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으로 빚잔치시작되면 눈치게임시작이죠 어설프게 먹은놈들은 피눈물 흘리고 물론 이미 탄탄한 자산가들은 신경이좀쓰이는 수준이겠지만 자산가가 되고싶다라는 사람들에겐 어쩌면 기회일수도있죠 지금 20~30대 경제에 관심많이 갖고 준비마니해야합니다 그래야 다음 사이클에 올라타죠
연준의 금리인상은 이미 전부터 스탠스 취하고 있었지만 급작스러운 혼란을 굳이 야기하고 싶지 않기 때문에 돌려 말 했고 (미국이라 먹히는거고 얼마든지)ㅋㅋ뒤늦게 우리나라,신흥국들은 뻑 당하는거지.. 하루이틀 투자하냐..? 그걸 알기때문에 주변 나라들은 금리인상 시작 했고 외인 투자자들은 그걸 알고 투자금 슬슬 빼고 연준 액션 나오면 한번에 빼려고 자세잡고 있고 자산하락의 지표는 과반이상이 하락을 예견하고 있고 이에 투자자들은 몰려있는 투자금 슬금슬금 빼는 상황임, 근데 웃긴건 우리나라만 좀 늦다 이거지ㅋ여기에 정치적 이해관계가 과연 없을까? ㅋㅋㅋ뭘 재고 있는걸까? 정권과 시장의 대립구도에서 정권이 마음만 먹으면 시장을 이길 카드는 분명히 있다 근데, 그 카드를 쓸때 오는 리스크를 겁내고 있는거지ㅋㅋ그래서 찔끔찔끔 하고 눈치보고 그러는 중인데 그 카드를 주도적으로 자발적으로 쓸것이 아닌 어쩔수 없는 외부적 여건이 충족될때 명분을 만들어 쓸것인게 분명하지 ㅋㅋㅋ왜? 그래야 내탓이 아닌 다른 탓으로 돌리고 다음정권도 유지를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지
중요한건 경제를 주도하는 미국을 필두로 주변국이 같은 호흡으로 가야 타격이 덜 한데, 미국이 급작스러운 태도를 취하는 순간, 지금 우리나라 상황이라면 모든 자산 이며 기업이며 생활지표며 모든게 푹 꺼짐
화폐가치가 하락해서 자산이 이렇다는둥 폭등은 계속이라는둥 금리가 인상하면 오히려 폭등한다는 둥 ㅋㅋㅋㅋㅋㅋㅋ주워들은 말은 많아서 자위 하지만 내 경제학 동기들은 개소리라고 입을 모아 얘기함 ㅋ
금리인상 도대체 언제적 이야기 입니까? 몇년전부터 계속 금리이슈~ 부동산 떨어진다 기우제 지내는 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전 그냥 일반인 이지만...금리인상 전혀 안무섭고, 이젠 함부로 올리지도 못하는 입장이라고 봅니다. 금리인상 타격이 거의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지극히 아무것도 모르는 일반인의 생각입니다. 그래서 일반인 이겠죠 ^^;; 친구가 금리인상 이슈 5~7년 전부터 있었는데 자본금 1억 대출 1억해서 2억으로 수도권에 집사서...지금은 8억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대출때문에 금리에 굉장히 민감한데 계속 잘먹고 잘삽니다.
어차피 누구도 정확한 예상은 할 수 없다고 생각해요. 다만 금리는 언제라도 오를 수 있고, 언제라도 떨어질 수 있는거죠~ 하지만 현재로서는 금리가 오르는 사이클에 접어들었다고 보는 것 같아요. 근데 이게 맞고 안맞고가 중요하다기보다는 어떤식이든 대비해서 나쁠 건 없다고봅니다.
