야 아는것이고 , 버블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감에서는 나쁜일은 생기지 않을거라는 , 그리고 확신과 자신감 그리고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확신하는 시점에서 모든 나쁜일들은 터질거라는 나름의 정리를 해보는 기회였습니다 궁금하신분들은 '공짜 점심은 없다' 일본 부동산 거품경제의 시작과 끝 | KBS 스페셜 “욕망과 혼돈의 기록, 도쿄 1991” | 부동산 밀착 다큐 시리즈 1탄 (KBS 070204 방송)
경제 구성원들의 소득이 올라서 자산가치가 오른게 아니라 부동산 이해 관계자들이 서로 짜고치는 고스톱처럼 몇천 몇억씩 호가 올려거래하고 등기직전 계약취소하는 방식으로 주요지역이 60프로 자전거래라 나온다니.. 일반서민과 중산층이 돈이 없는데 이렇게 까지 올려내는것도 능력도 능력이네요! 산이 높으면 골도 깊겠죠..
당장 다음주부터 폭락을할지, 앞으로도 쭉 가격상승이 지속될지, 어느 누구도 알수 없는 것 같습니다. 결국은 본인이 합리적이라 보이고, 감내할수있는 하나의 선택을 할수 밖에요. 폭락을 믿고 당장 벼락거지가 되도 꾹꾹 참을지, 시한폭탄을 안고 현재의 행복을 누리는게 나을지의 ... 인생은 어차피 홀짝이네요..
결국 주가든 부동산이든 망하지 않는다면 우상향 합니다~ 하지만 우상향 하면서 계속적으로 파동을 그리면서 갑니다~ 그래서 상승장에서도 물리는 사람들이 생기는 것이구요~ 작년 코스피 50%오를동안 돈 잃은사람 없을것 같죠????? 계속 오르기만 하는 시장은 절대 없습니다~ 조정이 와서 손바뀜이 있어야 계속 우상향 할수있는 원동력이 됩니다~
7:25 궁금한게 있는데, 대출을 받을 때 고정금리로 받는 게 아닌가요? 왜 금리를 올렸을 때 가계가 타격을 받게 되나요? 변동금리가 보통인가요? 아니면 지금 이야기는 새로운 대출을 받았을 경우인건가요? 한번도 대출을 받아본 적이 없어서 잘 모르는데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해요.
17년에도 18년도에도 19년도에도 다 말은 그럴싸한 합리적 이유들을 들이댓지만!! 결국 어찌되었지? 기업과 은행이 안전하면 망하지 않는다. 개인은 죽어도 제로섬게임에 흥한사람도 많다. 밑에서 받을사람 많고, 한국사람은 2명의 국토부장관으로 인해 더욱 똑똑해졌다. 한국은 적어도 부동산은 아직 멀었다.
버블의 기준은 시장경제에 기반해서 판단하면 된다고 봅니다. 아무리 비싸도 건설사가 아파트를 짓는 비용보다 과다한지 아닌지를 보면 압니다. 토지포함 분양가가 25억 정도인데 50억에 거래되면 버블이지요. 차액이 크면 시장경제에 맡겨 놓으면 개발에 뛰어들고 공급이 많아지면 가격은 자동으로 하락합니다
대략 정리해보면 버블붕괴 위기는 가계소비가 개인 소득대비 적정소비율과 부채비율이 일반 기준점에서 더 과하게 지출되었느냐에 따라 금리 인상에 따른 가계의 충격이 커질 수 있다. 미국과 유럽은 서브프라임 모기지와 재정위기를 거치면서, 이런 부동산버블이 없어졌다. 개인소득 대비 적정소비율이 12%에서 8%로 부채비율이 140에서 100%이하로 건전해졌다. ( 주요 선진국들은 빚을 내서 소비할 개인들이 있다는 뜻. 우리나라는 여력이 없다는 뜻) 그런데 우리나라는 현재 개인소득대비 적정소비율이 14%, 부채비율은 160%에 달해, 외부요인에 의한 금리상승이 이어질때 다른 국가에 비해 더 크게 붕괴가 일어날 수 있다. 부동산 자산에 쏟아진 가계부채가 붕괴될 가능성이 크다. 결론, 부동산에 과하게 레버리지로 투자한 분들은 빠른 시간안에 빚을 상환하자. 물론 이 정보를 참고하고 행동하는것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기억하길.
본격적 베이비부머 55~64년생 650만 본격 은퇴시대, 65~74년 1000만도 곧이어 은퇴도래, 생활비 조달하고 얘들 결혼시키고 줄이고 처분만, 55~74년 1650만명 향후 >20년내 최소 450만명 사망? >가계부채 폭발 수준 더이상 부동산 financing 불가. >넘치는 공급 ???
