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BBC 에서 방영했던 다큐멘터리가 있습니다. 70대 노인분들을 한 곳을 특정하고 그곳 전체를 50년 전의 모습으로 세팅하고, 방영되는 방송조차 그때의 방송을 내보냈다고 해요. 그러자 이분들의 행동이 마치 50년전으로 돌아간듯한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대요. 관절염으로 다리를 끌면서 걸으셨던 분이 제대로 걸으며 구부정하게 걷던 모습들이 허리를 펴고 걷고 심지어 말투까지 활기차졌다고 해요. 결국 모든 것에는 마인드콘트롤이 중요하다라는 것 같아요
586이 싫다. 오래전부터 사회에서 마주치는 온갖 불쾌한 말과 행동의 경험은 이 중년 남성층 586에 집중되어 있었다. 손님들 대하는 알바생들이나 자영업자들은 즉시 공감한다. 일하는 사람 아래로 내려다보고 무시하는 온갖 진상의 주범. 중년새끼들은 젊은애들 싸가지없다라 하지만 아는 사람은 다 안다. 조용하고 뒷마무리 깔끔해서 기분좋은 손님은 대개 젊은층이란걸. 항상 궁금했다. 이 세대엔 무슨 일이 있었던 건가? 왜 이렇게 성격들이 천박하고 개같을까.
2015년 UN이 제안한 새로운 연령기준. 만 0~17세 ‘미성년자’, 만 18~65세 ‘청년’, 만 66~79세 ‘중년’, 만 80~99세 ‘노년’, 100세 이후는 ‘장수노인’. 현재 우리나라는 아직 UN이 1956년에 정한 만 65세 이상을 노인으로 정한 기준을 따르는 거 같아요.
UN이 2015년에 노년 기준을 새로 정의하자고 제안을 합니다. 그걸 보게 되면 청년의 기준을 만 18세부터 만 65세까지로 합시다. 65세가 청년인 거예요. 그리고 66세부터 79세를 중년, 만 80세부터 99세를 노년, 만 100세 이상을 장수 노인이라고 분류하자는 거예요.
50대입니다.. 늦게 결혼해 고3 딸내미 뒷바라지중 입니다.. 40대 후반에 조기퇴직하고 부동산,주식,코인 등 다양한 투자중이며 나름 계속해서 사업구상하고 관련 정보습득비용 지출에도 적극적입니다.. 또한 몸이 힘든 운동을 즐겨서 단지 내 휘트니스 센터나 주변 운동시설 이용에도 열심입니다.. 예전 이버님때 생각하면 많이 달라진 세태를 절감합니다..
Seey 121
2021년 3월 21일 16:51나이가 많다고 다 아는것처럼 행동하지말기.
@이희선-x6t 62
2021년 3월 21일 16:59맞아요~~ 제가 60인데요 어린이집에서 누리교사를 하고 있어요^^ 그런데 같이일하는 어린 선생님들은 제나이를 잘 몰라요~ 제나이를 말하면 할머니가 일한다구 생각해요~ 어쩜 ~ 절은 선생님들은 아마도 저보다~ 더 오래 일해야 할지도 모르겠네요~~
@이유환-c3p 60
2021년 3월 21일 22:57이제는 더 분명해졌다.
나이는 숫자이고
지구가 태양을 돈 횟수일 뿐이다.
앞으로의 시간을 어떻게 낭비하지
않는것이 관건이다.
@꼭두새벽-t1u 46
2021년 3월 21일 18:29사회제도가 현실의 사람살이를 못 따라 가는 것이 안타깝습니다. 활기차게 살아가는 50대 60대분들이 많습니다. 우선은 일자리가 열려 있어야 국가경쟁력도 더 올라갈 겁니다. 사회에서 이분들의 소중한 노동력을 방치하지 말고 잘 활용했으면 합니다.