인류가 과거 위기를 학습해서인지 대응에 능숙해지면서 사이클도 압축되는 듯 해요 미국은 재정을 풀면 정책을 통해 실물경제로 타겟팅을 잘 하기도 하구요 이제 금리인상은 예정된 미래인데, 대부분의 시장참여자들이 이걸 염두하고 있기 때문에 약간의 신호만 있어도 이번 사이클은 끝나겠네요.. 다음 사이클을 대비하여 슬슬 현금비중도 확보해나갈 시기일까요 ?? ------------------------------ 단기적으로는 과거보다 높은 수준의 인플레가 예상되므로 인플레 헷지가 가능한 주식, 부동산,원자재 미국주식에서는 유동성에 의지하는 주식은 피하고 실물경제 회복의 수혜를 받거나 실적이 좋은 주식
코로나 백신 대응이 미국대비 늦어지는 부분이 있어 자영업자 및 중소기업 대출을 생각했을때 저희가 먼저 금리를 선제적으로 올리기는 쉽지 않지 않을까요...? 제 생각은 백신 보유국끼리의 경제교류가 먼저 진행이 되면 아시아권 국가는 상대적으로 고립되어 안좋은 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조심스럽게 예측을 해봅니다...이걸 미국은 노리고 있는거 같기도 하고요 ...
1. 종부세 과세기준 12억(인별 9억) 상향 2. 조정지역 다주택 양도세 세율 인하 3. 10년 이상 보유 양도세 장특공 신설 모든 주택에 적용 4. 보유 3년 이내 매매는 투기 의심 철저 조사 5. 호화 전세(10억 이상) 과세 6. 고령자, 장기보유(10년 이상) 종부세 세액공제 모든 주택에 적용 7. 10년 이상 보유는 비투기 간주 8. 10년 이상 보유 조정지역 재건축 재개발 조합원지위 양도 허용( 팔 수 없게 해놓고 종부세 과세하는 몰상식 )
1. 종부세 과세기준 12억(인별 9억) 상향 2. 조정지역 다주택 양도세 세율 인하 3. 10년 이상 보유 양도세 장특공 신설 모든 주택에 적용 4. 보유 3년 이내 매매는 투기 의심 철저 조사 5. 호화 전세(10억 이상) 과세 6. 고령자, 장기보유(10년 이상) 종부세 세액공제 모든 주택에 적용 7. 10년 이상 보유는 비투기 간주 8. 10년 이상 보유 조정지역 재건축 재개발 조합원지위 양도 허용( 팔 수 없게 해놓고 종부세 과세하는 몰상식 )
@wonki-ohk 196
2021년 4월 15일 22:40미 연준의장 파월 曰 : " 나도 금리가 어떻게 될지 절대 예측 불가능하고 그 누구도 예측할 수 없다."
피터린치 曰 : " 시장을 예측하고 금리를 예측하고 그 시점을 예상 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죽을 때까지 전 세계 1위 부자일 것이다."
Youngmo Koo 178
2021년 4월 15일 21:51요약 : 잔치는 끝나간다.
@user-nr4pr2nq2c 149
2021년 4월 15일 20:51미국은 딴나라 신경안쓰고 금리 올릴겁니다. 그럼 우리나라는 안올리면 외환위기, 물가상승으로 죽고, 올리면 가계부채로 죽습니다. 미리미리 조금씩 올려놔야 합니다.
앤젤갓 86
2021년 4월 15일 19:151~2년 안에 부동산 한번 터진다
차경호 85
2021년 4월 15일 21:09금리 오르면 좃되는겁니다
@skyp1238 58
2021년 4월 15일 19:51자산시장은 정점을향해 가고있는게 사실이죠 ㅋㅋ
Juhyeon Kim 53
2021년 4월 16일 18:20대출 금리는 이미 오르고 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무리하게 대출 받은 사람이 좇되는 겨~ 자기 분수에 맞게 대출받은 사람은 그나마 버틸거다
@Jiyoung-gl9no 48
2021년 4월 15일 20:22벌써 금리인상 시점을 준비해야하는군요 ㅠㅠ 암담하지만 감사합니다
@user-lu6xx3hk7k 43
2021년 4월 15일 19:35미국보다 우리나라가 선제적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것이 새롭네요.
내년에 정말 많은 변화가 있을 것 같습니다.
kate Wang 42
2021년 4월 16일 09:39파티장에서 춤을 추더라도 출구 문앞에서 춰야할시점.
카투리 41
2021년 4월 16일 00:36미국은 금리를 무기로 다른나라 공격할듯. 특히중국
기타씨 40
2021년 4월 15일 20:58지금 원자재가격 완전한
추세 상승에 진입한듯
시장도 물가상승의 압박이 심한듯
윤가단 37
2021년 4월 16일 08:50폭등했는데 무너질때도 있어야지
Donghyun Kwak 37
2021년 4월 15일 19:48자산거품이 꺼지는걸 걱정해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을 못한다는건, 갭투자자를 보호하겠다는 건가요?