버블이 낀건 너무 당연한 거고 언제 터질지 모른다고 집안사는 행위는 위험하다고 봅니다. 양쪽이야기 다 들어보고 결정은 본인이 알아서 각자 판단하는 거죠. 집 없는 사람들은 당연히 떨어지길 바랄거고 집있는 사람은 더 오르길 바라겠죠. 무리해서 집사지 말고 타이밍을 잡으시길
가격이 올라간 이유가 다른데 가격으로만 판단하니 버블이야기기가 몇년부터 계속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라고 봅니다. 2018년에 가계가 과연 오바소비를 했는가 코로나로 우리가 소비를 늘리고 있는가 가계 소비의 부채는 대부분 아파트 주거비용입니다. 즉 강제로 아파트 가격을 폭락 시키지 않는다면 경제가 무너지지 않습니다. 그리고 경제는 대출, 빚으로 성장하는 모습 전세계가 공통입니다. 유럽 전체로 보지말고 각국가로보면 소비가 없어서 (대출이 없어) 경제성장이 안나오는 이유가 됩니다. (소비력이 줄어듬) 슈퍼사이클 에서 돈을 못버는 사람들이 (자산이 없는 사람들이) 버블을 대비 할 수 없는게 포인트라고 봅니다. 보복소비를 하겠지만 지금은 사람들은 대부분 보복소비가 이루어지는 기업에 자산투자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학습효과로 자산버블기에 자산을 늘리지 못하면 언젠가 오는 경제 침체기에 힘들어진다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내가 컨트롤 할 수 없는 상황이 무섭네요. 부채관리와 함께 뭐라도 도전해 봐야 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코로나로 쉰지 2년. 집구석에서 새로운 도전을 시작 했지만 모르는것도 너무 많고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할지도 어려운데 부정적인 경제 상황이 빨리 닥친다면 ㅠㅜ 뭔가가 될때까진 많은 시간이 걸릴것 같아요. 그래도 신사임당님 채널 보면서 경재관념과도 잡아 갈게요. 항상 감사합니다~
저의 생각은 틀립니다.폭락해서 공매도 것들 재미나게 만들면 서로 골치아플듯. 어떤 경제의 기준점을 잡고 생각하는것은 좋은데,그렇게 될것이다.라고 판단하는것은 큰 오류를 범할수있습니다.따라서 대한민국은 그 어떤가를 치고 올라갈수 있다라는 용기와 희망이 조금더 앞서나갈 시기입니다.
양극화는 더 심해지는게 당연하고 그러니 기본 소득형태로 가야하는게 좋다고 보네요. 수퍼리치들이 많이 벌고 더 많은 세금을 납부해야죠. 버블 = 욕심 그럼 그 욕심을 어떻게 할건지 개인들이 잘 판단해야죠. imf오고 금융위기오고 했다고 다 굶어죽어서 인구 반토막 났다는건 들어본적이 없네요. 사실 굉장히 간단한 일이지만 너무 많은 사람의 욕심이 뭉쳐져서 어려워 보일뿐입니다.
저는 지금까지 지켜 보면서 느낀게 기업 개인들 빚이 많아도 버티는것은 국가가 재난지원금 복지 각종 보상금을 풀고 로또가 일주에 열명 가까이 당첨 되잖아요. 회생 탕감도 그러하고 결국 세수증대에 나라빚이 많은 거잖아요. 갈수록.각종 공과금 늘리고. 우리는 7년간 받은 돈으로 내기만 양쪽으로 다 냈거던요. 그래도 아직까지 집ㆍ보험 다 사라졌다뿐 스스로 버티는데 죽는사람들 보면 노이해요.
@davidlee6922 357
2021년 2월 26일 19:43서로 다른 관점을 가진 분들 모시고 토론 진행하셔도 재밌을 것 같아요
@정수리-b2t 349
2021년 2월 26일 23:32요즘같은시대 20년 후가 궁금하다 진짜 세대교체되면 저출산에 집만 오지게 많고 바이러스는 코로나로 안끝나고 다양한 바이러스는 생겨날거고, 다들 집밖도 못나가고 집안에서만 일하고 사람들은 똑똑해져서 힘든일 안할라하고 진짜 이런거보면 버블이고나블이고 궁금함 어케될지
K Soul 319
2021년 2월 27일 15:53난 일생이 금융위기다 ㅠ
@parapyable 302
2021년 2월 27일 23:29버블이 온다 하면 오지게 욕 먹고, 이후 버블이 안 오면 비아냥 당하고,,, 그런데 버블이 올 타이밍에 안 왔다면 이처럼 버블을 경고하고 경각심을 줬던 분들 때문이죠. 늘 욕 먹는 포지션이자만 이런 소릴 내는 게 감사할 따름
@Thegreat28463 275
2021년 2월 27일 18:05★ 이 별을 본 사람은 머지않아 큰 부와 행운을 얻게 될것입니다.
@jang_pd7 256
2021년 2월 27일 19:07이런 예상은 계속 되어야합니다.
그래야 사람들이 긴장해서 붕괴되지 않아요.
@lifestory7000 199
2021년 2월 26일 18:46다들 하시는 말씀이 달라서 그냥 판단은 스스로 잘 해야되는거같아요 ㅠㅠ
@tv-kt4wu 184
2021년 2월 27일 07:47터질게 있으면 터져야지 기회도 오는거지.
@-moneystack 156
2021년 2월 26일 18:38그렇다고 버블 위에서 안 놀 수도 없는게 지금 행태같음..부동산도 주식도
현금을 들고 있기가 너무 힘든 상황..
세하 141
2021년 2월 26일 23:1123년? 난 지금 경제위기가 왔는데 어쩌지....
@HK02316 139
2021년 2월 28일 05:34이런얘기가 많아야 안무너지더라구요.
이시국에 시장 좋다 얘기가 더 많으면 짐 싸야됨.
유남 135
2021년 2월 27일 01:19금리인상 시작해도 초반에는 사람들이 모를거임. 그리고 오히려 금리 인상 초반에 버블이 더 낄수도 있고. 슬슬 오르다가 "이자가 와 뭐지?" 하면서 자기 호주머니 얇아지는걸 실제로 느끼는 순간. 거기가 꼭지임. 탐옥은 늘 대가를 필요로 했고 사람들은 교훈을 얻은 척 했지만 망각은 늘 빨랐음.
@차동희-k5k 126
2021년 2월 28일 02:08벌써 경제 붕괴 아닌가요. 은행에 가보면 대출 안되죠.외국계은행은 대출은 안된지 좀 됐죠.코로나 이전에 누린계 최고의 호사인것 같은데요.
정부에서 말하는 통계는 현실과 너무 갭이 크고 진실을 말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죠.
