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떨어지지 않을까요..세달 넘게 전월세 안나가요... 국민 소득이 올라야 집값 상승에 따른 전월세를 감당하죠. 사람들이 먹고 살기 힘들어 지는데 집값만 높아지는게 무슨 의미가 있나 싶네요. 분석을 요리조리 해도 들어올 임차인이나 매수자 없으면 집값 올라도 투자 수익내기 힘들어지겠죠....
집값 떨어지지 않을까요..세달 넘게 전월세 안나가요... 국민 소득이 올라야 집값 상승에 따른 전월세를 감당하죠. 사람들이 먹고 살기 힘들어 지는데 집값만 높아지는게 무슨 의미가 있나 싶네요. 분석을 요리조리 해도 들어올 임차인이나 매수자 없으면 집값 올라도 투자 수익내기 힘들어지겠죠....
약간 위험한 발언같은데....뭐 일단 본인의 판단이 중요하지만...경기도 지역은 아직도 상승중이지만....단순히 거래량이나 공급과 수요적 측면만 보고 판다하시지마시고 금리나 유동성증감등 여러 경제지표도 고려하셔서 판단하셔야될듯....점점 고금리로 간다는것은 자명한 사실인데...아직도 영끌하시려는분들이나 갭투자하시려는분들은 자제하시는게 맞는듯...
주식은 왜 오른지가 분명한데, 산업 패러다임이 바뀌는게 분명한 느낌이 들거든요. 그런데 집은 소득, 물가 등등 따졌을때 어느 정도는 오르는게 정상이지만 막바지에는 심리가 큰 작용을 한 느낌이네요. 물론 주식도 심리 영향 무시 못하지만요. 집도 좋은 입지면 장기적 우상향 맞을거 같고 우상향 속의 조정은 있겠죠. 그 타이밍은 누구도 모르겠고 지금 필요하다면 사는거고 아니면 적당할때 사는거구요. 내 집도 투자관점으로 보라고 하는데 투자관점이라면 지금은 아닌거 같고 당장 필요할때도 아닌거 같고 내려갈때 발바닥을 잡으려면 못 살테니 적당한 가격에 적당한 곳 사는게 맞을듯요. 지금은 적당한 가격은 아닌것 같구요
전세 살다 집주인이 실거주 하겠다고 해서 이번에 등떠밀려 집 샀습니다. 3억에 살던 아파트 최근 전세 5억 6천에 거래되고 계약갱신권 쓸 수 있던 집은 3억 4천에 거래되었어요. 집 살때도 실거주 가능한 집 찾기 쉽지 않더라구요. 다주택자 매물 뿐이고 계약갱신권 쓰고 싶어하는 세입자가 집을 안보여주니 상태를 볼 수도 없었습니다. 물론 날짜가 맞는 매물이 없는것은 아니지만 대출이 시세 40프로인 상태에서 호가가 높으니 쉽지 않더군요. 계약갱신청구권을 이번에 쓰신 분들은 2년 후 어떤 선택을 할까요?
집값 향방은 1. 유동성 2.공급 3.심리 에서 기인한다고 합니다. 현재 1,2번은 완전한 폭등을 예고하고 있고 3번만 혼조세를 띄고 있는듯 하네요. 단지 심리만으로 집값이 꺾이는건 불가능하고 다양한 각도에서 볼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매년 신혼부부가 30만쌍이 나오고 이주수요는 항상 발생하는데 멈춰있는것도 불가능 하죠. 상승론 하락론을 떠나 실거주 1채는 타이밍 보지 말고 지금 사는게 가장 현명한 선택일듯 합니다. 누구 말만따라 모두가 강남에 살 필요는 없으니까요
집값 향방은 1. 유동성 2.공급 3.심리 에서 기인한다고 합니다. 현재 1,2번은 완전한 폭등을 예고하고 있고 3번만 혼조세를 띄고 있는듯 하네요. 단지 심리만으로 집값이 꺾이는건 불가능하고 다양한 각도에서 볼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매년 신혼부부가 30만쌍이 나오고 이주수요는 항상 발생하는데 멈춰있는것도 불가능 하죠. 상승론 하락론을 떠나 실거주 1채는 타이밍 보지 말고 지금 사는게 가장 현명한 선택일듯 합니다. 누구 말만따라 모두가 강남에 살 필요는 없으니까요
25년째 임대중인 조정지역 아파트 1채를 2013년에 8년 준공공주택임대사업으로 등록했는데, 올해 2월에 임대의무기간이 만료되어 자동말소되었습니다. 팔고 싶은데, 재건축조합이 설립되어, 전매금지가 되어, 팔 수가 없어요. 종부세 합산배제도 더 이상 받을 수 없고요. 팔 수 있도록 해주든지, 완공 후 보존등기까지 종부세 합산배제 해주든지, 둘 중 하나는 해줘야 하지 않을까요? 참 답답하네요.
