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편적으로 보면 완돼죠,앞으로 금리변동,대출규제,부동산규제등을 보고 판단해야지요.다주택자들의 투기수요만 규제한다면 충분히 실수요자들에게 돌아가지않을까요?허위계약,떳다방도 제재를 해야지요.매매수요가 최근절벽인데 6월부터 고가아파트에대한 종부세,양도세 엄청 내야하는데 점점 더 물량이 많이 나오지 않을까요?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로 인하여 구축 아파트보다 가격 안정성이 높아서 미분양이 없다는 것은 이런 분석에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변동 요인 아닌가요? 즉 구축 아파트 가격이 상투라는 걸 아는 매수자들이 가치 대비 저렴한 분양가 상한제 규제받는 신규분양으로 가는 것 아닌가요? 통계는 정책요인과 함께 해석해주시면 더 판단이 쉬울듯 합니다. 듣다보니 거꾸로 해석도 되네요.
Hyellow Ab 98
2021년 4월 07일 21:15맞아요. 고향에서 살고 싶죠. 그러려면 양질의 일자리가 있어야하죠! 공감합니다.
@sangchulnam620 88
2021년 4월 07일 23:14역으로 생각하면.. 미분양 물량이 없다 => 집값고점. 미분양 물량이 많다=> 집값 저점이 아닐까요..?
hk 87
2021년 4월 08일 05:47LH에서 먼저 매수하니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강강술술 75
2021년 4월 08일 11:30그러니까 수도권의 일자리를 지방으로 계속 이전 시켜야지 이나라에 미래가 있는거야
@hyunjin91326 66
2021년 4월 07일 20:4818:15 뼈 때리는 말 수도권 집 절대 안판다... 부동산 불패
@mjj2031 54
2021년 4월 09일 23:31와. 마지막에 지방을 살려야 미래가 있다는 말씀. 왠만한 사람들에겐 탐욕때문에 무조권 수도권만외치는 상황에서 상당히 소중한 말이네요.
guy koool 50
2021년 4월 09일 11:07한가지만 감당 가능하면 매수해도 됨. 떨어졌을때 감당할 수 있으면 사도 됨.
차트초이 45
2021년 4월 07일 23:12부동산을 통제한다는거 자체가 넌센스인듯 합니다
시장을 얼마나 못믿으면 임기내내 각종 규제를 퍼부었을까요...
@angel-haru 43
2021년 4월 07일 19:22인허가와 미분양 확인!
@happytree2823 43
2021년 4월 08일 11:30와... 고급 정보다
거시적인 시야를 가질수있게
객관적 통계, 차트 통해서 팩트들을 논리적으로 말씀 잘 해주시네요
이태숙 39
2021년 4월 08일 16:38역발상의 기회
다들 아는데도,막상 그 시점되면
쉽지 않더라구요
심리적인문제 콘트롤이 안되요
안그레 39
2021년 4월 07일 20:37자자~
이제 지방쪽에서도 자리잡고 살아갈 수 있는 직업을 찾는 앞선분들이 되어봅시다!
지방에도 미래는 있습니다!
@유정식-i6z 34
2021년 4월 22일 11:44집값에 변동이 와도 폭락장 오기전에는 안살거 예요
대출받으면 평생 금융 노예
젊은부부가 한사람 노동의 댓가가 이자로 다 들어가요
@sikno7209 34
2021년 4월 07일 23:46인구가 줄어드니까 부동산도 거품이겠지 ...
너무 어린 생각이었습니다
@소금돌이 33
2021년 4월 07일 22:56인구가 줄어들수록 오히려 1인가구의 거주면적이
넓어져서 아파트값은 떨어지지 않을거 같아요.(물론 서울 한정)
김지은 27
2021년 4월 07일 19:51앞으로도 집값 떨어지긴 힘들듯..6월 이후 매물 실종 예상되고 풀린 유동성도 어마어마하니까요 .
