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시대에 꼭 필요한 4개의 생존코드 | 이소영 ‘당신은 다른 사람의 성공에 기여한 적 있는가?’ 저자 | 성공 파트너십 직장 | 세바시 나머지 45분 ep.15
이 콘텐츠는 '퍼블리온'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 강연자의 강연 소개 '늙은 공룡'으로 불리던 마이크로소프트가 시총 1위로 재도약 할 수 있게 만든 단 하나의 질문!...
이 콘텐츠는 '퍼블리온'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 강연자의 강연 소개 '늙은 공룡'으로 불리던 마이크로소프트가 시총 1위로 재도약 할 수 있게 만든 단 하나의 질문!...
탱탱태쁘 16
2021년 4월 13일 22:371. 서로의 비전(삶의 목표, 나는 이런 삶을 살고싶다)를 공유하라
2. 상호호혜의 원칙을 가져라. (같이 혜택을 받아야한다.) 사람을 돕는 게 저축보다 낫다. 5대 5로 나눠주지말고 6을 줘라
3. 코칭과 피드백을 하라.
4. 촘촘하게 이해관계자들을 파악하여 파트너십을 맺어라.
남멋쨍이72 8
2021년 4월 18일 13:23남의 성공을 돕는 가치있는 일을 통해 보람과 행복을 느낄수 있음을 다시한번 생각했습니다
재뿌 8
2021년 4월 13일 23:23정치인들이 꼭 봐야할영상이네요 허구한날 싸우고있으니..
김나원 8
2021년 4월 18일 09:21저축보다 사람에 투자하는 것이 좋다.공감합니다.
해운대눈사람 7
2021년 4월 22일 22:51* 질문 또는 시청소감 -> {시청소감} : "아,,, 아내를 제가 지치게 한 건 아니었는가 하는 반성을 하게 되었습니다. 두 아이를 포함해 총 4인 가족인 우리 가정이 나아갈 방향을 잘 잡아야겠다는 생각도 가지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소영 이사님!
더불어 어제 아는 형님의 폭언에 mental이 붕괴되었었는데 두 분 대화를 듣고 다시 힘을 얻었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요즘 주식이 열풍인데 극적인 MS의 주가 상승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4,000만 원 치를 파신 이사님, T-T 다시 최근에 시가 총액 1~2위 회사로 다시 살아남.
극적으로 LEADER 분이 바뀌심. 사티야 나델라 – 평범한 대학을 나오신 분. 경쟁적인 문화에서 PARTNERSHIP의 문화로 바꿈.
내가 그런 적 있나?
내가 왜 그래야 되지? - 라는 두 가지 생각을 하게 된다는 사회자 분... '나도 비슷하지 않을까?‘
영향력을 판단하는 질문. 영향력을 준 정도에 대한 질문 : 승진, 보상이 있으려면 영향력을 주는 도움을 줘야 한다. 분기별 평가.
다른 사람의 목표에 대한 질문을 하면서 소통을 하게 되고 PARTNERSHIP이 생기게 된다. 거기다 다른 사람이 잘 한 것을 배우게 된다, 소통을 하면서.
자신의 성과에 대한 기술을 하게 되면서. 간단하지만 화학적 변화는 엄청나다. MS의 재성장을 가져오게 됐다. 경쟁 -> 성장. 협심을 통해 협력하지 않으면 미래에서는 살아남을 수 없다.
대전환 시대의 새로운 성장 방정식, 파트너십!
모든 관계들 : 부부, 자식, 부모, 친구, 동료 – 서로의 성장과 행복을 위해 도움을 주고 받는 관계다. 이것이 금전적인 것은 아니나 상호 이익 관계다. 자식을 통해 ENERGY를 얻는다, 어려움도 있지만. 선생님과 제자와의 관계에서 조차도 MZ세대로부터 배울 것이 너무 많다. PARTNER로 관계 SETTING을 해야 한다.
회사를 포함해 일상에서의 성장에서 꼭 필요한 파트너십.
MS에서도 파트너십을 위한 많은 교육을 하고 있다.
행복한 파트너십을 위한 4원칙 ->
1) 서로의 비전을 공유하라.