국내외적인 경제 상황이나 금리 등등 객관적이 요소는 고려하지 않고 단지 부동산 공학(?)적인 분석은 의미가 없을듯 합니다. 주식 오를때 못버는 사람없듯이 부동산도 지난 몇년간 그랬죠. 하지만 이제 펀더멘탈 바뀌고 있는데 아직도 펌프질이라니... 솔직히 몇개 방송을 봤는데 죄송하게도 이분은 전문가는 아니고 부동산 투자자 입장에서 얘기하시는 듯하네요.
저금리 기조가 오랫동안 지속되고 코로나로인해 오히려 경기불황으로 안전자산이라 생각하는 부동산으로 돈이 몰린현상이 지금의 집값을 만들었죠 정부에서 세금강화하고 대출규제해도 오히려 집값이 올랐다는건 정상적인 루트로 생각하면 오를수가 없는구조인데 오히려 계속해서 오른다는건 참 부동산공부를 많이했고 지금도 하고있지만 아이러니 함 대출규제를 반대로 느슨하게 풀어준다면 어떻게될까 궁금함
저금리 기조가 오랫동안 지속되고 코로나로인해 오히려 경기불황으로 안전자산이라 생각하는 부동산으로 돈이 몰린현상이 지금의 집값을 만들었죠 정부에서 세금강화하고 대출규제해도 오히려 집값이 올랐다는건 정상적인 루트로 생각하면 오를수가 없는구조인데 오히려 계속해서 오른다는건 참 부동산공부를 많이했고 지금도 하고있지만 아이러니 함 대출규제를 반대로 느슨하게 풀어준다면 어떻게될까 궁금함
1인 1주택은 필수입니다. 문제는 영끌이예요 본인 소득대비 대출 너무과하게 집을 사면, 집이 나의 편안한 보금자리가 아니라 삶에서 가장 무거운 짐이됩니다. 그때부터 집값에 일희일비해지는거예요. 집? 사세요. 지금이라도 무리하지않는 선이라면 사세요. 실거주가능한 내집이 생긴다는건 생각보다 엄청난 안정감과 마음의 여유를 줍니다. 단, 절대 너무 무리하지마세요..
@junkikim2175 113
2021년 3월 14일 13:59이상 거래량이 떨어져도 집값이 오르길 바라는 아는선배의 마음이었습니다
랑이호 109
2021년 3월 12일 17:47거래량은 해석하기나름일수잇지만... 시장심리는 더이상 오르기는 힘들듯합니다. 금리리스크와 세금부담이 크니까요
이상숙 108
2021년 3월 12일 21:563억짜리 집이 불과 한달만에 5억이 됬는데 누가 사려들겠나요 . 그리고 이게 정상적인 오름은 아니죠 거품이지
김선희 101
2021년 3월 14일 09:30이분들도 다주택자시죠
The genius rich 85
2021년 3월 12일 19:43주식으로 말하면 호가창이 얇아졌고
체결강도가 65%이하다
Kong 80
2021년 3월 12일 17:41부동산은 신도 모르지
Blackcat 68
2021년 3월 12일 18:02집이 필요 할 때 구매 해야지
오를지 떨어질지를 판단해 집을 살려고 하면 못 삼!!