@tsy-pr7in 121
2021년 2월 28일 08:04무엇이든 판단은 본인이 하는겁니다. 이런 소리하지말자 어쩌자 할 시간에 본인의 견해와 다른 의견이라면 허용 하지 않으시면 됩니다. 혹은 타인의 의견을 듣고 이행하셨던 것에 대한 결과 또한 본인들 책임입니다. 어떤 목소리든 부정적이게 바라보지 마시고 알아서들 책임지면서 삽시다.
박성우 115
2021년 2월 27일 22:35현재 주식 or 부동산 올인인 사람 따봉점
M'S TRACK 105
2021년 2월 28일 00:56상황이 이런데 빚 내서 집 사라고 좀 그만 합시다. 깔고 앉은 집은 오르나 내리나 똑같아요. 집 옮기기만 힘들지..전세보다 낫다 해도 팔고 전세 갈 용기 없으면 다 똑같습니다.
링컨정 96
2021년 2월 27일 13:45월급은 그대로인데 대출 이자가 상승하면 큰일
@seunghwajung8031 91
2021년 2월 26일 22:41버블세븐 당시 1년
만에 더블, 그리고
거래 침체후 원위치하여 13년만에 거래 활성화됨.
손에 쥐어야 내것
신동희 81
2021년 2월 26일 20:32서울 집 한채있고 빚없는 사람은 오르던 떨어지던 노상관일듯
김어농 78
2021년 2월 26일 21:35언젠가 지구도 멸망한다.
브케인 78
2021년 2월 26일 18:40언젠가 올거다 이렇게 누가 말못함;; 경제위기는 싸이클이라 당연히 옴;;
@TITCACA2012 77
2021년 3월 01일 08:28저도 뒤늦게 집을 사서 많이 올랐지만 전혀 기쁘지 않아요~ 우리 미래 세대는 어쩌나요.. 너무 안타까워요~ 집값은 성실히 일하면 누구나 살 수 있는 수준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천천히 적당한 수준으로 낮아지고 안정화 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wearetheworld1 71
2021년 2월 26일 21:32빚투 하지마세요들~ 다들 건강한 투자 합시다
박영준 69
2021년 2월 26일 21:10나라야 은지야 카드빚 쓰지마라
@arallabeauty 67
2021년 2월 26일 20:02남편이 하도 이런말을 많이해서 주택빚을갚았는데
투자할 머니가 없네융. 부자되기어렵다
@단비-y6g 65
2021년 3월 01일 10:48금리 좀 올려서라도 집값 잡기를 바라네요. 집값은 청년들 미래를 결정하는건데 월급모아 집못산다면 문제가 많은거죠.
모니시파브라이 64
2021년 2월 26일 23:00오긴 오겠지만 언제올지는 아무도 모른다
근데 최근 봤던 전원주아줌마는 힐링여행자는 그런걱정 안 할 것 같다
@하아쭈운 64
2021년 2월 27일 17:40위기는 항상 존재한다
시기를 맞출수 없는것일뿐
위기속에 늘 살고있다 몇백년 전부터
@LEEE212 62
2021년 2월 26일 20:02지금이 버블인지, 이게 터질지는 모르지만 분명한건 현재 자산시장에 공격적으로 베팅할 시점도 가격도 아니라는 점.
배란다커 61
2021년 2월 26일 21:5723년에 터지면 울나라 넘 위험한데~~
그전에 터져야 할건데~
@김민정-p7b9j 57
2021년 3월 04일 05:26부동산 가격 미쳤어요
대구 만촌3동 분양가 3억8천만원이었던게 지금 13억~입니다 말이 안된다 진짜
김코딩 56
2021년 2월 27일 00:29이미 지금도 트리플 버블이지만 터지는건 언제인지 모릅니다
카미사마神様 49
2021년 2월 26일 18:36진짜 올듯...
기릭구 47
2021년 2월 26일 18:44항상존재했던 말 그냥사서 존버하면됨...
@김봉팔-j1j 46
2021년 2월 26일 18:39우리집은 왜안오른댜
@이영주-u4v9i 45
2021년 3월 01일 12:04난 lmf때는 안정적직업이고 지방이라 위기 크게 못 느꼈지만 주변 장사하는 사람들 이나 도시친구들 엄청힘들었음
금융위기때는 인천서 크게 장사 하다 하나 무너지니 줄줄이 넘어갑디다 집부터 사업장까지 모두 경매넘어가고 집도 경매가 이하로 떨어집디다 경매가 너무 많이 나오니 굳이 비싸게 살필요 없죠 고급 빌라였는뎨 ᆢ 그때 후유증이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습니다 함겪어보세요 못일어납니다 안죽고 견디어낸것만해도 내자신이 대견합니다 댓글들 쓰신분들 아직젊은 분들이죠?
미리미리 준비하세요
눈에 보이지 않을뿐 이미 와 있을수도 있어요
jt01 k 45
2021년 2월 26일 18:392년전부터 들었음 ㅎ
@별쑤 44
2021년 2월 28일 21:30버블은 터지기 전까지는 아무도 모르죠ㅠㅠ
그게 내일일지 모래일지 아니면 벌써 와있는지
@good.morning3927 42
2021년 2월 28일 02:58정말...이놈의 집값.... 어떻게 해야될지를 모르겠어요...아휴.....
제발,제발...집값좀 어떻게...ㅜㅜ
스마트머니 41
2021년 2월 27일 15:31미국등 금리인상기 시작되면 돈벌어서 이자비용 늘어가며 등골 휘게 될것이다
@류류-n1k 38
2021년 2월 27일 08:57버블도 자연현상이죠..