그러려면 내 비전을 알아야 한다. 삶의 목표가 비전. '나는 이런 삶을 살고 싶어.'가 비전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 일의 WHY가 비슷하게 맞아야 파트너가 이뤄진다. 동상이몽이면 안 된다. 물질을 추구하는 남편과 정신을 추구하는 아내가 만나면 안 된다. 타협이나 대화를 해서 극복할 수 있다면 가능하다. 서로 배워갈 수도 있긴 하다.
'비전 공유'를 위한 키워드 : 목표 공유라는 KEY WORD. 비전은 거창한 것으로 생각될 수 있으나 그게 아닐 수 있다. 경험을 많이 하면서 정리해 나가야 한다. 사람들도 많이 만나고, 책도 많이 읽으면서 자신의 비전을 정리해 보라. 1 ON 1을 통해 MANAGER를 통해 어려운 점 등을 경청하며 GUIDE를 한다.
2) 상호호혜의 원칙.
서로 좋아야 한다. BUSINESS 관계는 수치적인 것이 쉽다. 가치를 전달해야 한다. 내가 줄 것이 없다-라는 것도 고정관념이다. 이소영 이사님이 맛집을 가장 잘 찾았었다. 자기가 전달할 수 있는 가치가 굉장히 다양할 수 있다. 내가 가치를 주면 상대방도 가치를 줄 수 있다. < '아! 나는 매우 친절한 사람인디,,, 상대를 도와주는 걸 좋아하고... 나도 희망이 있구나! 하하! 감사합니다! 이소영 이사님~' >
TEAM원에게 편안하게 접근했다. 매의 눈으로 찾아낸 기술 능력. BUSINESS 역량은 떨어져 있었고. 서로 도와줘서 대박이 난 PROJECT, 처음엔 BETA였었음. 굉장히 크게 성장함. "사람을 돕는 것이 저축보다 낫다." '아!' 저축하는 마음으로 상대를 도와주면, 서로 도우면서 돌아오게 된다, 딱 도와준 그 사람이 아니라.
우미영 어도비 코리아 대표님의 의견과 일치한다. 내가 4를 가지고 상대에게 6을 주라. 그래야 상대가 5로 느낀다.
3) 코칭과 피드백.
반드시 이 두 가지를 통해 성장해야 한다. 갓난아기일 때부터 서로의 이익에 대한 공유를 했다, 가족 안에서. '나도 부모에게 도움이 되어야 한다.'라는 생각을 가지게끔 했다, 자연스럽게 몸에 배도록. SINGLE인 상사를 만나서 고생을 많이 했다. 그래서 그만 둔다고 했더니, 9살인 아들이 "엄마는 회사를 좋아해요. 휴가를 안 내더라고요. 좀 쉬세요. 그리고 다시 일하세요.",,,코칭을 해줬다. 주말에 교통수단 덕후인 아들을 위해 많은 시간을 할애해줘서 그런지 좋은 코칭을 해준 아들.
서로의 성장을 돕는 것이 가족이다. 너도 나를 통해서 성장하고, 나도 너를 통해서 성장한다. 먼저 들어줘야 코칭이 가능하다. 경청을 해줘야 한다. 이를 통해 상호호혜가 생겨난다.
PARTNERSHIP은 일터, 일터 밖, 가정, 개인에서 일어난다. 플랫폼, 세바시 대학 등도 좋은 PARTNERSHIP이다. 글로벌 인플루언서 팀 : 과거의 대학의 개념이 쇠퇴하고 있다. 너무나 많은 지식이 쏟아지고 있다. 과거의 지식을 머리 속에 우겨 넣는다고 성장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대학의 대안에 대한 얘기가 많이 나오고 있다. 홀로 성장하는 시대는 지났다. 배움의 커뮤니티. 세바시 대학이 일단은 3원칙을 지키고 있다.
4) 촘촘하게. 빈틈없이. ESG 중 G에 해당함.
