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우리 필드의 도메인/스케일/범위를 알아야한다. - 파레토 법칙이 어딜가도 쓰이는 구나. 수익을 내려면 디테일하고 정확하게, 명확하게 그 분야에 대해 알아야한다. 물론 처음은 러프한 근사치만 알아도 좋고. 2. 하지 말아야 할 것/ 뺄 것은 무엇인가. 이 부분은 즉 가성비. 효과를 떼 놓을 순 없으나 input 대비 output이 나와야한다. 그럼 당장에 줄여도 되는 것. 그래서 다른 곳에 재투입해서 생산성을 높일 부분이 있는 지 생각. 물론 초중기는 열심히. 3. 속도의 중요성. 너무 완벽하려하지마라. 예외는 있다는 전제로 선점효과의 중요성.
박사님, 안녕하세요! 커뮤니티에 적어주신 글 <우리 회사에서 깨달아야 하는 것>을 읽을 때는 그냥 눈으로 읽고 흘렸는데 (좋은 글인건 알았지만 피부에 와닿지 않더라구요 ㅠㅠ) 이렇게 영상으로 풀어서 설명해주시니 정말 확!! 와닿습니다. 영상을 3번 정독했습니다. 그리고 제 일에 접목해보려니, 영상 시청시간의 배로 들어가는 것 같습니다. 흑흑... 부탁드리고 싶은 것이, <우리 회사에서 깨달아야 하는 것>의 나머지 7가지도 영상으로 나눠서 설명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하나하나 전부 박사님께서 비즈니스를 하면서 온 몸으로 체감하고 깨닫는 포인트가 있으셨을 것 같습니다.
4번 내가 일하는 곳에서 운이 난무하는 정도는 얼마인가? 이건 측정하기 어려운 부분이겠지만, 어떻게 대략적으로 알 수 있을지. 그리고 이를 알아야 하는 진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번 지금 하는 일이 히든에셋이 될 수 있게, 나만의 노하우로, 시스템이 되어 빠르게 결과를 낼 수 있게끔 일하도록 하겠습니다.
6번 1%의 내용을 틀어도 결과가 100% 바뀔 수 있다는 부분 정말 궁금합니다. 내용을 어떻게 틀어야하는지도.. 앞서 말씀하신 1, 2, 3번과 연결되겠지요? 전체 스케일을 파악하고 큰 그림을 알면 세부적인 작은 그림이 더 잘 보인다는 말씀과 연결될 것 같습니다. (제 생각입니다^^;;)
7~10번까지 전부 다 궁금합니다. (사실 '글쓰기는 모든 것의 근간이다' 부분은 이전의 최재천 교수님 빡독 강연영상 독서는 빡시게 하는 것이다 를 보고 거의 이해한것 같습니다. 엄청 동기부여가 됐습니다)
바쁘시겠지만 ㅠㅜ 나머지 7가지 부분들도 부가 설명을 들어 제 머리가 팍팍 트였으면 좋겠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챙기셔요!!
@sung-jinchoi3948 32
2021년 3월 24일 07:44오호 오늘은 첫번째 댓글😂😂😂😎😎 영광스
1.우리 필드의 도메인/스케일/범위를 알아야한다.
- 파레토 법칙이 어딜가도 쓰이는 구나. 수익을 내려면 디테일하고 정확하게, 명확하게 그 분야에 대해 알아야한다. 물론 처음은 러프한 근사치만 알아도 좋고.
2. 하지 말아야 할 것/ 뺄 것은 무엇인가.
이 부분은 즉 가성비. 효과를 떼 놓을 순 없으나 input 대비 output이 나와야한다. 그럼 당장에 줄여도 되는 것. 그래서 다른 곳에 재투입해서 생산성을 높일 부분이 있는 지 생각. 물론 초중기는 열심히.
3. 속도의 중요성.
너무 완벽하려하지마라. 예외는 있다는 전제로 선점효과의 중요성.
선생님 강의를 들으며, 성공하고 있는 사람들의 공통점이 보입니다.
이 모든 것에는 공부와 독서가 기본이지유. 오늘하루도 졸꾸😂😂😋🤣
댓글 7
2021년 3월 27일 20:48일 잘하는 사람의 3가지 특징
1. 스케일을 파악하자
2. 무엇을 뺄지 고민하자
3. 실행속도를 고려하자
결론 : 업무의 효율을 생각하자.
@나눔천사-t5v 7
2021년 3월 24일 10:28수십년 경험해도 얻지 못할 수도 있는 좋은 말씀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은화-r8i 6
2021년 3월 24일 07:55올두 출근길을 반성적사고와 시스템적사고 일깨워주는 영상감사합니다~~
@편자남편의점에서자기 6
2021년 3월 24일 08:46어렵고도 고급진 강연 감사합니다.
내가 하고있는일의 스케일을 알아야하고 하지말아야할것들을 판단하여 실행할줄 알며, 실행속도를 높여라 그러나 분야와 영역에 따라 항상 그런것은 아니다.
