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을 높이자!!! 한국은 멀티태스킹을 잘해야 일을 잘하는 사람이다라고 생각하는 사회적 인식때문에 생산성이 낮다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생산성이 낮기때문에 야근비율이 높아지는 것이기도 하구요. 사회적 분위기가 개선된다면 원래 효율 가성비 이런것 잘따지는 한국 사람이 생산성이 낮을리가 없겠지요.
현대차는 당연히 국내 공장 생산성이 낮게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외국에 있는 공장들은 다 새거잖아요? 자동화에 기계 더 들여 놓고... 당연히 새 공장인데 생산성이 높을 수 밖에요. 그러면 국내 공장들은 왜 새로 기계 들이고 자동화 하지 않느냐? 노조 때문입니다. 정의선이 왜 하고 싶지 않겠어요? 하고 싶어도 노조에서 못 하게 합니다. 근로자들 그만큼 덜 필요하게 된다고 옛날 공장 그대로 하게 해서 입니다.
성공이야기SOS 14
2021년 4월 15일 16:27빨리 가려면 혼자 가라.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
.
빨리 멀리 가려면
훌륭한 리더가 되거나,
훌륭한 리더와 함께 가라.
a a 13
2021년 4월 15일 16:09현대차 생산성 울산이 가장 낮은건 역시 귀족노조 때문
이유환 10
2021년 4월 15일 16:29계획이 다 있구나...
원인 : 급속 고령화
결론 : 재교육 => 문해력 => 독서 => 빡독
졸꾸 !
소금돌이 TV - 짠테크 & 주식 8
2021년 4월 15일 17:20훌륭한 리더를 만나는게 중요한듯 합니다 ㅎㅎ
민자 7
2021년 4월 15일 18:20저는 인성도 교육을 통해
없던것도 생기고 취약한게 강점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요즘 교육이 인성적인 부분에
많은시간 할당 좀 했으면 합니다.
기본적으로 그게 바탕이 돼야
술술 풀린다고 봅니다.
J리더-최고의 하루를 위한 이야기 5
2021년 4월 16일 09:27여러 자료들과 함께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리더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는 하루네요!
영상감사합니다^_^
이유환 4
2021년 4월 15일 16:13주모~~~~~^^
dog_반자 4
2021년 4월 15일 16:052등입니다:)
changyong shin 4
2021년 4월 15일 16:001등
수니몬 4
2021년 4월 15일 16:25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김남운 4
2021년 4월 15일 18:13상위1%,상위20%는 재산이 얼마야 1%,20%가 되는거지?
김남운 3
2021년 4월 15일 18:16대학교 이공계 정원 많은 증가와 필요없는 교육 없애고, 교육 탈 바꿈 시급.
seungwon lee 3
2021년 4월 15일 17:53생산성을 높이자!!!
한국은 멀티태스킹을 잘해야 일을 잘하는 사람이다라고 생각하는 사회적 인식때문에 생산성이 낮다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생산성이 낮기때문에 야근비율이 높아지는 것이기도 하구요. 사회적 분위기가 개선된다면 원래 효율 가성비 이런것 잘따지는 한국 사람이 생산성이 낮을리가 없겠지요.
말하다보니 제 얘기네요...ㅠㅠ
kaein 777 1
2021년 4월 15일 18:45항상 공부 강조하실때 이게 괜찮을까? 독서나 공부같이.정신적인 요소가 100%의 사람에게 효과가 있을까 생각했는데 1%가 타겟이셧군요 ㅋㅋㅋㅋ잘배웟어용
Jung Minsuk 1
2021년 4월 15일 19:00왼쪽에 있으신 분 남구인줄 알았습니다.
여름마당 1
2021년 4월 16일 09:23한국에선 몰랐는데 해외에 나와있어보니 우리나라가 대단하다는 것을 절감하게 되었습니다! 계속 건승하길~ 저부터 졸꾸해야겠지요(1프로 가즈아\^^/)
모험가 최지훈TV 1
2021년 4월 16일 12:27[블룸버그 혁신지수 7가지를 개인의 혁신지수에 적용해보기]
[최지훈 혁신지수]
1.연구개발(R&D) : 끊임없는 자기계발과 실천
-나의 업에 안주하지않고 매일마다 1%라도 개선하려고 노력하는가?
-나만의 새로운 컨텐츠를 꾸준히 고민하는가?
-나만의 비전,미션을 가지고 자기계발을 하는가?
2.교육 효율성: 배움에 대한 효율
-책 : 어떤 책을 읽는가?
-경험 : 나는 어떤 역사,스토리를 만들어왔는가?
-사람 : 인생에서 나의 멘토가있는가?
3.생산성 : 업무 생산성
-지금보다 업무 생산성을 높히기 위한, 시간단축을 위한 어떤 방법이 있을까?
4.제조업 부가가치 : 컨텐츠의 응용 및 확장
-나의 컨텐츠를 활용하여 어떠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까?
4.첨단기술 집중도 : 디지털 도구 활용
-디지털 도구에 대하여 얼만큼 알고있고 적절히 활용하고있는가?
5.연구 집중도: 업무 몰입도
-나는 업무 성장을 위해 얼마나 몰입할 수 있는가?
-어떤 환경,시간,장소에서 최고의 몰입을 할 수 있는가?
6.특허활동 : 아이디어
-나는 평소에 꾸준히 아이디어를 메모,기록하는가?
-아이디어를 일상에 적용하려는 노력을 하는가?
[지훈 생각]
1.'생산성'과 '교육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우리나라
-생산성에는 리더의 책임이 가장 중요하다. 우리가 리더쉽을 갖추어야하는 이유이다.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하자, 인성과 실력 둘 다 갖춘 리더가 되자.
2.1% 리더는 100명을 바꿀 수 있다
-1% 리더를 1000명 만드는 것이 나의 꿈이다.
그렇게 된다면 훗날 십만명, 백만명 이상 사회에 공헌하는 리더가 나타날 것이다.
우리들을 이끌어주시는 고영성 작가님과 신영준 박사님께 감사의 말씀드립니다.
머지않아 세상이 가슴 뛰는 날을 고대합니다. 대한민국 문해력을 높히는 그날을 위해 !
#체인지그라운드 #블룸버그혁신지수
반짝반짝
2021년 5월 04일 00:49현대차는 당연히 국내 공장 생산성이 낮게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외국에 있는 공장들은 다 새거잖아요? 자동화에 기계 더 들여 놓고... 당연히 새 공장인데 생산성이 높을 수 밖에요.
그러면 국내 공장들은 왜 새로 기계 들이고 자동화 하지 않느냐? 노조 때문입니다. 정의선이 왜 하고 싶지 않겠어요? 하고 싶어도 노조에서 못 하게 합니다. 근로자들 그만큼 덜 필요하게 된다고 옛날 공장 그대로 하게 해서 입니다.
댓글
2021년 4월 15일 21:21생각보다 취약한 부분 : 생산성
-> 다양한 요인이 있지만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리더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찐찐
2021년 4월 16일 06:04내나이 60에 이방송보며 많이 깨지는중 감사합니다
국뽕 드루와드르와 ^^ 만땅채움
영업의달인TV
2021년 4월 15일 22:101위 축하드립니다. 상위 1% 핵심 리더의 변화 가슴떨리는 계획이네요^^ 늘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신철규
2021년 4월 16일 17:04대한민국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