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폭락은 한번 왔어야할 주기였는데 그걸 정부와 기업이 양적완화로 늦춘거에요 근데 이게 좋을수가 없는게 규모는 더 커지고 그만큼 폭락되었을때 폭락값이 커진다는겁니다 이게 제일 위험해요 imf터질때보다 더 커질수있는거죠 현정부가 금리를 미기준에 못맞추는게 이유가 있는거라봅니다
지금 강남권에서 부동산 자산관리업을 하고 있지만, 정말 서울을 한번 걸어다녀보시면 임대 문구가 몇년사이 점점 더 보이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자영업들은 빚내서 장사하는 우리나라 40~50대 분들이 정말 많으신데, 많이 망해가고 있는것이 현실입니다. 그리고 서울이 임대료가 높다 높다 하지만, 지금은 내린곳도 많으며 신도시보다 임대료가 낮은곳도 많습니다. 모든지 답은 없으나, 계속 희망적인 얘기하기에는 지금은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분 책도 여러권 읽고 강의도 들어봤는데 매번 폭락한ㅇ다고 하시더라구요 책중에 어느정도 맞았던 부분이 있지만 전반적으로 폭락은 오지 않았죠. 말씀하시는거중에 너무 단편적인 부분이 많아 모든걸 반박하기엔 귀찮네요ㅜ 개인적으로 처음 경제를 접하며 읽었던 책을 쓰신분인데 조금은 안타까운 느낌이 듭니다. 하지만 저보다는 분명 잘 보시겠죠 응원합니다
현정권 주택 보유세 많이 받을라고 공시지가도 엄청 올리고 집값 하락도 안되게 하는 정책인데 미국이 쉽게 금리는 못올릴거라 봅니다. 경기가 안좋은채로 집값만 올리고 임대료만 올라서 서민층이 정말 죽을맛입니다. 한달동안 집주인에게 집세 갖다 바치는 일만 뼈 빠지게 해도 가게하나 굴리기가 너무 어려워요. 점점 더 살기가 힘들어 지네요
이런 폭락이 온다는 생각을 오년째하고 잇는데 18년 19년에 반드시 온다고 생각해서 현금 비율 거의 80프로 햇다가 얼마전에 부동산 구입햇습니다 이번 위기는 반드시 오는데 현금이 답은 아닌거 같아요 조금이라 위기가 올거같으면 또 양적완화할거고 그러면 자산버블이 더생길 거니까 부동산 금 우량주식에 잘배분해놓고 현금성 자산은 3-6개월 버틸수 잇는정도만 준비해놓으면 될거같아서 저는 그렇게 배분햇습니다
요즘 나라가 미치긴 미쳤죠. 서울 중심 신축 미분양 나던게 불과 6-7년 전까지 입니다. 지금은 로또광풍이니 신축은 안 떨어진다느니 새로운 논리가 만들어졌죠. 2000년대 논리가 그랬었죠ㅎ 그러다가 2010년 이후에는 수년간 아파트로 돈 버는 시대 끝낫다고 기사가 도배되었고, 실제 그땐 아파트에 관심들이 없었습니다. 기사와 논리는 그때그때 만들어집니다
편집된 영상 하나로 저분에 모든 생각을 다 알수는 없지만 '금리는 반드시 인상한다'는 근거가 빈약하다고 생각합니다.(금리인상은 미국금리 인상과 맞물리는 부분도 크니까요) 그러나 저런 생각을 할수도 있겠구나 정도로 받아들이면 저런상황이 왔을때 어떻게 할지 유연하게 대응 할 수 있겠네요.
전체제인 인과관계에 관한 설명은 맞기는 하신데 비올때까지 기우제 지내는거랑 비슷하게 이야기를 푸시는듯요^^; 가계부채가 도화선이 될 가능성 높은건 사실이지만, 화폐가치 낮아지는 인플레 등 때문에 가계부채는 중장기적으로 거의 우상향일거라.. 그냥 무조건 위기가 올거다가 아니라 금리움직임에 따라 잘 대응해야정도가 더 맞는듯 싶네요 글로벌금리 움직임은 전대미문의 영역으로 가는중이라 언젠간 오를거다는 추측은 좀.. 그게 언제가 될지 모르는게 요즘 시장 상황이라..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하지만 최윤식님이 언급해주신 내용을 근거로 판단해보면 급격한 경제위기(경착륙)가 쉽게 오지 않을 겁니다. 말씀하신 가계부채 위기 등은 이미 오래전부터 있었던 말들입니다. 지난 2008년 리먼브라더스 파산 등의 미국발 세계경제 위기를 아픈 경험으로 미국연준과 중국 등 세계 주요 국가들은 경제위기 낌새가 보이려고만 해도 금리를 낮추거나 유동성을 늘리는 일에 힘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버블을 더큰 버블로 덮는 이러한 세계적 추세는 미국의 기축통화 위기가 오지 않는 이상은 큰 충격으로 올 확률이 적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국내외 경제위기의 발생 가능성 보다는 국내 저성장, 저출산, 일자리 창출에 대한 대책이 훨씬 더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부동산으로 쏠린 가계 부채를 줄이기 위해서는 서민들에게 대출을 적게 받으라고 할 것이 아니라 그들의 소득을 늘이고 지원을하여 따뜻하고 안전한 가정을 꾸려나갈 수 있는 경제활동인구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30대 분들은 2006년 이후 계단식 하락을 맛본 적이 없으니까.... 지금 잡아야 한다고 생각 많이 하는 거 같아요... 아파트만 실구매로 생각하니까 그러는 거 같은데... 아파트 가격 올라도...강남 기준 양도세 내고나서 노후 준비하려 수익형 상가나 건물 알아보면... 답 없습니다... 아파트 오른 것만큼 수익형 자산도 올랐으니까요... 지금 강남 기준 아파트 수익률은 1.8% 대고 전세가율은 40~50% 사이입니다... 집 한 번도 안 사보고... 시세차익 한 번도 보지 못한 30대 분들이... 너무 비트코인처럼 몰려드는 거 같고... 금리 인상 시기를 맞아본 적 없어서 그런지 너무 낙관적이라 걱정입니다.. ㅠ