터지는 것도 자연현상
@stanleydan9159 38
2021년 2월 27일 02:08우리나라는 60년동안 모든게 우상향했는데, 과연 언제꺾일까 예측해보는 관점도 괜찮을듯.
Ziky 38
2021년 2월 27일 11:48부동산 폭락한다고 해서 집 하나 판 이후론 절대 한쪽 의견만 듣고 싶진 않더라구요..반대 의견 가지신 분도 섭외해주세요^^
@돈먹는하마-z9c 37
2021년 2월 26일 21:07나도 나름 공부한다고 이것 저것 찾아보고 많이했는데 이분 찐이다 원자재 슈퍼사이클 이후에 오는 버블에 대한 분석은 매우 공감됩니다.
@이태원아저씨 35
2021년 2월 27일 23:58내 월급은 그대로인데.. 장바구니 물가만 해도 작년대비 10~20프로 수준을 넘어 100~200프로 수준까지 올라감... 어찌 될지 참..
@ppe999 33
2021년 2월 26일 22:25한국 / 중국발 부동산 위기가 될것같네요
가계 부채 대부분이 부동산 대출이니
동남아시아 국가중에 버블이 먼저 터질 가능성도 높습니다
고수 33
2021년 2월 27일 06:09이런 얘기들이 요새 자주 나오는거보니 기회가 한번 더 오나보다...ㅎㅎ
김템 32
2021년 2월 27일 21:27박사님 목소리 너무 좋으시네여~
Habi K 31
2021년 2월 26일 20:07제목에도 거품이..
@honeypotdev 30
2021년 2월 27일 00:54관점이 저랑 비슷하셔서 개인적으로는 동의 하는 의견입니다 다만 반대되는 의견 입장도 들어보고 싶네요
루원시티프라디움 30
2021년 2월 27일 00:13무조건 터집니다. 언젠가....물론 안터져도 책임은 못집니다.
리엘 29
2021년 2월 26일 20:09여러 시각으로 보라고
초대손님을 다양하게 하시는듯
결혼 20년동안 소시민으로 느낀건..
일단 내집 1채 신축으로 들고
여윳돈으로 투자하는게 정석
많이 먹지는 못해도
엉엉 울지는 않음
@문환-y7e 26
2021년 2월 26일 18:55관심있던 내용이었는데 너무 감사해요ㅎㅎ
담편도 빨리 나왔음 좋겠어요
SW yoon 25
2021년 3월 02일 18:58자연스런 버블이 아니라 부동산은 솔직히 꾼들이 만든 버블이 대부분입니다. 솔직히 유튜브도 한몫 한거구요.
아직한발남았다 25
2021년 2월 27일 00:47누군가 그랬죠 망한다 망한다를 계속해서 하면 언젠간 맞춘다
ᄀᄀ 25
2021년 2월 28일 19:52맨날 국뽕 유튭 보면 ㄹㅇ 답 없어보인다
왕둥글 23
2021년 2월 26일 18:49박사님 말씀처럼 향후 몇년은 오를지라도 곧 터질꺼 같아요.
@bodybalance153 23
2021년 2월 26일 23:4923년도...좋은정보잘듣고갑니다!
@piginformation 22
2021년 2월 28일 03:18얼마전 kbs 다큐 일본 버블편봤는데 개인적으로 느낀바가 큽니다 , 89년 도쿄에서 부동산 대표들 연말모임에서의 부동산 불패에 확신에 찬 모습들과 인터뷰를 보면서 ,, 버블인지 아닌지는 터져야 아는것이고 , 버블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감에서는 나쁜일은 생기지 않을거라는 , 그리고 확신과 자신감 그리고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확신하는 시점에서 모든 나쁜일들은 터질거라는 나름의 정리를 해보는 기회였습니다 궁금하신분들은
'공짜 점심은 없다' 일본 부동산 거품경제의 시작과 끝 | KBS 스페셜 “욕망과 혼돈의 기록, 도쿄 1991” | 부동산 밀착 다큐 시리즈 1탄 (KBS 070204 방송)
찾아서 보세요
남의일 같지는 않다는 ~~
@mangmang.0923 21
2021년 2월 26일 18:36요즘 제일 관심있던 주제입니다. 감사히 보겠습니다:)
알레지오레오 20
2021년 2월 27일 11:07언제까지 한없이 오르지는 않겠지만, 어느순간 거래량이 감소하고 조정되는 시기가 올텐데, 그 조정되는 시기를 하락 혹은 폭락이 예상된다고 하나둘 던지다보면 그게 연쇄적으로 하락으로 이어지고 이어진 하락이 폭락을 만들겠죠. 그즈음에 현금이 있는 분들은 줍줍을 할테고..
@엘라-i2j 18
2021년 2월 27일 11:49버블 3가지
1. 수요견인버블
ex)마스트대란
2. 비용인상물가 ex)원재료단가상승,공장화재,유가상승
3. 통화량
@hyoleekim 18
2021년 2월 27일 16:36결국은 사줄사람이 살수 있는 가격이 되야지...
사줄 사람은 20-30대 연봉대비 대출로 집을 사줘야되는데.. 살수 없는 가격이 되어버리면..
조정이 되던지...
@DDUNEDDUNE 17
2021년 2월 28일 10:13기존의 버블이 무너져도
또 다른 패러다임의 버블이 이어지겠지
아무리 경제박사여도 미래의 정확한예측은불가능하고 맞다해도
수많은 가설 중 하나가 들어맞는것아닐까
그냥 지나가는 킹반인의 잡담이엇음
오징어문어 16
2021년 2월 28일 01:27어그로영상일줄알았는데 합리적인 이야기네요
지구별여행자 15
2021년 2월 28일 00:03분명 한국의 버블은 점점 커지고 있고...위태롭지만...
