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의 문제는 가진 사람에겐 투자의 대상이고 없는 사람에겐 공공재로 다루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시장경제의 논리대로만 다룬다면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의해서 가격이 움직이는거에 대해 정부가 개입을 하지 말아야 하는데 가격이 오르면 공공재측면에서 정부에게 대책을 내놓으라고 즉 서민도 집을 가지게 해달라고 집값을 잡으라는 반시장 요구를 하게 되니 문제같습니다. 그럼 결국 투자의 대상으로 삼는 사람들의 불만을 사게 되구요.
저도 집값이 한창 들썩이는 시절에 영국에 살았 지만 집값문제가 정쟁의 대상이 된걸 본적이 없습니다. 대부분 언론은 왜 집값이 오르고 어떤 대안을 내세워야 하는지 전문가들이 떠들지 누구때문이냐? 누구책임이냐?고 정치인들이 앞장서서 욕하고 그런걸 본적이 없네요.
결국은 모든 문제를 기승전정치화 하는 언론이 부동산 문제의 근원같습니다. 기사를 통해 상대적 박탈감을 선동하고 자기 정치세력에 유리한 방향 으로 부동산문제를 다루는언 론이 한국 부동산 문제의 중심 같습니다.
세금은 공시지가 기준으로 나오는데 그 공시지가가 실거래가나 호가에 훨씬 못미치게 낮게 책정되므로 무늬만 세금 폭탄인 셈이죠. 토지나 고급 빌라에 대해선 어처구니 없을 정도로 낮게 책정 되는게 한국의 공시지가제도인데 대놓고 투기를 부추기는 원흉이기도 합니다. 당장 네이년 부동산에 가서 15~20억짜리 아파트들 공시지가랑 종부세 보면 세금폭탄이란 기레기들의 농간이 무엇인지 바로 아실 수 있습니다. 하다 못해 성수동의 유명한 주상복합 38평도 실거래가는 30억이 넘지만 작년 기준 보유세는 1천만원 겨우 넘는 수준... 게다가 각종 공제들까지 ^^ 깔끔하게 1주택의 경우 보유세는 실거래/호가들 기준으로 1%로 맞추고 양도세는 대폭 낮춰야만 합니다. 더 높은 선진국들 따라갈 필요 없이 저정도가 최선 같네요. 개인적으론 가장 중요한건(보유세+공시지가 현실화 외의) 진짜 임대주택들의 대량 공급이라고 봅니다. 분양전환 하는 무늬만 임대 이런 투기적 자산들 말고 진짜 임대주택들을 중산층까지 폭넓게 공급해서 극소수 동네를 제외한 부동산 투기는 의미 없게끔 만들어야겠지요, 그럴려면 살만한 임대주택들로 만들어야 하는데 ...
굉장히 논리 정연하게 정보 전달해 주셔서 몇주전부터 가입하고 방송보고 있습니다. 얼마전에 머니 클래스에 출연하셔서.. 제가 좋아하는 한상* 선생님과 이런저런 좋은 이야기를 나눠주셔서 감사히 잘 봤습니다.
인간지표로 생각할 수 있는 단어중 영끌이라는 것이 있지않습니까? 제 직장 동료중 1명이 은행권에서 대출이 되지 않아 보험사를 통해 다소 높은 이율로 대출을 받았고 현재 그 오피스텔에서 살고 있습니다. 월세를 내지 않아도 되니 오히려 돈이 절약 된다 하네요. ㅎㅎ 그런데 저희 직장이 고용이 안정치 않고 급여가 높은 편이 아니라서 금리가 인상된다면 이 친구가 감당할 수 있을지 조금은 의문이 듭니다. 그리고 이런 케이스가 우리나라에 적지 않다고 알고 있습니다.
