겁내지 않고 새로운 일을 시작하는 법 | @이연LEEYEON '겁내지 않고 그림 그리는 법' 저자 | 도전 용기 드로잉 클럽하우스 | 세바시 나머지 45분 ep.14
왜 우리는 어떤 일을 시작하기 전에 두려움을 먼저 가질까요? 새로운 일을 시작할 때 두려움에 맞서는 방법을 53만 구독자를 보유한 '독보적인 그림 유튜버'이자 ......
왜 우리는 어떤 일을 시작하기 전에 두려움을 먼저 가질까요? 새로운 일을 시작할 때 두려움에 맞서는 방법을 53만 구독자를 보유한 '독보적인 그림 유튜버'이자 ......
@이연LEEYEON 358
2021년 4월 07일 10:14인생 인터뷰.........
김짠부 재테크 108
2021년 4월 07일 21:14이연님 솔직히 말해보세여,,, 인생 6회차죠,,,?
@행복한라마 104
2021년 4월 06일 21:49일기를 솔직하게 쓰는게 매우 어려운 저예요. 나한테서 나오는 솔직함에 내가 놀랄까봐서, 그리고 누군가가 그 진심을 알까 싶어서 오는 막연한 두려움 때문인것 같아요.
그래서인지... '내가 나와 친하지 않기때문에 일기를 쓰는것이 어색하단 말'이 매우 와닿았어요. 그 누구보다
나에게 솔직하고 나와 친해지는 과정부터 시작해야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너무 잘 들었습니다. 감사해요💛
@kooster91 102
2021년 4월 06일 21:50물은 두려울 땐 저항이 되지만, 극복하고 나면 내 움직임을 도와주는 환경이 된다는 그 문장이 정말 멋지네요. 책도 꼭 읽어보세요!
@구둘기-f3q 45
2021년 4월 07일 18:53너무 귀여운 몽블랑 빵같애요❣️ 이연님의 솔직함과 갬성과 짖궂은 웃음을 사랑함다
@누울-j5t 40
2021년 4월 06일 23:46겁이 많아서 자꾸 움츠러 들고 도전 하지 못하면서 시도조차 안하는 자신이 미울 때가 있었습니다. 이연님 이야기를 통해 조금 더 자신을 믿고 용기를 내보게 됩니다. 이연님이 열심히 아등바등 살아오며 느꼈단 각자의 누추함을 말하셨는데, 그 모습을 들으니 더 대단하고 위로가 됩니다. 저도 이연님처럼 누추함이 더 빛날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네요
@chokwanhyung 33
2021년 4월 06일 20:30글이나 그림이나 잘 쓰고 잘 그리려면 잘 살아야 한다는 말이 인상적이네요. 그럼 난 잘 쓰지 못할지도 모르겠지만..
불안은 떡처럼 기본으로 딸려나오는 거라는 비유도 와 닿습니다.
늘 이연님의 펜 드로잉 잘 보고 있습니다.
@Carrot0910 25
2021년 4월 06일 21:13미술 뿐만 아니라 인생에 관해서도 깨달을 수 있는 말을 하시는 이연님 정말 좋아해요! 유튜브 잘 보고있습니당
@나현-k1n 23
2021년 6월 20일 21:47나이가 많지 않아보이시는데도 정말 대단하시네요
저도 힘내어서 열심히 할수있도록 격려해주어서 감사드려요
무기력해질때마다 이 강연 힐링강연으로 듵어야겠어요
@sebasi15 23
2021년 4월 12일 09:42[책 이벤트 당첨자] @코디제니Your Co-designer @oey @해운대눈사람 ✻ 선물로 드리는 책은 출판사 ‘미술문화’에서 지원해주셨습니다. 2021년 4월 16일까지 friends@sebasi.co.kr로 [당첨자 본인 확인이 가능한 유튜브 캡쳐 화면 / 당첨된 영상의 제목 / 유튜브 닉네임 / 이름 / 휴대폰 연락처 / 배송지 주소, 선물 수령을 위한 개인정보활용 동의 문구 (ex-개인정보활용에 동의합니다) ] 를 보내주세요. 책은 당첨자 정보가 모두 취합된 이후에 일괄 발송해드립니다
I know Jack shit 69신영선 21
2021년 4월 07일 13:29나중에 스님이나 종교인이 되시지는 않겠죠. 말씀이 많이 깨달은 말씀이시네요. 감사합니다
@시선생의시편지 21
2021년 4월 07일 07:49이연님의 말씀에서 품어니는 철학, 너무 매력적이고 존경스럽습니다^^
@jins3900 19
2021년 4월 06일 23:47이연님 강연을 듣는 동안 때로는 웃기도 하고 때로는 진지한 이야기에 귀기울이며 내일을 지낼 힘과 지혜를 얻어갑니다 :-)
채느밉 19
2021년 4월 06일 20:18허어..저희 학교 온라인 클래스때 창체시간에 이연님 나왔던 세바시 틀어줬었는데에ㅠㅠㅠㅠㅠ ㅠㅠㅠ 방갑네요ㅠㅠㅠ
@idea816 16
2021년 4월 08일 05:37어떤일을 하든지 겁부터 먹기 시작해서 핑계를 대는게 꼭 저 같네요 (못한다고 어렵다고 다른애들이 더 잘하는데 굳이) 사람들이 일단 시작하라고 하는데.. 그 시작부터가 힘들어요..
