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작가님!!! 김작가님의 방송타이틀처럼 좀 다양한 사람들을 인터뷰했으면 좋겠네요...너무 주식관련자로만 편중이 되어있네요.. 초심을 잃지 않고 우리 사회의 다양한 사람들 이야기를 담았으면 합니다..자꾸 돈만 버실려고 구독자수에 너무 심취하셔서 주식에 올인하는 느낌입니다.. 그나마도 주식으로 성공한 사람만 자꾸 만나시고 그 이면에 있는 사람들 이야기는 전혀 다루지 않고 있네요.. 주식외에도 우리의 사회, 문화,경제,역사 등 여러분야 사람들 만나주시길 바랍니다....초심을 잃지 마시길..... 그냥 바램입니다....
전문가 맞나? 엔진의 토크 특성 때문에 트렌스 미션을 쓰는거고 전기차는 모터랑 밧데리중간에 기어비를 줘서 감속기로 토크 특성을 인버터로 속도를 조절하여 엔진의 변속기 역할을 대신하는건데 구지 이중으로 돈을 써서 달아야야 하나? 배터리주 투자한 사람 많을텐데 제대로 된 자료를 검증하면서 방송 했으면 좋겠습니다.
내가 삼성 LG면 특허 로열티 비싸게 받고 해당 국가 회사 지분을 받을 거 같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봐라 배터리 산업은 차세대 에너지 산업인데....원유 이너서클부터 다른 유럽 선진국 들이 가만히 한국이나 한국이 선택한 국가에서 만들어지는 삼성이나 LG배터리만 사준다는 생각 자체가 순진한 거지 ㅎㅎㅎ
우리나라 증권사도 매도 보고서 꼭 써야함 해당 주주들 컴플레인때문에 눈치보면서 안쓴다는 것은 우리나라 금융 시장 성장에 역행하는 것임. 증권사 하우스별로 담당 애널과 리서치장은 2차전지 현황에 대해 캐치하고 있었을 건데 주가 오를때는 모멤텀과 수급에 포커싱 맞추어 호재성 리포트만 작성하고, 반대 상황(악재)는 우선 차치하였음. 만약, 악재를 인지하지 못하였다면, 이것은 더 큰 문제아닙니까? 매수와 매도는 개인의 판단이고 책임은 맞지만 이건 돈이 오가는 시장에서 달톰한 것만 보여주는 피리 부는 사나이 짓을 증권가에서 한다면 개인은 따라다니다가 물에 빠짐.
김필수 교수가 주장하는 미션이 바테리 소비전력 효율을 항상시킨다는 것은 확실하지 않는 주장이라고 봅니다 전기차의 인버터 모터외 주파수 변화로 직접 모터회전을 조절하는 것과 기어를 사용해서 속도를 줄이는 방법과의 에너지 효율은..이론적으로 기어를 거치면 효율은 떨어지는데 글쎄요
@koreanstockrider 240
2021년 3월 21일 18:39안녕하세요. 증시각도기 곽상준입니다. 부족한 사람을 불러 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편하게 인터뷰 해 주셔서 너무 거칠게 많은 말을 한 게 아닌가 싶습니다.
증시각도기tv에 오시면 미국증시와 거시경제 상황, 한국시장의 흐름에 대한 이야기를 꾸준히 하고 있습니다. 많이 찾아와 주셔요~ 감사합니다.
https://youtube.com/channel/UCdOjVxkj5JA0iDu3_xcsTyQ
@초코-h8f 55
2021년 3월 21일 19:02욕심을 버리고 겸손해야지 주식 시장에서 살아남는 건 진짜 맞습니다.
몸소 느끼고 있습니다.
참 희안하게도 맞더라구요.
@임밍밍누나 54
2021년 3월 21일 19:05전기차 관련 시장 좋을 때는 이런 영상이 없었는데..ㅜ 2차전지 박살나고 이런영상 올라오니 좀 아쉬운 면도 있네요ㅠㅠ
@하늘바람-k1e 39
2021년 3월 21일 19:50반도체도 이겨냈습니다. 2차 전지도 이겨낼것입니다. 무슨 소리하는지? 반도체도 10n에서 2~3n로 대한민국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LG화학이나 삼성SDI가 지금 기술로 머물러 있을것 같습니까? 더욱 기술 개발하죠...