미국주식,선물 딜러 출신입니다. 일반개인투자자 분들에게 꼭드리고 싶은말씀입니다 시장이 안좋을때나 좋을때나 항상 낙관론자,비관론자들은 존재하죠.. 금융시장과 우리의 실물 경제와의 괴리감은 어떠한 이코노미스트 들도 제대로 해석하지 못하더군요..지나고나서나 말을하죠....왜냐구요? 금융상품,현물(주식,선물)가격에는 심리, 이벤트 라는 것들이 들어가거든요... 모든내용을 감정에서 다빼고 냉정히 시장만 보세요~ 절대 시장은 기본적분석데로만 움직이지 않습니다 이리된지 꽤 오래됐습니다... 작전병이 총을 잘쏠까요? 아니면 스나이퍼가 총을 잘쏠까요? 이것만 생각해보시면 되세요~~
최윤식 님의 말씀대로 9억 12억짜리 아파트를 살 수 있는(감당할 수 있는 사람) 연봉 1억이 되는 사람이 3%정도 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투자해서 실제로 돈을 벌고 있으니.. 현제 상황을 반영하는 계산법으로 보기엔 좀 위험한 것 같아요. 한국도 거품이 너무 심해서 언젠가는 금융위기가 오겠죠. 그렇다고 또 투자를 안할수는 없고 참 어렵네요 ㅠ
거품이 꺼질 때 어떻게 꺼지느냐에 따라 나라가 골로 가냐 마냐가 결정 나겟네요 그런데 우리나라 자산시장 특성상 폭락이 예상됩니다 이렇게 냄비근성 심한 자산시장 보기가 드문니다.... 오를 때 미친듯이 내릴때는 그것보다 더 미친듯잌ㅋㅋ 암튼 떡락 할 때 현금 가지신분들 부동산 땅 닥치는대로 줍줍 하면 되겠구요
그래도 실거주 집은 하나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오르지 않고 떨어진다 하더라도 갚을 수 있는 한 말입니다. 참 고민이 됩니다. 직장 발령으로 지방에 이젠 오래 살 것은데 혹시 다시 올라 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맘에 전세로만 사려 했다가 이젠 올라가도 너무 올라 사기도 힘들 것 같고, 앞으로 6-7년 이상 지방에 거주 해야 한다면 그냥 빚이 거의 없는 상태로 하나 사두는 건 어떤지, 아님 계속 기다리다 만년 집 없이 살 것 같은데 경제 상황도 항상 그 시기 지나야 그때가 상승기인지 하락기인지 아는 거잖아요. 다들 추측만 할뿐.
위기를 말하는 이유는 정말 많습니다. 그리고 사실 이론적으로 보면 틀린 말도 없어요. 저성장 기조 속에서 투자처를 찾지 못한 현금 유동성에 막대한 가계부채들로 굴러가는 경제 상황 사실 누가 옆에서 바늘 한 번 찌르면 와르르 무너질 수도 있죠. imf도 터지기 한 달 전만 해도 호황이라며 위기따위 없다고 했었습니다. 그런데 그 바늘이 언제 찔릴 지, 언제 찌를 지를 모르기에 찔릴 때까지 위기가 오기만을 기다리죠. 한 10년 20년 얘기하다가 결국 휘청이는 날이 오면, 결국 내 얘기가 맞군 하는겁니다. 역사적으로 버블은 단 한차례도 예외없이 조정을 받았었습니다. imf같은 엄청난 위기가 오지는 않겠지만 긴 조정장은 분명히 올겁니다.
사실 올때까지 계속 온다고 하면 언젠간 온다. 그때 누가 더 스포트라이트를 받는가에 따라 스타예언가 타이틀이 달리는거죠. 분명 위기는 오겠죠 그러니깐 포트폴리오를 안전하게 혹은 현금유동성을 많이 가지고 있어라 말은 할수 있죠. 그것이 나쁘다고 느껴지지는 않습니다만 항상 경제위기가 온다고만 말하는것에 대중은 지겨워 하죠!
문제는 미국이 금리를 올려서 우리보다 높아지는거죠. 그럼 우리도 금리를 올릴수밖에 없을겁니다. 그때 빚내신분들이 힘들어지겠죠. 그거 말고 우리나라가 금리 올릴 일은 없을겁니다. 일단 올해 트럼프가 재선된다면 현금리로 4년 연장이고요. 결국 올 미국대선 4년후 미국대선이 중요합니다.
가계부채의 문제는 계속 논의돼왔고 그 리스크에 대한 일환으로 12.16 대책과 같은 대출규제 방안 또한 나왔습니다. 미국 대선까지 트럼프는 경기를 이끌어갈 것이고, 주택마련을 위한 담보대출 또한 억제된 상황에서 금융위기의 신호탄이 될 트리거는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고 봅니다. 직접적인 위협에 대한 설명이 부족해보이시네요.
호랭이아빠 247
2020년 1월 25일 17:40이분 2014년에 강의 들었는데 그 때도 금융위기 같은 위기가 온다고 했는데.. 아직도 같은 논리로 위기를 얘기하시네요.
@juwanhong4225 135
2020년 1월 25일 19:31원래 폭락은 한번 왔어야할 주기였는데 그걸 정부와 기업이 양적완화로 늦춘거에요 근데 이게 좋을수가 없는게 규모는 더 커지고 그만큼 폭락되었을때 폭락값이 커진다는겁니다 이게 제일 위험해요 imf터질때보다 더 커질수있는거죠 현정부가 금리를 미기준에 못맞추는게 이유가 있는거라봅니다
@adjective999 133
2020년 1월 25일 17:46모두가 버블을 경계해야한다라고 할땐 아직까지 여유가 있는거고, 이번엔 다르다라는 여론이 형성될땐 빠져나와야 할 시점이라는 말도 있죠.