@옥터퍼스 26
2021년 4월 10일 17:12명문대가 수도권에 있는한 사람들은 모일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향기꽃 26
2021년 4월 07일 19:081빠가 몇명인지 ㅋㅋㅋ 다들 축하드려용
@errych5703 25
2021년 4월 08일 19:39하.. 수도권집중화가 자꾸 심화되는게 너무 싫다 ...뭘봐도 그쪽 중심으로 다 얘기하고 돌아가고 지방은 더 소외감 ..나라가 작으니 더 그런듯. 거기다 인구감소세에 더욱이..
@htc2027 24
2021년 4월 11일 17:101. 미분양율 감소
2. 청약률 증가
3. 낙찰가율 증가
@sabipencil6795 24
2021년 4월 07일 20:16들으면 확실히 알겠는데 정작 살때는 고민됨 ㅜㅜ
@myounghoseo2468 24
2021년 4월 07일 21:17부동산투기수요 막지 못하면 아무리 공급해도 늘 부족이죠~
@j-2728 22
2021년 4월 08일 09:58부동산에 대한 공부를 할떄마다
핸드폰처럼 완벽한 부동산은 없는것 같습니다ㅎㅎ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_^
@Hyun1076 19
2021년 4월 07일 19:242010년 초중반에 서울에도 미분양 나고 했었는데 지금은 없어서 난리네요 ㅎㅎ 이놈의 집값이 멈추질 않네요..
@빛과소금-i3h 19
2021년 4월 07일 20:24너나위님 부동산 강의중 가장 쉽고 친절하게 알려주신다
@상승하는이씨 18
2021년 4월 09일 04:51회사본사나 수도권의 있는 기업들을 지방으로 이주시켜야합니다! 지방으로 가면 세금을 깍아주거나 2030년 부터 수도권에 있는 200인 이상 기업이 지방으로 이주 안하면 세금 30퍼이상 내게하거나 등등.....방법은 있겠죠!
Doo Doo 17
2021년 4월 07일 21:13LH에서 빵 ㅋㅋㅋ 팩폭...
@멍땔와이쿼녹스위브 16
2021년 4월 12일 17:32서울 수도권 대학들을 다 외곽으로 빼야 함....이것말고는 해결책이 안보인다는 거네..
@lavitaebella5590 14
2021년 4월 08일 05:02국가통계포털 기억하겠습니다
@둘리호잇-c8k 14
2021년 4월 09일 12:10실거주하시는분들이 들어가서 그런거같은데요 ㅎㅎ 못참고요. 역으로 말하자면 더이상 실거주자 수요가 없고 살돈이없어진거니 앞으로 가격이 잡힐수도있겟죠
@기쁘게-v7i 12
2021년 4월 12일 09:233기신도시가 반드시 성공해야겠군요.
makeme wait 12
2021년 4월 10일 12:09신호등 보고 달립시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수도권에 대출받아서 엄청 투자했으면 금리상승으로 갭투자 들 망함하는 시기 기다리면 됨.. 대다수가 빚지고 개 비싸게 샀을때가... 꿀 기회
@weq6663 11
2021년 4월 08일 21:13ㅎㅎ 미분양 아파트 사서 지금 3배 올랐어요;; 모르고 돈 없어서 산거지만
@stay8812 11
2021년 4월 08일 02:21하락신호라고 제목하고 내용은 상승신호라는 건가요 하락신호인가요? 몆번 영상보면서 해석하고 있는데 무슨말이 하고 싶은건지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여유시간 11
2021년 4월 08일 23:45뭐든 단편적으로 보지말고 멀리 보겠습니다!
오늘도 잘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무소의 뿔처럼 11
2021년 4월 11일 15:24지금 살돈이 없어요 ㅎ
Jj Y 11
2021년 4월 08일 00:15단기적으로는 금리 인상이 방법이겠죠.