@mijinjeong6950 15
2021년 4월 06일 22:31떡볶이 비유 재미있게 들었어요.
얕게 오래하면 깊어진다. 이 부분도 제게 와닿네요. 시작하기 어렵지 않고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는데 그래도 많이 깨닫게 되었어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Ajdhr2977 12
2021년 4월 08일 03:14나의 미래에 대해서 명사가 아닌 동사,형용사로 꿈꿀 수도 있다는 것이 인상적이었어요. 명사로 표현할 때는 그것이 무엇인지, 왜인지 저 자신도 모를 때가 있었거든요. 인터뷰 내용이 공감이 되어서 오랜만에 끝까지 보게 된 세바시영상이었습니다. 과거에 그림을 그리다 포기한 저로서 한번 읽어보고 싶은 책입니다ㅎㅎ
@anica7277 12
2021년 4월 06일 20:55멋진 이연님 ~ 감사합니다^^
강연 잘 들었어요~~♡
@_dsa8743 11
2021년 4월 06일 22:52그림을 계속 놓지않고 계속 하고있게 도와주시는 고마운분이십니다ㅠㅠㅠㅠㅠ
@codejenni 10
2021년 4월 07일 12:32이연님 유튜브 친구추천으로 보기 시작한지 꽤 됐는데 지금은 친구보다 더 팬이 됐어요. 어떻게 인생에 대한 통찰을 이렇게 깊이 하실 수 있었는지... 그만큼 많이 생각하고 고민하고 힘들었던 시간들을 경험하셨을 테고, 그때마다 담담하고 유연한 이연님의 목소리만큼 헤쳐나가셨던 거겠죠?
웃으면서 유쾌하게 말씀하시지만 깊이와 안목이 고스란히 느껴지는 것이, 이연님의 유튜브와 크게 다르지 않아서 진행자분이나 세바시의 연출도 멋지다고 생각이 들어요.
불안은 인생의 기본 메뉴이다
나를 잘 이해하고 나와 친해지면 다른 사람도 이해할 수 있다
자기 부정을 하거나 문제를 회피하려 하지 않고 직시하면 해결할 용기가 생긴다
일을 미루거나 싫은 일을 피하는 것도 오히려 방법이 될 수 있다
나의 까탈스럽거나 ㅈㄹ맞은 성격도 개성과 안목이 될 수 있다
유튜브만 켜면 이런 좋은 이야기를 많이 들을 수 있는 세상에 사는 게 전 너무 감사해요.
이연님 앞으로도 바람둥이 사랑 열심히 하시길 바랄게용 ☺️💜 ㅋㅋㅋㅋ
@박순자-u4r 9
2021년 4월 06일 20:52제가 하고 싶은 일이 있었는데 용기를 가지게 된 시간이었습니다. 꿈을 쪼개면 궤적이 보인다. 꿈을 구체적으로 해서 하나씩 해나가면 언제가 이루어지겠지요~고맙습니다 ~^^
@chaedid 9
2021년 4월 06일 20:55이연님 보면 볼수록 더 보고싶은 그런..🥲🤍하..ㅋㅋㅋㅋㅋㅋ책은 야금야금 아껴읽고 있어요~오늘도 그림그리다가 음악 좀 들으면서 그리자~싶어서 왔다가 우연히 세바시 강연하시는거 듣고 갑니다.게으름쟁이는 “미룰수 있을때까지 미뤄보세요.”라는 말이 가장 와닿네요...ㅌㅋㅋㅋㅋㅋㅋ오호 진심 그래도 되는거야?😳하면서 솔깃했어요.늘 내 눈코입을 띄게 하는 이연님💙감사해요오우~
@SaeYeoPar 9
2021년 4월 06일 21:16잘살려고 노력하면 그림도 잘 나온다는 말 넘 좋네요^-^
@소금빛-h3q 8
2021년 5월 12일 10:29어쩌면 그렇게 어린 나이에 그런 가치있는 생각을 지닐 수 있을까요? 고맙습니다, 이연 작가님!
밍밍밍 8
2021년 4월 06일 21:07이연님은, 내가 어렴풋이 느꼈던 감정과 위화감을 말로 명확하게 표현해주는 느낌이라 좋아해요.
아 그때 그 감정이 이거구나. 이래서 위화감을 느낀거구나. 하는 부분이 많더라구요.
100%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꾸물꾸물했던 속이 풀어지는 느낌이랄까 ㅎㅎ 이래서 ‘정의’가 중요한가봐요.
진행자분은 진행하는데 급급한게 아니라, 대화에 집중하고 계시다는게 느껴지네요. 포인트도 잘 짚어주시고, 구체적인 공감도 해주시고. 대화하는 자세를 배워야겠어요 ㅎㅎ
@funnzypink 8
2021년 4월 07일 04:48저도 새로운일에 도전중입니다! 모두들 응원해요. 💜
@서범근-u7y 6
2021년 4월 09일 03:45이연 그림유튜버 님이 강연을 통해서 그림을 통해서 삶의 이야기를 어떻게 그릴지를 꿈꾼다는 말이 정말 크게 다가오게 되네요. 예술을 하시면서 자신만의 스타일을 만들어낸다는것을 잘살아나가는 것을 <겁내지 않고 그림 그리는 법>에서 만나 나가고 싶네요. 나만의 느낌을 어떻게 표현해야하는지에 대해서 이야기하시는것을 통해서 이연님이 인생을 허투루 살지 않고 피나는 노력으로 지금의 자리를 유지하고 계신다는 것을 느끼게 되네요.