근데 어차피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외화유출을 막기위해서라도 어쩔수 없이 따라 올려야하겠지만요.
@user-dd7ml1xb5r 36
2021년 4월 18일 16:08금리인상 될거라고 작년부터 경고했는데 신기하게 안보고있다가 본인이 피해보기 시작하면 정부욕함
나그네나그네 35
2021년 4월 16일 05:07요즘 연구위원분들은 스피치도 엄청 잘하시네.. 확실히 자신의 생각과 지식을 조리있게 설명하고 표현하는것도 능력인듯..
@Hyun1076 32
2021년 4월 15일 19:03부동산 투자함에 있어서 정말 중요한 내용이네요. 항상 잘 챙겨보고 있습니다.
@user-os7ng2my9f 30
2021년 4월 15일 22:27금리인상으로 빚잔치시작되면 눈치게임시작이죠 어설프게 먹은놈들은 피눈물 흘리고 물론 이미 탄탄한 자산가들은 신경이좀쓰이는 수준이겠지만 자산가가 되고싶다라는 사람들에겐 어쩌면 기회일수도있죠 지금 20~30대 경제에 관심많이 갖고 준비마니해야합니다 그래야 다음 사이클에 올라타죠
깨구락지 28
2021년 4월 16일 13:37금리 오르는게... 한참전부터 ..벌써벌써... 시작 됐었어요..
@TV-pg8tx 27
2021년 4월 16일 01:474:01 공감
@user-yv2bl3gn4m 25
2021년 4월 15일 23:18경기가 고점에 다왔다에 나도 헛웃음.... 자영업자로써 정말 이해가... 🤯🙅🏻♀️ㅜㅜㅜㅜ
@jhl5077 25
2021년 4월 16일 22:05이미선 연구위원님 인터뷰 형식도 좋네요. 감사합니다^^
돈되는부동산 25
2021년 4월 15일 19:24키야... 정점이라니.. 회복 되려면 멀은 것 같은데..
Whsup Joo 25
2021년 4월 16일 21:19부채도 자산도 0 사회초년생이다. 테이퍼링 함 가즈아ㅏㅏㅏ 버블 좀 걷즈ㅏ아아ㅏㅏㅏ
D HU 24
2021년 4월 15일 21:10연준의 금리인상은 이미 전부터 스탠스 취하고 있었지만 급작스러운 혼란을 굳이 야기하고 싶지 않기 때문에 돌려 말 했고 (미국이라 먹히는거고 얼마든지)ㅋㅋ뒤늦게 우리나라,신흥국들은 뻑 당하는거지.. 하루이틀 투자하냐..? 그걸 알기때문에 주변 나라들은 금리인상 시작 했고 외인 투자자들은 그걸 알고 투자금 슬슬 빼고 연준 액션 나오면 한번에 빼려고 자세잡고 있고 자산하락의 지표는 과반이상이 하락을 예견하고 있고 이에 투자자들은 몰려있는 투자금 슬금슬금 빼는 상황임, 근데 웃긴건 우리나라만 좀 늦다 이거지ㅋ여기에 정치적 이해관계가 과연 없을까? ㅋㅋㅋ뭘 재고 있는걸까?
정권과 시장의 대립구도에서 정권이 마음만 먹으면 시장을 이길 카드는 분명히 있다 근데, 그 카드를 쓸때 오는 리스크를 겁내고 있는거지ㅋㅋ그래서 찔끔찔끔 하고 눈치보고 그러는 중인데
그 카드를 주도적으로 자발적으로 쓸것이 아닌 어쩔수 없는 외부적 여건이 충족될때 명분을 만들어 쓸것인게 분명하지 ㅋㅋㅋ왜? 그래야 내탓이 아닌 다른 탓으로 돌리고 다음정권도 유지를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지
중요한건 경제를 주도하는 미국을 필두로 주변국이 같은 호흡으로 가야 타격이 덜 한데, 미국이 급작스러운 태도를 취하는 순간, 지금 우리나라 상황이라면 모든 자산 이며 기업이며 생활지표며 모든게 푹 꺼짐
화폐가치가 하락해서 자산이 이렇다는둥 폭등은 계속이라는둥 금리가 인상하면 오히려 폭등한다는 둥 ㅋㅋㅋㅋㅋㅋㅋ주워들은 말은 많아서 자위 하지만 내 경제학 동기들은 개소리라고 입을 모아 얘기함 ㅋ
차트초이 23
2021년 4월 15일 20:36이런 정보를 너무 쉽게 얻게되서 감사합니다
@Speedgun222 21
2021년 4월 16일 13:17지식인이라 막힘 없이 술술술 쉽게 설명하네.