@djsksoddjk 37
2021년 3월 21일 23:5860대 저희 아버지 아직도 사업 활발하게 하고 계십니다. 사회에서 노인이라 얘기하는 연세인데 옆에서 보고 있는 저는 전혀 체감이 안되는 단어예요.. 이 영상 함께 보면 부모님의 활력에 도움이 될 것 같네요^^
@something_3601 36
2021년 3월 21일 18:16예전에 BBC 에서 방영했던 다큐멘터리가 있습니다. 70대 노인분들을 한 곳을 특정하고 그곳 전체를 50년 전의 모습으로 세팅하고, 방영되는 방송조차 그때의 방송을 내보냈다고 해요. 그러자 이분들의 행동이 마치 50년전으로 돌아간듯한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대요. 관절염으로 다리를 끌면서 걸으셨던 분이 제대로 걸으며 구부정하게 걷던 모습들이 허리를 펴고 걷고 심지어 말투까지 활기차졌다고 해요. 결국 모든 것에는 마인드콘트롤이 중요하다라는 것 같아요
란 32
2021년 3월 21일 20:25586이 싫다. 오래전부터 사회에서 마주치는 온갖 불쾌한 말과 행동의 경험은 이 중년 남성층 586에 집중되어 있었다. 손님들 대하는 알바생들이나 자영업자들은 즉시 공감한다. 일하는 사람 아래로 내려다보고 무시하는 온갖 진상의 주범. 중년새끼들은 젊은애들 싸가지없다라 하지만 아는 사람은 다 안다. 조용하고 뒷마무리 깔끔해서 기분좋은 손님은 대개 젊은층이란걸. 항상 궁금했다. 이 세대엔 무슨 일이 있었던 건가? 왜 이렇게 성격들이 천박하고 개같을까.
@user-dokkabi 28
2021년 3월 21일 16:56난..장년이 아니고 중년이다..
기분 좋은데요~^^
문제는 건강이죠..
나름 신경 쓰는데 체력이 .. 딸려요..😅😅
@ogk4314 27
2021년 3월 22일 14:375,60대의 잠재 구매력 또한 엄청난거 같아요. 절약이 몸에 베어서 과소비는 잘 않하지만 필요하다 생각되면 비싸도 주저없이 구매 합니다.
빽초보 24
2021년 3월 21일 17:22OECD. 노인빈곤율 1위 대한민국의 아이러니
@tmc-o2o 22
2021년 3월 21일 16:30마음은 언제나 30입니다~♡
@정석영-h9g 22
2021년 3월 21일 19:24맞습니다
54세인데 이제 회사업무도
다시 도전하고
부부생활도 최강입니다
계단오르기ㆍ스쿼트
주말 부부 30키로
걷기ㆍ부부 등산여행등
꾸준하게 합니다
이제 청년입니다
@반가워용-i9k 17
2021년 3월 21일 19:28이나라의 늙은이들의 삼대 철칙
욕심은 하늘을 찌르고
고집은 태산을 누르고
뻔뻔함은 태양도 가린다
나이를 먹으면 어른이 되자 늙은이가 되지 말고
@박혜진-o9w 17
2021년 3월 22일 17:272015년 UN이 제안한 새로운 연령기준. 만 0~17세 ‘미성년자’, 만 18~65세 ‘청년’, 만 66~79세 ‘중년’, 만 80~99세 ‘노년’, 100세 이후는 ‘장수노인’. 현재 우리나라는 아직 UN이 1956년에 정한 만 65세 이상을 노인으로 정한 기준을 따르는 거 같아요.
웃음행복 15
2021년 3월 21일 16:40주택 임대사업자 종부세 면세 특혜를 당장 폐지해야 합니다. 종부세를 면제받는 임대사업자 주택이 무려 160만채랍니다. 이게 나라입니까? 문재인 정권에서 김현미장관이 만든제도랍니다. 헐.. 이러니 아파트값이 떨어지겠습니까? 국민모두가 나서서 항의합시다. 주택 임대사업자 면세 특혜를 당장 폐지하라!!!
@mafitcare 14
2021년 3월 21일 16:58갑자기 10년 젊어진 기분이들어 좋네요^^ 올해 제가 불혹이되었거든요...아직도 철이 덜들은거 같은데 이번영상보니 좀더 철부지로 남아도 될듯하네요
감사합니다
@이아빈-m4e 14
2021년 3월 21일 16:37유엔은 74세까지 장년이라 규정 ㅎ
@아르센벵거-e1k 14
2021년 3월 21일 19:15나이의 개념은 바뀔 수 있다 치더라도 5060 특유의 꽉 막힘과 불통, 똥고집, 배우려 하지 않는 나태함은 바뀌지 않는 듯
ᅳᅳᅳᅳ 9
2021년 3월 21일 16:555060이 왜... 노인...? 그렇게 생각하는게 좀 웃인거 아닌가..