@bubblesr56 6
2021년 4월 07일 00:30눈으로 볼 수 있는 만큼 그린다는 말이 모든것에 적용되는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일상을 보내면서 욕심내는 마음은 크면서 그에비해 행동하고 관찰하는 시간이 너무나 적었구나 돌아봅니다. 강연을들으며 주옥같은 말들이 많아서 메모를 하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지운-t1b 6
2021년 6월 03일 19:49물은 두려울 때 저항이 되지만, 극복하고 나면 내 움직임을 도와주는 환경이 된다는 그 문장이 정말 멋지네요. 제가 하고 싶은 일들이 있었는데 덕분에 용기를 가지게 된 시간이었습니다!
Jade Suhyang CHOI 6
2021년 4월 06일 21:06작가님의 수영장 썰 처럼 저도 일상에 의미를 많이 부여해요. 때로는 스쳐지나가는 말이 문득 삶을 담고 있는것 같은 때가 있더라고요. 중간 중간 작가님 말하는 내용 중 여러 부분 공감해가며 강의 잘 들었습니다. 좋았던 책 구절들도 여럿 인용해 주셔서 더더 알찼어욤 🙃
Soyeon Kang 6
2021년 4월 06일 22:43이연님 정말 자신만의 브랜드를 정말 확실하게 구축하신 것이 대단하고 멋져요.자신의 매력을 잘 가다듬고, 본인만이 가진 스킬을 솔직 담백하게 authentic 한 본인만의 스토리로 보여 준 이연님 정말 빛이나여! 전 6년간의 육아휴직 이후 재취업이 잘 안되다가 최근 좋아하는 일을 찾아, 새로운 시도를 하려고 꿈뜰거리는 중입니다. 용기와 열정을 주시는 이연님 감사하고 응원해요~ 책도 꼭 읽어보고 싶어요~
최수빈 6
2021년 4월 07일 02:45말씀하시는 것만 들어봐도 책을 많이 읽으시는 게 느껴지네요. 시간이 아깝지 않았어요. 유익한 말씀 감사합니다.^^
@mr.kimwriter 5
2022년 11월 25일 02:59정말 독보적으로 말을 잘하네.ㅋ
@ssinsso12 5
2021년 4월 06일 22:50저도 예술을 전공했는데, 내 못난 모습을 보는게 힘들어서 좌절하기도 했고 두려워서 시도조차 하지 않은 일도 있었어요. 45분 동안 창작이 외롭다고 생각했던 저의 대학시절이 스쳐 지나갔네요. 저도 저의 깊은 바닥을 보고나니 다시 하고 싶은 일도 생기고, 시작할 수 있는 힘도 생기더라구요. 지금 저는 또 새로운 상황을 위해 준비하고 있는데 다시 한 번 나와 내 인생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는 시간이 됐습니다. 저도 ‘느낌있는 사람’ 이고 싶네요 ㅎㅎ 그리고 평소에 유튜브 보면서 용기와 새로운 인사이트도 얻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
@ora7673 5
2021년 4월 25일 07:51그림뿐아니라 음악을 하면서도, 가르치면서도, 살아가는데에도... 도움되는 말씀들을 많이 전해주시네요. 잘 들었습니다.
@SeroumiDIY 5
2021년 4월 17일 17:02정말 멋지다 ...내가 지켜야하는 영역 ...👍
@applemint1 5
2021년 4월 06일 23:59세바시, 이연님 채널 구독중이예요
그림을 잘 그리려면 잘 살아야하는군요.
잘 살도록, 느낌있는 사람이 되도록 노력해볼께요.
좋은 강연 잘 봤습니다 👍
@달다구리-f3f 5
2021년 4월 07일 01:32인생 이야기가 많이 담겨 있네요. 위안이 되고 어려움을 헤쳐나가는 방법이 담담하게 실려있는 책이라 좋네요. 작가님 응원합니다.
먹야옹 5
2021년 4월 07일 01:26그림을 그릴수 있는 용기를 주는 사람
Ally Kim 4
2021년 4월 07일 00:14첫째가 미술 전공하는데 그리다 맘에 안들기 시작하면 그때부터 지우고 그리고 지우고 힘들어하더라구요
꼭 필요한 강의네요 ^^
@valentine_3619 4
2022년 8월 09일 22:37인터뷰 통해서 잊을뻔 했던 첫 마음을 되찾았어요
고맙습니다 ...
권오현 4
2021년 4월 06일 21:29최근 "친구"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는데 강연 (대화)들으면서 이연님이 제 친구가 되어주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하시는 말씀 들을 때마다 "아 그렇네, 내가 이런 상태였네." 하는 것도 많이 알아졌네요. 이연님의 꿈을 실시간 채팅으로 물어봤는데 중간에 나왔네요! (다시 첨부터 봤답니다) "부자" 라는 명사 꿈보다 훨씬 더 멋진 동사 꿈이네요!