@stark8888 20
2021년 4월 15일 19:46사임당님의 마지막 대사...👍🏻
kitaek Oh 20
2021년 4월 15일 19:07명확합니다. 전문가는 다르네여.
소금돌이 TV - 짠테크 & 주식 19
2021년 4월 15일 19:21요즘 금리 인상이 많이 두렵네요 ㅜㅜ
로이리 19
2021년 4월 16일 18:30담보대출금리 6개월째 상승중인데요
Pig Tail 19
2021년 4월 15일 19:22금리인상 도대체 언제적 이야기 입니까? 몇년전부터 계속 금리이슈~ 부동산 떨어진다 기우제 지내는 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전 그냥 일반인 이지만...금리인상 전혀 안무섭고, 이젠 함부로 올리지도 못하는 입장이라고 봅니다. 금리인상 타격이 거의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지극히 아무것도 모르는 일반인의 생각입니다. 그래서 일반인 이겠죠 ^^;; 친구가 금리인상 이슈 5~7년 전부터 있었는데 자본금 1억 대출 1억해서 2억으로 수도권에 집사서...지금은 8억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대출때문에 금리에 굉장히 민감한데 계속 잘먹고 잘삽니다.
@sos2849 18
2021년 4월 15일 18:53돈, 투자에 관한 건 꼭 직접 공부한 후 행동하기!
@user-ug1lr9kl4q 17
2021년 4월 16일 16:22금리인상을 대비해야겠네요.
Walk JUST 16
2021년 4월 16일 09:18정점이라... 부의 편차가 정점을 찍지 않을까. 싶네요.ㅋㅋㅋㅋㅋㅋㅋ
@user-ow7ge2hc4n 15
2021년 4월 18일 19:24확실한건 세금의 인상은 금리와 상관없이 계속오른다
@user-fb8ei1cx3b 14
2021년 4월 16일 02:12어차피 누구도 정확한 예상은 할 수 없다고 생각해요. 다만 금리는 언제라도 오를 수 있고, 언제라도 떨어질 수 있는거죠~ 하지만 현재로서는 금리가 오르는 사이클에 접어들었다고 보는 것 같아요. 근데 이게 맞고 안맞고가 중요하다기보다는 어떤식이든 대비해서 나쁠 건 없다고봅니다.
@my40. 14
2021년 4월 15일 18:57피가되고 살이 되는 방송 고맙습니다.
whitekelly911 14
2021년 4월 15일 22:29금리에관해 많이 궁금했습니다 더욱 관심있는부분은 한은에서. 기준금리를 0.25 를 인상 한다고 했을때 주담대 또는 전세대출 혹은 신용대출의 대출이자가 어느정도 상승되는지가 많이 궁금 합니다
흙흙형님 14
2021년 4월 15일 23:10집단 면역 늦어져서 딴 국가가 먼저 치고 나가면 과연 금리를 선제적으로 올릴수가 있을런지
@gantafe2 13
2021년 4월 15일 22:52캬~~~~
조근조근 알기쉽게 설명 넘 잘해심돠~~~
BEST BEST 13
2021년 4월 16일 00:51체감경기는 지하인데
@user-pc2zv5jk3t 12
2021년 4월 19일 04:05결국 미국따라 끌어올릴수 밖에 없음 안올리면 해외자금 무식하게 빠져나가서 더심각해짐
@j-2728 11
2021년 4월 16일 09:17잘 모르는 내용들이 많아서 오늘 하루종일 차분히 반복해 볼게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_^
식빵 10
2021년 4월 15일 19:48역시 전문가는 다르시다..