@somaoger 67
2021년 3월 16일 18:28그냥 한채는 무리하지안는선에서 사두고 잊고지내면됨. 사촌이부자되도 배아파하지말고 다음기회를 노려야됨. 기회는 반드시옴
유미자 58
2021년 3월 12일 19:05본인 판단하에 대출이 과하면 지금사지않는것이 맞다고봅니다
김대호 51
2021년 3월 12일 17:56상승론자 ㅋ
ko co 50
2021년 3월 15일 02:57집값 떨어지지 않을까요..세달 넘게 전월세 안나가요... 국민 소득이 올라야 집값 상승에 따른 전월세를 감당하죠. 사람들이 먹고 살기 힘들어 지는데 집값만 높아지는게 무슨 의미가 있나 싶네요. 분석을 요리조리 해도 들어올 임차인이나 매수자 없으면 집값 올라도 투자 수익내기 힘들어지겠죠....
이성진 50
2021년 3월 12일 17:59국토부 관계자들이 이 영상을 봤으면,....앗 땅사러 가야하니 못 보겠군.
The genius rich 50
2021년 3월 12일 19:31떨어질 수도 있죠
ko co 50
2021년 3월 15일 02:57집값 떨어지지 않을까요..세달 넘게 전월세 안나가요... 국민 소득이 올라야 집값 상승에 따른 전월세를 감당하죠. 사람들이 먹고 살기 힘들어 지는데 집값만 높아지는게 무슨 의미가 있나 싶네요. 분석을 요리조리 해도 들어올 임차인이나 매수자 없으면 집값 올라도 투자 수익내기 힘들어지겠죠....
@seoyounglee8463 48
2021년 3월 12일 17:44머리숱이 제일 부럽습니다. ㅎㅎ 항상 좋은 인터뷰 감사합니다.
Vincentio Paulo 48
2021년 3월 12일 21:12집값 오른다고 영끌해서 사는게 문제지
윤숙경 47
2021년 3월 13일 11:09떨어져야 정상
갠슐랭TV 47
2021년 3월 12일 17:40결론 : 모른다 :)
@koriny 42
2021년 3월 17일 07:47서울 집값이 뉴욕 집값과 똑같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버블이 많이 껴서 주택 거래량이 급감한게 아닌가 싶네요.
SH Jun 39
2021년 3월 15일 21:10일관적이시네요~ 실거주하면서 하락 파동을 감당할수 있다면 매수해도 된다.
Almighty 38
2021년 3월 12일 18:53예전에(2008) 비해 영끌한 사람들이 엄청나게 많은게 이번 상승장 특징임. 절대로 실질 LTV가 40-50%일거라고 생각하지 마... 당장 P2P나 카드론만 포함시켜도 실질적으로 70%-80%넘어가면서 영끌매수 한 사람들이 한둘이 아닌데.
잘살자 37
2021년 3월 12일 23:16집값 오르면 영끌
조금 조용하면 폭락
소신있게 투자하면 됩니다
허세호TV-초보자를위한 창업정보 37
2021년 3월 12일 17:42주식.. 집 값 떨어진다 떨어진다 이야기 예전부터 계속 나오는데 언제 떨어질지...
김동원 34
2021년 3월 15일 05:35약간 위험한 발언같은데....뭐 일단 본인의 판단이 중요하지만...경기도 지역은 아직도 상승중이지만....단순히 거래량이나 공급과 수요적 측면만 보고 판다하시지마시고 금리나 유동성증감등 여러 경제지표도 고려하셔서 판단하셔야될듯....점점 고금리로 간다는것은 자명한 사실인데...아직도 영끌하시려는분들이나 갭투자하시려는분들은 자제하시는게 맞는듯...