@해바라기-y3m 9
2021년 3월 22일 15:16체인지그라운드 덕분에 55세에 사회복지사 시험공부 시작했어요. 호기심을 잃지않으면 청춘이라던데 전 항상 청춘이네요
GG SOS 9
2021년 3월 21일 20:12인생의 이치를 어느정도 통달했다고 거들먹대는 꼰대들 자제좀;; 통달은 하고 제대로 설명도 못하면서 뭐 알려주지도 않을거 잘 압니다만 본인보다 뭘 모른다고 하대하지 말기를..
@승재나누기곱하기 9
2021년 3월 21일 16:01감사합니다
@heather0301 8
2021년 3월 22일 16:05숙명여대학원에서 실버비지니스 공부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4차 산업을 실버시장에 접목시키는 새로운 비지니스 전략이 필요한 시기 !! 대학원에서 배우는 고급정보를 이리 쉽게 전해 주시네요. 멋져요 두분~~
@첼시희경 8
2021년 3월 21일 16:34저도 50대후반인데 노인과는 거리가 멀어요 ^^ 감사합니다
구닥 7
2021년 3월 21일 21:48지금은 60대 분들도 아직 현역으로 봐야 한다고 봅니다.
어촌시래기 (한식 자영업자) 7
2021년 3월 21일 16:24덕분에 26살 되었습니다♡
@leesse237 6
2021년 3월 21일 19:11저도 올해 40인데 회사에서 나이로 보나 짬으로 보나 막내에요^^ㅋ
@하늘바람-p4k 6
2021년 3월 21일 18:17신박사님 세월을 거부하시려는군요
전 찬성합니다.
더 오래동안 영항력을 주셔야 합니다.
제 생활의 스며서 함께 하시거든요.
응이사님을 통해서 신박사님, 고작가님을 매일 매일 함께하는
지금이 참 고맙습니다.
건강하세요~
생각없이 만든 영상 6
2021년 3월 21일 17:1712살 애기네요..
정향순 5
2021년 3월 21일 16:32시니어의 시대.
@update99. 5
2021년 3월 21일 16:39늘 무심코 지나버릴 수 있는 세상의 팩트들을 알려주시니 감사합니다.
고작가님과 같이 6년후에 50대가 되는 44살^^
44살이란 생각을 하면 문뜩 다시 무언가 계획하고 시작하기에 늦은건 아닌가 하는 두려움이 밀려오곤했는데
전 이제 34살이라고 생각하고 살려고요^^
신체나이는 34살때 같진 않지만 체력은 기를수록 키워지더라고여~
침대 옆에 요가매트 깔아놓고 의식적으로 스쿼트 50개씩은 아침저녁으로 하고 있습니다.
2주째인데 허벅지와 힙이 조금씩 탄탄해진 느낌이 듭니다.
@룰루랄루왕 5
2021년 3월 21일 16:10공부!!
@IRENE-zw4op 5
2021년 3월 21일 16:16주제 좋아요. 감사합니다 ~
@고고심 5
2021년 3월 21일 16:26오.... 정리되는 부분이 생겼어요 감사합니다:)
선생와룡 4
2021년 3월 22일 10:31UN이 2015년에 노년 기준을 새로 정의하자고 제안을 합니다. 그걸 보게 되면 청년의 기준을 만 18세부터 만 65세까지로 합시다. 65세가 청년인 거예요. 그리고 66세부터 79세를 중년, 만 80세부터 99세를 노년, 만 100세 이상을 장수 노인이라고 분류하자는 거예요.