냉철tv 102
2020년 1월 25일 19:04월급을 못받는다면 이자가 오른다면 내자산을 받아줄 사람이 없다면 면 면 면 그냥 내일 내가 뒤진다면 이라고 생각할게요 오늘 저녁은 짜장ㅡ면 이다
@hyunshik 93
2020년 1월 26일 10:42잠재된 미래 위기를 같이 이겨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제비꼬 lee world 88
2020년 1월 25일 18:12실제로 금리 엄청 낮췄지만 대출은 늘지 않아 시중통화량 자체는 크게 늘지 않았다고 합니다. 울나라는 이미 저성장에 돌입했다고 생각합니다.
@moneygood12 87
2020년 1월 30일 22:30지금 강남권에서 부동산 자산관리업을 하고 있지만, 정말 서울을 한번 걸어다녀보시면 임대 문구가 몇년사이 점점 더 보이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자영업들은 빚내서 장사하는 우리나라 40~50대 분들이 정말 많으신데, 많이 망해가고 있는것이 현실입니다. 그리고 서울이 임대료가 높다 높다 하지만, 지금은 내린곳도 많으며 신도시보다 임대료가 낮은곳도 많습니다. 모든지 답은 없으나, 계속 희망적인 얘기하기에는 지금은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yoilk81 85
2020년 1월 26일 21:07이번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가 위험하지.. 미국이 유동성 지나치게 풀렸다고 생각하고 있는 상태인데 선거때문에 못올리다가 선거 끝나면 바로 금리 올릴거고.. 그럼 우리도 따라서 올릴 수 밖에 없고.. 그럼 다 죽는거다.
박상훈 69
2020년 1월 25일 23:40반은 맞는말이고
반은 틀린거같고,,,
과연 이분 정말투자로 성공하신분인지...
책쓰고 강의해서 돈버신분인지...
@김공칠-y3j 60
2020년 1월 25일 18:00자본주의에서 호황이 있다면 언젠가 조정은 옵니다. 근데 언제 올지는 아무도 모르죠.
@d히터펑순기p 45
2020년 1월 25일 20:02산업의 체질이 변할때 마다 한번씩 위기가 있었던거 같은데....지금도 4차산업 넘어가는 시기라서 금융위기에 준하는 위기가 오고... 부의 이동이 있을듯...대비한 사람만 살아남겠지..
하워드제이 42
2020년 1월 25일 17:28고장난! 시계도 하루에 두번은 맞아요
시유 40
2020년 1월 25일 20:00언젠가는 위기가 온다. 비가올때까지 기우제를 하듯이...
@ygkim8450 40
2020년 1월 25일 20:45대출 리스크가 존재하는건 당연한 이야기 입니다. 조심해야 합니다.
그래서 나라가 관리를 합니다.
사실 지금 대출 규제는 부동산 규제가 아니죠.
가계부채를 조절 하기 위한 수단입니다.
버블은 시장이 버블이라고 말할때는 버블을 대비를 합니다.
시장이 버블인지 모를때 버블이 터지죠.
금융위기의 신호는 자본주의 시장경제 시스템에서 공급보다 수요가 부족해지면서 당연한 이야기가 되었습니다.
경제 분석을 할때
단계별로 상황이 조건이 충족되면 다음 진행 단계로 넘어가게 됩니다.
어떤 가정에 가정에 가정을 추가 하면서 그게 당장 현실 인것 처럼 분석하는건 분석이 아니라 예언 수준인거죠.
금융위기가 오는건 당연합니다.
자산 버블도 당연합니다.
자산 가격은 오르면 하락합니다.
당연함을 불편해 하면 돈을 벌 수 없습니다.
위험을 인지하는건 매우 중요 하지만
당장 무슨 일이 일어날 것 처럼 대비 하는 일은 없어야 합니다.
항상 초반에는 당장 엄청난 위기가 올 것 처럼 말하지만 뒤에는 언제 일어날지 모른다가 결론이라는 것을 또한번 느끼네요.
조건식이 성립될때 마다 위기는 가까워집니다.
우리나라의 대기업이 줄도산으로 실직자가 늘어나는 경우
그래서 갑자기 금리가 6%이상 상승 하는 경우
그런데 집까지 안팔리고 집값이 하락 하는 경우
당장 하나씩 이런 일이 일어난다면 일어날 징조가 날때 대비를 해야합니다.
개인이 위기는 관리 할 수 없지만 인지는 하고 준비와 안전 장치를 만들어야합니다.
Ray Choi 39
2020년 1월 25일 18:15근거가 이 상황이 얼마나 계속 갈 수 있겠냐 인데, 문제는 그 상황이 몇년째 계속 가고 있음.
원지호 32
2020년 2월 15일 04:17그냥 눈으로 보면 알잖아. 임대 현수막이 전보다 늘고 지방 도시를 가면 짓다만 건물들이 많이 있고 다 지어도 분양이 안되는데 이걸 부양하기에는 무리지.
결국 가장 취약한 곳 부터 무너지게 되면 줄줄이 타격받음.
@송송-j6k 31
2020년 1월 25일 23:43음 현시장을 부정하는것은 아니지만 지금은 무리하게 투자하는것은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우아상점 30
2020년 1월 26일 02:24공황은 올거지만 언제인지는 알 수 없죠. 금리가 오르면 헬의 시작 일것 같아요.
임프리지아 28
2020년 1월 30일 19:55지금은 마지막 화려한 불꽃이 아닐까
@sunduckkim9551 26
2020년 1월 26일 00:39이미 자영업 다 망하고 있어요
대기업 나와서 자영업해야 하는데
다망해서 할게 없습니다
자영업발 위기 분명히 옵니다
다정한참견 25
2020년 1월 25일 17:14너도나도 대출을 받지만 대출은 그마만큼의 리스크가 있죠..
당연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지키지 못하는 추후 10년 20년후의 예상하기 어려운 상황까지도 어느정도는 생각을하고 본인의 재정상황에 맞춰서 하는게 현명한 선택이겠죠..