용산캠린 33
2021년 3월 14일 10:55부동산은 심리도 중요한데 이곳저곳에서 꼭지다 지금사면 호구다 자전거래어 낚인거다..등 이러니 이미 매수타이밍 늦은거 다음 사이클 기다리자는 사람이 많은듯해요~ 학군지 중요하거나 아이있는 집들은 살 사람은 다 샀구요
@user-tr5rh1nq5p 32
2021년 3월 12일 17:467:15 ㅋㅋㅋㅋ 서울시장 ㅋㅋㅋㅋ
@gorany 30
2021년 3월 12일 17:06요새 계속 본방사수하다 오늘만 늦었네요ㅠ 남천동 스웩~ 좋은컨텐츠 감사합니다👏
데이릴리_N잡러생존기 28
2021년 3월 12일 21:04떨어질땐 더 떨어질까봐 못사고 오르면 비싸서 못사고 ㅠ 3년 안에 내집마련의 꿈을 이루고 싶어요❤️
@charlottemun1535 28
2021년 3월 12일 17:58코로나 상황이 금융위기보다 힘들다는데 집값은 고공행진이네....
Ziky 26
2021년 3월 15일 13:12어디까지나 참고만 하세요~ 재작년 부동산 폭락한다는 유명 유튜버들 말 믿고 집 한채 팔았는데 팔자마자 급등함 ㅠ
@user-vk5vm9dx9s 23
2021년 3월 12일 17:51시장에 돈이 넘쳐 흐르고 금리가 싸고 나라에서 저금리로 보증대출을 팡팡 해저는데 올라가는게 당연한거지... 8년전 전세자금 8천받이서 이자내는거나 지금 2억받아서 이자내는거나 똑같은데 지금 전세가 전세인가 그냥 이자를 월세라 생각하고 사는거지
규우동 22
2021년 3월 12일 17:01제발 부동산하락..
amanontheedge 19
2021년 3월 12일 17:56개인적으로는 부동산 가격이 아직 상승 여력이 있다고 보고 버티는 것 같습니다.
@wellagingssong 17
2021년 3월 14일 19:39주식은 왜 오른지가 분명한데, 산업 패러다임이 바뀌는게 분명한 느낌이 들거든요.
그런데 집은 소득, 물가 등등 따졌을때 어느 정도는 오르는게 정상이지만 막바지에는 심리가 큰 작용을 한 느낌이네요.
물론 주식도 심리 영향 무시 못하지만요.
집도 좋은 입지면 장기적 우상향 맞을거 같고 우상향 속의 조정은 있겠죠. 그 타이밍은 누구도 모르겠고 지금 필요하다면 사는거고 아니면 적당할때 사는거구요.
내 집도 투자관점으로 보라고 하는데 투자관점이라면 지금은 아닌거 같고
당장 필요할때도 아닌거 같고
내려갈때 발바닥을 잡으려면 못 살테니 적당한 가격에 적당한 곳 사는게 맞을듯요. 지금은 적당한 가격은 아닌것 같구요
@user-dr4fn8ie6b 17
2021년 3월 15일 16:56오르면서 거래량 주는 거랑 내려오면서 거래량 주는 것이 다르죠 주식에서도 마찬가지인데
너부리 17
2021년 3월 16일 13:21비싼건 맞지만 고점은 모르겠다 가 맞는 말임.
Minjung Kwon 16
2021년 3월 14일 16:28부동산 투자 하시는 분들 중 집값 떨어지길 바라는 사람이 누가 있겠어요.
이엘파파 14
2021년 3월 19일 19:36지금 이런 판에 부동산 살까를 고민 한다는게 다들 돈이 넘치나보네 ㅋㅋ 도대체 빛은 누가 다지고있는거야? 다들 이렇게 돈이 많은데 ㅋ
이동현 14
2021년 3월 12일 17:12이거 저번에 올라왔던 거 아닌가요?ㅎㅎ
Taehyunkim6449 13
2021년 3월 12일 19:362월말 기사인데, 이 영상 과거에 나왔던 거 아닌가요?
새나라 13
2021년 3월 20일 17:48종부세 폭탄 맞으면 매물 늘어날 듯.
소금돌이 TV - 짠테크 & 주식 13
2021년 3월 12일 17:09전월세를 잡는게 중요하다,,,
현실과의 제도로 잡는 차이가 크네요 ㅜㅜ
@jiwonshin3761 13
2021년 3월 12일 17:02아는선배님 너무 좋습니다!! 꼭 쳉겨듣는 유일한 콘텐츠 입니다
맛동산 12
2021년 3월 12일 19:40지금 상황에서 실거주라도 무리한 대출로 영끌하면 롱포지션이다.