@crom9325 39
2021년 3월 21일 22:1510:13 부터 본론. & 폭스바겐 발표는 그냥 계획일 뿐. 실제로 실현 가능할지는 알수 없다
@hodu6776 33
2021년 3월 21일 18:25김작가님!!! 김작가님의 방송타이틀처럼 좀 다양한 사람들을 인터뷰했으면 좋겠네요...너무 주식관련자로만 편중이 되어있네요..
초심을 잃지 않고 우리 사회의 다양한 사람들 이야기를 담았으면 합니다..자꾸 돈만 버실려고 구독자수에 너무 심취하셔서 주식에 올인하는 느낌입니다..
그나마도 주식으로 성공한 사람만 자꾸 만나시고 그 이면에 있는 사람들 이야기는 전혀 다루지 않고 있네요..
주식외에도 우리의 사회, 문화,경제,역사 등 여러분야 사람들 만나주시길 바랍니다....초심을 잃지 마시길..... 그냥 바램입니다....
rina cho 27
2021년 3월 21일 18:45아니구 여기서 도 보실줄 ㅋㅋ
증시각도기 잘보고 있읍니다
@Ygm9082 26
2021년 3월 21일 18:37욕심.. 이성마비 진짜 진리다.
@shenkge9221 26
2021년 3월 21일 18:44와 트랜스미션은 생각도 못했는데 진짜 2차 전지 쪽은 큰 위기이기는 하네요
라우또 25
2021년 3월 21일 18:57폭바 우습군요 대형 바테리하려면 최소8년 ㅋ
@우당탕탕의숲 23
2021년 3월 21일 22:45전문가 맞나? 엔진의 토크 특성 때문에 트렌스 미션을 쓰는거고 전기차는 모터랑 밧데리중간에 기어비를 줘서 감속기로 토크 특성을 인버터로 속도를 조절하여 엔진의 변속기 역할을 대신하는건데 구지 이중으로 돈을 써서 달아야야 하나? 배터리주 투자한 사람 많을텐데 제대로 된 자료를 검증하면서 방송 했으면 좋겠습니다.
금융체스플레이어 18
2021년 3월 21일 19:25살살 매수 시점이군...
@bkjjjjkkjjjjbbb 16
2021년 3월 21일 19:37삼성이랑 LG가 함께 전기차 만들면 좋을꺼같아요^~^
fmdj 16
2021년 3월 21일 18:44솔직히 연기금한테 우리나라 비중 늘리라고 압박하는거 자체는 잘못된건데 정책당국이 한국주식투자자들의 여론에 밀린거같습니다
@breadsic6517 15
2021년 3월 21일 19:03내가 삼성 LG면 특허 로열티 비싸게 받고 해당 국가 회사 지분을 받을 거 같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봐라 배터리 산업은 차세대 에너지 산업인데....원유 이너서클부터 다른 유럽 선진국 들이 가만히 한국이나 한국이 선택한 국가에서 만들어지는 삼성이나 LG배터리만 사준다는 생각 자체가 순진한 거지 ㅎㅎㅎ
Jaemyung yang 13
2021년 3월 21일 21:41폭스바겐 가짜 친환경 디젤 엔진으로 디젤 게이트를 일으킨 주범 아닌가요?
하고 싶은 것과 할 수 있는 것의 차이
양정욱 13
2021년 3월 21일 20:53와 전기차 변속기는 자동차리뷰 채널에서 들었었는데... 배터리 용량과의 관계는 생각 못했었네요... 와우!!...저는 2차전지 ETF를 가지고 있습니다ㅋㅋㅋ
@Harry-qg4gl 12
2021년 3월 21일 19:263부 빨리 내놔요~ 현기증 난단말이에요~
@주원-k9t 11
2021년 3월 21일 18:56김작가채널을 통해 2차전지에대한 궁금증에 많은 해답을 얻었어요! 감사합니다 ^^
@taehongkim8147 11
2021년 3월 21일 23:19우리나라 증권사도
매도 보고서 꼭 써야함
해당 주주들 컴플레인때문에
눈치보면서 안쓴다는 것은
우리나라 금융 시장 성장에 역행하는 것임.
