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임당님, 이런 컨텐츠 형식도 너무 좋아요! :) 똑똑한 사람이 불행한 이유 3가지 1. 자기관리 - 아주 쉬워보이는 일도 너무 많은 계산을 하고, 지능이 높아질수록 상식에서 멀어질 수 있다. (지능의 역설) 2. 인간관계 - 똑똑할수록 의사소통능력이 많이 떨어질 수 있다. 사바나 지능(관계를 만들어 가는 지능)과 일반 지능(추상적인 사고를 해내는 지능)의 차이! ex) 쉘든의 예시 3. 연애 - 똑똑할수록 남녀 간의 관계에서 큰 고민을 겪게 되고 상대를 이해하지 못해서 '호환성' 문제를 겪게 된다.
결국 우리의 실제 삶에서 중요한 것은 자기관리, 인간관계, 연애, 가족과의 관계인데, 지능이 너무 높으면 오히려 이런 부분을 소홀하게 대할 수 있다는 것에 공감이 되어요 ㅎㅎ 자기관리, 인간관계, 연애, 가족과의 관계와 함께 뛰어난 사업적 성취까지도 낼 수 있는 사람으로 성장하고 싶어요 :) 신사임당님 오늘 영상도 정말 감사합니다!ㅎㅎ
예전 닉넴 '게으른 생각쟁이'였는데ㅋ 머리도 나쁘면서 생각만 하다 지치는 타입이었어요~ 전 결정 쟁애라고 생각했는데 일반지능이 높다고 좋게 말씀하시네요~^^ 생각도 중요하지만 결정과 행동의 중요성을 느끼고 닉넴도 바꾸고 노력하고있습니다 방송 늘 감사합니다 이젠 아프지마세요~
지능이 높은 것일 수도 있는데 불안도가 높은 것은 아닐까요? 둘 다 일 수도 있구요. 불안도가 높아서 쉽게 결론을 짓지 못하고 확신이 생길때까지 끝없이 경우의 수를 생각하는 그런? 아무리 생각을 거듭해봤자 애초에 불안도가 높은 성향이라 확신이 쉽게 생기지 않으니 뭘 결정하는 것 자체에 많은 과정과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는 그런? ㅎㅎ 제 경웁니다 ㅎㅎ
저는 생각이 많은 편이라 실행력이 떨어지는 편이었어요 ㅠㅠ 그래서 온라인사업을 시작할때도, 퇴사를 결심하기까지도 꽤 오랜 시간이 걸렸던것 같아요 :) 그래도 지금은 다행이 결단을 내린 상태라 생각했던 것들을 하나 둘 가시화하기위에 추진하고 있습니다!! 신사임당님 영상을 보면서 동기부여도 받고 여러 팁들도 얻어 한발 두발 내 딛을 수 있었요 🙋🏻♀️ 감사합니다!
칸트가 청혼을 받고 3년을 생각하다 여자가 다른 남자와 결혼한 것과 아인슈타인이 전처를 하녀처럼 부렸다는 게 생각나네요 사바나 능력이 모자라서 그렇군요 신은 공평한가봅니다. 하룻밤에 천리를 나는 붕새가 한 곳에서 평생을 사는 매미를 비웃지말고, 매미 또한 붕새는 왜 쓸데없이 천리를 가냐고 비난하지 말라는 장자의 말씀이 떠오릅니다. 상대를 이해하는 배려심이 요즘 세상에서도 미덕이 될 듯 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기계적으로 일반지능 사바나지능의 균형을 잡아서 해결하기보다, 지방마다 나오는 특산물을 교역을 통해서 결핍없이 살아가듯 주위 사람들과의 소통으로 각자의 장점을 살리면서 살아가면 좋겠다는 생각이드네요. 깊이 들여다보면 세상 모든 사람이 다 다르니 호기심을 갖고 소통해봅시다.
저도 그 똑똑한 사람의 분류에 있는 사람인거같아요. 좋은 명문대를 나와서 전문 자격증을 취득해 회사에 다니고 있는데 어떻게 사는게 맞는 건지 요즘 회의가 듭니다. 어렸을 때부터 똑똑하다는 소리를 많이 들었지만 관계에는 많이 미숙했어요. 때문에 친구도 많이 없고 연애도 별로 못해봤습니다. 처음에는 똑똑한게 운이 좋고 재능이라고 생각했는데 지금은 그냥 평범하게 연애도 하고 친구들이랑 어울리면서 지내고 싶어요. 계속 공부하고 발전하면서 재능을 사용하는게 맞는 걸까요 아니면 관계에 조금 더 치중하면서 행복을 추구하는게 맞는걸까요?? 정말 요즘 어떻게 살아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평생을 신사임당님이 말하신 똑똑한 사람의 분류에서 살아왔거든요... 혹시 누구라도 보신다면 조언 한마디 부탁드리겠습니다!
저도 그 똑똑한 사람의 분류에 있는 사람인거같아요. 좋은 명문대를 나와서 전문 자격증을 취득해 회사에 다니고 있는데 어떻게 사는게 맞는 건지 요즘 회의가 듭니다. 어렸을 때부터 똑똑하다는 소리를 많이 들었지만 관계에는 많이 미숙했어요. 때문에 친구도 많이 없고 연애도 별로 못해봤습니다. 처음에는 똑똑한게 운이 좋고 재능이라고 생각했는데 지금은 그냥 평범하게 연애도 하고 친구들이랑 어울리면서 지내고 싶어요. 계속 공부하고 발전하면서 재능을 사용하는게 맞는 걸까요 아니면 관계에 조금 더 치중하면서 행복을 추구하는게 맞는걸까요?? 정말 요즘 어떻게 살아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평생을 신사임당님이 말하신 똑똑한 사람의 분류에서 살아왔거든요... 혹시 누구라도 보신다면 조언 한마디 부탁드리겠습니다!