이탕 10
2021년 4월 16일 07:453번을 들었는데도, ... 대부분 무슨 얘기인지 모르겠는건, 제가 금융지식이 너무 없어서 이겠죠 ㅠㅠ 알아들으면 유익한 내용인거 같은데 ...
@user-yj3pv7xz9s 10
2021년 4월 16일 01:00너무 도움되요.신사임당 홧팅 입니다.
1점진적과부하 10
2021년 4월 15일 22:22그래서 올웨더 포트폴리오를 준비했습니다 김단테님 초대하주세요
up up 10
2021년 4월 16일 05:31우리만 신중한다고 되는건가요? 미국이 올리면 우리도 올릴수밖에 없는데. 미국의 영향을 우리가 안받을 수도 없는거고.
말이야쉽지. 영끌들 긴장해야죠.
@karlpopper7076 9
2021년 4월 18일 19:29이미선연구원님 탁월한 insight 감사합니다 ^^
@-8669 9
2021년 4월 16일 00:51금리의 방향성을 예측하긴 어렵지만 지금 많이 오른 기술주 비중은 줄이고, 인플레이션 햇지 수단으로 식음료쪽 덜오른 주식을 찾아봐야겠네요.
hungry wolf 9
2021년 4월 15일 20:14시점에 아주 적절한 인사이트 입니다!
감사합니다~
@user-lq1vy9zs2p 9
2021년 4월 15일 21:13인류가 과거 위기를 학습해서인지 대응에 능숙해지면서 사이클도 압축되는 듯 해요
미국은 재정을 풀면 정책을 통해 실물경제로 타겟팅을 잘 하기도 하구요
이제 금리인상은 예정된 미래인데, 대부분의 시장참여자들이 이걸 염두하고 있기 때문에
약간의 신호만 있어도 이번 사이클은 끝나겠네요..
다음 사이클을 대비하여 슬슬 현금비중도 확보해나갈 시기일까요 ??
------------------------------
단기적으로는 과거보다 높은 수준의 인플레가 예상되므로 인플레 헷지가 가능한 주식, 부동산,원자재
미국주식에서는 유동성에 의지하는 주식은 피하고 실물경제 회복의 수혜를 받거나 실적이 좋은 주식
HaHaHoHo 8
2021년 4월 15일 23:2317:17 의미있게 들리네요
@user-ot5mu2rw2o 8
2021년 4월 16일 17:56금리가 점진적으로 오르면서 주식도 조정받으며 천천히 오를껍니다 다만 금리상승이 가파르면 어느시점엔 팡하고 터질듯
봄날 8
2021년 4월 16일 16:05체감경기는 다르니까요ㅠㅠ 올 연말이나 내년 초엔 기준금리 오를듯~~
@f.7051 8
2021년 4월 16일 20:21연구위원님의 인사이트 많은 도움이 되네요... 눈높이에 맞게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_^
나야 8
2021년 4월 19일 01:22이 글에 분명 글 달립니다. 부동산은 무조건 우상향이고, 금리는 그닥 영향이 없을거라고.
@user-yz1he3mc3p 7
2021년 4월 16일 13:39좋은인사이트를 주는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디다~^^
REAL돼지 7
2021년 5월 06일 06:57지금와서 보면 미 재무장관이 어린이날(?)에 금리 인상해야한다고 떤진거보면,
계산은 이미 나왔고, 간좀 보다가 올리긴할듯
@user-bv3ih9uv3p 7
2021년 4월 22일 19:49금리인상이야기는 5년전부터 나온것같은데 인상이 문제가 아니라 얼마나 오르는지가 문제
@user-py3mh9xe5n 6
2021년 4월 19일 13:20코로나 백신 대응이 미국대비 늦어지는 부분이 있어 자영업자 및 중소기업 대출을 생각했을때 저희가 먼저 금리를 선제적으로 올리기는 쉽지 않지 않을까요...? 제 생각은 백신 보유국끼리의 경제교류가 먼저 진행이 되면 아시아권 국가는 상대적으로 고립되어 안좋은 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조심스럽게 예측을 해봅니다...이걸 미국은 노리고 있는거 같기도 하고요 ...