증권사 하우스별로 담당 애널과 리서치장은
2차전지 현황에 대해 캐치하고 있었을 건데
주가 오를때는 모멤텀과 수급에 포커싱 맞추어 호재성 리포트만 작성하고,
반대 상황(악재)는 우선 차치하였음.
만약, 악재를 인지하지 못하였다면, 이것은 더 큰 문제아닙니까?
매수와 매도는 개인의 판단이고 책임은 맞지만
이건 돈이 오가는 시장에서 달톰한 것만 보여주는
피리 부는 사나이 짓을 증권가에서 한다면
개인은 따라다니다가 물에 빠짐.
@실행이답-i2k 10
2021년 3월 21일 20:36솔직히 증시각도기는 저와 시각이 다르다는 이유로 잘 보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내가 듣고 싶어하는 것만 들으면 투자의 소견과 시야가 좁아짐을 느꼈습니다
오늘 말씀 너무 감사드리고 증시각도기도 잘 시청하겠습니다^^
Jaemyung yang 10
2021년 3월 21일 21:30국민연금의 한국시장 비중 축소는 너무 순리적인 겁니다 지금 당장 개미들이 불편하다고 미래 주식시장에 혼란을 줄 결정을 해선 안되는거죠
@SsyevZ 10
2021년 3월 21일 19:32안깨지기만 해도 버는거란 말씀 짱짱 멋져요!
투자의 태도ㆍ각도기님 책 보면서 또 한번 확신하게 되었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김노스-z8q 10
2021년 3월 21일 21:27슬 들어갈때인듯하네요ㅎ
@이철진-u1g 9
2021년 3월 21일 21:44말씀하신 포르쉐 타이칸 1회 충전 주행 가능 거리가 280km밖에 안나오네요. 이 부분도 아주 먼 얘기네요...
J 9
2021년 3월 21일 21:29밧데리에 관한 포인트가 날카롭네요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쪼꼬미-g2r 7
2021년 3월 21일 20:55다음편 또 있는건가요~~?
눈빠지게 기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최희정-e1e 7
2021년 3월 21일 20:52각도기님^^ 타방송에서는 훨씬 각을 잡고 말씀하시네요. 잘들었습니다.
@BEN-fd3in 7
2021년 3월 22일 05:22늘 위트있는, 미소가 절로.. 귀여운 각도기님 ㅎㅎ
Ricky Kim 7
2021년 3월 21일 19:32일정수준의 장기적인 인플레이션을 원하는 연준을 따라가야한다는 말씀이네요
@Park-sq9ek 7
2021년 3월 21일 20:05안 깨지면 번다는 말씀 공감되는데
그게 쉽지 않은거 같아요
혜경화 7
2021년 3월 21일 21:53김작가님 안녕하세요
아무리 좋은주식도 꼭대기에매수하면 개고생 합니다
강외선 5
2021년 3월 21일 19:29그냥 삼성카 엘지카 만들었으면~ 삼성이 하만을 인수하고 엘지가 전기차 부품 사업에 뛰어든 이유가 멀까요? 삼성 엘지~ 걍 전기차도 만들었으면 좋겠네~
dream for 5
2021년 3월 21일 23:33현재처럼 주식방송 계속해주세요..다른 방송하면 사람들이 여기에 안옵니다..
@indiefarm 5
2021년 3월 21일 20:39???: 한국 배터리 삼대장중에 하나 가지고 있는데 큰일났네, 이제 박살 나겠네요... 이 말이 저도 주주라 웃프는 상황이네요ㅋㅋㅋㅋ 김작가님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ㅎㅎ
최지미 5
2021년 3월 22일 17:12김필수 교수가 주장하는 미션이 바테리 소비전력 효율을 항상시킨다는 것은 확실하지 않는 주장이라고 봅니다
전기차의 인버터 모터외 주파수 변화로 직접 모터회전을 조절하는 것과 기어를 사용해서 속도를 줄이는 방법과의 에너지 효율은..이론적으로 기어를 거치면 효율은 떨어지는데 글쎄요
@유쌤-s5x 5
2021년 3월 22일 21:56오를땐 이런의견은 없고
떨어지니
이젠 고려해봐라
코에걸면 코걸이
한국시장은 수급이 문제
좋아도 팔고
나쁘면 더 팔고...
rune saga 5
2021년 3월 21일 20:27감사합니다 !