@영앤리치-q6j 25
2020년 1월 26일 22:59우리나라는 부동산부터 꼬였다
@imshining 21
2020년 1월 25일 17:43다양한 시각 다양한 의견, 정말 좋은 정보들 감사합니다.
that like 21
2020년 1월 25일 18:23계속 된 양적완화로 인한 무한대의 금융뻥자본이 흘러들어가고 있는데
이 엄청난 버블은 언젠가 필연적으로 터지긴 할테죠.
하지만 조정을 가장한 엄청난 폭락 후 여태 그랬듯 다시 최고점을 향해 달려갈듯.
멸망할수는 없으니까요.
or 전쟁
Bnekfnlem 19
2020년 1월 25일 18:36머릿속에 지금 당장 풀대출 매수, 지금 당장 매도 이 두가지 옵션밖에 없는 사람들이 많네요.
이런저런 리스크를 따져 헷징해가며 투자하는게 당연한겁니다.
@글라스수단 18
2020년 1월 28일 01:53공감갑니다.
경제는 안좋아지는데
집값이 어떻게 오르는지
말이 안되는 상황이네요.
시유 18
2020년 1월 25일 19:56경제위가 전에는 항상 버블이 있었다. 버블은 이제 시작이다.
Il Han 17
2020년 1월 25일 17:37언젠가 종말이 옵니다. 여러곳에서 신호가 오고 있습니다. 우한폐렴. 호주 산불 . 이상기후 ... 어쩌라고..
@Jellybea11 17
2020년 1월 25일 20:59이분 책도 여러권 읽고 강의도 들어봤는데 매번 폭락한ㅇ다고 하시더라구요 책중에 어느정도 맞았던 부분이 있지만 전반적으로 폭락은 오지 않았죠. 말씀하시는거중에 너무 단편적인 부분이 많아 모든걸 반박하기엔 귀찮네요ㅜ 개인적으로 처음 경제를 접하며 읽었던 책을 쓰신분인데 조금은 안타까운 느낌이 듭니다. 하지만 저보다는 분명 잘 보시겠죠 응원합니다
이준 14
2020년 1월 29일 16:54금리인상되어도 대출받아 집산사람들은 어차피 고정금리니 크게 달라질건 없는거고, 문제는 금리인상으로 부동산시장이 죽으면 갭투자자나 상투잡은사람들만 죽어나겠죠, 결국 중요한건 수입원 즉 일자리죠, 수입이 끊기는순간 가게부채는 답도없죠 어떤가정이건...지금 가격에도 집사시는분들은 개고수거나 호구거나, 내집마련할때 지금가격대였다면 저라면 쳐다도 안밨을거같네요, 지금시점은 내집마련이 아니라 그냥 도박이죠...
Rei Cho 14
2020년 1월 28일 09:21근데 댓글보니까, 금융위기 오면 난리 나겠네요 ㅋㅋ 예전부터 저 소리하니 상관 없다라. 무섭네요. 지금 같은 시기에는 현금이 답아닐까요?? 해외 투자처에 투자하던지요.
꽃길만 걷자 14
2020년 2월 23일 03:22현정권 주택 보유세 많이 받을라고 공시지가도 엄청 올리고 집값 하락도 안되게 하는 정책인데 미국이 쉽게 금리는 못올릴거라 봅니다. 경기가 안좋은채로 집값만 올리고 임대료만 올라서 서민층이 정말 죽을맛입니다. 한달동안 집주인에게 집세 갖다 바치는 일만 뼈 빠지게 해도 가게하나 굴리기가 너무 어려워요.
점점 더 살기가 힘들어 지네요
@chrisjung8171 14
2020년 1월 26일 21:51이게 정론인건 지식인들은 다암.
@lds316 13
2020년 1월 25일 22:16이런 폭락이 온다는 생각을 오년째하고 잇는데
18년 19년에 반드시 온다고 생각해서 현금 비율 거의 80프로 햇다가 얼마전에 부동산 구입햇습니다
이번 위기는 반드시 오는데 현금이 답은 아닌거 같아요 조금이라 위기가 올거같으면 또 양적완화할거고 그러면 자산버블이 더생길 거니까 부동산 금 우량주식에 잘배분해놓고 현금성 자산은 3-6개월 버틸수 잇는정도만 준비해놓으면 될거같아서 저는 그렇게 배분햇습니다
@sharpscar1 13
2020년 1월 25일 20:08잃어버린 10년 -> 잃어버린 25년 예정임
@무파마-x6n 12
2020년 1월 25일 20:40예측하고 있는 위기는 위기가 아니죠.
이연승 12
2020년 2월 12일 09:54빚을 권유하는 이 사회. 미리 미래의 돈을 땡겨 사용하도록 만드는 사회... 어떤 결말이 기다리고 있을까요?
@여의도아즈씨 10
2020년 1월 26일 16:44준비는 해야하지만 피할 수 없는게 금융위기라고 생각합니다. 온다 온다 하고 10년간 오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때까지 기다리고 있을 수만은 없지요.
@따라리라 10
2020년 1월 25일 20:58부동산은 이미 많이 올랐으니 이제는 주식이 좀 올라야지 주식도 많이 오르고 사람들이 미쳐서 담보하고 대출하고 광기를 드러낼때 경제위기가 오지
@K_vely_TV 10
2020년 1월 26일 22:16자산붕괴는 늘 있어왔죠 붕괴 시점에 무릅 저점에서 과감하게 집 주식 투자 할 현금 위기를 알고 어떻게 대처 하느냐에 따라 부는 축적 되요 집도 주식도 안하면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벌기 어렵습니다
her life kim 8
2020년 1월 30일 16:24중국발 신종코로나 바이러스가 진정 되지 않으면 세계 공장 중국발 공급 부족 쇼크로 어쩌면 인플레이션이 급격히 올지도... 인플레 오면 담 수순은 금리 인상 ~~부동산 안녕 ~~~
임대사업자 8
2020년 1월 25일 17:2116:00
@comoki11 8
2020년 1월 27일 06:29실제로 이분이 말하는 위기가 온다해도
투자하시는 분들은 이분말 안들을듯....