아무튼 저 스스로 속이고 있던 열등감 불안 등을 이겨낼 수 있게 얘기해주셔서 감사하고
글을 읽는 것만으로 해결 안되는 게 세바시 45분으로 너무 많이 도움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P.S.
이연님의 "어에~" 랑 "웃음"이 너무 매력적이십니다. 건강하시고 앞으로도 좋은 글 좋은 영상 좋은 그림 많이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문채은-e5c 4
2021년 4월 07일 22:04도움이 되는 인터뷰였습니다..!!
뚜뚠두루룬 4
2021년 4월 06일 20:52알라딘에서 책 주문했어요! 이연님 그림들, 영상들로 그림에 대해서 다시 생각할 수 있어서 좋아요 :)
@wonderful_jeje 4
2021년 4월 28일 03:53책을 주문하게 되는 인터뷰네요. 책 주문하러 갑니다. 인터뷰내내 하시는 답변이 너무 다 인상적이네요.
퀴슈 - 덧없는 원생 4
2021년 4월 06일 20:58연님 최근에 아이패드 수채화 드로잉 영상을 찾다가 알게 되었는데..
정말 멋지신 분이 었군요. 자존감도 높으시고 , 개성도 있으시고 . 🙀이렇게 세바시를 통해 만나게 되어 반갑습니다~ 😺말하시는 것도 술술 말하시고.. 제가 원하는 롤모델 그대로 시네여... 너무 멋져요👍앞으로도 계속 하는일 유하게 풀리시길 바래요😻
북극공 3
2021년 4월 06일 23:44유튜브로 항상 잘 챙겨보고 있었는데 이렇게 세바시에서 만나게 되서 반갑네요~ 강연 잘들을게요
@seoanjang2733 3
2021년 4월 07일 01:47이연님을 조금만 더 일찍 알았더라면 내 삶이 조금은 달라졌을까 생각하는 요즘이에요 퇴사 후 이연님을 알게 되어 2-3일만에 영상을 거의 다 보게 되었어요 그냥 온전히 따듯한 말로만 보듬어주는 게 아니라 현실적으로 실행할 수 있으면서도 이성적으로 생각하고 계획하도록 방법을 제시해주고 경험했던 이야기를 들려주는 게 정말정말 도움이 많이 되어 좋아요 세바시 영상도 물론 봤는데 이렇게 길게 또 만나니 더 좋네요 :)
@jj_yun 3
2021년 4월 06일 21:12이연님 항상 조리있게 잘 말씀해주시고 그림도 멋져서 한명의 구독자로서 늘 즐겁게 시청하고있습니다! 그런데 세바시에 나오시다니ㅜㅠㄱ븊ㅜㅠ 행복해요
@이민정-x4r7l 3
2021년 9월 30일 22:36비유를 찰떡같이 잘하시는것같아요. 글에도 말씀에도 그게 느껴지네요
@해운대눈사람-d4z 3
2021년 4월 11일 00:45[ 중요한 건 나만의 느낌을 그리면 어떻게 만들 것이냐 ],,,
내가 하려는 판단이 소수의 그것일 수 있기에,,, 시작하기에 두렵다...
큰 그림에서 보면 지나고 보면 "다시 못할 일이었다", 그 당시의 판단만으로는 다 판단할 수 없다.
시작 단계는 일단 막막,,, 잘 된다면 이걸 지키는 것도 힘들 것 같다...
사람 말이 아닌 알고리즘을 보고 있었다고 고백해 주는 이연 님,,, 또 다른 불안... u tuber 구독자를 지키려는,,, 불안은 [기본값]이다. 아! 인생을 시키면 불안은 구성품이다... '와! 멋진 말이네요!!‘
용기보다는 불안을 주는 인생이라는 것.
미숙함, 누추함을 바라볼 수 있는 비위가 있어야 한다 : 좀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냉장고 속의 식품, 통장 내역 – 두려움도 거북함이다. 이 거북함을 바라 봤을 때 통제가 된다.
동년배의 친구와 비교해서 모으는 돈 등의 차이가 나면 열등감을 느끼게 되더라. 음,,, 비교는 이연 님도 하시는 거군요.
열등감의 대상은 가까운 사람이면서 나 자신이다.
관찰이라는 key word – 나에 대한 관찰을 하라. 관찰 : 사물을 바라보는 것. 수영을 좋아하기에 동작, 수영복 등을 연구했다. 생각을 하고 눈으로 한다. 눈으로 볼 수 있는 만큼만 그림을 잘 그리게 된다. boxing을 해 봐야 뛰언나 boxing을 할 수 있다. 많이 이해한 사람이 그 대상을 잘 할 수 있게 된다.
잘 살기 위해 하는 관찰이란 나 자신을 잘 관찰해야 한다. "나는 생각보다 깔끔떠는구나. 청소를 잘 하는구나."->아~ 쉽게 설명해주시니 너무 좋네요.