박경훈 5
2021년 3월 22일 20:51H사에서 전기차 TM 이미 적용 실험했는데 베터리 효율 증가 없었다는군요.. 물론 엄청 잘만들면 좋아질순있지만 무게 상승 원가 상승 감안할건 아닙니다.. TM 들어가는건 퍼포먼스 때문이지 전기효율때문은 아닙니다 현재까지는... 완전히 잘못된 의견입니다.
@scalet9677 4
2021년 3월 21일 19:31김작가님 빨리 매도하세요~ㅋㅋㅋㅋㅋ
화학 철강 유통 금융 고고~
제네시스 4
2021년 3월 21일 19:19퀄리티있는 내용 감사합니다^^
@S합리적의심 4
2021년 3월 21일 19:04좋은 말씀 감사드려요~
@고래등-m7t 4
2021년 3월 21일 21:17갓갓갓또우기
Jaemyung yang 4
2021년 3월 21일 21:36이제 중장기적으로 인플레가 올 수 있는 시대는 끝났죠 수명의 연장으로 소득을 써야하는 기간이 소득을 벌어 들이는 기간 보다 너무 늘었고 부의 불균형이 극에 달해서 수요가 일으키는 진성 인플레는 역사속으로...
골드70 4
2021년 3월 21일 19:07감사
@namwoongkim5852 4
2021년 3월 21일 23:22제가 증권사 근무 30년째인데 참 좋은 말씀 해주시네요. 욕심을 내려 놓는다는 말씀 참 공감됩니다. 제가 아직까지 살아있는 이유이기도 하구요...^^
골프초보 3
2021년 3월 21일 19:27기대합니다
Heesun Han 3
2021년 3월 22일 00:49이분이 누군지는 모르지만 완전 공감된다
@에크로벳 3
2021년 3월 21일 22:12수고했습니다. 잘보았습니다.
김동국 3
2021년 3월 21일 19:56페드에 맞서지 말어라!
@블루브릿지 3
2021년 3월 21일 20:07마지막에 생생한 경험담, 와닿습니다 감사합니다
전문가분들도 실수를 하신다는 말씀에 위로가 됩니다
@고동욱-t8k 2
2021년 3월 23일 00:19고수가 되기는 어렵군요
직장인 2
2021년 3월 21일 19:29아 그러네..? 미션을 생각을 못했네..? 이래서 내가 이 모양인가보다 ㅋㅋㅋㅋㅋㅋ
@SunghooP 2
2021년 3월 22일 07:27연준.. 지들이 일부러 어렵게 올려놓은 인플레이션을 직접 쉽게 내리진 않를것.
고용이 어마어마한 상승이 나와야하고.
고용으로 인한 경재 활성화가 본격적으로 일어나야 인플을 다룰 생각할 것.
과천씨티부동산 2
2021년 3월 22일 16:38감사합니다!!^^
@알파고-r7c 2
2021년 3월 23일 09:20일단 시간은 걸리겠지만 배터리업체가 앞으로 더 많이 생기는 것은 확실 하네요
부자 2
2021년 3월 21일 20:57돈을 잃지 않는 투자에 집중하면서 실력이 성장했을때 본전만 남아 있으면 돈을 버는 게 주식시장입니다.
그런데 그정도 실력이 될때까지 너무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돈을 잃고 정작 돈을 딸수 있는 경지가 될때까지 주식시장에서 버티지 못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김일성 2
2021년 3월 23일 20:11빠떼리주 끝난지가 언제인데
@민트-s7r 2
2021년 3월 21일 19:42밭데리 주식 조금 남아있는데 신경쓰며 대응하겠습니다.