일단은 올해 터질 가능성은 클것 같지 않으니... 일단은 파티를 즐겨야겠죠.
YD C 15
2021년 2월 26일 18:53부동산 거품 붕괴로 주담대발 금융위기는 기정사실인데, 소수의 다주택자랑 영끌러들만 제한적으로 타격을 받지 기업은 아무 문제 없기 때문에 큰 문제가 안될 예정.
조오타 15
2021년 2월 27일 07:04버틸수있을만큼만 투자하자 영끌하지말고..
Hu an 15
2021년 2월 26일 18:39오지지역 아파트도 3억이상이래요 심각하죠 경주가 저번에 7억이랬나
@이애너벨리-i1z 14
2021년 3월 05일 23:12경제 구성원들의 소득이 올라서 자산가치가 오른게 아니라 부동산 이해 관계자들이 서로 짜고치는 고스톱처럼 몇천 몇억씩 호가 올려거래하고 등기직전 계약취소하는 방식으로 주요지역이 60프로 자전거래라 나온다니..
일반서민과 중산층이 돈이 없는데 이렇게 까지 올려내는것도 능력도 능력이네요!
산이 높으면 골도 깊겠죠..
@spot7339 13
2021년 3월 01일 10:17대출을 최대한 빨리 갚아야 겠네요
폴리매스 13
2021년 2월 26일 18:32이건~목참지
Tiffany 12
2021년 2월 27일 02:00반대의 의견을 가지신 분의 의견도 듣고 싶습니다
@650step8 12
2021년 2월 27일 00:37딱! 듣고싶었던 강의네요. 무료로 이런 강의를 듣다니 신사임당님 감사합니다. 신사임당님 금연하랴 집중안되는데 공부하랴 고생 많으세요~화이팅!
판다뚜이 Panda do it 12
2021년 2월 27일 07:10해보고 후회하자는 말은 결혼뿐이 아닌듯. 사업. 주식. 부동산...그치만 비중있는 빚으로 해보는건 운에 인생을 거는 것 아닐까 싶습니다.
최대룡 11
2021년 3월 07일 01:03좋게말해 부동산카르텔...
이젠 무너질 때도 됐는데...
balletluv 11
2021년 2월 26일 20:44자본주의 역사가 우리보다 긴 유럽이나 미국 시장을 보면 버블이 터지는 시기가 있긴 했지만 결국 모두 회복되었죠. 너무 무리한 투자만 조심하면 될듯. 지금은 신용대출이니 담보대출이니 다 조여놔서 과연 부실자산이 많을지 위문.
2650 10
2021년 2월 27일 00:162편도 올려주세요!!! 세번 돌려봤어요ㅜㅜ
최서빈 10
2021년 3월 01일 10:18이 말도 듣고 저 말도 듣고 판단은 결국 자신의 몫...
@ruddhekd 9
2021년 2월 27일 01:16당장 다음주부터 폭락을할지, 앞으로도 쭉 가격상승이 지속될지, 어느 누구도 알수 없는 것 같습니다. 결국은 본인이 합리적이라 보이고, 감내할수있는 하나의 선택을 할수 밖에요. 폭락을 믿고 당장 벼락거지가 되도 꾹꾹 참을지, 시한폭탄을 안고 현재의 행복을 누리는게 나을지의 ... 인생은 어차피 홀짝이네요..
@paper77 9
2021년 3월 06일 13:26한상완 박사님 설명 정말 잘하시네요. 이해가 쏙쏙 됩니다. 감사합니다. 많이 나와주세요
@HEEHEE993 8
2021년 2월 27일 00:26결국 주가든 부동산이든 망하지 않는다면 우상향 합니다~
하지만 우상향 하면서 계속적으로 파동을 그리면서 갑니다~
그래서 상승장에서도 물리는 사람들이 생기는 것이구요~
작년 코스피 50%오를동안 돈 잃은사람 없을것 같죠?????
계속 오르기만 하는 시장은 절대 없습니다~
조정이 와서 손바뀜이 있어야 계속 우상향 할수있는 원동력이 됩니다~
@밝은희망-l1p 8
2021년 3월 15일 04:252021년1월부터 벌써 대출 확 줄였고요,~금리는 엄청 올렸습니다.
Uiseon Hwang 7
2021년 2월 26일 22:027:25 궁금한게 있는데, 대출을 받을 때 고정금리로 받는 게 아닌가요? 왜 금리를 올렸을 때 가계가 타격을 받게 되나요? 변동금리가 보통인가요? 아니면 지금 이야기는 새로운 대출을 받았을 경우인건가요?
한번도 대출을 받아본 적이 없어서 잘 모르는데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해요.
이현우 7
2021년 2월 26일 19:29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킹심바 7
2021년 2월 26일 18:42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어휴......
아름다운쇼다운 7
2021년 2월 28일 11:07펜데믹-통화량 폭증-펜데믹 종료-소비 증가, 비용 인상-인플레이션-금리 인상-은행의 대출자산 부실화, 가계부채 부도
진짜 이렇게 되는 건가
@판타지나라의백수 7
2021년 3월 14일 00:07지방 중소도시 갔다가 쇼크먹었다. 50미터 거리에 똥냄새 풀풀나는 논밭인데 신축이라고 6억하더라.
서울집값이 싸게 보이더라.
손기훈 7
2021년 2월 27일 09:03금리 인상 시작이라는 중대 전조사인까지 있는데도 불구하고 그걸 인식 못해서 망했던 사람들이 많았던 역사가 이번에도 반복될거고 이번엔 특히 이례적으로 클듯... 이자가 상상 이상으로 몇배 뛰어버릴테니
Taekseon Ryu 7
2021년 2월 28일 01:00찬성대비 반대가 이렇게 낮다는 건, 사람들도 대부분 현재 경제에 버블이 있다는 건 부정하지 않는다는 거네요. 결국 시간문제...