MS는 파트너 군단이 전 세계에 있다. 외부에 파트너가 있다. 교육 파트너 등 비즈니스 모델이다. 한 곳을 만들지 못했다. 유저들을 파트너로 만들지 않았더라. 오픈 소스 진영을 암이라고 표현했었다. 적으로 만들었었다. 엔드 유저들의 반격이 있었다. 독점 기업이라는 타이틀을 달게 되면서 브랜드가 실추되었었다.
가정의 예 : 아이와 부모인 듯 하지만 이해 관계자가 많다. 적당하게 잘 가져야 한다. 시부모님, 부모님... 상호호혜를 가질 수 있는 있어야 한다. 적을 만들지 말라.
파트너 둘 외에도 추가적인 주변 파트너들을 잘 만들어라. 상황에 따라 다양한 파트너십의 중요도의 변화가 있을 수 있다. 어떤 자세로 파트너를 만들어야 하는지 잘 적어 놨다, 책에.
Environment / Social / Governance = 세계적인 TREND다.
소정 님의 질문에 대한 답 = 내가 소모적으로 가면 안 된다. 나의 스탠스를 유지하라. 좋은 파트너를 찾아가라. '내가 조금 더 힘을 내보자'라는 마음이 일어나야 한다. 1년이 지나서 소정 님의 도움이 돌아올 수도 있다.
김나원 7
2021년 4월 18일 09:20진심으로 잘하고싶어하는 뜻을 읽고 정서적 지지와
현명한 도움을 줌으로써
성공의 경험을주고 결국 서로돕는 파트너로서 성장했다는 말씀 공감합니다.
간절히원하면
하늘이 스스로 돕는자를 돕는다는 표현이 떠오릅니다.
민정 7
2021년 4월 17일 07:14나머지 45분!
👏👏👏👏👏👏👏👏👏
어떻게 이렇게 훌륭한 생각을 하시는지
정말 박수쳐 드리고 싶어요
15분 듣고나면 더 구체적으로 듣고 싶어지는 강연들이 있었는데 이렇게 생기니 기쁩니다
너무 바라는 조직문화라 저부터 파트너쉽을 잘 수용해서 새로운 문화를 형성하는 사람이 되고 싶어졌습니다
좋은강연 감사합니다~
정민 6
2021년 4월 13일 23:27우리나라는 이미 유전자적으로 있어던거 같습니다. 새마을운동은 협업이었구요~~저는 배움이 낮아서 뭐라 말을 못하겠지만~~ 우리는 이미 그런 동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짧은 시기에 한강의 기적을 이루지 않았을까요!!!!
한정균 6
2021년 4월 21일 13:15같이 일하는 동료와 파트너십으로 바라보고 대화하니 기분도 분위기도 한결 좋아졌습니다. 큰 기회를 주신 이소영작가님, 세바시 감사드립니다 ^^
화이트오렌지 6
2021년 4월 20일 00:27작가님 말씀에 정말 공감합니다.
점수로 사람을 찰나에 판단을 할 수는 없는거죠!
친한 친구가 예비 신부인데, 비전을 공유하는 방식을 공유해야 겠습니다.
16:36 꼭 보세요~!
최샴 6
2021년 4월 14일 00:58이소영이사님 세바시 강연보고 최근이 아닌 이전 책을 즐겁게 읽고 있는 학생이며 현재 클라우드기술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마이크로 소프트의 새 ceo가 세팅한 마인드는 확실히 4차 산업혁명의 꽃이라 보는 빅데이터와 클라우드의 가치관을 공유하는거 같아서 놀랍고도 신기합니다. 결국 클라우드든 빅데이터든 근원적인 문제는 함께 혹은 공유의 가치관이 1순위인데 그러한 가치관이 경쟁하는 기업이 적용할 수 있다는게 신기하면서도 놀랍습니다. 😆😆 일전에 쓰신 책에서 남편분이 적용한 사례집이 사실 참 신기하면서도 재밌었는데 이번 책에도 그 부분이 보완이나 추가 되어 있을까요?? ㅋㅋㅋㄱ
안보강국 6
2021년 4월 20일 12:00이소영 이사님 몇일전 강의에 이어서 이번 강의도 잘 보았습니다 세바시 PD님과의 케미도 잘 맞는듯 합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 동료와 경쟁이 아니라 협력하는것이 가장 중요하다는것을 알게되었습니다
말씀하신 내용을 가정과 저의 회사와 지역사회에도 적용시키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건승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또한 다른 사람의 성공에도 기여하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항상 행복하세요^^
PS) 제가 존경하는분께 이소영이사님 책선물 드렸는데 읽어보시고 정말 고맙다고 말씀하셔서 저는 이번에 나눔의 행복도 느끼게 되었답니다 수고하십시요^^
Bumjoon Koo 6
2021년 4월 13일 20:08네 가지 모두 정말 꼭 점검하고 적용할 것들이네요. 혼자 성장하고 성공할 수 없는 세상에 정말 필요한 이야기였습니다!!