미래 상황을 예측하고 못하고가 아니라
사람은 본인이 믿고싶은 것만 믿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나라경제가 imf때처럼 폭망한다면 모를까....
2008년 금융위기~~~?
그때 고생하신분들 있을지 몰라도
많은사람들 아마 쉽게 넘어간걸로
기억할듯.......
경재 위기는 본인이 다니는 회사가 어려울때
월급 안마올때가 위기일듯
ㅁ
유진선 8
2020년 1월 27일 18:32단지 참고만 해야죠. 내일 일은 아무도 몰라
che guevara 90 7
2020년 3월 09일 01:08갠적으로 최윤식 박사님 좋아합니다. 책도 많이 봤죠. 논리라는 것은 팩트에 기인한 경제적 지식이 딋받침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시는 분임. 안타깝지만 미금리 0.5 %까지 내린 상황에서..금융위기는 초읽기. 남자분들 정말 자살하지 맙시다.
성균김 7
2020년 1월 25일 17:32역시 내가 생각하는건 똑같이 하는 사람이 있구나
양반 7
2020년 1월 27일 13:58요즘 나라가 미치긴 미쳤죠. 서울 중심 신축 미분양 나던게 불과 6-7년 전까지 입니다. 지금은 로또광풍이니 신축은 안 떨어진다느니 새로운 논리가 만들어졌죠. 2000년대 논리가 그랬었죠ㅎ 그러다가 2010년 이후에는 수년간 아파트로 돈 버는 시대 끝낫다고 기사가 도배되었고, 실제 그땐 아파트에 관심들이 없었습니다. 기사와 논리는 그때그때 만들어집니다
무카타 7
2020년 3월 03일 02:17난 진짜 제 2의 imf가 올줄 알지만 돈이 없어!!!!
Delouch Lee 6
2020년 1월 26일 17:46언젠가는 반드시 온다.... 뭐 인간은 누구나 언젠가는 죽는다 ? 같은 이야기로 들립니다만
@비트는살아있다 6
2020년 1월 27일 15:46지금까지 신사임당님 부동산 방송중에 가장 현실적이고 정확한 팩트를 집어주신 분이네 모든 판단은 본인이 알아서 빛은 내가 감당할수 있는정도만 빚을 내기를
FunFunDaddy펀펀아빠 6
2020년 1월 25일 17:57악 명절에 근무 중이라 아직 못봤지만 썸네일만 봐도 제가 기다리던 컨텐츠네요. 저번주에 일본인의 눈물 읽고 2019부의 대절벽 읽으려고 하는데 그 전에 에피타이저로 시청해봐야겠습니다
@박시후-w4l 5
2020년 1월 27일 08:32댓글들을 보니 아직 여유가 있다는둥 긍정적인 댓글이 많은걸 보니 위기가 임박한것 같네요
@김창민-v7q 5
2020년 1월 26일 00:23편집된 영상 하나로 저분에 모든 생각을 다 알수는 없지만 '금리는 반드시 인상한다'는 근거가 빈약하다고 생각합니다.(금리인상은 미국금리 인상과 맞물리는 부분도 크니까요)
그러나 저런 생각을 할수도 있겠구나 정도로 받아들이면 저런상황이 왔을때 어떻게 할지 유연하게 대응 할 수 있겠네요.
테렌스 5
2020년 3월 15일 17:05헉 한달반전에 예고한거네요 대단
@jangw8080 4
2020년 1월 26일 13:51근데 이분 말씀 틀린거 없음...정말 큰 위기인건 맞음 국내외적으로
사모펀드 사건이 얼마나 심각한지알면 기절할거임~~이번 정부 들어서
@rich_maxtv 4
2020년 1월 25일 23:14전체제인 인과관계에 관한 설명은 맞기는 하신데 비올때까지 기우제 지내는거랑 비슷하게 이야기를 푸시는듯요^^; 가계부채가 도화선이 될 가능성 높은건 사실이지만, 화폐가치 낮아지는 인플레 등 때문에 가계부채는 중장기적으로 거의 우상향일거라.. 그냥 무조건 위기가 올거다가 아니라 금리움직임에 따라 잘 대응해야정도가 더 맞는듯 싶네요 글로벌금리 움직임은 전대미문의 영역으로 가는중이라 언젠간 오를거다는 추측은 좀.. 그게 언제가 될지 모르는게 요즘 시장 상황이라..
@oom8452 4
2020년 1월 26일 23:06원래 위기는 방심 할때 오니까 안전하다 생각할 때 일수록 더욱 철저하게 관리 와 대비가 필요
@cooluv1004 4
2020년 1월 26일 18:31이명박근혜 정부때 가계부채가 엄청나게 폭증했는데 그 이유에 대한 시장원리를 설명해주는 듯 하네요.
Zeno Ko 4
2020년 1월 29일 15:34전문가들이란 사람들이 집사지 마라 할 때 집을 안사니 집 값이 계속 오르더라.... 잠시 침체 하지만 아직 집값이 계속 오르더라. 나에게 아무리 투자해도 능력에 비례해 돈을 버는 것도 아니더라.
@totuga2169 4
2020년 1월 26일 01:40이분이 코리안 Dr.루비니 라는 최윤식씨 맞습니까?
근육붙은뚠뚠이 4
2020년 1월 30일 05:43판단은 본인이 하는겁니다....이분도 자기생각을말한것뿐,
Double BY 4
2020년 1월 27일 13:19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하지만 최윤식님이 언급해주신 내용을 근거로 판단해보면 급격한 경제위기(경착륙)가 쉽게 오지 않을 겁니다. 말씀하신 가계부채 위기 등은 이미 오래전부터 있었던 말들입니다. 지난 2008년 리먼브라더스 파산 등의 미국발 세계경제 위기를 아픈 경험으로 미국연준과 중국 등 세계 주요 국가들은 경제위기 낌새가 보이려고만 해도 금리를 낮추거나 유동성을 늘리는 일에 힘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버블을 더큰 버블로 덮는 이러한 세계적 추세는 미국의 기축통화 위기가 오지 않는 이상은 큰 충격으로 올 확률이 적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국내외 경제위기의 발생 가능성 보다는 국내 저성장, 저출산, 일자리 창출에 대한 대책이 훨씬 더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부동산으로 쏠린 가계 부채를 줄이기 위해서는 서민들에게 대출을 적게 받으라고 할 것이 아니라 그들의 소득을 늘이고 지원을하여 따뜻하고 안전한 가정을 꾸려나갈 수 있는 경제활동인구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hotsourcecode 4
2020년 1월 26일 23:51좀 틀린부분은 젊은 사람이 아파트를 자기 돈으로만 사는게 아니에요. 부모가 번돈으로 반 정도 지원받는 사람 많습니다. 그래서 사실 9억이 아니고 4-5억만 갚으면 되죠. 쉽게 폭락 안한다고 봅니다.