장기적으로 보면 서울 포함 경기도 인구 집중 해소가 방법이겠죠. 그리고 고가 아파트는 세율 올리고
@죽은언론의사회 10
2021년 4월 07일 22:466일 전에 방송한 거 똑같은 내용인가요?
트러플오일 10
2021년 4월 09일 15:08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유동성이 풀려서 화폐가치 하락해서 오른것도맞고 공급안되서 오른것도 맞고
futurebong 10
2021년 4월 15일 17:25금리올리고.일시적양도세유예 공급. 갭투자금지 등 모든방법을 강구해서라도 부동산안정화를 다수의 국민은원한다.
@신부인 10
2021년 4월 16일 11:44신사임당님~~ "LH에서 다 사버린다!" 에서 빵!! 터졌네요~~ㅋㅋ
신사임당님 귀여우시네요~^^
오늘 정말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인허가 정보 볼수있는 사이트 안내도 감사드려요~~^^
썽이 10
2021년 4월 08일 07:33맞는말 예전에 동탄2지구때도 미분양 싸여있었는데 미분양물량 다소진되고 지금 분양가대비 많이 올랐을꺼야
MS L 9
2021년 4월 08일 18:1524분을 수요공급 원칙에 입각해서 부동산 가격 변동을 설명해줘도 엉뚱한 소리하는 분들 많네 ㅎㅎ
@기쁘게-v7i 9
2021년 4월 12일 09:20미분양을 개인들이 소화했을까요?
@yonuj6811 8
2021년 4월 09일 23:42지방에 회사 설립하고 일자리 창출하는 고용주들에게 세금 감면 혜택을 주면 수도권 인구 쏠림 현상이 해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
@신말차라떼 8
2021년 4월 09일 03:58단편적으로 보면 완돼죠,앞으로 금리변동,대출규제,부동산규제등을 보고 판단해야지요.다주택자들의 투기수요만 규제한다면 충분히 실수요자들에게 돌아가지않을까요?허위계약,떳다방도 제재를 해야지요.매매수요가 최근절벽인데 6월부터 고가아파트에대한 종부세,양도세 엄청 내야하는데 점점 더 물량이 많이 나오지 않을까요?
JINZIBOY 7
2021년 4월 09일 07:54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lh에사 먼저 사니까 ㅋㅋㅋ
미디어박 7
2021년 4월 07일 23:31질문이요 !
그럼 수도권 서울과 서울외 지역 적정 공급량은 한해 얼마나 보는지요 2009년 20만 2020년 20만 비슷한데 애매하네요
Camila J 7
2021년 4월 08일 00:43아 LH에서 빵터졌네욬ㅋㅋㅋㅋ
샤론 7
2021년 4월 09일 16:32지방 사람들이 집값이 내리니 수도권 원정 쇼핑에 나선 것이 급등의 원인입니다.
@주총꾼현씨 6
2021년 4월 10일 19:51당분간 집값 떨어질 일은 없는거군요..
@bokkyulee2548 6
2021년 4월 08일 13:59코시스 부문별 주택건설 인허가실적 똑같이 검색해보니 2013년은 아얘 0 으로 되어있는데 무슨일이 있었던건가요? 영상에서는 2013년만 빠져있던데요.
2013년 인허가 물량이 없었다면 급하게 14년 15년 인허가 물량을 높인걸로 보이는데.. 그래프만 보면
@lq_urdoctor 6
2021년 4월 07일 19:46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도 너무 좋은 내용이네요. 인사이트가 점점 확장되어갑니다..
Jim K 5
2021년 4월 07일 19:33탁월한 분석이네요.
이백억 5
2021년 4월 08일 21:46감사합니다
지니 5
2021년 4월 07일 22:55주택정책을 아는선배에게 맟기자 ㅎㅎ
@333new 5
2021년 4월 08일 12:43그러니까.. 정리하자면....