YeongJin Yoo 6
2021년 4월 25일 16:16내 성공만 바랄 뿐 남의 성공에 대해 무관심했었는데 방송을 듣고 제가 아주 큰 착각속에 살았다는 것을 깨달았네요 내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내 주변사람들의 성공에 도움을 줘야 한다는 깨달음을요 ~~ 책도 읽어보고 싶습니다
서범근 6
2021년 4월 14일 00:41이소영 마이크로소프트 이사님의 강연을 정말 재미있게 들었는데 세바시 45분을 통해서 이소영작가가 쓴 책 <당신은 다른 사람의 성공에 기여한 적 있는가?>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어지네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새로운 ceo가 오면서 기업문화가 바뀌고 성장하게 되었군요.팀간에 경쟁하게 되는것이 아니라 그로스 마인드셋에 대해서 더욱더 자세히 알아가고 싶네요. 팀내 직원에 대해서 알고 싶기 때문에 물어보고 소통하는것이 많은 변화를 이끌어주게 되네요.^^~~~
신희수 5
2021년 4월 17일 12:18주옥같은 조언 감사합니다!!^^
언니에게도 이소영 이사님의 세바시 강연과 '당신은 다른 사람의 성공에 기여한 적 있는가?' 저서를 추천해 주겠습니다!
언니의 고민과 앞으로의 방향이 강연 내용과 매우 밀접하네요.^^
특히나 여성으로서 멋진 커리어를 소화해 내시는 이소영 이사님이 한국 여성들의 지속적인 롤모델이 되길 바랍니다!
하성호 5
2021년 4월 13일 19:10좋은강연 감사합니다.
서경훈 5
2021년 4월 18일 08:34인간의 선한 본성이 존재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지혜를 모아 함께 공존하는 것의 좋은 면을 이 강연을 통해 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김희곤 5
2021년 4월 17일 17:03홀로성장은 못한다 공감합니다 내 일만생각하는 사람은 향기를 맛을 자격이없다 라는 책에서 잃은 적이있습니다 우리니라 방송국에서는 인기에 편승하지말고 때로는 필요할때도 있징만 많은 인기오락프로에만 신경써는 않된다고 보여짐니다 그래서 청소년들 위한 프로그램 이 필요하다고 봄니다 대한민국 국민이 필요한 이런 강연문 화가 많이 있어야 대한민국이 살아남니다 이스라엘 민족은 서로 협력을 잘합니다
애가쉬TV /애터미가 가장 쉬웠어요 5
2021년 4월 13일 20:09너무너무 좋은강의여서 하나하나 메모하면서 들었답니다
감사합니다 ~^^
한정균 4
2021년 4월 19일 16:03투자의 멘토분께 추천받아 이소영작가님의 기사를 읽어보고 검색을 통해 오게되었습니다. 당신은 다른 사람의 성공에 기여한 적 있는가란 책 내용 인터뷰 하신 내용인데 상담히 귀감이되어 이 책 뿐만 아니라 이전 출간하신 홀로 성장하는 시대는 끝났다도 꼭 읽어봐야 겠구나 생각이 들더군요. 커뮤니티 리더십과 성장 마인드셋에 관한 이야기가 정말 마음에 와 닿습니다. 큰 기업 직원들의 건강관리 일을 함에있어 늘 어떻게 하면 제가 가진 경험과 지식으로 더 많이 도울 수 있을까 고민인데 그걸 해결 할 열쇠를 얻은 기분입니다. 또한 팀의 매니저와 동료들과도 파트너십이란 것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가정에서의 경험 얘기해주시는 부분 정말정말 좋았습니다. 9살 아들의 코칭과 조언 얘기를 들어보니 자녀들과의 파트너십이 마음에 콕 박힘니다. 일과 가정의 성공 조화롭게 이룰 수 있겠죠?^^ 책 꼭 읽어 보고 싶네요 ~
up up 4
2021년 4월 14일 07:33저는 인간은 원래 이기적인거라는 말을 믿지않습니다. 그건 악함을 선택한 사람들이 만들어낸 자기변명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은 서로를 돕고 싶어하고 함께 성장하고 싶어하는 기본적인 심성 악을 보면 선한분노가 일어나는 선함이 기본 본질이라고 믿어요