@김영애-y3l 4
2021년 3월 22일 13:49올 52세 입니다.신박사님.웅이사님 3년째 유튜브 보고
덕분에 책과 친구가 되었습니다
50대 독서모임도 많이 활성화 되었음합니다.올해부터 한달에 4권정도
읽고 있습니다.늘 감사해요 ㅎ ㅎ
Y N 4
2021년 3월 21일 16:011빠
@davidpark_ 4
2021년 3월 21일 16:19감사합니다 😊
@오케이인생 4
2021년 3월 28일 16:02모두가 존댓말을 하던지 모두가 반말을 하던지 언어부터 바뀌어야 됩니다.
@hermit8197 4
2021년 3월 22일 00:06보여지는 나이도 현나이보다 적어보인다고 하던데 ..아직도 나이를 물어보고 그걸로 판단하는 건 세상의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는거 같아요~
변하는 세상만큼 사고도 변하면 좋을텐데
또래집단을 친구로 가르치는 것또한 참 구시대적인 사고이지않을까 하고 생각해봅니다
@gemtvdraw 3
2021년 3월 21일 18:58바로 이런거예요! 우리는 나이를 먹고 피해갈 수 없죠. 이런 현실적인 얘기 많이 들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ᄀᄋᄃ 3
2021년 3월 24일 07:12킹치만 586은 젊은사람 탓만하는걸~
@실버놀이터 3
2021년 3월 24일 01:33실버로 석사논문을 준비중인 대학원생입니다
예전부터 실버산업에 관심이 많아서 조사를하고있는데 매년 달라지고 있습니다
이 영상으로 많은 분들이 실버를 바라보는 시각이 많이 달라지길 바라며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핰케 2
2021년 3월 21일 16:33감사합니다
@오여행 2
2021년 3월 22일 15:55제눈에 두분 청년으로 보입니다~~
영young 2
2021년 3월 21일 16:38감사합니다
@편자남편의점에서자기 2
2021년 3월 22일 07:46저는 저의 50대~60대가 기다려지고 기대됩니다.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아비무쌍-k6y 2
2021년 3월 22일 12:30노인일자리
5060은 아직현역인대
사회는 노인으로 평가하네요
@leehyungs 2
2021년 3월 22일 16:39제가 어릴 때 5,60대로 생각하면 안 될 것 같아요.
@hyeasung2000 2
2021년 3월 22일 20:20금방갑니다.
일장춘몽을 요즘 조금씩 느끼고 가는중입니다.
@user-QuantumJump 2
2021년 3월 22일 18:10시간은 상대적이지.
@thenztv4378 1
2021년 4월 20일 05:42뉴질랜드에 살고 있는데 70~80대 한인분들도 영어 공부하시더라구요. ㅋㅋㅋ
자유란무엇인가 1
2021년 3월 21일 17:24고령화 사회
김수경 1
2021년 3월 22일 21:21별로 공감가지 않네요~!!
제 주변에 50대60대에 괜찮은 분이 없으셔서~!!
@검정콩-o1c 1
2021년 3월 21일 18:39고맙습니다
@darksnight23 1
2021년 3월 23일 16:09노인들이 항상 젊은사람들한테 노인 공경하라고 하는데 참 어이없는게 정작 본인들은 상대방한테 배려는 전혀안하면서 얻어먹을려고 하고 권리만 찾을려고 하니까 노인들 안좋게 보는거죠
당장 지하철에 가보면 원래 노약자석에는 임산부도 앉을 수 있는데 임산부가 못 앉도록 일부로 막는분들 많고 눈치주는 사람도 있죠 그래놓고 젊은 임산부가 타면 무조건 양보하라고 강요하는게 말이 됩니까?
나이먹었다고 다 현명한거 아니죠 나이먹었으면 어른답게 행동해야지 아직도 꼰대처럼 행동하는 틀딱들보면 나라 참 걱정이죠
@happytree2823 1
2021년 3월 21일 19:42중요한 얘기인것 같아요
@b.t.y2023 1
2021년 3월 22일 23:45새로운 시각을 갖게 해 주는 소중한 영상이었습니다! ㅎㅎ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
hanwool sori 1
2021년 3월 25일 20:0775세 이상이라야 노령인구에 든다.
50은 장년이고 60은 중년이다.