휘파람 4
2020년 2월 01일 13:54집 관련해서 세금문제 얘기 안하셨네요~부동산 세금 미친듯이 올라가고 있는데...
@박선정-i3k 4
2020년 1월 26일 04:49집은 돈 무덤 미국주식이 대세
작년 애플 거의 90% 상승했다
미국주식이 답이라고 생각
존리씨 말대로 주식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라 생각 합니다 요즘 재테크의 대세는 5G 관련 반도체 주가 대세
Yobiskuchi Alexander 3
2020년 1월 30일 07:2130대 분들은 2006년 이후 계단식 하락을 맛본 적이 없으니까.... 지금 잡아야 한다고 생각 많이 하는 거 같아요... 아파트만 실구매로 생각하니까 그러는 거 같은데... 아파트 가격 올라도...강남 기준 양도세 내고나서 노후 준비하려 수익형 상가나 건물 알아보면... 답 없습니다... 아파트 오른 것만큼 수익형 자산도 올랐으니까요... 지금 강남 기준 아파트 수익률은 1.8% 대고 전세가율은 40~50% 사이입니다... 집 한 번도 안 사보고... 시세차익 한 번도 보지 못한 30대 분들이... 너무 비트코인처럼 몰려드는 거 같고... 금리 인상 시기를 맞아본 적 없어서 그런지 너무 낙관적이라 걱정입니다.. ㅠ
리아튜브 RIa tube 3
2020년 1월 25일 17:54최윤식님책!!많이 읽었어요 👍👍👍👍👍
@주식알려주는형아 3
2020년 6월 10일 00:01미국주식,선물 딜러 출신입니다. 일반개인투자자 분들에게 꼭드리고 싶은말씀입니다
시장이 안좋을때나 좋을때나 항상 낙관론자,비관론자들은 존재하죠..
금융시장과 우리의 실물 경제와의 괴리감은 어떠한 이코노미스트 들도 제대로 해석하지 못하더군요..지나고나서나 말을하죠....왜냐구요? 금융상품,현물(주식,선물)가격에는 심리, 이벤트 라는 것들이 들어가거든요...
모든내용을 감정에서 다빼고 냉정히 시장만 보세요~ 절대 시장은 기본적분석데로만 움직이지 않습니다 이리된지 꽤 오래됐습니다...
작전병이 총을 잘쏠까요? 아니면 스나이퍼가 총을 잘쏠까요? 이것만 생각해보시면 되세요~~
잡초왕Lentic2 3
2020년 1월 25일 17:001등댓글후 감상 !!
@오세진-d8v 3
2020년 1월 25일 22:12다들 죽는소리하지만 우리나라는 지금 호황이다..
bagi p 3
2020년 2월 01일 19:33이번엔 진짜다 화폐전쟁 시작됫다.
Seungjae Lee 3
2020년 1월 31일 03:27논리적으로 위기는 오지만 그게 내년인지 내 후년인지 10년 후인지.. 모르는거고 그 때 물린 사람은 자살로 내몰리는 극한상황으로 치달을것
사우르스 3
2020년 1월 31일 02:30마이크 들고 있니라 고생이네요..
어께 스트레칭 꼭 해주세요.
@TV-qx8gx 3
2020년 3월 01일 00:12오늘 내용은 정말 중요한내용이네요 정말. 개인부채에대해 정말 다시 한번 생각하고 갑니다
@chrispark4532 2
2020년 1월 26일 12:12버블 맞습니다. 왜? 맞냐구요?
은행에서 주담대 안해주거나 전세보증하고 집을 사지 못한다면 지금 가격이 만들어 질까요?
결국 빚이 돈이지만 성장력이 좋을시기에는 달러빚내고 레버리지 써야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그런 상황이 아니라는 것을 말씀해주시는 겁니다.
만약 이대로 간다면 여러분들의 자녀들은 얼마에 집을 구입할수 있을까요????
인플레이션이 우리를 풍요롭게 만들었지만 너무많은 빚을 만들어서 결국 감당하지 못할 상황에 이미 치달은건 아닌지 생각할수 있게 해주시네요.
미국증시 조정이 불가피했으나 비 상식적인 성장에 중국친구들의 코로나바이러스의 살상무기로 조정아닌 조정이 있을지 궁금하네요.