나를 잘 이해하면 타인을 이해하게 되고 함부로 하지 않게 된다. 자기가 인간에 속해 있기 때문이다. 자신을 잘 바라본 사람이 세계와 타인을 잘 배려하게 된다. 나는 어딘가의 puzzle이고, 이 나라는 puzzle을 이해하게 되면 그 주변의 puzzle을 알게 된다.
일기를 통해 이연 님 자신을 타자화했다. 일기를 잘 못 쓰는 이유는 나와 친하지 않기 때문이다. 나와 친해지면 내가 별 얘기를 다 해 준다. "내가 이런 인간이었어?!"라는,,, 엄청 밀어내는 나 자신. 거짓말을 자신에게 더 많이 한다.
자신을 바라보면서 우울증 등도 왔다. 대판 싸우고 나니 지랄 맞은 게 나였다. 엄마의 애정 어린 말,,, 이연 님이 깐깐하다는 말을 해 주신 어머니. 나와 친해지려면 나와 싸워봐야 한다. 자기 부정의 시절이 있었다. 이연 님 자신이 하는 모든 결정들이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한 적이 있다.
삶은 사진이 아니라 영화와 같다. 그래서 이 흐름을 봐야 한다. 지오와 피카추도 서로 싸우다 친해졌다, 전기를 쏘고,,, 자기 부정의 시절은 우울한 시절이다. 하지만 이것이 멋진 사람으로 가는 길이었다. 안목과 내면의 풍부함이 일어나더라.
유홍준 님의 '안목'이라는 책... 미래를 보는 안목이 멀어야 한다.
안목을 키우려면 -> designer들이 좀 지랄 맞다. 대개 예민함. 까탈함이 안목을 키운다. 스탠리 큐브릭의 까탈스러움이,,, 철학과 사유를 바탕으로 한... 어느 정도 비판적으로 볼 수 있어야 한다.
가볍기 원해서 책을 작게 만들었다. 감겼으면 좋겠다. 책 자체를 design한 이연 님. 욕심, 고집이 있었다. 타협을 안 한 지랄 맞음.
느낌이 있는 사람은 안목이 있더라. 자기가 자기 기준이 있더라. 요새 세대들이 좀 까탈스럽더라.
수영 – 흘러감을 배웠다.
회사 생활을 통해 유연함을 배웠다.
안목이 길러지면 실패가 좀 줄더라. 새내기 때와 달라지는 옷 입는,,,
자기의 필요 최솟값을 알아보자. 거지처럼 살아보니 내게 큰돈이 필요 없음을 알게 되었다.
부자가 되어야 할 이유를 먼저 찾으라고 주변에서 얘기를 해 주더라. 훌륭한 목표는 명사가 아니라 동사라고 생각한다. class101 – 그림 강의 안 할 거냐,,, 그림 친구들이 사라진 게 안타까워서... class를 하면 엄청나게 돈을 번다고 주변에서 들었다. 그런데 이걸 하면 또 다른 미술 소외자를 불러오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더라. 그리고 내 독특함이 사라지는 게 된다는 생각이 들더라. 부자라는 명사가 되어야만 할 수 있는 건 아니더라. 이 책이 동사의 시작이다.
이 책을 보면 그림 그리고 싶어지더라-라는 사회자 님... '아, 나도 그림 좋아했는데... 그리는 거 좋아했는데,,,‘
물은 신기하다. 낯선 이에겐 두려움, 익숙한 이에겐 어딘가로 갈 수 있게 해 준다. stroke를 통해 더 멀리 가게 해준다. 인생의 힘이다. 수영 선생님들의 말 "힘주면 더 안 나간다." 물의 저항, 이 저항으로 인해 느낄 수 있고 밀 수 있다. 저항의 속성을 알게 되면,,, 삶에도 저항이 있다. 이 저항을 잘 알면 갈 수 있는 것이 된다. 삶에서 힘이 된다, 이 저항이. 30년 수영을 하신 할머니, 갔다 왔다... 수영장에서 깨달음을 많이 얻었다.
비밀처럼 하면 그 일이 소중하게 느껴지더라. 남들이 나를 비난하는 건 내가 막을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그래서 혼자 비밀스럽게 한다. u tube도 비밀로 시작했다. 관종이 하는 것이 u tube라고 말하던 시절이었기에. 나를 지키는 방법 : 누군가에게 화를 내는 것은 독을 내가 마시고 남이 죽기를 바라는 것이다.
한 개만 했을 때,,, 곁다리로 여러 가지를 할 때,,, 일을 이리 미루고 저리 미루라. 그러면 창의력이 생긴다. 일을 미루고 다른 걸 해보라. 수영을 좋아했다가 글쓰기를 좋아했다가 바람둥이처럼 여러 가지를 좋아하게 된 이연 님. 이것저것 하다 보면,,, 흥미 있을 때 많이 해보고, 마음이 가는대로 냅둬 보라. 이왕 누워 있는 거 욕창 생길 때까지 누워 있어 보기 ㅋㅋ 삶이란 domino 같아서,,,
마음을 냅둬 보라. 안 하는 것도 용기가 필요하더라. 두려우면 하지 말아 보라.