선택과 집중에서 효율이 떨어져요. 행동으로 무언가를 옮기고 경험치를 높여야 더 부와 성공에 가까워진다 생각합니다. 생각이 많고 감정선도 더 많은 시간 정리해야하고 업무나 다른 중요하다 여기는 것들에서 모락모락 떠오르는 아이디어나 과거의 기억들까지 끝도 없죠. 그래서 가장 중요한 지표 1,2가지만 남기고 나머지는 차순을 둬 잊거나 해소하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느꼈어요. 적당히 dull하고 단순화된 인간상이 현 세상을 살아가기 훨씬 효율적이고 편해요.
우리가 흔히 부르는 '천재'는 '일반 지능'이 높은 것이고, 저는 또다른 관점으로 일반적인 지능이 높지는 않아 천재라고 부르기 어렵지만, 사바나지능이 높아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잘 맺고 사회에서 살아가는 능력이 높은 사람 또한 '천재'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관계 맺기의 천재 이렇게
스스로의 행복감이 제일 중요하다. -지능높은 사람이 자기 일에 대한 성취도에 행복감을 느끼면 관계력이 낮아도 개인적으론 행복하고 + 사회적으론 가치있는 인생. -지능높은 사람은 사회적 공헌이 많겠으나 그들이 인간관계에서 행복을 찾는 성향이라면 개인적으로는 불행한 인생. -일반적으로, 지능은 평균이고 관계력이 높은 사람이 성공은 못하는데 인기는 좋다.
<영상 요약> ---------- 똑똑한 사람(=사고력 높은 사람)이 못하는 것 1.자기관리: 생각이나 기획이 너무 상세해서. 2.인간관계: (사바나지능:생존을 위한 무리속 관계력/일반지능:추상적 사고력) 3.연애: 사고력이 높아서 관계력높은 사람과 호환이 안됨
언젠가 하셨던 말씀처럼 여러 실험을 하시는 것 같은데, 혼자 말씀하시면서 적절한 부수 영상이 추가된 이런 버젼도 좋네요! 영상에서 말씀하신 똑똑함의 차원과는 조금 다르지만, 개인적으로는 계산하기 보다 경험적/직관적으로 전략적 판단을 빠르게 내리는 타입이 투입 대비 꽤나 괜찮은 효용을 만들어낸다는 생각이 들어요.
오 새로운 형식의 영상이군요!! 영상 내용 잘봤습니다 다만 다른분들도 배경음악에 대한 피드백을 많이 주셨는데 저도 비슷하게 내용에 방해되는것을 느꼈어요 개인적으로 알간지님이나 믹키서님같은 유튜버 분들의 영상 스타일이 정보 전달을 잘하면서 정돈되었다고 생각햇는데 참고해보시면 좋을것같아요!!!
진짜 똑똑사람들은 필요한것 중요한것에 비중을 조절하고 일반인의 사고에 상식을 맞추어 생활하지 않을까요?? 다만 그런 것들이 본인의 사고와 괴리가 있으니 그 차이만큼 스트레스로 다가 올 수있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진짜 천재는 그것을 관리할 수 있는 사람이고 아닌사람들은 각기 분야의 재능이 있는 사람인것 같아요.
선택의 길이 많을수록 고민수도 많아져서 어떤 경우엔 행복한 고민일 수도 있어요 . 성적이 좋은 자녀 S대갈까? k대갈까 ?Y대갈까?💕고민하더군요 . 음 .... 저는 선택의 수를 줄이는 연습을 하며♡ 생각 많이하는 성격이 조금씩 바뀌었어요 ! 나이 먹어갈수록 선택의 길이 줄어드니 그래서 행복해진다고 하나봐요
똑똑한 사람이 더 피곤할 수 있죠. 아는 것이 점점 더 많다보니 더 생각이 많아지죠. 적당한 상식 이상의 지식이 있기 때문에 생각의 폭이 더 큽니다. #지능의역설 지능이 만능이 아니다. 똑똑한 친구들 중에 의사소통이 잘 안되는 사람이 많다는 부분이 흥미롭네요. 한쪽에만 치우친 지식 보다는 보다 폭넓은 지식을 습득해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떤 본질이 더 중요한지 생각해보고 돌아보는 시간이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선택의 길이 많을수록 고민수도 많아져서 어떤 경우엔 행복한 고민일 수도 있어요 . 성적이 좋은 자녀 S대갈까? k대갈까 ?Y대갈까?💕고민하더군요 . 음 .... 저는 선택의 수를 줄이는 연습을 하며♡ 생각 많이하는 성격이 조금씩 바뀌었어요 ! 나이 먹어갈수록 선택의 길이 줄어드니 그래서 행복해진다고 하나봐요
똑똑한 사람이 더 피곤할 수 있죠. 아는 것이 점점 더 많다보니 더 생각이 많아지죠. 적당한 상식 이상의 지식이 있기 때문에 생각의 폭이 더 큽니다. #지능의역설 지능이 만능이 아니다. 똑똑한 친구들 중에 의사소통이 잘 안되는 사람이 많다는 부분이 흥미롭네요. 한쪽에만 치우친 지식 보다는 보다 폭넓은 지식을 습득해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떤 본질이 더 중요한지 생각해보고 돌아보는 시간이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정상욱 301
2021년 3월 15일 16:47어쩐지 행복하더라...