부동산 가계부채에 버블이 끼지 않았다고 보는 분은 아마도 없을 것 같은데요. 그리고 금리 인상에 정말 취약한 가정들이 적지 않은것 같습니다. 이로인한 버블의 붕괴, 그리고 버블이 터지면 부동산 만으로 그치지 않고 거의 모든 자산시장의 폭락을 가져올텐데요. 혹시 이런 징후를 보고 계신가요? 금융시장의 위험은 비단 우리나라 뿐만이 아니라 다른나라, 특히 중국에서 불어올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좀 걱정스럽습니다.
300%대의 고용적율인 잠실쪽의 각종 재건축 아파트 단지에 들어가 보면 끔찍하고 숨이 탁 막힙니다. 보이는 건 오로지 회색빛 아파트 옆동밖에 없습니다. 이젠 서울 강남등 재건축시 1:1 재건축이나 저용적율로 인한 쾌적하고 개방성있게 재건축된 아파트들이 보다 큰 가치를 가져야 할 시대가 오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Yoon Paul 26
2021년 4월 07일 08:11부동산의 문제는 가진 사람에겐 투자의 대상이고
없는 사람에겐 공공재로 다루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시장경제의 논리대로만 다룬다면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의해서 가격이 움직이는거에 대해
정부가 개입을 하지 말아야 하는데 가격이 오르면
공공재측면에서 정부에게 대책을 내놓으라고 즉
서민도 집을 가지게 해달라고 집값을 잡으라는
반시장 요구를 하게 되니 문제같습니다.
그럼 결국 투자의 대상으로 삼는 사람들의 불만을
사게 되구요.
저도 집값이 한창 들썩이는 시절에 영국에 살았
지만 집값문제가 정쟁의 대상이 된걸 본적이
없습니다. 대부분 언론은 왜 집값이 오르고 어떤
대안을 내세워야 하는지 전문가들이 떠들지
누구때문이냐? 누구책임이냐?고 정치인들이
앞장서서 욕하고 그런걸 본적이 없네요.
결국은 모든 문제를 기승전정치화 하는 언론이
부동산 문제의 근원같습니다. 기사를 통해 상대적
박탈감을 선동하고 자기 정치세력에 유리한 방향
으로 부동산문제를 다루는언 론이 한국 부동산
문제의 중심 같습니다.
유재종 9
2021년 4월 07일 07:21편향되지 않고 불편한 이야기도 ... 팩트만 딱 !
홍교수님 감사합니다
Woochan Lee 7
2021년 4월 07일 08:29다주택자에 대한 중과세 정부 정책은 옳다
@baracudac1664 6
2021년 4월 07일 09:06너도나도 상급지로 가려고 사고팔면 외곽지는 떨어지기만 해야하는거 아닐까요? 근데 그 매물을 받아줄 사람이 부족하니 매매가는 떨어지고 상급지 - 하급지 간에 갭이 벌어지면 상급지도 따라 내릴 듯.
결론 : 지금은 존버했다가 조정 이후 상급지로 들어간다.
@danslaruebroca2423 5
2021년 4월 07일 06:51감사합니다.
@오현-f8u 4
2021년 4월 07일 09:59존경하는 박사님 감사드립니다 ^^!!!!
Locke the Superman 3
2021년 4월 07일 19:23부동산 주식 투자 할 여력이 지금 있는 사람은
: 대한민국 상위 5p 이내
연봉 7천 넘게 받아도 이자 생활비 제하고 조금 저축하고 나면, 주식할 돈 없음
@philchung1204 3
2021년 4월 07일 08:19말도 안되는 부동산세가 국민들에게 너무 큰 부담입니다.
@지소-t9q 2
2021년 4월 07일 16:45경제에 무지한 자들이 신념에 가득차면 얼마나 서민들이 고통받는지 잘 보여주고있음 그런데 표달라고 아직도 적폐몰이 하고있음
@jdrhxs046hdto 2
2021년 4월 07일 21:46완전 보수 조중동 논리네요
홍 준욱님 유튜브 잘 들으면서도 가끔 갸웃하던때가 있었는데 오늘 확실히 알았어요
안유화 교수랑 라디오 줄연때도 굳이 우한코로나 운운하시더니...