@정희원-o5x 1
2021년 3월 22일 20:31각도기님
여기서보니 더 반갑네요
오늘도 수트 너~무 멋지시구요
각도기티비는 이미 보고 왔어요~~^^
m jin 1
2021년 3월 23일 14:30반갑습니다 감사합니다❤
@limjaesu5051 1
2021년 3월 23일 06:01감사합니다 각도기님. 작가님도 감사합니다
반등 1
2021년 3월 21일 22:25연준은 알겠는데 중국은 긴축하지 않을가요? 중간에 낀 우리는 어떻게 될가요?
@LJ-ed2lw 1
2021년 3월 23일 21:01각도기님 대단하시네요
@멀리보는연습 1
2021년 3월 21일 23:39각도기님~~~퐈이팅~~~^^♡
김주현 1
2021년 3월 21일 20:32이런 해석은 어떻게 검증해야 할지요.
@soldier_ant_trader 1
2021년 3월 21일 19:16재미있게 잘 보았어요
즐거운 주말되세요
캔들A 1
2021년 3월 22일 07:26힘 빼는거 힘든것같습니다.
욕심... 최대적입니다.
@Eurystomus 1
2021년 3월 23일 23:53감사합니다
@배나온사자-w5b 1
2021년 3월 23일 18:06주식시장의 목사님 같은 포스시네요..저도 최근 욕심부려서 이성마비로 후회하고있는데요 앞으론 회개하고 곧은 마음가짐으로 다시 투자에 임하겠습니다ㅜㅠ
김작가tv에 좀 빨리 나오셨더라면...ㅜㅠ
김작가님 훌륭한분 섭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Sungyong Kim
2021년 3월 23일 22:13배터리 보다 리튬 원재료 관련주 사야되겠네
H J
2021년 3월 23일 01:44모터에 변속기를 달면 에너지효율이 올라간다구요? 이게 역학적으로 말이 되는 이야기인지 모르겠네요. 우리나라에서는 불법인 수준의 고속주행(200km이상)시라면 계산을 다시 해봐야할지도 모르겠는데, 현재의 제한속도 범위정도라면 괜히 차체의 무게만 늘리는게 아닌가 싶은데요.
@필드스포츠
2021년 3월 22일 16:03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korea2296
2021년 3월 24일 10:49도기형은 얼굴보면 상승하락 나옴 ㅋㅋ
넘 좋아요
@heydole
2021년 3월 22일 14:20저도 바이오는 쳐다도 안볼라구요.. 모르겠어요
@가나안성
2021년 3월 24일 15:10엔시스청약결과는 언제 알수있나요?
@귀인다니엘
2021년 3월 23일 20:366:57 사랑의밧데리
안미옥
2021년 3월 23일 13:51친구한테 투자하지말라고 말씀 하실때 너무 냉정해보여요...ㅠ
N
2021년 3월 24일 17:31영상의 결론 : 가봐야 안다.
@정이루어지다
2021년 3월 24일 20:49각도기님 잘듣고 갑니다
레몬밤
2021년 3월 21일 23:20흠...장기적으로 보면 밧데리 수요가 줄어든다는 말이네요
@asdgfhhjkklokj9228
2021년 3월 21일 23:18미국 단기채금리 올라가는게 채권시장에는 안좋은건가요???
금리가 올라야 채권이 좋은거 아닌가요??
Ycc나 테이스트 하면 채권한ㄷ테 긍정적인가요? 형님들 답변부탁드립니다
Renee Han
2021년 3월 21일 19:52역쉬 장기보다 단기만 보는 경알못 정부~
Peter Blatt
2021년 3월 23일 15:46잘 생각해보면 2024년까지.백만원 다시 보기는 힘들다는말
@davidkim7662
2021년 3월 22일 13:14기술로 그것을. 사용화 시킬려면. 시간뿐만아니라 비용 이 큰. 문제입니다
@Jery_333
2021년 3월 21일 23:25연기금은 너무 패시브해서... 운용수익률이 글로벌 연기금에 비해서 떨어짐..ㅜㅜ 폭락장이 온다면 다른 이야기지만.. 국장아.. 저평가 좀 벗어나보즈아!
sung jun kim
2021년 3월 22일 12:08오늘 시황 보삼....ㅡㅡ
ㅈㄷㅇㄷㅊㅅㅂㅅ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