성공한 삐약이, 집과 차를 가진 25살. 298
2021년 3월 15일 16:42“천재는 아니더라도 돈은 천재적으로 많이 번 사람은 많다”
이 글 보시는 분들이 다 해당되시길👏🏻
허언증완치자 259
2021년 3월 15일 18:34생각과 고민이 오히려 목표를 이루는데 방해가 될때도 있지. 싸게 살려고 매우 고민하는 것보다 약간 비싸더라도 그냥 10분동안 살거만 사고 남은시간에 다른거하는게 합리적이지. 합리적으로 생각하지 않는게 결과적으로 합리적일때도 있다.
wallabee 212
2021년 3월 15일 16:41생각하다 지치는 사람 여기요...... 저는 머리가 좋지도 않은데ㅜㅜㅎㅎㅎ올해 목표를 생각은 줄이고 행동은 늘리기로 잡고 있습니다
sk 190
2021년 3월 20일 07:16똑똑한 사람들은 자기수준 만큼의 대화와 공감을 형성할 수 있는 사람이 별로 없어요 그래서 공허하고 외로워서 불행한 듯
낭만물고기 149
2021년 3월 15일 16:30초반처럼 신사임당님 솔로영상도 올라와서 좋네요!
현주명 137
2021년 3월 15일 18:17그런데 지능이 높은 것과 똑똑하거나 생각이 많은 건 좀 다른 것 같기도 해요. 전 아이큐 테스트 할때 딱 평균 나왔는데 남들보다 생각이 너무 많아서 머리가 아픕니다.
Mark Xavier 130
2021년 3월 15일 18:06갈수록 느끼는건 어리숙해 보이는 사람이 알고보면 가장 똑똑한 사람 같다.
지식은 지혜를 이길수 없더라.
Cozy dewly, 듈리의 굿라이프 제작소 103
2021년 3월 15일 19:33신사임당님, 이런 컨텐츠 형식도 너무 좋아요! :)
똑똑한 사람이 불행한 이유 3가지
1. 자기관리 - 아주 쉬워보이는 일도 너무 많은 계산을 하고, 지능이 높아질수록 상식에서 멀어질 수 있다. (지능의 역설)
2. 인간관계 - 똑똑할수록 의사소통능력이 많이 떨어질 수 있다. 사바나 지능(관계를 만들어 가는 지능)과 일반 지능(추상적인 사고를 해내는 지능)의 차이! ex) 쉘든의 예시
3. 연애 - 똑똑할수록 남녀 간의 관계에서 큰 고민을 겪게 되고 상대를 이해하지 못해서 '호환성' 문제를 겪게 된다.
결국 우리의 실제 삶에서 중요한 것은 자기관리, 인간관계, 연애, 가족과의 관계인데, 지능이 너무 높으면 오히려 이런 부분을 소홀하게 대할 수 있다는 것에 공감이 되어요 ㅎㅎ
자기관리, 인간관계, 연애, 가족과의 관계와 함께 뛰어난 사업적 성취까지도 낼 수 있는 사람으로 성장하고 싶어요 :) 신사임당님 오늘 영상도 정말 감사합니다!ㅎㅎ
모블링 65
2021년 3월 15일 16:41어쩐지 내 인생이 불행하더라니
TheSundaymorningrose 43
2021년 3월 15일 17:19경우의 수를 많이 생각하는 거죠
하지만 신은 그 경우의 수를 철저하게 빗겨나가는 것 같네요
일만슬아탯슬아 39
2021년 3월 15일 18:04성인ADHD가 많아요. 살짝 상담 + 약물 도움 받으면 불필요하게 돌아가는 과다한 생각들을 없애줄 수 있습니다.
millin ingang 34
2021년 3월 18일 23:21후; 진짜 천재면 억울하지나 않지
youngji Kim 31
2021년 3월 15일 17:50일반지능도 사바나지능도 떨어지는 사람 손들어봐....
KT댕댕이 30
2021년 3월 15일 17:41수준높아지면 일상생활이 불편해지기는 해요ㅠㅠㅠ
감정브로 27
2021년 3월 15일 22:45신사임당 본인이 일반지능이 높다고 생각하지 않았다면 이영상을 찍지도 않았을것이다.
멀그 26
2021년 3월 15일 18:22좋이와 팬이 없으면 피곤해지는 사람입니다. 생각이 생기면 종이에 적고 뭔갈 하기 전에 계획을 구체적으로 해놔야 추진이 되는 타입입니다.
수학강사 혜기 23
2021년 3월 15일 17:19신사임당님의 생각을 듣고 싶던 1인인데, 이번 컨텐츠 너무 좋아요!!
감사히 잘 보겠습니다ㅎㅎ
act calmly 23
2021년 3월 15일 17:44예전 닉넴 '게으른 생각쟁이'였는데ㅋ 머리도 나쁘면서 생각만 하다 지치는 타입이었어요~ 전 결정 쟁애라고 생각했는데 일반지능이 높다고 좋게 말씀하시네요~^^
생각도 중요하지만 결정과 행동의 중요성을 느끼고 닉넴도 바꾸고 노력하고있습니다
방송 늘 감사합니다 이젠 아프지마세요~
KG 19
2021년 3월 16일 10:23bgm이 너무 정신이 없네요 조금만 차뷴한 음악이였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인사이트 얻고 갑니다
Singing English Teacher 노래하는 이티 19
2021년 3월 15일 22:44생각이 너무 많은건 사람을 지치게 만들어요. 생각에서도 미니멀리스트가 되려고 노력중요☘
케파 아시바안나가 15
2021년 3월 15일 16:31대체로 공감합니다.