Lee sunwu 2
2021년 4월 09일 11:45세금은 공시지가 기준으로 나오는데 그 공시지가가 실거래가나 호가에 훨씬 못미치게 낮게 책정되므로 무늬만 세금 폭탄인 셈이죠.
토지나 고급 빌라에 대해선 어처구니 없을 정도로 낮게 책정 되는게 한국의 공시지가제도인데 대놓고 투기를 부추기는 원흉이기도 합니다.
당장 네이년 부동산에 가서 15~20억짜리 아파트들 공시지가랑 종부세 보면 세금폭탄이란 기레기들의 농간이 무엇인지 바로 아실 수 있습니다.
하다 못해 성수동의 유명한 주상복합 38평도 실거래가는 30억이 넘지만 작년 기준 보유세는 1천만원 겨우 넘는 수준... 게다가 각종 공제들까지 ^^
깔끔하게 1주택의 경우 보유세는 실거래/호가들 기준으로 1%로 맞추고 양도세는 대폭 낮춰야만 합니다.
더 높은 선진국들 따라갈 필요 없이 저정도가 최선 같네요.
개인적으론 가장 중요한건(보유세+공시지가 현실화 외의) 진짜 임대주택들의 대량 공급이라고 봅니다.
분양전환 하는 무늬만 임대 이런 투기적 자산들 말고 진짜 임대주택들을 중산층까지 폭넓게 공급해서 극소수 동네를 제외한
부동산 투기는 의미 없게끔 만들어야겠지요, 그럴려면 살만한 임대주택들로 만들어야 하는데 ...
@youngchoi5653 2
2021년 4월 07일 07:20감사합니다^^
@akma8414 2
2021년 4월 07일 07:45깔끔한정리 감사합니다
김덕규 1
2021년 4월 09일 10:52굉장히 논리 정연하게 정보 전달해 주셔서 몇주전부터 가입하고 방송보고 있습니다.
얼마전에 머니 클래스에 출연하셔서.. 제가 좋아하는 한상* 선생님과 이런저런 좋은 이야기를 나눠주셔서 감사히 잘 봤습니다.
인간지표로 생각할 수 있는 단어중 영끌이라는 것이 있지않습니까?
제 직장 동료중 1명이 은행권에서 대출이 되지 않아 보험사를 통해 다소 높은 이율로 대출을 받았고 현재 그 오피스텔에서 살고 있습니다. 월세를 내지 않아도 되니 오히려 돈이 절약 된다 하네요. ㅎㅎ
그런데 저희 직장이 고용이 안정치 않고 급여가 높은 편이 아니라서 금리가 인상된다면 이 친구가 감당할 수 있을지 조금은 의문이 듭니다. 그리고 이런 케이스가 우리나라에 적지 않다고 알고 있습니다.
부동산 가계부채에 버블이 끼지 않았다고 보는 분은 아마도 없을 것 같은데요.
그리고 금리 인상에 정말 취약한 가정들이 적지 않은것 같습니다.
이로인한 버블의 붕괴, 그리고 버블이 터지면 부동산 만으로 그치지 않고 거의 모든 자산시장의 폭락을 가져올텐데요.
혹시 이런 징후를 보고 계신가요?
금융시장의 위험은 비단 우리나라 뿐만이 아니라 다른나라, 특히 중국에서 불어올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좀 걱정스럽습니다.
@giljabee8863 1
2021년 4월 07일 07:53마지막에 왼쪽에 보여주신 시점별 지역별 비교하는 사이트?는 어딘지 알수 있을까요?
@dydwjd123 1
2021년 4월 17일 17:34종상향 없이는 재건축 힘들겁니다.
종상향 혜택주면 주변 동네 반발 해결 못할 겁니다.
@sweeper-o2i 1
2021년 4월 27일 00:48무주택자인데... 금리는 언제 오를까요? 이번생에 집이나 한채 장만할런지 모르겟네요.. ㅠㅠ
min kang 1
2021년 4월 07일 14:13문재인은 코메디다!