@uhhochoi8374 6
2021년 4월 15일 22:13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유튜버하면 인싸되나? 5
2021년 4월 15일 20:53금리와 자산시장에 대한 공부 좀더 해야겠네여
동남풍 5
2021년 4월 16일 03:12누나, 짱!
그냥쏴봤어 5
2021년 4월 16일 15:381. 종부세 과세기준 12억(인별 9억) 상향
2. 조정지역 다주택 양도세 세율 인하
3. 10년 이상 보유 양도세 장특공 신설 모든 주택에 적용
4. 보유 3년 이내 매매는 투기 의심 철저 조사
5. 호화 전세(10억 이상) 과세
6. 고령자, 장기보유(10년 이상) 종부세 세액공제 모든 주택에 적용
7. 10년 이상 보유는 비투기 간주
8. 10년 이상 보유 조정지역 재건축 재개발 조합원지위 양도 허용( 팔 수 없게 해놓고 종부세 과세하는 몰상식 )
그냥쏴봤어 5
2021년 4월 16일 15:381. 종부세 과세기준 12억(인별 9억) 상향
2. 조정지역 다주택 양도세 세율 인하
3. 10년 이상 보유 양도세 장특공 신설 모든 주택에 적용
4. 보유 3년 이내 매매는 투기 의심 철저 조사
5. 호화 전세(10억 이상) 과세
6. 고령자, 장기보유(10년 이상) 종부세 세액공제 모든 주택에 적용
7. 10년 이상 보유는 비투기 간주
8. 10년 이상 보유 조정지역 재건축 재개발 조합원지위 양도 허용( 팔 수 없게 해놓고 종부세 과세하는 몰상식 )
@JHstudents 5
2021년 4월 15일 20:01경제공부하고싶어지는 방송이네요
@user-rw5wh7bo6i 5
2021년 4월 15일 19:52좋은내용입니다
@ssuk_lim5060 5
2021년 4월 18일 16:13가진것 없지만 경제,금리 이야기 저에게 많은 도움이 됩니다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늦지않다고 생각하고 살아가렵니다
자식의 미래도 있고 하니~^^
하이슬비 4
2021년 4월 18일 15:57무너지게 해야죠
리셋하고 시작해야해요
언제까지 세금으로 때워야 하나요?
@user-gc6sp6dk3r 4
2021년 4월 20일 17:30목소리 음악소리 처럼 좋네요.~
챨리 4
2021년 4월 19일 06:28혼자 못 버틴다 기축통화도 아닌 주제에
@user-xo1tt1su7g 4
2021년 4월 16일 08:32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user-mx6hy8fv2o 4
2021년 4월 15일 22:51좋은영상 감사합니다~
독쑤리 4
2021년 4월 16일 17:08더 오르겠네.
@user-cm9lg3ng1h 4
2021년 4월 16일 16:57신의 영역입니다. 데이터대로 대응해서 방어할수 있다면 어느나라,어느개인이 손해를 보고 위험에 빠질까요? 전 작년초 더 지하를 팔거라고 공포에 휩싸였던 주식시장으로 해석을 하겠습니다.
@user-he1eh9ev3v 3
2021년 4월 16일 00:17넵!!
머선129 3
2021년 4월 15일 18:37“우리아이 술안주 우리아빠 영양간식”
@worldlover195 2
2021년 5월 08일 00:26진짜전문가시다 ... 차분하게 다 설명해주시네요 언냐멋져요! 간만에 경제학 공부하던생각 쭉쭉 나네여 ㅋㅋㅋㅋ
@maxnpv9351 2
2021년 4월 17일 02:59금리를 선제적으로 올릴가능성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보는견해도 많습니다. 물가는 잡아야겠는데 환율이 내려가면 수출이 박살나고 늘어난 부채규모가 감당이 안될거다 라는 견해도 일리가있어 보이더라구요..
샤론 2
2021년 4월 17일 20:07시기가 문제지 금리가 오르는 것은 공통점 아닌가요? 팔기 어려운 부동산보다 주식이 더 낫겠네요.
@user-su2sy8tc2d 2
2021년 4월 17일 08:31좋은영상 늘 잘보고 있습니다
유석환 1
2021년 4월 26일 21:19외국어로 들리는데
이런 방송 이해하려면
뭘 공부해야 할까요?
긴또깡 1
2021년 4월 15일 19:12음...