저도 하트 눌러주세요.🙂
masoolshow 15
2021년 3월 15일 21:38지능이 높은 것일 수도 있는데 불안도가 높은 것은 아닐까요? 둘 다 일 수도 있구요. 불안도가 높아서 쉽게 결론을 짓지 못하고 확신이 생길때까지 끝없이 경우의 수를 생각하는 그런? 아무리 생각을 거듭해봤자 애초에 불안도가 높은 성향이라 확신이 쉽게 생기지 않으니 뭘 결정하는 것 자체에 많은 과정과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는 그런? ㅎㅎ 제 경웁니다 ㅎㅎ
정명지 15
2021년 3월 15일 17:111 자기관리
2 인간관계
3 연애
사바나지능^^♡
Seromi JH 14
2021년 3월 15일 16:45브금 소리 조금만 줄여주시면 더 좋을 것같아요~~
도챠르트 Dozzart 14
2021년 3월 16일 22:06이러면 제가 똑똑한줄 안다구요..
트웬티 13
2021년 3월 15일 18:49또한 그들(천재들)이 불행하다고 내가 행복해지는 건 아니니까,,,,,,,,,,,,그런 비교는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요,,,일종의 자기위안밖에 안되는것 같아요
아우토반 12
2021년 3월 15일 20:22그래도 평범한 사람보단 괴짜소리를 들어도 천재로 살아보고 싶네요
댕댕냥yjs 10
2021년 3월 15일 20:29내가 똑똑해서 그런건가?..ㅎㅎ사바나지능 완전 떨어져...ㅠ
김현정 10
2021년 3월 15일 19:11그래서 학교 1등이 사회 꼴지가 될수도 있다고
일예가 있었군요
데이릴리_N잡러생존기 10
2021년 3월 15일 16:40저는 생각이 많은 편이라 실행력이 떨어지는 편이었어요 ㅠㅠ 그래서 온라인사업을 시작할때도, 퇴사를 결심하기까지도 꽤 오랜 시간이 걸렸던것 같아요 :) 그래도 지금은 다행이 결단을 내린 상태라 생각했던 것들을 하나 둘 가시화하기위에 추진하고 있습니다!! 신사임당님 영상을 보면서 동기부여도 받고 여러 팁들도 얻어 한발 두발 내 딛을 수 있었요 🙋🏻♀️ 감사합니다!
KuriOSS 큐리오스 10
2021년 3월 15일 16:46공감가는 내용 감사합니다. bgm이 두개가 들리는것 같은데 환청인가요??
AIECO에이코 10
2021년 3월 15일 17:03칸트가 청혼을 받고 3년을 생각하다 여자가 다른 남자와 결혼한 것과 아인슈타인이 전처를 하녀처럼 부렸다는 게 생각나네요 사바나 능력이 모자라서 그렇군요 신은 공평한가봅니다.
하룻밤에 천리를 나는 붕새가 한 곳에서 평생을 사는 매미를 비웃지말고, 매미 또한 붕새는 왜 쓸데없이 천리를 가냐고 비난하지 말라는 장자의 말씀이 떠오릅니다. 상대를 이해하는 배려심이 요즘 세상에서도 미덕이 될 듯 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제니퍼 Jennifer K 9
2021년 3월 15일 20:16에너지가 어디서 줄줄 새나 했더니..제 생각들이네요 ^^
Jinisss 8
2021년 3월 15일 16:39솔로영상 너무좋아요....
알로우 8
2021년 3월 15일 17:14기계적으로 일반지능 사바나지능의 균형을 잡아서 해결하기보다, 지방마다 나오는 특산물을 교역을 통해서 결핍없이 살아가듯 주위 사람들과의 소통으로 각자의 장점을 살리면서 살아가면 좋겠다는 생각이드네요. 깊이 들여다보면 세상 모든 사람이 다 다르니 호기심을 갖고 소통해봅시다.
소금돌이 TV - 짠테크 이야기 8
2021년 3월 15일 16:41ㅋㅋ 사바나 지능 들으면서 맞네 맞네,, 듣다가
연애 이야기 나오니까 하,,,, 눈물이 앞을 가림 ㅜㅜ
JY Kim 7
2021년 3월 15일 19:09일반지능이 높으면 사바나 지능도 대체로 높은거 같은데요... 나이가 어릴때야 문제가 있겠지만... 사람은 누구나 나이가 들면서 인간에 대해 깊게 배웁니다
MZ 7
2021년 3월 15일 17:05이게 더 재밌네 경제보다
jw l 7
2021년 3월 15일 16:52저도 mbti를 해보고 제가 intj=소수=괴짜=또라이 라는걸 알았습니다. 본인이 사바나 지능이 떨어진다는걸 스스로 인정해야 삶의 스트레스가 낮아집니다. 세상의 문제를 남탓만 하거나 냉소적으로만 바라보면 더 힘들어집니다. 인정하고 적응합시다.
1분 육감 7
2021년 3월 15일 19:39긍정적인 힘을 이해못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솔직히 저도 이해못합니다.
그래도 감사할줄 안다는것은 성공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영상도 감사히 잘봤습니다.
집사안수 6
2021년 3월 15일 17:22저도 그 똑똑한 사람의 분류에 있는 사람인거같아요. 좋은 명문대를 나와서 전문 자격증을 취득해 회사에 다니고 있는데 어떻게 사는게 맞는 건지 요즘 회의가 듭니다. 어렸을 때부터 똑똑하다는 소리를 많이 들었지만 관계에는 많이 미숙했어요. 때문에 친구도 많이 없고 연애도 별로 못해봤습니다. 처음에는 똑똑한게 운이 좋고 재능이라고 생각했는데 지금은 그냥 평범하게 연애도 하고 친구들이랑 어울리면서 지내고 싶어요. 계속 공부하고 발전하면서 재능을 사용하는게 맞는 걸까요 아니면 관계에 조금 더 치중하면서 행복을 추구하는게 맞는걸까요?? 정말 요즘 어떻게 살아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평생을 신사임당님이 말하신 똑똑한 사람의 분류에서 살아왔거든요... 혹시 누구라도 보신다면 조언 한마디 부탁드리겠습니다!