lucia Kwon 4
2021년 4월 20일 22:41이소영 작가님 강연 잘 봤습니다❤️
조희정 4
2021년 4월 14일 06:52나 자신의 성장과 발전하는데에 노력하는 일도 중요하지만
힘이 되어 주는 파트너가 있다면 더 발전하고 성장해 나갈수 있는데
서로에게 많은 도움이 될수 있죠
좋은 강연 잘 들었습니다 ^^
김태윤 4
2021년 4월 14일 20:56무한경쟁이 답인 줄 알고 살아왔는데 한계 극복이 안되는 이유를 잘 알게 되었습니다 경험 속에서 나온 강의와 책. 잘 보았습니다
하루愛 3
2021년 4월 25일 10:48제가 공부하고 있는 명리와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많이 있네요.
남에게 베푸는 것이 곧 나에게 베푸는 것이다.
이은미 3
2021년 4월 14일 02:40좋은강연 잘봤어요
김종아제 2
2021년 5월 13일 07:45멋지십니다
대단하십니다
최고이십니다
매일매일 좋은하루되셔요♡♡♡♡
motive park 2
2021년 4월 17일 08:58잘봤어요
세바시 강연 Sebasi Talk 2
2021년 4월 20일 17:4839:23 오타정정합니다. '패드백' -> '피드백'
장철환 2
2022년 7월 28일 16:39당신은 다른 사람의 성공에 기여한 적이 있는가란 말이 사람으로서 최고의 모습을 만드는 과정인 것 같아 멋있네요.
다들 자신의 성공을 위해 달리지 남들의 성공을 위해 사는 사람이 있을까라는 생각이 드네요.
그런 점에서 타인을 배려하는 삶을 몸에 새겨야한다는 말이 다시 가슴에 와닿습니다.
좋은 강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Dominique Chang 1
2021년 5월 25일 00:15You are truly an inspirational leader! Thank you so much for sharing your wisdom and experience, and putting all the efforts and time in writing such an insightful book as well as giving out public pitches for us!
I really empathize with your vision as my vision is to “Be the best version of myself in God’s way, to inspire and bless others, so that together, we make significance to where I am and to the planet.”
Wish you the best and continue to inspire lots and lots of people thus bringing positive influence to the society!
Much blessings🙏🏼
Love Green 1
2021년 4월 16일 09:58진행자분 힘든 일이 일부 있는듯 지난번에도 순간 포착 / 아닐수도 있고
이경희 1
2021년 11월 06일 06:24잊고 살았던 성장의식이 가정과 아이들에게 필요한것을 깨닫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Carpe Diem
2022년 2월 04일 03:4209:50 내부직원과의 경쟁이 아니라 협력이 필요하고 진짜 경쟁은 새로운 경영환경에서 고객가치를 만드는데 경쟁을 해야 함. 정확한 피드백. 작은 베타 프로젝트가 글로벌로 확대되는 것도. 파트너십 조건, 다른 사람의 성공에 기여하라. 비전 공유 - 기브앤테이크 상호호혜 - 코칭과 피드백(강요가 아니라 경청하고 비전, 상호호혜)- 촘첨하게 파트너십. 적으로 만들지 않는 것. 소모적 파트너십은 다른 파트너를 고려해보라. 적을 만들지 말 것. 파트너십으로 기업내에서 개인적으로 느낀 점들 정리된 책인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