돈도 좋지만 이번 코로나바이러스는 심각한 결과를 예고합니다. 모두들 감영에 주위하셔서 슬기롭게 이겨내시기를 바래보네요~~~~
@soohyunp.0808 2
2020년 3월 23일 19:46코로나 위기와 겹친다는 느낌이 들어요. 이 영상 생각나서 다시 봅니다.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김완수 2
2020년 5월 04일 18:13인구절벽이 제일 큰 충격이 되겠죠
마쎄이 2
2020년 2월 02일 05:08극히 상식적인 얘기 하고있는데 최근에 집산 부동산 폭등 좀비들은 폭락론자 라며 까기 바쁘네 이런걸 보니 더욱 혼란의 시기가 멀지 않았다는 위기감이 느껴진다~~계속 천년만년 빚으로 새로운 호구들이 받아줄것 같으면 당장 내일 은마아파트 사러가라 많이 빠졌다더라ㅋ
Jangwon Lee 2
2020년 1월 27일 18:24진짜 말도안되는 논리 갖다 붙이넹ㅋㅋ 저 사람도 말하다보면 자기도 이게 아닌가? 싶지않을까 싶은데ㅋㅋ
@signalyu 2
2020년 1월 26일 18:31건국이래 가장 낮은 금리! 건국이래 가장 좋은 좋은 채널! 쉰사임당
차이 2
2020년 1월 29일 11:45최윤식 님의 말씀대로 9억 12억짜리 아파트를 살 수 있는(감당할 수 있는 사람) 연봉 1억이 되는 사람이 3%정도 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투자해서 실제로 돈을 벌고 있으니.. 현제 상황을 반영하는 계산법으로 보기엔 좀 위험한 것 같아요. 한국도 거품이 너무 심해서 언젠가는 금융위기가 오겠죠. 그렇다고 또 투자를 안할수는 없고 참 어렵네요 ㅠ
집남자 2
2020년 2월 28일 19:04우리 모두의 이야기 its comming . . .하지만 일반인들에게 전가는 거부한다 . ~ 거부운동을 해야함 ~ 아니면 사기꾼 처벌을 확실히 하도록 법을 바꾸어서 하던가 ~.
분노조절장애 2
2020년 1월 27일 23:32거품이 꺼질 때 어떻게 꺼지느냐에 따라 나라가 골로 가냐 마냐가 결정 나겟네요 그런데 우리나라 자산시장 특성상 폭락이 예상됩니다 이렇게 냄비근성 심한 자산시장 보기가 드문니다.... 오를 때 미친듯이 내릴때는 그것보다 더 미친듯잌ㅋㅋ 암튼 떡락 할 때 현금 가지신분들 부동산 땅 닥치는대로 줍줍 하면 되겠구요
Seon Kim 2
2020년 2월 24일 14:13금융위기 온다..온다............안오면 말고....오면 거봐 내가 뭐라고 햇나..
@따아라 2
2020년 1월 25일 20:21와우~매일 올라오는 영상들~매일보는 검정티신사분~ 부지런함^^섭외달인 경제교육은 누구나 필요한데 어렵지않게 경제상식을 전달해주셔서 감사합니다~배경은 조금씩 바꿔주는 센스^^
버나드숀 2
2020년 1월 25일 17:012020년 일빠네요
SJ Song 2
2020년 1월 27일 09:08그래도 실거주 집은 하나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오르지 않고 떨어진다 하더라도 갚을 수 있는 한 말입니다. 참 고민이 됩니다. 직장 발령으로 지방에 이젠 오래 살 것은데 혹시 다시 올라 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맘에 전세로만 사려 했다가 이젠 올라가도 너무 올라 사기도 힘들 것 같고, 앞으로 6-7년 이상 지방에 거주 해야 한다면 그냥 빚이 거의 없는 상태로 하나 사두는 건 어떤지, 아님 계속 기다리다 만년 집 없이 살 것 같은데 경제 상황도 항상 그 시기 지나야 그때가 상승기인지 하락기인지 아는 거잖아요. 다들 추측만 할뿐.
@행복파티중 2
2020년 1월 25일 23:03최윤석님 하락장 안내도 좋고, 상승장때에도 등장 하셔서 말씀해주세요~
Rose Lavida 2
2020년 2월 10일 23:54버블이 터지긴 하겠지
lyn lyn 1
2020년 1월 29일 12:4615:04
wind up 1
2020년 8월 29일 21:22십년 뒤에 이 영상 다시 보시요.
서윤 1
2020년 4월 12일 13:45젤 불쌍한 세대 2,30대 영끌해서 인생이 피곤해진 세대 단계를 받고 가야하는데
S W O S M D S 1
2020년 3월 10일 23:32한국의 루비니 ㅎㅎㅎ
김형석 1
2020년 2월 02일 21:57전세계적으로 마이너스 금리시대로 가고 있는데 .. 현시대의 거시적 방향을 잘못 읽고 있으신 것 같네요
@Again99-j3t 1
2020년 1월 26일 09:12신사임당 당신은 도대체.. 경제적 식견의 균형이.. 대단하시네요
Tony 1
2020년 2월 16일 20:13몇년전부터 위기가 온다고 했는데 안왔으니, 앞으로도 안올것이다.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들 많네요. 진짜 그럴까요? 인류의 금융역사는 버블과 붕괴의 역사인데 버블만 커질수 있나요, 붕괴도 오겠지. 적당한시기에 작은 크기의 붕괴가 와야 혼란이 적을텐데, 늦출수록 더 크게 터질거란건 나도 예측하겠다.
@유서림 1
2020년 1월 25일 19:38장기 저성장이고.. 이젠 화폐개혁입니다
기타맨 1
2020년 1월 30일 14:31정상적인 경제구조에서는 당연한 위기인데 전세계적인 저금리 현상이 지속되는 한 위기는 오지 않을겁니다. 하지만 온다고 하면 작살나겠죠.
산책하는 MoMo 1
2020년 3월 05일 12:15시대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는 시점에서~ 여태까지 생산활동을 해오던 거의 모든것이 변하지 안으면 문 닫거나 망하는 징조들이 곳곳에 나타나고 있는거 같아요~
정직幸福 1
2020년 4월 18일 12:00제발 떨어져라~떨어져라~ 비나이다~비나이다~^^
김김지태 1
2020년 1월 27일 23:41장기저성장10 20년 되면 저소득층 서민 다죽는거고 실업자 엄청 많아진다
크라쿠로쿠직스 1
2020년 1월 27일 11:08위기를 말하는 이유는 정말 많습니다. 그리고 사실 이론적으로 보면 틀린 말도 없어요. 저성장 기조 속에서 투자처를 찾지 못한 현금 유동성에 막대한 가계부채들로 굴러가는 경제 상황 사실 누가 옆에서 바늘 한 번 찌르면 와르르 무너질 수도 있죠. imf도 터지기 한 달 전만 해도 호황이라며 위기따위 없다고 했었습니다. 그런데 그 바늘이 언제 찔릴 지, 언제 찌를 지를 모르기에 찔릴 때까지 위기가 오기만을 기다리죠. 한 10년 20년 얘기하다가 결국 휘청이는 날이 오면, 결국 내 얘기가 맞군 하는겁니다. 역사적으로 버블은 단 한차례도 예외없이 조정을 받았었습니다. imf같은 엄청난 위기가 오지는 않겠지만 긴 조정장은 분명히 올겁니다.