좋아하는 일을 하는데 하기 싫은 일이 포함되어 있다. big magic이라는 책에 나옴 : 고약한 sandwitch,,, 작가, 소설가가 되었을 때 이 고약함을 먹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사람들이 옆에 있을 때, 회사 다닐 때, 견디기 힘들었다.
싫은 걸 견딜 줄 아는 사람이, 버티는 사람이 회사를 오래 다니더라.
내가 견딜 수 있는 것,,,
유화가 안 맞더라. ,,, 이리 저리 피하면서 내 색깔을 찾았다. 불 포켓몬은 물이 안 맞다. 성향적으로 안 맞는 건 안 하는 것이 자기를 지키는 것이다.
전략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는 현명함을 가져라.
잘 하면 재미있어진다. 편집 업무의 예.
일을 해결할 수 있는 단위로 쪼개라. 내가 해결할 수 있는 size인가를 먼저 빨리 파악하라. 안 될 것 같으면 빨리 도움을 요청하라. 도움을 줄 사람은 있다. 도움을 구하거나 돈을 쓰면 해결되는 일이 많더라. 복주환 님, 5~7 단계로 쪼개라. 하나씩 하다 보면 mission이 완성되어 가더라.
꿈도 쪼개라. 대통령이 되는 괴적(괘적?)이 보인다.
얕게 오래 하면 깊어진다. 그러면 독보적인 존재가 된다.
두려움 속에서 그림을 그리고 있는 이들을 위한 조언 : 창작이라는 것이 외로운 게 아니다. 이 모든 창작자들이 친구다.
응원하겠습니다~
독특한 발상의 발언 속에 철학적인 유익함을 주시는 분이었군요, 이연 님... 감사합니다~*^0^*
행복한 46분 6초였습니다^---^
좋아요
도 누르고 갑니다♥
L Richar 3
2021년 4월 06일 20:25책 주문해서 어제 받았는데! 반가워서 들어와봤습니다
늑대아이 3
2021년 4월 06일 20:52이연님을 보며 새로운 것 인식하지 못했던 것등을 많이 알게 되는 것 같아요 항상 감사합니다
Q1 무언가를 한다고 했지만 포기하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하는 지 궁금합니다
Q2 사람들이 부감을 줄때 이연님만의 부담감을 떨쳐내는 방법이 있나요?
@원시인나라 3
2021년 4월 10일 12:07마음은 흘러갈 때로 흘러간다.빅매직.
모든 분야에는 고약한 샌드위치가 있다.견딜 수 있는 고약함은 따로 있다.견딜수 있는 영역에서 오래 갈 수 있다.싫어하는 것을 견딜 필요는 없다.전략.성향적으로 안 맞는 것은 피하기.
좋은 말씀 고맙습니다 ♡
서경훈 3
2021년 4월 06일 22:43이연 작가님과 함께하는 세바시 정말 좋습니다^^
책읽는 오나나TV 2
2021년 12월 21일 19:28우와~ 오늘 우연히 보게 되었는데 이연님 참 멋지세요♥
자기이해와 통찰이 깊으시네요^^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책 주문했어요~
저도 그림 잘 그리고 싶어서요^^;
ENTP ENO 2
2021년 8월 17일 05:47배울게 너무 많은 친구네요
슬럼프와 우울감으로 힘이 들때마다
도움이 되고 있어요
음악적으로도 방향을
잡아갈 수 있어서 미술과 음악
모든 창작 예술은 다 비슷한 맥락 같아요
인생도 마찬가지인듯요
@longta8852 2
2022년 5월 09일 17:42진행자는 질문을 하는법이 아주 똑똑한다고 생각해요.
@hyenim__tv 2
2022년 9월 01일 17:42물을 잡고 수영한다는 말씀이 생각이 나요~~ 이 부분 저도 수영할 때 매번 생각했던 건데 이렇게 실천과 연관해서 생각하지는 못한 것 같아요 좋은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네잎크로바 2
2021년 4월 11일 12:2150대에 접어드니 새로운 일은 두려움이 앞서고 도전정신과 뭔가 확고한 마음먹음이 있어야 성공할것 같은데 세월따라 나이따라 그런 마음이 조금씩 약해져 가는걸 많이 느껴서 서글프네요~^^😟
@surger7267 2
2021년 4월 24일 13:01역시 멋있다 이연
@alwaysart6401 2
2021년 5월 02일 00:51이연님 덕분에 용기내서 유튜브 시작했습니다. 다시금 이연님께 감사드립니다
흰율 2
2021년 4월 06일 23:59두려움을 맞닥들일 때 비로소 진정한 나의 모습을 볼 수있다는 부분이 와닿았습니다 특히 완벽주의를 추구하는 사람들은 그림을 완벽하게 그려야한다는 압박감에 최대한 실수하지 않아야지 하는 마음으로 그려나가다보면 막상 완성된 그림을 보았을 때 썩 완벽하지 않은 경우도 있는 것처럼 그림도 두려움과 함께한다는 전제가 깔려있다고 생각하고 부딪쳐보면서 그려나가고 그려나간 부분에서 헛점이 보이면 수정해가면서 전체적인 틀을 보았을 때 더 괜찮은 경우가 많았어요. 그래서 이연님이 해주시는 말씀에 너무 공감이 갔고 더 두려움과 함께 해야겠다는 삶의 정신이 확고하게 생긴 것같습니다 ㅎㅎ 앞으로의 이연님의 다양한 강연들도 기대하고있을게요 사랑합니다 이연님❤
조재원 2
2021년 4월 07일 08:25작가님의 이야기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우주지니-l2m 2
2021년 12월 16일 00:36김작가님, 신사임당님 콜라보 영상서 눈여겨보던 92년생 이연작가님!!! 나이도 어린데 참 깊이가 있고 삶의 한장면 한장면을 헛투로 보내지않고 지치지 않는 고민들과 관찰력으로 그림뿐만 아니라 글도 말도 너무나 잘하시네요.