@artcaster로렌리 1
2021년 3월 25일 11:27이 영상을 웃으면서 보고 있는 나 ㅎㅎㅎ
@여름-z1p 1
2021년 3월 21일 22:58어머 이건 저를 위한것^^
케시빌리언
2021년 3월 25일 13:21공감합니다 ㅎ ㅎ 우리헬스장에 80세할머니께서 매일운동하러오시고 런닝머신도 30분씩하시고 웨이트기도 매일사용하신다요 ~대단하시죠
KGR
2021년 3월 22일 17:58만 나이로하면 한살에서 두살 어려져요~^^
@Thankyou_._
2021년 3월 31일 10:52절대공감 합니다~ 67년생인 제가 10년째 복싱을 하는데 요즘 정점에 올라서 그런지 순발력,체력 좋아짐에 스스로 놀라고 있네요.
이거 하나 졸꾸 했는데 .. 죽을때 까지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하루 90분 하고 있습니다.
@로보-s7b
2021년 3월 29일 13:5250대입니다..
늦게 결혼해 고3 딸내미 뒷바라지중 입니다..
40대 후반에 조기퇴직하고 부동산,주식,코인 등 다양한 투자중이며 나름 계속해서 사업구상하고 관련 정보습득비용 지출에도
적극적입니다..
또한 몸이 힘든 운동을 즐겨서
단지 내 휘트니스 센터나 주변 운동시설
이용에도 열심입니다..
예전 이버님때 생각하면
많이 달라진 세태를 절감합니다..
chul yoon Chung
2021년 3월 25일 15:091인 1투표라 정치도 베붐세대의 절정인 50~60에 휘둘리게 됩니다. 그럼 젊은 세대는 더욱 소외되고 세대간갈등이 심해질 것입니다.
레이디베어 LadyBear
2021년 3월 21일 17:59오늘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링크 들어가서 보려고 하니 오류가 뜨네요 ㅠ.ㅠ
@dosi-jayeonin
2021년 5월 03일 22:09이제부터 만나는 모든 사람에게 이렇게 말하기로 했다
10년 젊어 보이세요!! ㅎ
아기새
2021년 3월 23일 06:46그럼 현 20대들은 나중에 70살쯤되야 50~60대로 보이는건가요?
노원사는여자
2021년 3월 22일 23:01은퇴나이가 되는50인데 미래에 대한 방황이 더 심해지는 시기인듯...40파이어족들이 생기고
@fullluna128
2021년 5월 10일 19:04맞습니다. 경로당에서 75세나 되야 노인취급해줘요. 70까지는 일할 수 있어요~
50대가 되면 애들이 다 커서 자유로와져요. 하고 싶은거 몰두하면서 할 수 있는 나이에요. 50,60 일자리 좀 마니 만들어줘유
@루핀-l2j
2021년 3월 29일 13:16준비되지 않은 저는 50대인데 몸도 마음도 노인이예요.
주변에 70대를 보면 태도나 지력이 전혀 노인 같지가 않아요.
머리색만 하얗지 정신세계는 그냥 성인
역시 어떻게 사느냐가 중요
시도 : 보는기술의 모든 것
2021년 3월 23일 22:06발명노트 30권을 메모하고 나니 나이가 60이 넘었다. 지금부터 시작~~ 영상 콘텐츠도 4000개나 제작하여 이것을 NTF로 판매할 예정. 젊은이들이 따라 오려면 30년도 더 걸릴거다.
안알랴줌
2021년 3월 22일 15:21리마커블.....
liebeweisheit
2021년 3월 23일 23:31„이것을 비유로 너희에게 일렀거니와 때가 이르면 다시는 비유로 너희에게 이르지 않고 아버지에 대한 것을 밝히 이르리라“ (요16,25)
하나님의 약속의 성취에 관한 내용입니다, 새계시를 받은 대선지자 네분 간략 소개드립니다. (*분량과 깊이)
@t
J.W L.
2021년 3월 24일 16:51랄로 후회없는 선택
@정지아-r1l
2021년 3월 25일 16:09맞는말씀 하시네요 감사합니다
Lecresher
2021년 3월 27일 22:157!
@ezer_TV
2021년 3월 25일 20:01요즘은 30대가 예전의20대
40대는예전의30대.
50대는예전의40대
60대는예전의50대
70대는예전의60대
80대는예전의70대
80대가 되도 건장하신분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