@케이제보자 1
2021년 4월 07일 21:29무주택 흙수저들 절망적이네요. 국힘당 서울시장돼서 재건축바람 불거고 가격은 더 폭등할거고 자식들과 길거리에 내몰릴 걱정해야 하고 출산도 더 못하고...
@jkang107 1
2021년 4월 15일 00:16아직까지 무주택자인데요. 몇 달 뒤에 전세가 끝나서 너무나도 고민 됩니다. 말씀해주신대로 서울은 상당한 버블 상황인것 같은데 지금이라도 서울 10억짜리 집을 매매하는게 나을까요?
@최석희-c5g 1
2021년 4월 07일 07:20부동산 관련 의견 고맙습니다. 잘들었습니다.
@서뷔-k2w 1
2021년 4월 07일 14:58올리시는 영상 모두 잘 보고 있습니다. 지방에서 사업해서 현금이 많은데 지금 살고 있는 집이 하나도 안올라서 지금이라도 집팔고 현금합쳐서 서울에 재건축 사고 전세주고 지방에서 전세 살아야할지 고민되네요ㅜㅜ
@user-qp9lx8ut7x
2022년 3월 05일 02:20주변에서 다들 소 베 액팅 말하던데 아무것도몰라도 할수있나요?? ㅠ
@smylvteam3276
2022년 3월 05일 02:20소 배 액팅 그냥 아무대나 쳐봐도 나와요? 어디서 찾아들어가는거지
@zalmlarcollection7643
2022년 3월 05일 02:20펀드니 주식이니 코인이니 다필요없는거같음 어렵기만하고 ㅠ 소 배 액 팅 은 어려운게없음
@minecraftmuhendisi7148
2022년 3월 05일 02:20소 배 액팅은 워낙 유명해서 앞전부터 핫했는데 이게 지금 뜨네요 ㅎㅎ
@yusufozaydn3621
2022년 3월 05일 02:20저는 요즘 코로나때문에 직장도 힘들어졌는데 소배 액팅 알고나서 부업으로 용돈법니다 ㅠ ㅎㅎ
@김동현-b1j5r
2021년 5월 20일 21:28좋아요 꾹 ㅎㅎ
꼭 목소리가 이철희 소장님 같아서 좋아요 ~~
@심혜규
2021년 4월 15일 11:17박사님 최고!!!
SH마루
2021년 4월 07일 20:14감사합니다.
@JAMES-qu6qh
2021년 4월 07일 10:24교수님 감사합니다!
정경남
2021년 4월 07일 07:23열심히 보구있슴니당 홍춘욱 박사님.
@GoBro4
2021년 4월 07일 07:31세종대 사이버대 교수님은 그만 두셨나요?
@푸른밀가루
2021년 4월 07일 07:34팩트와 현상을, 이해 하기 쉽게 설명 해주시는.
이코노미스트 이십니당 ^^
@김이즈-y5m
2021년 4월 07일 08:31버블 관련 요소 3가지. 주택가격 소득 이자율
@dsw8440
2021년 4월 08일 22:21챙겨봐요.
@장타루
2021년 4월 07일 14:38오늘도 잘봤습니다. 홍박사님 실례가 안된다면 삼프0 tv에 경재전쟁 꾼 5회를 보시며 홍박사님에 해석을 넣은 컨텐츠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
@ojs1231
2021년 4월 18일 23:03잘보고 있습니다. 따봉!
@유기홍-n4s
2021년 4월 09일 12:17항상 감사합니다 쉬운설명에 구독합니다
@Charles_Bronson_59
2021년 4월 11일 00:50상급지와 가격격차가 줄었고 2주택일경우 가능하겟죠. 1주택의경우 LTV때문에 좀 어렵지않나요
서원파
2021년 4월 08일 09:31300%대의 고용적율인 잠실쪽의 각종 재건축 아파트 단지에 들어가 보면 끔찍하고 숨이 탁 막힙니다. 보이는 건 오로지 회색빛 아파트 옆동밖에 없습니다.