아직 서른이 안된 나이에 이정도인데 앞으로 미래에는 더욱 깊이있고 넓어지고 여전히 뾰족한 분이시길~~~^^
90년대생이 온다!!의 대표주자인것 같아 너무 뿌듯하고 이런분들이 더 많은 영향력을 끼쳐서 기존사회에서 무개성화를 변화시켰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이제 팬이됐네요!!!
책도 꼭 읽어보겠습니다^^
김수미 2
2021년 4월 24일 15:56보통사람들의 위인전기 같아아요.
@장철환-k1c 2
2022년 7월 28일 16:55새로운 일을 도전하는데 있어 두려움을 가지지 않는다면 누구나 쉽게 모든 일에 도전을 하겠지요.
그런 점에서 두려움을 이겨내는 훈련 또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강사님 또한 두려웠던 것을 이겨내시고 굳게 일어나셨기에 지금의 일을 멋지게 성공하신 것 같습니다.
좋은 강의로 많은 것들을 느끼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박윤희 2
2021년 4월 06일 23:39이연님 반갑습니다 ~~
신희수 2
2021년 4월 11일 19:58인생의 전반적인 교훈들이 포괄적으로 들어있는 것 같아요~~^^
대단하세요!
젊으신 분의 깨달음이 주변에 선한 영향력으로 미치길 기대합니다~
mihwa kim 2
2021년 4월 07일 18:28오옷!! 이거 클럽하우스에서 한 인터뷰인가요?!! 그때도 듣고 넘 좋았는데~다시 들어도 넘 좋네요!! 그 때는 미처 생각지 못했던 부분도 들리구요! 전 전자책으로 읽었는데, 다 읽고나니 실물 책도 넘 소장하고 싶어서 신청해요. 한마디 한마디 다 너무 와닿아서 뭐가 좋다고 말하기도 어려운 갓 같아요. 그저, 곁에두고 제가 겁이 나는 순간마다 보고 싶어요. 이연님이 손내밀어주는 느낌이 들 것 같아요. 전 지금 ‘쓸모없어 보이는 시기’를 보내고 있는 것 같아요. 개인적으로 나를 관찰하는 것과 꾸준히 하는 것을 연습(?)하고 있습니다. 영상에서 말씀하시긴 했지만, ‘사유를 하는 방법. 그리고 그 사유를 영감으로 발전시키는 방법’에 대해 더 알고 싶어요. 전 늘 주는대로, 시키는대로 해와서 이제부터 사유를
해보고 싶은데 쉽지 않네요😅
@sunleetheone 1
2021년 9월 16일 21:34그 일이 쓸모없는 짓이 아니라 그래보이는 시기가 있는 것 같아요, 큰 그림에서 보면 또 다른 시기가 있다는 것이지만.
요즘 너무 쓸모없는 시기를 보내고 있었다고 생각했어서 눈물이 왈칵 쏟아졌네요. 쓸데없다고 생각했던 것들이 아름답게 기억될 때가 있다.라는 말...이 시기를 지나 다음 더 나은 시기가 도래할 때까지 힘내서 살아보겠습니다
박윤희 1
2021년 4월 06일 23:41느낌 있는 사람 되라 ~
im l 1
2021년 4월 06일 23:12나를 더 탐구해보는 시간을 가져야 할 것 같아요. :) 나를 지켜줄 사람은 나 밖에 없다! 좋은 이야기 잘 듣고 갑니다.
ღ먕 1
2021년 4월 08일 17:51이야 이제 '저자'로 소개되시네요,,,,!!!
Euphoria Cooky 1
2021년 4월 07일 02:37이연님 ❤
youjin kim 1
2021년 4월 07일 23:497:23
하성호 1
2021년 4월 07일 21:26좋은강연 감사합니다.
김호이의 사람들 1
2021년 4월 08일 11:11어렸을 때는 안그랬는데 어느순간부터 그림을 그리거나 뭔가 할때 항상 겁을 내게 돼서 두근거림 보다는 두려움이 컸는데 이연 님 말씀 덕분에 두려움이 점점 줄어들고 있어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슐주 1
2021년 4월 15일 11:50이연님~ 소신과 철학 잃지마세여~
너무 멋져요~ 왕팬입니다.