수도권 주변에 주택물량이 생기면, 서울인구가 빠져나가는게 아니라, 지방인구가 올라와서 채우고 있기때문에,
수도권 인구 분산의 효과가 미비하니...
주택공급을 더욱더 마구 해야한다는 것인가요? 이게 무슨 소리인지 ㅎㅎㅎㅎㅎ
경쟁력 있는 지방도시 육성은 공감하겠는데 말이죠...
@송호석-h4o 5
2021년 4월 13일 10:49나랏일에 관심갖고 조져야 합니다 ㅎㅎ
@황우엄마 5
2021년 4월 10일 01:01너나위님 목소리 너무 좋아용 😀
자유수호 4
2021년 4월 08일 08:38국회가서 교육좀 해주세요ㅋㅋㅋㅋㅋㅋㅋㅋ
냥냥펀치 4
2021년 4월 07일 19:065빵
상위 0.1% 결혼 '퍼플스TV' 4
2021년 4월 08일 15:53잘보고갑니다
@lavitaebella5590 4
2021년 4월 08일 05:01재건축 재개발의 경우 인허가는 관리처분인가로 볼 수 있을까요?
Forest Black 4
2021년 4월 13일 15:38정치인/기득권들이 지방 발전을 바랄까요? 지역구 국회의원조차 자기지역구에 주거지가 없고 서울에 아파트 사는데.
관습법 수도 운운하는 나라가 우리나란데...결국 스스로 똑똑해져 살아남는수밖에요
@미카엘이사 4
2021년 4월 28일 09:03끝물이라고 들어는 보셨죠잉~^^
영끌의끝 이제 누가 사주죠?
10대들이?
추구정의 3
2021년 4월 19일 20:45결론 : 모든 지표가 현재의 수요를 말한다. 고로 사라!
Deep wish Kim 3
2021년 4월 09일 20:56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로 인하여 구축 아파트보다 가격 안정성이 높아서 미분양이 없다는 것은 이런 분석에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변동 요인 아닌가요? 즉 구축 아파트 가격이 상투라는 걸 아는 매수자들이 가치 대비 저렴한 분양가 상한제 규제받는 신규분양으로 가는 것 아닌가요?
통계는 정책요인과 함께 해석해주시면 더 판단이 쉬울듯 합니다.
듣다보니 거꾸로 해석도 되네요.
The genius rich 3
2021년 4월 08일 09:26시그널~~~
카카오즈 3
2021년 4월 07일 22:18서울시장님 이사대책 무엇보다 서둘러 진행 부탁드립니다... 정말 중요합니다
@천하장사-h1y 3
2021년 5월 07일 14:34지방 매매 절벽입니다
여유있는삶 3
2021년 4월 08일 13:48신사임당님 옆분 순간 대도서관 인줄알았...
@설화-i5i 3
2021년 4월 07일 22:50항상 많은 도움받고 있습니다
@raenil5522 3
2021년 4월 15일 15:03긴 말 안한다 지금 분양 받으면 망한다
@열심히살고싶은사람 2
2021년 4월 12일 11:05이래나저래나 그래도
내 대한민국 화이팅 화이팅🇰🇷 🇰🇷 🇰🇷
@로제-b3u 2
2021년 4월 25일 07:02수도권으로 몰리는건 어쩔수없어요
기본기능 2
2021년 4월 07일 19:12오빠~ㅇ
추구정의 2
2021년 4월 19일 20:20정확하네요 이 분은... 그 여자분이랑은 다르네
Kk K 1
2021년 4월 07일 19:21구빵
대디육아 1
2021년 4월 07일 20:31원조 1빠는 나요!!!