이젠 서울 강남등 재건축시 1:1 재건축이나 저용적율로 인한 쾌적하고 개방성있게 재건축된 아파트들이 보다 큰 가치를 가져야 할 시대가 오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entopia4931
2021년 4월 08일 02:12항상 고맙습니다.
@xvezzy407
2022년 3월 05일 02:20어제 소소하게 소배 액팅 쳐보고 들어가서 3만원으로 10만원만 벌고 나왔어요 시간없어서 ㅠ
@emirhantekin8913
2022년 3월 05일 02:20당일날 바로 소액으로 용돈벌고 당일환젼 해주던데 소 배액 팅 진짜 좋네요
Tay Kolu
2022년 3월 05일 02:20주식좀 해볼까하고 찾아보는데 너무어려워서 포기.. 그런와중에 소 베액 팅 은 진짜 혜자 인정;;
@nac2406
2022년 3월 05일 02:20아아 그거 저도 알아요 소 배 액 팅 ㅎㅎ 어려운것도 없고 간단한 지식만으로 할수있다던데
@121a-i9y
2022년 3월 05일 02:20시간만 있으면 넉넉하게 재테크 할수있는게 소베 액 팅 이죠 ㅇㅈ
@مشاهيرانستغرام-ن1ر
2022년 3월 05일 02:20요즘 소배 액 팅 이라고 주식,코인보다 좋다고 하던데요?
@ahmet6223
2022년 3월 05일 02:20소베액 팅 많이 유명하죠 그냥 쳐보기만해도 바로나오니까 ㅎㅎ
Power Nahid
2022년 3월 05일 02:20경기가 힘들어지니까 재테크좀 해볼까하고 알아보는데 딱 소 배 액 팅 추천받아서 쳐보니까 어우..
@가슴으로산다
2021년 4월 30일 10:16교수님 잘 보고있습니다.
@tv-8394
2021년 4월 07일 14:18명쾌한 해답 잘들었습니다~^^
@유마-d3l
2021년 4월 09일 08:46경제공부 잘사고이습니다
@hmpk09
2021년 4월 07일 14:12소리가 너무 작습니다
@황대장-j3w
2021년 4월 10일 20:49올려 주신 자료를 보면 05년도 빼고는 하락이 없었네요.
05년도 거의 마이너스 0.1프로 네요
@지석강-l6u
2021년 4월 19일 12:53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축복합니다
@papasmf1
2021년 4월 15일 19:46늘 홍춘욱 박사님 올려주시는 영상들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드려요^^
@정영복-u2l
2021년 4월 08일 20:42교수님 잘들었습니다♡
@myung9467
2021년 4월 07일 13:34혹시 앞으로 금리 인상에 따른 부동산 시장의 영향에 대해 설명해 주실 수 있으실까요?
생각보다 대출의 비중이 크지 않아 별다른 영향이 없을 거라는 분도 있고 대출 규모를 예를 들면서 반대로 생각하시는 분도 있더군요.
이번 편도 잘 봤습니다. 꾸벅~
@김앤드류-k7p
2021년 4월 07일 12:54임대차 3법-> 월세 증가-> 수도권 패닉 바잉 초래 -> 수도권 집값 상승 -> 서울시내 똑똑한 한 채 상대적 가격 하락 인식 -> ??뭘까 (임대차 3법이 서민을 위한 법 맞는가요?)
@산바다-x9n
2021년 4월 24일 09:454월23일자 신사임당 출연하셨을때는 수도권 서울 인근지역보다 서울중심지는 덜 올랐다고 지금 사셔야된다면서요... 일관성이 없으십니까?
@kapalkapal5909
2022년 3월 05일 02:20그냥 아무곳이나 쳐도 소 배 액 팅 주소 알수있어요 ㅎㅎ 워낙에 믿을만한곳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