작은쿠마 12
2021년 3월 15일 02:25세금이기다려요
판타스틱소년 12
2021년 3월 12일 17:01진짜 부동산 세금땜에 미치겠네요 조금더 나은곳으로 가고싶은데 너무 힘듭니다. ㅠㅠ
정호진 12
2021년 3월 12일 21:17아 진짜 이 두분 너무 좋다. 영상도 좋고 이뷴들 마음씨도 좋구 ... 이제야 알게되서 아쉽지만...고맙습니다❤️❤️❤️👏👏👏👍👍👍
jung jung 11
2021년 3월 12일 17:09예전공식으로 암만 예측해봤자 의미없죠 ㅋㅋㅋ누구 덕분에 시장이 시스템이 완전 변함 필연적으로 전세난과 급등으로 갈수밖에 없음 벼락거지 이상의 신조어가 생겨날듯
@user-zq1rw7yv8e 11
2021년 3월 12일 17:46늘 감사감사~
안재헌 9
2021년 3월 23일 07:1910억짜리 아파트가 즐비합니다
지방도 중대형도시 8억이상입니다
어떻게집을사죠? 도대체 알고싶어요
빼팅 부동산 9
2021년 3월 21일 20:44무주택자만 물량 받는 상황. 전세 10억이 옛날 월세 200과 같은 상황. 금리 하나로 모든 분위기가 바뀜니다. 조심할 시점.
베리베리굳 8
2021년 3월 14일 15:00전세 살다 집주인이 실거주 하겠다고 해서 이번에 등떠밀려 집 샀습니다. 3억에 살던 아파트 최근 전세 5억 6천에 거래되고 계약갱신권 쓸 수 있던 집은 3억 4천에 거래되었어요. 집 살때도 실거주 가능한 집 찾기 쉽지 않더라구요. 다주택자 매물 뿐이고 계약갱신권 쓰고 싶어하는 세입자가 집을 안보여주니 상태를 볼 수도 없었습니다. 물론 날짜가 맞는 매물이 없는것은 아니지만 대출이 시세 40프로인 상태에서 호가가 높으니 쉽지 않더군요. 계약갱신청구권을 이번에 쓰신 분들은 2년 후 어떤 선택을 할까요?
여유시간 7
2021년 3월 12일 17:53저도 거래량 뉴스만 보고 걱정했었어요.
그 안에 상황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알았어야 했는데..
덕분에 제대로 보는 눈을 배우고 있어서 늘 감사드립니다. ^-^
Brian Jeon 7
2021년 3월 15일 10:55이걸보고 영끌사면 또 몇억 버는건가?!
@user-sk2ln7tz9k 6
2021년 3월 14일 00:59며칠전에 본 영상 같은데 재방송인가요?
하나로 6
2021년 3월 14일 06:31잘됐네요..이제 효과 나오나?
sunmg 5
2021년 4월 07일 10:17계약갱신 청구권 쓴다고 하니 자기네가 들어온다하고 집 알아보는데 사랑방에 전세를 9천올려 내놓았어요ᆢ 서러워요ㆍ
치치머 5
2021년 3월 12일 17:32부동산 하락의 진짜 무서운 점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매수 하려는 사람이 전혀 없이 하락한다는 것입니다..
Jin choi 5
2021년 3월 12일 17:09원래 11, 12, 1, 2월에 거래량이 많고
3, 4,5월에는 거래량이 좀 감소합니다.
학군수요땜에. 6월까지 지켜봐야해요
KOREA uncensored 5
2021년 3월 12일 19:43하지만 임대시장 잡는다고 벌이는 게 공공임대. 임대시장의 90%를 차지하는 민간임대는 틀어막고서...
민간임대 활성화 하려면 다주택자들의 부담을 경감시켜야하는데 반대로 세금 폭탄 때려서 임대매물 위축시키고 임차인에게 세금전가하게 만듦.