@real7473 7
2021년 2월 28일 11:4517년에도 18년도에도 19년도에도 다 말은 그럴싸한 합리적 이유들을 들이댓지만!! 결국 어찌되었지? 기업과 은행이 안전하면 망하지 않는다. 개인은 죽어도 제로섬게임에 흥한사람도 많다. 밑에서 받을사람 많고, 한국사람은 2명의 국토부장관으로 인해 더욱 똑똑해졌다. 한국은 적어도 부동산은 아직 멀었다.
S Choi 6
2021년 2월 27일 13:21자산가격과 물가가 함께 오르고 있는데 이것이 과연 버블인가...그렇다고 원화가치가 충분히 방어가 되는 걸로 알고있는데... 소위 말하는 버블붕괴가 와도 잠깐이지 않을듯 싶네요..
꽃보다나 6
2021년 2월 26일 18:34무서운 얘기를....ㅎㄷㄷ
Only One 6
2021년 2월 28일 02:00버블의 기준은 시장경제에 기반해서 판단하면 된다고 봅니다. 아무리 비싸도 건설사가 아파트를 짓는 비용보다 과다한지 아닌지를 보면 압니다. 토지포함 분양가가 25억 정도인데 50억에 거래되면 버블이지요. 차액이 크면 시장경제에 맡겨 놓으면 개발에 뛰어들고 공급이 많아지면 가격은 자동으로 하락합니다
배창희 6
2021년 2월 26일 22:23부동산 투매 심리가 시작 되면 온다
@manggoos46 6
2021년 2월 27일 23:32대략 정리해보면 버블붕괴 위기는 가계소비가 개인 소득대비 적정소비율과 부채비율이 일반 기준점에서 더 과하게 지출되었느냐에 따라 금리 인상에 따른 가계의 충격이 커질 수 있다.
미국과 유럽은 서브프라임 모기지와 재정위기를 거치면서, 이런 부동산버블이 없어졌다.
개인소득 대비 적정소비율이
12%에서 8%로 부채비율이 140에서
100%이하로 건전해졌다. ( 주요 선진국들은 빚을 내서 소비할 개인들이 있다는 뜻. 우리나라는 여력이 없다는 뜻)
그런데 우리나라는 현재 개인소득대비
적정소비율이 14%, 부채비율은 160%에 달해, 외부요인에 의한 금리상승이 이어질때 다른 국가에 비해 더 크게 붕괴가 일어날 수 있다.
부동산 자산에 쏟아진 가계부채가 붕괴될 가능성이 크다.
결론, 부동산에 과하게 레버리지로 투자한 분들은 빠른 시간안에 빚을 상환하자.
물론 이 정보를 참고하고 행동하는것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기억하길.
Leopold Lee 6
2021년 2월 28일 13:34나는 한 박사님 예상이 맞다고 봅니다
대디육아 5
2021년 2월 26일 18:4322빠
정숙강 5
2021년 3월 07일 02:33금리가 급속도로오를수도'''부채가많으면
600클럽 5
2021년 2월 26일 21:58이미 경제위기는 온것같은데 시부랄
BiGDONG 5
2021년 2월 27일 06:32어차피 장기적으로 보면 우상향 합니다. 시장 타이밍 잡을려고 애쓰면서 간태우기 보다는 꾸준히 자기 할일하고 꾸준히 투자하는것이 정석.
seunghwa Jung 5
2021년 2월 26일 22:54본격적 베이비부머
55~64년생 650만
본격 은퇴시대,
65~74년 1000만도 곧이어
은퇴도래,
생활비 조달하고
얘들 결혼시키고
줄이고 처분만,
55~74년 1650만명 향후 >20년내 최소 450만명 사망?
>가계부채 폭발 수준
더이상 부동산 financing 불가.
>넘치는 공급
???
김성태 5
2021년 2월 26일 19:43결국 어느순간 버블이 꺼지면 저승길 가거나 파산하는 주체들은 부동산이든 주식이든 코인이든 모든걸 레버리지로써 다 올인했던 광기(狂氣)의 사람들과 그런 사람들한테 대출해주었던 금융기관들이죠
써녕 5
2021년 3월 21일 18:58버블 빨리 와야 정신차리지. 서울집값이 말이 아니지;;;;;;;:::::::
변준석 5
2021년 2월 26일 20:24도망챠~~~
mota h 5
2021년 3월 09일 13:56서울은 딱 두종류의 사람으로 분류. 벼락부자와 벼락거지. 벼락부자=집 있는 사람, 벼락거지=집 없는 사람. 나는 아무것도 안하고 가만히 있었는데 어느날 갑자기 보니 벼락거지가 되어있네.
@youngjinkim4043 5
2021년 3월 03일 22:06버블이 빨리터지길 기도합니다.
인자기 5
2021년 3월 02일 15:51버블이 낀건 너무 당연한 거고 언제 터질지 모른다고 집안사는 행위는 위험하다고 봅니다. 양쪽이야기 다 들어보고 결정은 본인이 알아서 각자
판단하는 거죠. 집 없는 사람들은 당연히 떨어지길 바랄거고 집있는 사람은 더 오르길 바라겠죠.
무리해서 집사지 말고 타이밍을 잡으시길
YG Kim 5
2021년 2월 26일 20:34가격이 올라간 이유가 다른데 가격으로만 판단하니 버블이야기기가 몇년부터 계속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라고 봅니다.
2018년에 가계가 과연 오바소비를 했는가 코로나로 우리가 소비를 늘리고 있는가 가계 소비의 부채는 대부분 아파트 주거비용입니다.