김철 1
2020년 2월 24일 06:54빛정리해야할것같읍니다
@npl9345 1
2020년 1월 25일 21:46정신차리고 힘내야죠
굿 1
2020년 2월 10일 15:15위기는 옵니다, 그러나 전세계가 얽혀있기때문에 해결책이 나올수밖에 없습니다! 극복될거구요, 겁먹을 필요는 없을듯요.
@vayu_vayu_ 1
2020년 1월 27일 08:40경제공부. 오늘도 좋습니다
그러면 앞으로는 당분간 소비를 최대한 절제하는 방법 외에
뭔가 또 다른 좋은 솔루션은 없을지 그 부분도 궁금해지네요~😯
이건우 1
2020년 2월 22일 13:47산이 높으면 골짜기도 깊죠. 분명한건 유례없는 전세계적 양적완화, 저금리로 버블이 역대급으로 생기고 있다는거고 언젠가 터지면 충격은 진짜 대단할듯. 그러고 인류는 신세계로 도약할껍니다.
@markov2k2 1
2020년 1월 26일 09:10가계부채로 안 망해요. 정부에서 LTV 심하게 걸어서 일본과 달라요. 양극화만 심해질 겁니다.
기다림의 미학 1
2020년 3월 07일 20:46자본주의는 어차피 조종 한번 와야 합니다
Dennis Kim 1
2020년 2월 06일 00:56우한코로나 + 도쿄올림픽폭망... 일본발 경제위기 또 한 번 올 것 같아요. 일본 G3 G4 쭉쭉 밀려나면 찍어내놓은 엔화 어떻게 수습할까요 ㅠㅠ
긍정마인드전도사-세상의모든리뷰
2020년 1월 25일 17:21좋은 영상 감사 드립니다
Vidolar 2
2022년 3월 03일 11:00주식하기엔 너무 까막눈이라 찾던와중에 저도 소 베 액 팅 추천받아서 쳐봤는데 너무좋네요 ^^
이미프로
2020년 2월 23일 08:00시원스쿨짱👍👍👍👍👍👍👍
보리토리
2020년 1월 25일 17:02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바다소년
2020년 1월 25일 17:012등댓글
Singularity
2020년 2월 22일 15:42팔 아프겠는데. ㅋㅋ
임준
2020년 1월 27일 09:00사실 올때까지 계속 온다고 하면 언젠간 온다. 그때 누가 더 스포트라이트를 받는가에 따라 스타예언가 타이틀이 달리는거죠. 분명 위기는 오겠죠 그러니깐 포트폴리오를 안전하게 혹은 현금유동성을 많이 가지고 있어라 말은 할수 있죠. 그것이 나쁘다고 느껴지지는 않습니다만 항상 경제위기가 온다고만 말하는것에 대중은 지겨워 하죠!
sungtae kim
2020년 1월 27일 21:54인디안 기우제
@zit-n
2020년 1월 26일 00:29문제는 미국이 금리를 올려서 우리보다 높아지는거죠. 그럼 우리도 금리를 올릴수밖에 없을겁니다. 그때 빚내신분들이 힘들어지겠죠. 그거 말고 우리나라가 금리 올릴 일은 없을겁니다. 일단 올해 트럼프가 재선된다면 현금리로 4년 연장이고요. 결국 올 미국대선 4년후 미국대선이 중요합니다.
7 MONTH
2020년 2월 16일 18:00칼쥔 IMF 분주한 금융당국
이재희
2020년 1월 27일 19:06감사합니다.
WON OH
2020년 2월 29일 09:21전쟁나면 해소되요.
도너리
2020년 1월 29일 08:28기준금리, 시장금리, 신용등급에 따른 금리는 다르다는 거 가끔 잊어버리나 봅니다. 조심합시다.
마부작침
2020년 1월 25일 17:14흠..
안상길
2020년 1월 25일 17:03좋은영상 감사합니다
노아의 창
2020년 1월 27일 12:49잘보고있습니다. 중간중간 공감도하지만 어려워서 내용을 찾아보기도 하면서 봅니다. 인터뷰를 중간중간 끝어가며 보지만 마지막 부분엔 자막으로 인터뷰 내용을 정리해주시면 어떨까 싶네요~^^
길가는사람들
2020년 3월 01일 14:10교수님처럼 저도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부동산 아파트가 시장원리로 움직이지 않는다는 겁니다.
이명박때처럼 정부가 아파트수매를 하면서까지 건설자본과 아파트채무자들을 보호합니다.
Chun Kim
2020년 1월 27일 17:333년 전에 싸게 산 사람은 떨어져도, 빚도 없으니... 위기 상황이 아닙니다. 꼭지에서 사시분은 피해를 보겠지만요. 전체 아파트 이 분들이 얼마나 될까요? 이런 세대가 몇개 팔려도 몰락하기 어렵습니다.
@rhail247
2020년 1월 26일 21:11가계부채의 문제는 계속 논의돼왔고 그 리스크에 대한 일환으로 12.16 대책과 같은 대출규제 방안 또한 나왔습니다. 미국 대선까지 트럼프는 경기를 이끌어갈 것이고, 주택마련을 위한 담보대출 또한 억제된 상황에서 금융위기의 신호탄이 될 트리거는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고 봅니다. 직접적인 위협에 대한 설명이 부족해보이시네요.
@recreepy
2024년 7월 08일 02:06I'm sincerely impressed—kudos to you!
@lyu2021
2020년 1월 26일 18:15임대자에게 유리한 시기가 온다면 주택구입하려는 사람이 주는게 아니라 주택구입하려는 사람이 늘지않을까요? 주택구입하여 임대수입으로 노년을 대비하려는 사람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