@chunsik6974 5
2021년 3월 21일 19:06다주택자, 비주거 주택 구매시 취득세
30% 때리면 집값 잡을수 있을듯 합니다
성균김 5
2021년 3월 12일 17:20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limeijin2232 5
2021년 3월 12일 17:21좋은 내용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mocalatte1173 4
2021년 5월 05일 12:57수도권 저희동네 찾아보니 매물 쌓였어요. 부동산 10몇 개 가보고 매물이 쌓였으면 그 중 좋은게 고를게 아닌라 관망이 맞는거같아요
@user-eg9bn4bc6u 4
2021년 3월 14일 19:32캬 ~~~정말 좋은 강의 입니다ㆍ
박수 👏👏👏👏
@user-ee7lw3rr2x 4
2021년 3월 31일 12:14두분 조합 너무 편하게 시청하고 합도 좋으시고 정보도 알차네요 v v 귀여우심 ㅎㅎ
cabaro 4
2021년 3월 15일 07:58집값 향방은 1. 유동성 2.공급 3.심리 에서 기인한다고 합니다. 현재 1,2번은 완전한 폭등을 예고하고 있고 3번만 혼조세를 띄고 있는듯 하네요. 단지 심리만으로 집값이 꺾이는건 불가능하고 다양한 각도에서 볼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매년 신혼부부가 30만쌍이 나오고 이주수요는 항상 발생하는데 멈춰있는것도 불가능 하죠.
상승론 하락론을 떠나 실거주 1채는 타이밍 보지 말고 지금 사는게 가장 현명한 선택일듯 합니다. 누구 말만따라 모두가 강남에 살 필요는 없으니까요
과천씨티부동산 4
2021년 3월 16일 13:32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cabaro 4
2021년 3월 15일 07:58집값 향방은 1. 유동성 2.공급 3.심리 에서 기인한다고 합니다. 현재 1,2번은 완전한 폭등을 예고하고 있고 3번만 혼조세를 띄고 있는듯 하네요. 단지 심리만으로 집값이 꺾이는건 불가능하고 다양한 각도에서 볼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매년 신혼부부가 30만쌍이 나오고 이주수요는 항상 발생하는데 멈춰있는것도 불가능 하죠.
상승론 하락론을 떠나 실거주 1채는 타이밍 보지 말고 지금 사는게 가장 현명한 선택일듯 합니다. 누구 말만따라 모두가 강남에 살 필요는 없으니까요
블랙앤화이트 4
2021년 3월 14일 13:56팩트 2012년도 2020년도 거래량에 감소는 확실하지만 매도물량 차이가 있다 라는 말은 맞지만 ~~~~ 가장 중요한 공통점 2012년 2020년 공통점은 매수세가 없다 이게 팩트
@user-jz8sb8vq1h 3
2021년 3월 16일 15:2225년째 임대중인 조정지역 아파트 1채를 2013년에 8년 준공공주택임대사업으로 등록했는데, 올해 2월에 임대의무기간이 만료되어 자동말소되었습니다. 팔고 싶은데, 재건축조합이 설립되어, 전매금지가 되어, 팔 수가 없어요. 종부세 합산배제도 더 이상 받을 수 없고요. 팔 수 있도록 해주든지, 완공 후 보존등기까지 종부세 합산배제 해주든지, 둘 중 하나는 해줘야 하지 않을까요? 참 답답하네요.
Junghwan ahn 3
2021년 3월 12일 17:26그냥 세금 때문에 높은 가격에 팔고 실제 수요력은 그걸 못 받춰주니까 아님? 높은호가에 수요의 일부인 거래가 성사되면 가격은 그대로 되니까..
보통 요새 하락이 두려워서 안사고 있는 사람도 많음
2011년과 2019년의 차이는 코로나로 인한 예정에 없던 양적완화, 예정에 없던 연장전이라고들 표현하더라구요 삼프로서 봄
유트루 3
2021년 3월 20일 15:13팩트를 확인하고 헤드라인이 휘둘리면 안된다! 너무 공감하고 갑니다. 집값은 거래량으로 좌지우지 되는것이아니다. 빙고!