즉 강제로 아파트 가격을 폭락 시키지 않는다면 경제가 무너지지 않습니다.
그리고 경제는 대출, 빚으로 성장하는 모습 전세계가 공통입니다.
유럽 전체로 보지말고 각국가로보면 소비가 없어서 (대출이 없어) 경제성장이 안나오는 이유가 됩니다. (소비력이 줄어듬)
슈퍼사이클 에서 돈을 못버는 사람들이 (자산이 없는 사람들이) 버블을 대비 할 수 없는게 포인트라고 봅니다.
보복소비를 하겠지만 지금은 사람들은 대부분
보복소비가 이루어지는 기업에 자산투자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학습효과로 자산버블기에 자산을 늘리지 못하면 언젠가 오는 경제 침체기에 힘들어진다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hhh nohjjhh 5
2021년 2월 26일 21:09오랜만에 좋은영상 찾았네요 감사합니당
@goodstep 4
2021년 3월 01일 13:10정말 좋은 영상감사합니다ㅡ
이민재 4
2021년 3월 01일 07:43부동산은 조만간 붕괴된다
냥냥펀치 4
2021년 2월 26일 18:323빠!!
백혜경 4
2021년 2월 26일 21:35광역시도 안 오는 곳은 안 올라요 ㅠㅠ
울 동네
sim jt 4
2021년 3월 01일 06:15서브프라임 전에 2,3년간 버블 후 서브프라임 사태가 터졌다고 앞으로
유튜브프리미엄 3
2021년 2월 27일 22:11아 이제는 심사임당님이 방송하는것좀 보고싶당
Jung치앙 3
2021년 2월 28일 07:34그래 그래 그럴수 있겠다
Bears v_10 3
2021년 2월 28일 23:53슬슬 안전자산을 확보해야 하겠네요
크리스마스전역 3
2021년 3월 06일 04:23ㅋㅋ터질거면 빨리 터지고 빨리 아물었으면 좋겠다
BLUE카카 3
2021년 3월 01일 23:16서울+핫수도권은 버블이라고 보기힘듭니다 거길원하는 수요가 넘치기때문에 그외지역들은 특성마다 다를테고 지켜봐야겠죠
오래미 3
2021년 3월 02일 00:48사과 비유.. 너무나 와 닿습니다!! ㅜㅜ
최명희 3
2021년 2월 26일 23:41감사합니다
흙탈 3
2021년 2월 26일 23:12한소장님 최고!
dong jae Kim 3
2021년 2월 26일 18:345등!!
방구석중식 2
2021년 2월 26일 21:17시간 가는줄 모르고 봤네.
명예육아퇴직 2
2021년 2월 26일 20:09음 글쎄요ㅋ 그래도 좋아요는 누를게요
건강히 2
2021년 2월 26일 19:37우리는 항상 반대되는 의견도 들어야 합니다
뭉클뭉클 2
2021년 2월 27일 06:47감사합니다
분홍공주 2
2021년 2월 27일 11:28내가 컨트롤 할 수 없는 상황이 무섭네요. 부채관리와 함께 뭐라도 도전해 봐야 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코로나로 쉰지 2년. 집구석에서 새로운 도전을 시작 했지만 모르는것도 너무 많고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할지도 어려운데 부정적인 경제 상황이 빨리 닥친다면 ㅠㅜ 뭔가가 될때까진 많은 시간이 걸릴것 같아요. 그래도 신사임당님 채널 보면서 경재관념과도 잡아 갈게요. 항상 감사합니다~
kwanwoong jung 2
2021년 2월 27일 01:18위기가곧기회라는건이제투자자들다알죠....중요한건 타이밍인거같습니다 다들 소신있게 가즈아~!
j9720286 2
2021년 2월 26일 21:28전주 에코시티라는 곳이 있는데
더 오른다 거품이다...
야나으 2
2021년 2월 26일 23:29지방도 1억 올랏음 1년 사이에 ~
하루레이 1
2021년 2월 26일 18:32ㅎㅎㅎㅎ
sebum ki 1
2021년 3월 10일 21:14경제 붕괴 언젠가는 오겠죠. 인디언 기우제처럼.. ㅋㅋ
ccmc주식요리사 1
2021년 2월 27일 09:50저의 생각은 틀립니다.폭락해서 공매도 것들 재미나게 만들면 서로 골치아플듯. 어떤 경제의 기준점을 잡고 생각하는것은 좋은데,그렇게 될것이다.라고 판단하는것은 큰 오류를 범할수있습니다.따라서 대한민국은 그 어떤가를 치고 올라갈수 있다라는 용기와 희망이 조금더 앞서나갈 시기입니다.
GOOD LUCK 1
2021년 2월 28일 03:26마삼룰 이후로 신박한 이론이네요. 마삼과 트리플버블....... 군중심리 자극해서 책팔기는 참 좋을듯요.
강민혁 1
2021년 2월 27일 00:49버블 아직은 아니네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지석강 1
2021년 2월 27일 19:36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축복합니다
joe ! 1
2021년 2월 27일 11:45박사님 설명 너무 잘해주십니다 귀에 쏘옥 이해도 쉽고 강의 감사합니다
수업이 즐거웠습니다
인생은정규분포 1
2021년 4월 16일 14:48결론 = 개인 투자는 지수추종 ETF만이 답이다. (단, 레버리지 종목 비율은 30% 미만으로)
정상무 1
2021년 2월 28일 16:41감사합니다. ^^
@ADQ114 1
2021년 4월 20일 02:22양극화는 더 심해지는게 당연하고 그러니 기본 소득형태로 가야하는게 좋다고 보네요. 수퍼리치들이 많이 벌고 더 많은 세금을 납부해야죠. 버블 = 욕심 그럼 그 욕심을 어떻게 할건지 개인들이 잘 판단해야죠. imf오고 금융위기오고 했다고 다 굶어죽어서 인구 반토막 났다는건 들어본적이 없네요. 사실 굉장히 간단한 일이지만 너무 많은 사람의 욕심이 뭉쳐져서 어려워 보일뿐입니다.