돈이 없어서 아니 용기와 끈기가 없어서 미술을 포기했는데... 이연님때문에 용기한번 내볼께요~ 울컥했어요~ 멋져요
조희정 1
2021년 4월 07일 07:31새로운 일을 시작할때 늘 두려움을 갖고 시작하게 되죠
시작이라는 설레임도 있긴 한데 두려움도 생기기도 하죠
그림 그리기를 좋아해서 그림 전공을 하고 싶었는데
형편이 되지 않아 포기했었는데 때론 아쉽기도 해요
꿈을 버린건 아니지만 다시 시작하긴 쉽지 않아요
아들 녀석이 그림에 관심이 있어 그림을 그리는데
대리 만족이라고 해야 할까요 괜스레 뿌듯해요 ^^
일기를 쓰는건 나 자신과의 대화 생각을 정리하는 것
좋은 강연 잘 들었습니다
이느낌 1
2021년 7월 11일 13:07이연님 영상을 몇개보면 저를 표현하고 싶어져요. 그림을 그리는 사람은 그릴것이고 춤을 추는 사람은 춤을 추겠죠. 대단한 능력이고 멋있습니다
@youjin_joy333 1
2021년 12월 06일 18:59이연님의 동사에 감동했어요ㅜㅠ 그 소신 .. 넘 멋집니다.
@김지금-x9h 1
2022년 2월 20일 12:543:38 두려움과 열등감
25:47 좋아하는 일 시작하기
33:41 질의응답
남경진 1
2021년 4월 06일 22:33이연님
강연 감사합니다!!!!!
덕분에 또 여러가지 배울 수 있어서 좋았어요!!!
apple H- 1
2021년 4월 08일 14:57이연님 책 잘읽고있어요~가끔 책추천리뷰도 해주세요~항상 승승장구하시길요~♡
차원준
2021년 6월 13일 21:41겁이 많아서 자꾸 움츠러 들고 도전 하지 못하면서 시도조차 안하는 자신이 미울 때가 있었습니다. 이연님 이야기를 통해 조금 더 자신을 믿고 용기를 내보게 됩니다. 이연님이 열심히 아등바등 살아오며 느꼈단 각자의 누추함을 말하셨는데, 그 모습을 들으니 더 대단하고 위로가 됩니다
Yejin Lee
2021년 4월 15일 23:05유튜브를 하시는 이유가 정말 멋있어요!
요즘 진로 고민을 많이 하고 있는데 많은 용기를 얻어가요 :)
소이발바닥젤리야
2021년 4월 14일 21:57저는 새로운 일을 시작하지 않는 건 잘못될까봐 두려워서 안하는것보다 못한 결과가 나올까봐 그런것도 있는 것 같아요
suehyun kang
2021년 4월 11일 13:34이연님~ 저하고 10년 넘게 차이나지만 마치 비슷한 동년배처럼 질투가 나는 이유는 뭘까요?? ㅋㅋ '지랄맞음'에 엄청 공감하고요~ ㅎㅎ 서른아홉에 저도 그림을 배우기 시작해서 이제 1년이 넘었는데, 안목과 개성넘치는 지랄쟁이(?)로 같이 늙어가면(?) 좋겠어요~~ ㅋㅋㅋ 응원하고요!
알감자
2021년 4월 14일 16:12클럽하우스를 통해 들었었는데 저와 행동과 가치관 모두 비슷해서 놀랐던 기억이 나네요 ㅎㅎ 이연 작가님 저에게 도전정신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햇살처럼봄사랑
2024년 9월 23일 19:55새로운 일들을 도전해보고 싶지만 겁이나서 못하고 있음을 깨닫고 용기내서 해보고 싶은 마음이 들었어요~~ 긍정의 힘을 주는 이연 작가님 최고😊
@sujinlim0207
2021년 12월 25일 17:15볼때마다 이연씨 볼 한번만 꼬집어 보고 싶어요
피부가 너무 좋은 이연씨...♡
사랑해요 이연♡♡♡♡♡♡♡
Hyemmming Park
2022년 1월 17일 09:05와..이영상을 다봤어...... 진짜 인생내공 최강💚
이연님 이야기 듣는데 왜이렇게 위로받는 느낌이 드는거죠☘☘☘☘ 한번뿐인 인생인데 여태까지는 하고싶은대로 사는 척을 했다면 이제는 하고싶은대로 살아야 겠어요🚲🚲
suk_ handcraft _kr
2021년 4월 26일 21:45감사합니다 많은 도움 됐습니다
나나
2021년 8월 08일 11:27와~이연님도 대단하구 , 맥락속에서 통찰력있게 질문하시는 질문자님도 정말 대단하신거같아요!! 어떻게 저 문장에서 저렇게 질문을 하시지? 계속 놀라면서 보게돼요!
jinah oh
2021년 8월 11일 01:08외로웠는데... 그림그리시는분들 너무멋지신분들 많은거깨닫고 저도 덜외롭게 화이팅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별
2021년 9월 03일 17:26너무 힘들때 이연님 영상 보는데 적으면서 보니까 더 좋네요.
늘 도움 많이 받고 있어요 생각 나눠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O Le
2021년 11월 09일 12:11인터뷰를 보고 이연작가님에대해 더 알게되고 용기도 얻었어요^^ 감사합니다
Thanks
2021년 7월 21일 13:15세바시 15분 강연이 아쉬웠는데 이렇게 인터뷰 코너가 있었군요! 옹ㅖ
l정원
2021년 4월 13일 06:16이연님 멋져요♡
존경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