임문혁 6
2021년 3월 15일 17:58살다보면서 느낀게 극단적인것은 정말 좋지 않고 생각보다 비효율적이라는 겁니다. 사바나 지능과 일반 지능의 적절한 밸런스를 유지하는게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집사안수 6
2021년 3월 15일 17:22저도 그 똑똑한 사람의 분류에 있는 사람인거같아요. 좋은 명문대를 나와서 전문 자격증을 취득해 회사에 다니고 있는데 어떻게 사는게 맞는 건지 요즘 회의가 듭니다. 어렸을 때부터 똑똑하다는 소리를 많이 들었지만 관계에는 많이 미숙했어요. 때문에 친구도 많이 없고 연애도 별로 못해봤습니다. 처음에는 똑똑한게 운이 좋고 재능이라고 생각했는데 지금은 그냥 평범하게 연애도 하고 친구들이랑 어울리면서 지내고 싶어요. 계속 공부하고 발전하면서 재능을 사용하는게 맞는 걸까요 아니면 관계에 조금 더 치중하면서 행복을 추구하는게 맞는걸까요?? 정말 요즘 어떻게 살아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평생을 신사임당님이 말하신 똑똑한 사람의 분류에서 살아왔거든요... 혹시 누구라도 보신다면 조언 한마디 부탁드리겠습니다!
Jube.주베 6
2021년 3월 15일 16:42언규행님 짱👍🏻
여유시간 6
2021년 3월 15일 16:49현명한 삶을 살기위해 일반지능보다
사바나지능을 잘 가꾸는 것이 중요하겠네요 ㅎㅎ
정성스레 만드신 흥미로운 영상 잘 봤습니다 👍😆
우르부르 5
2021년 3월 15일 17:43그래서 형 불행하지 않게 뒷일 생각하지말고 철원가자
최은희 5
2021년 3월 15일 17:44내가 옳으니 다른 사람을 바꾸려고 한다는 말에 공감합니다;;
ᄋᄋ 4
2021년 3월 15일 16:59제 친구들은 천재는 아닌데 그냥 괴짜예요
정우철 4
2021년 3월 15일 17:50너무 맞아떨어지네... 죄다
Anne Lee 4
2021년 3월 16일 02:22시간이나 에너지보다 돈, 인간관계보다 혼자만의 행복 등 우선순위가 달라서 나타나는 결과인것 같아요. 생각이 너무 많을때에는 자신에게 중요하지 않은 것들을 걸러내고, 결정장애에는 잘못된 결정을 했을때 그것을 받아들일 수 있는 너그러움 또한 용기가 필요한것 같습니다.
BeomSu Park 4
2021년 3월 15일 20:36이런 방식의 컨텐츠는 심사임당님 채널에서 많이 못 본것 같은데 너무 멋있네요....
내용도 좋지만 새로운 방식의 영상이 참신하고 좋습니닷!!!👍
월1억,장학생TV 4
2021년 3월 15일 18:48늘감사합니다 신사임당님!!
황금주먹.金 4
2021년 3월 18일 01:44일정부분 동의합니다.
저도 일반적 지능을 우위에 두고 살았는데 타인과 부딪히고 깨지면서 많이 아주 많이
사바나지능이 높아졌어요. ㅎㅎ 인간관계가 제일 어려워요!
혼자는 무엇이든 해낼 수 있는데 말입니다 하하
우리행복교회 3
2021년 3월 15일 21:00많은 것을 생각하게 만드는 영상입니다. 배우고 깨닫고 갑니다. 감사드립니다♡^^
이민아 3
2021년 3월 15일 18:50화면이 많이 고급져진거 같아요^^
LoveandPeace Intheworld 3
2021년 3월 15일 16:56선택과 집중에서 효율이 떨어져요. 행동으로 무언가를 옮기고 경험치를 높여야 더 부와 성공에 가까워진다 생각합니다. 생각이 많고 감정선도 더 많은 시간 정리해야하고 업무나 다른 중요하다 여기는 것들에서 모락모락 떠오르는 아이디어나 과거의 기억들까지 끝도 없죠. 그래서 가장 중요한 지표 1,2가지만 남기고 나머지는 차순을 둬 잊거나 해소하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느꼈어요.
적당히 dull하고 단순화된 인간상이 현 세상을 살아가기 훨씬 효율적이고 편해요.
Yohan Ha 3
2021년 3월 15일 19:34신사임당님은
채널 다각화로 끊임없이 노력하시는 모습을 배웁니다.
대단하십니다... Respect!!!
peacemaker 3
2021년 3월 15일 23:22새로운 방식으로 삶을 바라볼 수 있게 도움이 되었네요. 잘 봤습니다
엄희찬 3
2021년 3월 15일 21:19책 지능의 역설
1.자기관리
간단한 것도 똑똑한 사람들은 쉽게 결정을 하지못한다, 이를 완벽주의 성향이라고 한다
2.인간관계
관계 맺음에 필요한 사바나 지능과, 추상적인 사고를 하는 일반지능이 있다고 한다. 보통 사바나 지능이 부족한 면을 많이보인다고한다.
