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부동산이 어찌되었든 정부가 임대사업자 혜택 갈수록 줄이며 전세대출규제 들어오는 건 사실이죠. 거시점 시점으로 상황을 좋게 바라보려고 해봐야 정책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안잡히면 잡힐 때까지 연속규제를 쓰게 되겠지요. 이런 상황에서 무작정 세계가 오르니까 서울도 싼 것은 아니다, 우상승 흐름이다 라고 진단하는 것은 통계를 올바로 활용한 게 아니라 현실을 도피하려고 아전인수로 통계를 끌어들인 꼴밖에 되지 않습니다. 결코 부동산 신규진입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수도권 집중, 양극화에 따른 평균의 함정이랄까 실제로 지방은 떨어지고, 서울은 오르고, 소득분위도 점점 벌어지고...물론, 거시지표들은 성장해야되고 중요합니다만, 체감 경제지표고 나라에서 도입하여 정책에 디테일에 반영되었으면 합니다. 거시데이터의 시계열성도 매우 중요하니까요! 박사님, 시간이되신다면 양극화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들은 어떤것이 있을지 소개요청드려도될까요? 살펴보니, 대공황이후 미국사례가 있었지만, 쉬워보이지는 않았습니다. 새해복 많이 받으시고, 올해도 건승하세요!! 감사합니다.
카르스 4
2020년 1월 24일 12:40좋은 통계입니다만... 지역별로도 비교해봤으면 좋겠습니다. 한국에서 특히 문제되는 부동산값 상승은 서울이고 지방은 오히려 하락세를 보이는데, 국가별로 제1도시끼리 상승률을 비교하면 어떨지 궁금합니다.
조영화 2
2020년 1월 23일 07:29세계가 버블이네요ㅜ
한번은 터지겠네
C QJSTM 1
2020년 1월 23일 14:52세계 부동산이 어찌되었든 정부가 임대사업자 혜택 갈수록 줄이며 전세대출규제 들어오는 건 사실이죠. 거시점 시점으로 상황을 좋게 바라보려고 해봐야 정책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안잡히면 잡힐 때까지 연속규제를 쓰게 되겠지요. 이런 상황에서 무작정 세계가 오르니까 서울도 싼 것은 아니다, 우상승 흐름이다 라고 진단하는 것은 통계를 올바로 활용한 게 아니라 현실을 도피하려고 아전인수로 통계를 끌어들인 꼴밖에 되지 않습니다.
결코 부동산 신규진입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윤한준 12번 1
2020년 1월 23일 08:06수도권 집중, 양극화에 따른 평균의 함정이랄까 실제로 지방은 떨어지고, 서울은 오르고, 소득분위도 점점 벌어지고...물론, 거시지표들은 성장해야되고 중요합니다만, 체감 경제지표고 나라에서 도입하여 정책에 디테일에 반영되었으면 합니다.
거시데이터의 시계열성도 매우 중요하니까요!
박사님, 시간이되신다면 양극화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들은 어떤것이 있을지 소개요청드려도될까요? 살펴보니,
대공황이후 미국사례가 있었지만, 쉬워보이지는 않았습니다.
새해복 많이 받으시고, 올해도 건승하세요!!
감사합니다.
@1968kss 1
2020년 9월 19일 16:14좋은 자료네요,,,서울집값은 엄청 올랐는데,,전체 통계는 다르네요,,
@harudad 1
2020년 1월 25일 10:07어디 보니 올해 서울 집값 5% 상승한다 말씀하시고, 이런 영상에서도 집값 상승 긍정적인 말씀하시는데요.
부디 젊은이들이 홍박사님 말 듣고 덜컥수 벌이는 일 없었으면 합니다.
홍박사님도 대중에게 어떤 의미로 전달될 지 좀더 신중히 말씀하시면 좋겠습니다.
@k블랙베리
2020년 1월 23일 07:12정말유용하게봤습니다
감사합니다
티엔콩 중국어
2020년 1월 23일 10:01정말 좋은 주제와 내용이에요~~ 감사합니다♥
아하하아하하하하
2020년 1월 23일 22:55데이터를 보면 시장 상황에 안휘둘리게되는것 같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stockus9498
2020년 1월 23일 07:10감사합니다.
@김생선인사이트
2020년 1월 23일 09:01불안하기도 하면서 호기심도 있는 양가감정이 드네요,,ㅋㅋ
대공황, 석유파동, 1980년말 일본, imf, 2008금융위기 등,,
세세히 살펴보면 그 폭풍속에 있었던 사람은 고통이였겠지만,
지나고 나서나 그것을 겪지 않은 사람들이 보면 흥미롭기도
한 부분이지요.
그리고 항상 위기인 동시에 그속에 기회가 있어왔구요 , 그
기회를 보는 눈을 가진 사람은 잘 극복하겠지요..운도 따라줘야
하겠지만요~ 그런의미에서 배움을 지속합니다!
Calvin
2020년 1월 23일 20:52이래서 통계가 3대 거짓말중 하나인가봅니다. 가계 부체나 인구감소 수도권 쏠림현상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봅니다.
@birdwa_4067
2020년 1월 23일 09:57늘 휘둘리지 않는,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stockus9498
2020년 1월 23일 07:11특강 수강했습니다.
정말 유용하고 유익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gustkdeo
2020년 1월 31일 12:53부동산만 나오면 감정적인 분들이 많아서 ㅠ 힘드실 것 같습니다
@KnulpNomad
2020년 2월 05일 08:56이런 세계 통계 좋네요. 근데 한국 경제는 중국과의 커플링 현상이 두드러진다고 하는데, 부동산도 그러한지 궁금하네요. 마지막 화면에서는 그런 현상이 뚜렷해 보이기는 합니다만..
킁카
2020년 1월 23일 20:381985년 UNC에서 지리학을 전공한 졸업생의 초봉 평균이 십만달러였습니다.
그런데 지리학 졸업생 중에 조던이 들어가있었습니다. 평균의 함정은 매우 무섭지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