Sunjang Mirae 1
2021년 4월 07일 19:097빠 ㅠㅠ
@인사이트-b9l 1
2021년 4월 10일 08:49항상 분석 그리고 넓게봐야함
저는 떨어질거란 기대는 안합니다
다만 준비를 할뿐
@흐흐슝슝이 1
2021년 5월 11일 14:18이 분 얘기들으니 이해가되네요ㅜㅜ설명잘하십니당!ㅎ
Ji Hyuk Yang 1
2021년 4월 07일 21:46와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강그린 1
2021년 4월 09일 17:12완전 공감입니다~~~
확신 1
2021년 4월 07일 20:34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KYS 1
2021년 4월 07일 20:061등
yoo jj
2021년 4월 11일 09:36견강부회
@엔비디아-c7o
2021년 5월 17일 19:32이분 대단하세요.
대부분 뭇 전문가라는 자들이 뻔한 이론에 개인의 뇌피셜 풀다가 끝나는데, 이 분은 이론에 팩트, 팩트의 옥석을 가리는 깊은 통찰로 부동산시장에 대한 안목,지혜를 알려주시네요. 그것도 중립을 유지하면서요.
박수보내드립니다
gogo life
2021년 5월 26일 09:35공급은 답이 아니다. .. 한사람이 여러채 가지고 있고..
@피닉스37
2021년 5월 05일 22:21너나위님 통찰력있는 말씀 감사합니다 인허가 등 각종 자료로 미리 공급을 알아볼수 있는 좋은 정보 알려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ᗷᑎᗰᗷᐯᑎᗰᗰᘜᘜᒍ
2022년 3월 03일 11:35아아 그거 저도 알아요 소 배 액 팅 ㅎㅎ 어려운것도 없고 간단한 지식만으로 할수있다던데
روفان الاهلاوية
2022년 3월 03일 11:35저는 요즘 코로나때문에 직장도 힘들어졌는데 소배 액팅 알고나서 부업으로 용돈법니다 ㅠ ㅎㅎ
@lch012091
2021년 6월 04일 19:50??공급 뚝이라는 기사다음 이어지는 내용이 이해가 안가네요 결국 기사말 대로 공급 꺾엿고 상승시그널 맞다는건지 뭔말인지...기사를 반박하는 식으로 시작해서 결국 국토부자려 봤더니 공급 적은거 맞다고 얘기하시는거죠??
@cynthiajun6831
2021년 6월 02일 17:15서울에서 나고자라 서울에서 취직하신 부모님밑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나고자라 서울에 있는 대학 가서 서울에 있는 직장 취업하고 10년을 모았는데 서울에 집을 살 수가 없어서 고향떠나 경기도에 집을 마련하고 출퇴근 2시간 하게되었습니다..
특별한엉뚱이
2021년 7월 27일 19:36모든 소외지역은
유통소외까지받아 불편합니다.
직장은 앞으로 비대면이 많이지길 바랄뿐.
피자다이노
2021년 4월 14일 18:45지금이라도 매수를...
@jcta1000
2021년 6월 20일 12:5422:13
죄송하긴요.
핵심을 찌르시는데!
신사임당님의 시기적절한 질문과 코멘트가 영상의 꽃이예요
성혜영
2021년 4월 19일 20:04ㅋㅋㅋ
내집맛집 홈스토랑
2021년 8월 03일 15:23♥
birartıbir
2022년 3월 03일 11:35주식하기엔 너무 까막눈이라 찾던와중에 저도 소 베 액 팅 추천받아서 쳐봤는데 너무좋네요 ^^
Murat Can
2022년 3월 03일 11:35요즘 재테크 하는게 유행인데 찾아보다가 소배 액팅 쳐보고나서 95%수익 내고있어요!
EDİTCİ
2022년 3월 03일 11:35시간만 있으면 넉넉하게 재테크 할수있는게 소베 액 팅 이죠 ㅇㅈ
@우공이산-f4u
2021년 6월 10일 14:14주택 인허가 물량하고 집값오내림새는 상관이 없다고 하던데요. 과거 사례보면 인허가 물량이 적어도 떨어질 수 있고 많아도 오를 수도 있었기에 크게 상관이 없다네요.
김루핀
2021년 5월 14일 09:09설명 잘하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