3.연애
자신이 더똑똑해서 다른사람을 바꾸려하다보니 관계 즉 연애가 어렵다.
skyrogue 3
2021년 3월 15일 22:24불행했는데 합리화 할 수 있는 핑계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ㅋㅋ
찐한Green 3
2021년 3월 15일 17:20ㅜㅇㅜㅋㅋㅋ 아 시원하네요
mo m 3
2021년 3월 15일 17:23감사합니다 💕
이금숙 2
2021년 3월 17일 11:0960년 살아보니, 젊은시절 부러워했던 똑똑한친구들이 다 행복하게 사는거같지는 않네요...좀 덜 예리하고 어리숙한 사람이 주변사람들에게 좋은평가도 받고, 행복지수가 높아진듯 합니다. 특히 똑똑한부모가 자식을 너무 잘기르려고 지나치게 닥달하면 안되는거 같아요...
롸띠 2
2021년 3월 15일 17:57오 편집이 뭔가 레벨업 되었네요!
김찬열 2
2021년 3월 15일 21:47아.... 그래서 ... 내가...
꿈에나타나 2
2021년 3월 15일 18:25오~ 새로운데유 👍
약간 체인지그라운드느낌?
내용도 좋고 암튼 좋네유
Na뇨 2
2021년 3월 15일 22:58우와 공부 못하는데 천재의 성격을 다 가지고 있네요 생각 너무 깊어서 한참을 돌아가요 휴 ㅠㅠ
사바나사바나
택배기사 핸디맨 2
2021년 3월 16일 05:35똑똑한 택배기사가 되기 위해 오늘도 많이 배우고갑니다!
옹지바라기 2
2021년 3월 15일 18:35우리가 흔히 부르는 '천재'는 '일반 지능'이 높은 것이고, 저는 또다른 관점으로 일반적인 지능이 높지는 않아 천재라고 부르기 어렵지만, 사바나지능이 높아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잘 맺고 사회에서 살아가는 능력이 높은 사람 또한 '천재'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관계 맺기의 천재 이렇게
빨간머리 앤♥ 2
2021년 3월 15일 20:33핵공감 😊👍🙏
너무 유익함👏👏👏👍🙏
검염 2
2021년 3월 15일 20:39처음이 어렵다.
근데 좀 과하게 어렵다.
J리더-최고의 하루를 위한 이야기 2
2021년 3월 16일 18:10어쩐지 자도자도 피곤한게
계속 생각이많아서 였나보네요!
영상보면서 관계와 한가지일에 집중 못하는 나를 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라이프헌터 레온 : 마인드사냥꾼 2
2021년 3월 15일 16:49지능의 역설 읽어봐야겠네요.
사바나 지능과 일반지능
굉장히 흥미롭네요!!!
김성준 2
2021년 3월 15일 16:46나ㅡㅡㅡ.. 멍청한듯 ㅇㅇ
코인점핑! 2
2021년 3월 15일 16:35좋은 컨텐츠입니다 ㅎㅎ 새로운 형식이네요~ 👍👍👍
이보영웃을때 이보영 2
2021년 3월 15일 16:34혼자 하시는 영상이닷♡ 빌라영상 이후 계속 혼자하시는 컨텐츠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EarlyBird Y 2
2021년 3월 18일 11:52스스로의 행복감이 제일 중요하다.
-지능높은 사람이 자기 일에 대한 성취도에 행복감을 느끼면 관계력이 낮아도 개인적으론 행복하고 + 사회적으론 가치있는 인생.
-지능높은 사람은 사회적 공헌이 많겠으나 그들이 인간관계에서 행복을 찾는 성향이라면 개인적으로는 불행한 인생.
-일반적으로, 지능은 평균이고 관계력이 높은 사람이 성공은 못하는데 인기는 좋다.
<영상 요약> ----------
똑똑한 사람(=사고력 높은 사람)이 못하는 것
1.자기관리: 생각이나 기획이 너무 상세해서.
2.인간관계: (사바나지능:생존을 위한 무리속 관계력/일반지능:추상적 사고력)
3.연애: 사고력이 높아서 관계력높은 사람과 호환이 안됨
Monkey 2
2021년 5월 31일 02:44이런 문제의 원인에 대해서 이해를 시켜주는 원론적인 개념은 어떻게 알고 여러 사람들의 인생문제를 이렇게 해결해주시는 거죠 ~??? ㅠㅠ 감사합니다!
워드워십 2
2021년 3월 16일 01:26신사임당님은 삶의 희망과 행복을 가지게 해주시며 사회에 선한영향력을 끼치시는 정말 멋지신 분 같습니다! 세상을 바꾸시는 분! 감사합니다! 덕분에 행복을 더 누리며 삽니다~~
김채선 1
2021년 3월 15일 17:01딱 내 남편이야기
뭐징...ㅠ
사바나지능 진짜 어려워해요
183 cm 1
2021년 3월 15일 16:42좋아요 좋아..저도 생각이 너무 많아서 뭘 못하고 있던 찰나에 소름돋도록 적당한 턴텐츠츠츠!!
김동휘 1
2021년 3월 15일 16:46새로운 듯 새롭지 않은 신선한 프레임의 구성이네요 ㅎ오랜만인데 컨텐츠 자체는 조금은 다른.
San Lee 1
2021년 3월 15일 16:31이건 못참지ㅋㅋ
ryan Choe바둑 1
2021년 3월 15일 16:43새로운 시도 좋습니다. ^^
우연찮게 영진 앞바다를 거닐다가, 혹은 사근진 근처를 배회하다가 마주치면 소주 한잔 합시다. ㅎㅎㅎ
담배를 옆에 두고, 불 없이... ^^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노희석 1
2021년 3월 15일 16:35지능의 역설, 타이탄의 지혜들
변두리 역사 1
2021년 3월 15일 17:14언젠가 하셨던 말씀처럼 여러 실험을 하시는 것 같은데, 혼자 말씀하시면서 적절한 부수 영상이 추가된 이런 버젼도 좋네요!