@lq_urdoctor 3
2021년 3월 12일 17:35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느네TV 2
2021년 3월 19일 04:4819:40ㅋㅋ
19:44ㅎㅎㅎㅎ나도 이렇게 잘 받아주는 사람이 되어야하는데
김주애 2
2021년 3월 12일 19:08서울시장~~ㅋㅋ
SAM SUNG 2
2021년 3월 26일 18:41거래량이 없다...? 제대로 정책을 안내놓고 ㅋㅋ 세무사도 변호사도 모르는 상황 만들어서 거래 못하게 해놓고 거래량 줄었다 드립 ㅋㅋ 미친정부.. 2021 하반기 부동산 급등각 입니다 여러분 ㅠㅠㅠㅠ 그만좀 속길
Cy Kim 2
2021년 3월 23일 18:52국내외적인 경제 상황이나 금리 등등 객관적이 요소는 고려하지 않고 단지 부동산 공학(?)적인 분석은 의미가 없을듯 합니다. 주식 오를때 못버는 사람없듯이 부동산도 지난 몇년간 그랬죠. 하지만 이제 펀더멘탈 바뀌고 있는데 아직도 펌프질이라니... 솔직히 몇개 방송을 봤는데 죄송하게도 이분은 전문가는 아니고 부동산 투자자 입장에서 얘기하시는 듯하네요.
sangmin lee 2
2021년 3월 12일 17:52젊은 부부들중 젤 안타까운게 새집분양기다리다가 현실에 밀려 시기놓치고 구축아파트 오르기전에 매매 결심못하다가 또 늦어져서 때놓치고 손가락빨면서 하락론자로 빠져드는거임. 모아둔 돈들은 잘알지도 못하면서 코인이랑 주식에 물려서 속앓이까지 하게됨.
@bins7187 2
2021년 3월 12일 17:27ㅎㅎㅎㅎ재미도 있고 감동도 있고
너므 좋아요~~~♡♡
Kelly YOU 2
2021년 3월 13일 01:15사연 어디에 올리나요?
강프로와 최펙 2
2021년 3월 18일 13:34LH가 가지고있는 아파트분양당시 가격으로 100푸로 지금분양하면 아파트 절대 안정됩니다.
그래야 LH도살고 서민들도 살수 있다
박현진 2
2021년 3월 13일 00:32고블린을 죽이세요 ㅋ
둥니기리 2
2021년 3월 14일 07:52저금리 기조가 오랫동안 지속되고 코로나로인해 오히려 경기불황으로 안전자산이라 생각하는 부동산으로 돈이 몰린현상이 지금의 집값을 만들었죠 정부에서 세금강화하고 대출규제해도 오히려 집값이 올랐다는건 정상적인 루트로 생각하면 오를수가 없는구조인데 오히려 계속해서 오른다는건 참 부동산공부를 많이했고 지금도 하고있지만 아이러니 함 대출규제를 반대로 느슨하게 풀어준다면 어떻게될까 궁금함
둥니기리 2
2021년 3월 14일 07:52저금리 기조가 오랫동안 지속되고 코로나로인해 오히려 경기불황으로 안전자산이라 생각하는 부동산으로 돈이 몰린현상이 지금의 집값을 만들었죠 정부에서 세금강화하고 대출규제해도 오히려 집값이 올랐다는건 정상적인 루트로 생각하면 오를수가 없는구조인데 오히려 계속해서 오른다는건 참 부동산공부를 많이했고 지금도 하고있지만 아이러니 함 대출규제를 반대로 느슨하게 풀어준다면 어떻게될까 궁금함
Wooseong Kim 2
2021년 4월 04일 12:11웃긴다...기준금리 2 넘어가면 어떻게 될지 보면 안다...지금이야 눈치장이지만 투기 매물 쌓이는건 순식간이라 정작 때 되면 못팔지..
이성일 1
2021년 5월 03일 12:43다주택자들에게 무슨 말을
듣고 싶어서 이런 동영상 보고 있냐?
Hyesun Jung 1
2021년 3월 12일 18:36친절한 설명 감사드려요.