라이프헌터 레온 : 인생은 예술이다 4
2021년 3월 24일 11:09뺄 것은 무엇인가 고민하는게 특히 공감됩니다!
잘하고 싶은 마음에 뭔갈 더 더하려니 조잡해지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1977colaful 4
2021년 3월 24일 08:24이런 귀한 포인트를 가르쳐주시다니 항상 감사합니다~~!!😍😍😍
@명품복원러 3
2021년 3월 24일 14:40감사합니다 박사님🙏
@권현정-c1r 3
2021년 3월 24일 07:502번째입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신민재걸 2
2021년 3월 24일 11:02감사합니다^^ 복습복습
@또로또다다다 2
2021년 3월 24일 13:59꾸준한 실험의 결과를 통해 얻은 통찰
초반에 힘을 들였기에 힘을 뺄 줄도 알게 됨
그러나 만약 초반에 힘을 뺀 상태로 했더라면 됐을까?
오히려 시간과 정성을 들인 그 노력들이 있었기에 가능하지 않았을까!
유튜브의 상승곡선에 뛰어들어
꾸준하게 실험을 하였고
시행착오들을 겪으면서 얻게 된 교훈들이
귀중한 자료가 되고
앞으로의 실험은 계속될 것이다.
@_songtube_ 2
2021년 3월 24일 08:29와 정말 커뮤니티에 올려주신 글보고 관련동영상 올라왔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영상 감사합니다!ㅜㅜ
@healthy_three_meal 2
2021년 3월 24일 09:49감사합니다
@장정화-c5m 1
2021년 3월 27일 06:55박사님, 안녕하세요! 커뮤니티에 적어주신 글 <우리 회사에서 깨달아야 하는 것>을 읽을 때는 그냥 눈으로 읽고 흘렸는데 (좋은 글인건 알았지만 피부에 와닿지 않더라구요 ㅠㅠ) 이렇게 영상으로 풀어서 설명해주시니 정말 확!! 와닿습니다. 영상을 3번 정독했습니다. 그리고 제 일에 접목해보려니, 영상 시청시간의 배로 들어가는 것 같습니다. 흑흑... 부탁드리고 싶은 것이, <우리 회사에서 깨달아야 하는 것>의 나머지 7가지도 영상으로 나눠서 설명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하나하나 전부 박사님께서 비즈니스를 하면서 온 몸으로 체감하고 깨닫는 포인트가 있으셨을 것 같습니다.
4번 내가 일하는 곳에서 운이 난무하는 정도는 얼마인가? 이건 측정하기 어려운 부분이겠지만, 어떻게 대략적으로 알 수 있을지. 그리고 이를 알아야 하는 진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번 지금 하는 일이 히든에셋이 될 수 있게, 나만의 노하우로, 시스템이 되어 빠르게 결과를 낼 수 있게끔 일하도록 하겠습니다.
6번 1%의 내용을 틀어도 결과가 100% 바뀔 수 있다는 부분 정말 궁금합니다. 내용을 어떻게 틀어야하는지도.. 앞서 말씀하신 1, 2, 3번과 연결되겠지요? 전체 스케일을 파악하고 큰 그림을 알면 세부적인 작은 그림이 더 잘 보인다는 말씀과 연결될 것 같습니다. (제 생각입니다^^;;)
7~10번까지 전부 다 궁금합니다. (사실 '글쓰기는 모든 것의 근간이다' 부분은 이전의 최재천 교수님 빡독 강연영상
독서는 빡시게 하는 것이다를 보고 거의 이해한것 같습니다. 엄청 동기부여가 됐습니다)바쁘시겠지만 ㅠㅜ 나머지 7가지 부분들도 부가 설명을 들어 제 머리가 팍팍 트였으면 좋겠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챙기셔요!!
@온달-p9f 1
2021년 3월 30일 04:49영상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LEE.SE. 1
2021년 3월 24일 14:53잘봤어요 ㅠㅠㅠ진짜
@b.t.y2023 1
2021년 3월 24일 13:18상당히 고오급진 강의군요. ㅎㅎ
저에게 말씀해 주신 3가지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진지하게 고민해 봐야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ei6bb1bx6kesa64 1
2021년 3월 24일 12:29_(투입,과정,최종)스케일 / 뺄 거(비효율성) / 선빵필승(+반면교사)
@LesGoLetsGo
2021년 12월 31일 18:39처음 업로드 하셨을때 보고
지금 다시 보게되었는데..
와.. 정말 중요하고 고급진 내용입니다.
작은 조직의 리더인데
저를 돌아보며 부끄럽기도하고
이런 내용을 접할 수 있어서
너무 감사하고 행운이라는 생각이듭니다.
감사합니다
유룰루
2021년 3월 26일 14:06꼰대짓 하는지 봐야겠네
@마니아-j4n
2021년 5월 10일 11:32항상 도움되는 말씀..감사합니다!!
서정미TV
2021년 3월 26일 14:29빅피쳐
감사합니다
동수의 독서학 개론
2021년 7월 07일 20:59고맙습니다 박사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