영상에서 말씀하신 똑똑함의 차원과는 조금 다르지만, 개인적으로는 계산하기 보다 경험적/직관적으로 전략적 판단을 빠르게
내리는 타입이 투입 대비 꽤나 괜찮은 효용을 만들어낸다는 생각이 들어요.
유튜브 기록하는 남자 1
2021년 3월 15일 19:23새로운 시도를 하시는군요!
어메이징한언니 1
2021년 3월 15일 16:58난 천재가 개뿔도 아닌데... ㅠㅠ 나이들어갈수록 왜 저기에 다 속하는 것 같지.. ㅠㅠ
ᄋᄋ 1
2021년 3월 19일 00:13천재도 아닌데 천재의 단점은 다 가지고 있네ㅋㅋㅋ 참 어이없다
김경민 1
2021년 3월 15일 16:53편집클라스 👍
mindoo 1
2021년 3월 15일 22:47오 새로운 형식의 영상이군요!! 영상 내용 잘봤습니다 다만 다른분들도 배경음악에 대한 피드백을 많이 주셨는데 저도 비슷하게 내용에 방해되는것을 느꼈어요 개인적으로 알간지님이나 믹키서님같은 유튜버 분들의 영상 스타일이 정보 전달을 잘하면서 정돈되었다고 생각햇는데 참고해보시면 좋을것같아요!!!
삼그램 1
2021년 3월 15일 20:17노래가 목소리를 묻히게 하는 것 같아요! 항상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신사임당 찐팬드림이해루 1
2021년 3월 18일 12:47영상더보기가 일찍나오네요 ㅋㅋ 편집자 어디가셨나
Ram J 1
2021년 3월 15일 18:55진짜 똑똑사람들은 필요한것 중요한것에 비중을 조절하고 일반인의 사고에 상식을 맞추어 생활하지 않을까요??
다만 그런 것들이 본인의 사고와 괴리가 있으니 그 차이만큼 스트레스로 다가 올 수있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진짜 천재는 그것을 관리할 수 있는 사람이고 아닌사람들은 각기 분야의 재능이 있는 사람인것 같아요.
될넘될 1
2021년 3월 15일 22:08인터뷰도 좋지만 신사임당님 말씀 넘 잘하셔서 더 좋네영ㅋㅋ
차이콥스키 1
2021년 3월 16일 00:37부스터 모드.. 뭔가 활기차서 좋네요..
예전영상보다 활기찬게 느껴져서 좋네요..화이팅^^
B.collect 1
2021년 3월 15일 16:553분 과학 느낌
모범시민
2021년 3월 15일 16:38굿굿
무호흡무편집 방구석 리뷰어
2021년 3월 15일 17:22행!복!
안단테
2021년 3월 15일 16:30어 ~!! 내 얘기인데...... 소름
Baska P
2021년 3월 15일 16:501:34 부터 나오는 배경음악이랑 말속도랑 전달내용의 분위기랑 안맞아서 집중이 잘안됩니다..
yeounwoo syn
2021년 3월 15일 17:07저도 다중지능 이론파입니다. 우리가 보통 말하는 지능은 '계산 지능', 수학적 지능이죠. 딱 잘라 말하는데 이 수학적 지능은 시험과 연구 말고는 별 쓸 데가 없습니다. ㄱ-
류창희
2021년 3월 15일 17:30내가 불행한건 똑똑해서였구나
yanh _
2021년 3월 15일 16:30신사임당님 항상 리스펙!!!!👍
조랩스
2021년 3월 15일 17:26나와의 공통점을 찾아봐야지 하고 헐레벌떡 들어온분들! 저와 마찬가지로 천재괴짜가 아니니 안심하세요!
음주촬영
2021년 3월 15일 16:50사바나, 일반 지능에 다 부합 못하는 나는 ... 죽어야 하나;;;;
Hyungjoo Lee
2021년 3월 15일 17:08응? 전에 본것 같은데 업로드 30분 전이네.. 내렸다 다시 올리셨나봐요
김재훈
2021년 3월 15일 17:08머지 난 둘다 안되는데? 지능이 둘다 안되나봐 ㅋㅋ
helen herren
2021년 3월 15일 17:11정말똑똑하면 행복하게 사는거같아요 덜떨어져서.... 불행한듯해요 스스로 똑똑한줄아는사람들.... 제가 그래요...ㅜ
진진
2021년 3월 15일 16:28하트눌러즈셰요
빡대가리
2021년 3월 15일 17:29와우 이런영상 너무좋아요
스마일Mel
2021년 3월 16일 12:51영상 감사합니다. 그래서 사바나 지능과 일반지능은 어떻게 키워지는건가요? 타고나는 것이 크겠지만, 궁금하네요. 지능의 역설을 읽어봐야 할까요?
hushson
2021년 8월 15일 00:19쉽게 말해서, 생존과 번식, 관계를 만들어나가는 사바나 지능은 '몸 기억'이고 상상력을 포함한 추상적인 사고를 해내는 일반 지능은 '머리 기억'인 것 인가요?
시우의 일상
2021년 3월 20일 14:13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ㅎㅎ
신강균
2021년 3월 15일 16:33감사합니다
미쉘킴
2021년 3월 15일 21:22아...뭔가 위로가되네요~ㅋㅋㅋ
항상 난 왜이리 단순할까...햇어요ㅡㅡ
in or
2021년 9월 06일 08:30펠레가 예상 다 틀리는 대명사가 된 이유는 남들도 노력하면 본인처럼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죠
소소한놀이터
2021년 3월 15일 18:30신사임당님 혼자하는 컨텐츠도 좋네요~~자주 해주세요^^
Yongmin Kim
2021년 3월 15일 23:05새로운 컨셉 좋네요~ 결국은 보통사람에 대해 더 말하려는 것으로 보이네요~
Hey, me
2021년 3월 15일 21:50행복해서 다행이다(?)