야생화 1
2021년 3월 12일 17:38매매가가 올라가는데 전세가만 안올라가냐? 말이되는소릴해야지 ㅉ ㅉ
catch chance 1
2021년 4월 02일 20:54전세계적인 집값 상승 상황인데..
너무 희망론을 펼치는 것 아닌지..
김누리 1
2021년 4월 30일 13:58다주택이 문제 ~금리변동
기드온 1
2021년 3월 12일 17:21세금폭탄맞고 월급은 세금과 이자로 다나가면 과연 머가 남을까?
양미혜 1
2021년 3월 17일 17:54여기는 집값 오르를 바라는 사람들 많은데
계속 오르겠죠?
집값 폭등
@user-wc8ns8qe9q 1
2021년 4월 09일 00:59항상감사드립니다
잘듣고있어요
TMT의식의흐름 1
2021년 3월 22일 22:4611년 19년 금리 스텐스..
한청 1
2021년 3월 12일 19:16지금 바뀐 썸네일이 더 깔끔하고 보기 좋은것같습니다!
나이스 1
2021년 3월 14일 20:12쨘
장우링 1
2021년 3월 19일 23:20매리트가 없음
전다의 1
2021년 3월 12일 17:41나도 백억있고 싶다......
@user-qv7mk8gk9e
2021년 3월 15일 00:39유익한 내용이네요..
@pick4113
2021년 3월 19일 07:52좋은자료 감사합니다.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차경호
2021년 6월 08일 08:49금리 상승 언론에 계속 나옵니다 조심하시길
애둘아빠
2021년 3월 16일 13:51여기저기 많이 보고 샀으면...좋았을텐대...
저는 그냥 퇴근길에 가서 그냥 1~2개 보고 샀는데 항상 ㅜㅜ
셰쿄.
2021년 3월 12일 17:44이미 다주택자들은 집 팔고 다 빠져 나갔어요.
대한민국
2021년 3월 12일 17:20이게답이다 부동산경제론하고도 맞아떨어지네요 당연하겠지만
Dong woo Kim
2021년 3월 16일 13:56감사합니다
rarmo
2021년 3월 14일 13:28항상좋은영상감사합니다.
판타스틱소년
2021년 3월 12일 17:59부모님이 조금더 여유가 있어서 집을 바꿔주시는데 뭔 세금이 양도세 취득세 하면 거진 7천
성균김
2021년 3월 12일 17:21ㅁㅈㅁㅈ 하나만 가지고 의사결정하면 안되지
황지윤
2021년 3월 16일 13:09거래량 줄었다는 과거와 작년의 신문기사 이후 정부의 정책이 어떠하였는지를 비교해주셔야 객관적인 거래량 반응에 대한 결과를 볼 수 있는거 아닐까요?
그것도 고려해서 분석 부탁드려도 될까요?
Yehjang K
2021년 3월 20일 13:21너나위님 ㅜㅜ 진정성이 느껴져요
이백억
2021년 4월 03일 08:04감사합니다
강애니
2021년 3월 20일 09:25무조건이구나
최상민
2021년 3월 14일 15:27계절적 요인?
장재철
2021년 3월 12일 17:14잘보고있습니다.
Craft Star
2021년 3월 12일 17:22지금 올른거는 세금 때문에 올른거죠 뭐
보름달
2021년 4월 25일 10:17왜 매물이 없는지가 빠졌네요
임정란
2021년 3월 15일 19:28우와 대박 강의 감사해요
최마루
2021년 5월 22일 01:221인 1주택은 필수입니다. 문제는 영끌이예요 본인 소득대비 대출 너무과하게 집을 사면, 집이 나의 편안한 보금자리가 아니라 삶에서 가장 무거운 짐이됩니다. 그때부터 집값에 일희일비해지는거예요. 집? 사세요. 지금이라도 무리하지않는 선이라면 사세요. 실거주가능한 내집이 생긴다는건 생각보다 엄청난 안정감과 마음의 여유를 줍니다. 단, 절대 너무 무리하지마세요..
@user-gd4cl4vi2p
2021년 3월 25일 07:21좋은 말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