Wook Jung 1
2021년 2월 27일 22:12하이퍼인플레 생각하시나본데 흠...
칠정 1
2021년 2월 27일 01:44저는 지금까지 지켜 보면서 느낀게 기업 개인들 빚이 많아도 버티는것은 국가가 재난지원금 복지 각종 보상금을 풀고 로또가 일주에 열명 가까이 당첨 되잖아요. 회생 탕감도 그러하고 결국 세수증대에 나라빚이 많은 거잖아요. 갈수록.각종 공과금 늘리고. 우리는 7년간 받은 돈으로 내기만 양쪽으로 다 냈거던요. 그래도 아직까지 집ㆍ보험 다 사라졌다뿐 스스로 버티는데 죽는사람들 보면 노이해요.
유미 1
2021년 2월 27일 22:15와...버블을 잘 이해할 수 있었어요. 뒷부분 설명 대박!
박성현 1
2021년 3월 29일 14:53자본주의를 믿고 시장을 긍적적으로 봐야함 음모론적으로 집착했는데 잃어버린 10년이 되버림
서용훈 1
2021년 3월 03일 02:30이런분들이 있어야 자만하지 않음.
minikkoyam 1
2021년 2월 26일 23:37박사님 한번더 나오시면 안될까요? 좋은 말씀 넘 감사하구요 좀 더 듣고 싶습니다
긍정왕 1
2021년 3월 03일 22:11역사적 진리
버블을 이야기 할 때는 버블이 아니다.
연준에서 테이퍼링 이야기가 나올때 까지는 자산가치는 상승할 겁니다.
즉 지금은 주식과 부동산에 투자할 때입니다.
단 부동산의 경우에는 현금화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적당히 먹고 나오야 함
텍산 1
2021년 3월 08일 15:09논리근거가 빈약함.
q k 1
2021년 3월 03일 16:56이해가 쏙쏙! 감사합니다
서이민 1
2021년 3월 04일 19:46내년까지 돈모으고있겠슴돠
Kyu-Tae Lee 1
2021년 3월 14일 16:26한상완 소장님 방송은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좋은 방송 감사합니다!
빛나대디
2021년 2월 26일 21:52또..또
일라이
2021년 2월 27일 18:40아 ㅠ
Ssung
2021년 2월 27일 02:04시ㅡ원하게 들어와~~
baek choi
2021년 3월 22일 17:20가계 중심 경제 위기는 처음 들어보네요... 또 이렇게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주린이
2021년 4월 01일 06:19올해 한강 가는사람 번호표 뽑고 줄서서 가야할듯
행운
2021년 3월 26일 08:58좋은정보 감사합니다
88& H
2021년 4월 18일 02:07마음속에 담아두고 위기를 기회로 만들겠습니다
JAEMIN HYUN
2021년 3월 03일 13:16인버스 올인!
계획만 만렙
2021년 3월 20일 22:31감사합니다!!
최은식
2021년 3월 31일 16:27감사합니다 좋은 말씀
헤이불스 : 긍정론자들의 주식토크
2021년 2월 28일 01:36여러 전문가분들이 하시는 말씀이 21년은 아직 거품이 꺼지지 않을것이라 말씀하시네요! 요즘 미국증시나 한국증시나 전체적으로 하락하고있는데 모두 대응 잘 하셔서 소중한 자산 잘 지키시길 바랍니다 ㅠㅠ 좋은 영상 올려주시는 신사임당님 감사합니다 :)
임장의민족
2021년 3월 01일 01:04다양한 시각을 가진 분의 의견을 듣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신사임당님
김경수
2021년 3월 02일 18:09잘보고갑니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조영래-h8o
2021년 3월 30일 19:51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ㅎㅎ
버블을 발생시키는 원임 3가지
1 수요견인 인플레이션 =>
마스크 대란 수요급증
미국장기 저축률 상승 10%
(올해와 작년)
소비감소 미래 소비 여력 가능성
2 비용견인 인플레이션 =>
원자재 가격 상승
=> 원자재 슈퍼 사이클 시대 도래 가능성
원자재가격상승 후 6개월 후 판매가격 상승
국제유가 인상 가능성
미국 장단기 금리역전 현상
3 통화량
미국 2008년 서브프라임 이후
펜더믹 이전 미국 경제 최장기 호황
저금리유지
시중 유동성을 회수하지 못한 상태에서 코로나 제로 금리
통화량 많아 버블 발생 가능성
sunset
2021년 3월 01일 22:38이제 막 경제관련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는데요 무지해서 영상의 말씀들이 전혀 이해가안가요ㅜ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어떻게 지식을 쌓아야 할까요
이주리안 YIJULIAN
2021년 3월 02일 11:09한국의 부동산의 급등은 외국과 다르게 유동성과의 관계가 희미한 특이 케이스라고 보입니다.
우상향은과학
2021년 2월 26일 23:50조정은 올수도 있지만
일본과 같은 붕괴는 근본적으로 절대 올수가 없다
한상완 박사에 열띤 환호를 보내는 대부분은
100% 집이 없거나 서울에 집이 없다
내가 못산집 폭락해버리면 내가 사려하는 심보겠지만
경제붕괴가 오면 가장 큰타격을 입는 사람은
서울에 집없고 자가도 없는 가난한 사람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