유정민
2021년 3월 20일 09:02똑똑하시고 명쾌한 멘트 공감합니다
李禧晴
2021년 10월 25일 11:12지능이 낮아서 너무 불행하다고 생각하고 우울해 있었는데
이 영상을 보니 내 인생이 너무나 행복한 것을 깨닫았습니다
생각해보니 정말 그렇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뽀우맘TV - 직업상담
2021년 5월 13일 08:28책 한 권 정독한 듯한 보람이 있는 영상이었습니다. 출근길 생각을 정리합니다! 감사합니다!
李禧晴
2021년 10월 25일 11:12지능이 낮아서 너무 불행하다고 생각하고 우울해 있었는데
이 영상을 보니 내 인생이 너무나 행복한 것을 깨닫았습니다
생각해보니 정말 그렇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친절한소장님
2021년 3월 16일 14:16신사임당님 말에 연관된 영상을 보여주는건 좋은데 편집자님 엄청 힘드시겠네요 ㅎㅎ
캠로퍼
2021년 3월 16일 00:34정말 많이 공감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캠로퍼
2021년 3월 16일 00:34정말 많이 공감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유정민
2021년 3월 20일 09:02똑똑하시고 명쾌한 멘트 공감합니다
산이 좋아-산다람쥐TV
2021년 3월 16일 20:56구독자 늘리는 법 보다가 타고 타고 여기 까지 왔네요 그냥 얻어지는 건 진짜 없는 것 같아요 ㅎㅎ 다시 한번 마음을 다 잡아 보네요 ㅎㅎ
친절한소장님
2021년 3월 16일 14:16신사임당님 말에 연관된 영상을 보여주는건 좋은데 편집자님 엄청 힘드시겠네요 ㅎㅎ
김기린
2021년 3월 22일 14:17네 마자요 넘나 공감되어 꾹 좋아요 눌렀어요..
회사에서는 인정받지만 집에서는 불편한 사람
주찬양
2021년 3월 16일 00:27조성현은 천재다
임잼잼
2021년 3월 16일 08:35선택의 길이 많을수록 고민수도 많아져서 어떤 경우엔 행복한 고민일 수도 있어요 . 성적이 좋은 자녀 S대갈까? k대갈까 ?Y대갈까?💕고민하더군요 . 음 ....
저는 선택의 수를 줄이는 연습을 하며♡ 생각 많이하는 성격이 조금씩 바뀌었어요 ! 나이 먹어갈수록 선택의 길이 줄어드니 그래서 행복해진다고 하나봐요
책 읽는 다이어터 : 권미래
2021년 3월 15일 19:18똑똑한 사람이 더 피곤할 수 있죠.
아는 것이 점점 더 많다보니 더 생각이
많아지죠. 적당한 상식 이상의 지식이
있기 때문에 생각의 폭이 더 큽니다.
#지능의역설 지능이 만능이 아니다.
똑똑한 친구들 중에 의사소통이 잘
안되는 사람이 많다는 부분이 흥미롭네요.
한쪽에만 치우친 지식 보다는 보다 폭넓은
지식을 습득해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떤 본질이 더 중요한지 생각해보고
돌아보는 시간이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임잼잼
2021년 3월 16일 08:35선택의 길이 많을수록 고민수도 많아져서 어떤 경우엔 행복한 고민일 수도 있어요 . 성적이 좋은 자녀 S대갈까? k대갈까 ?Y대갈까?💕고민하더군요 . 음 ....
저는 선택의 수를 줄이는 연습을 하며♡ 생각 많이하는 성격이 조금씩 바뀌었어요 ! 나이 먹어갈수록 선택의 길이 줄어드니 그래서 행복해진다고 하나봐요
사부
2021년 3월 18일 19:18나는 멍청한데 왜 생각이 많고 불행하지... 멍청하니까 남들보다 더 생각한다고 생각하는것을 생각하는데 생각해...ㅠㅠㅠㅠ 그리거 얼굴이 굉장히 얇아서 두꺼운 사람들. 너무 부럽다...
하이다
2021년 3월 15일 19:53어쩐지 내가 좀 행복한것 같더라니...! 캬- 뭐가 좋은건지 모르겠네ㅋㅋㅋㅋ🤣
책 읽는 다이어터 : 권미래
2021년 3월 15일 19:18똑똑한 사람이 더 피곤할 수 있죠.
아는 것이 점점 더 많다보니 더 생각이
많아지죠. 적당한 상식 이상의 지식이
있기 때문에 생각의 폭이 더 큽니다.
#지능의역설 지능이 만능이 아니다.
똑똑한 친구들 중에 의사소통이 잘
안되는 사람이 많다는 부분이 흥미롭네요.
한쪽에만 치우친 지식 보다는 보다 폭넓은
지식을 습득해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떤 본질이 더 중요한지 생각해보고
돌아보는 시간이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Sanghak Lee
2021년 3월 15일 16:45정말 공감하는 부분입니다. 고등학교 시간에 반에서 1,2등 하고 결국 서울대 간 친구들이 (아직 저희 나이때에 어떻게 될지는 모르지만) 돈으로 연관짓자면 반드시 성공의 길을 가는건 아니기에 ,,
사임당님의 말에 핵공감합니다.
신지
2021년 4월 18일 16:06정말 평소 제가 느끼는 내용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