ZERO 1
2021년 4월 15일 19:36자영업자는 계속 피해만 보는 구조.
@user-bl7ig6zy8r 1
2021년 4월 16일 10:11좋은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singingenglishteacher3809 1
2021년 4월 15일 19:48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ue3rx6xs6o 1
2021년 4월 16일 09:16감사합니다
Nicholas Teeny 1
2021년 4월 15일 20:27원래 한국어 듣기 실력을 갈고닦으려고 보는 채널이었는데 영상 내용이 아주~ 알차네요. 지도가 되는 영상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신사임당
Sunny J 1
2021년 4월 15일 20:13우리나라도 신흥국인데
Bears v_10 1
2021년 4월 15일 20:25그래도 아직은 시간이 있는거죠??
DD Maint 1
2021년 4월 15일 18:378초전은 못참치...!
@user-qo7he3lx2v 1
2021년 4월 16일 08:33차근차근 설명감사드려요^^
@JJ-jh2kl
2021년 5월 11일 16:55연구원님 목소리도 좋으시고 편안하고 이해하기 쉽게 말씀을 너무 잘하시네요~~^^
Klklkl
2021년 5월 23일 07:252018년 부동산때문만이 아니고 연준에서 금리바닥치고 미국이 호황이라서 금리를 서서히 올리기 시작해서 우리도 따라올렸던 기억이 나네요.그때 일년에 4번 올리니마니 시끄러웠던 기억이..그후 미국경기가 다시 꺽이는 바람에 동결시키다가 제로금리까지..
moosung lee
2021년 4월 15일 18:46신사임당님 한번 뵙고싶네요!!기회를 주시렵니까?!^^
댓글주심낼바로가요~!!
셰프 다다닥 CHEF DADADAK
2021년 4월 20일 13:14오늘도 잘듣고 배웁니다.👍
홍고질라
2021년 4월 15일 18:371등
불알큰타이거
2021년 4월 15일 20:22이정도는 뭐 한 10배는 더
집값 올라도 됩니다~ㅋㅋㅋ
모두 부자되세요ㅋㅋ
신정환
2021년 5월 27일 12:41사설코인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등)을 국가가 허용할 수 없는 이유 중 하나지. 금리인상 인하 통해 통화량 조절하며 경제정책을 쓰는데 사설코인이 횡횡하면 통화정책의 효과가 미약할테니..
일리 박
2021년 5월 18일 21:10되게 유능한 사람 잘
@user-qb2dc7rq1h
2021년 4월 22일 12:25유익한 강의.감사드립니다
권지훈
2021년 4월 15일 18:38잘봤습니다
@user-ol3rl7vk8g
2021년 4월 19일 14:49지금이 정점이라면 고점이 점점 낮아진다고 봐야할 것 같네요
주식으로 본다고 하락추세로 돌아섰다고 봐야할테고, 경기로 본다면 침체로 봐야하지 않을까요
@totopapa9916
2021년 4월 16일 07:38좋은영상 감사합니다
sheng zhen
2021년 5월 31일 16:06이미 미국은 작년 하반기 부터 금융가들 사이에서는 점진적으로 테이퍼링 진행이 되고 있었죠.
유동성 과열로 화폐가치가 하락하니 금 값은 계속 오르고 물가지수가 시장심리에 그대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금리인상 시기가 문제가 아니고
증시에 얼마나 어디까지 충격을 받을지 예상이 안되는 상황.
이미 국내 외국인 투자자 부터 국내고객 예탁금이 심리적인 상황으로만 1주일 10조원이 증발해 버린것이 증명이죠.
전시 상황을 버금가는 유동성 규모라
어디서 어떤 방식으로 터질지 모르겠네요
미국의 기축달러의 긴축 지위권을 언제 터트려도 의심이 들지 않을 정도의 빚으로 떠받치는 유동성 증시가 정상은 아니죠.
게다가 중국의 국제질서에 위반되는 반 사회적인 생태가 미국을 더욱더 빠르고 강하게 자극 시키겠죠
sheng zhen
2021년 5월 31일 16:06이미 미국은 작년 하반기 부터 금융가들 사이에서는 점진적으로 테이퍼링 진행이 되고 있었죠.
유동성 과열로 화폐가치가 하락하니 금 값은 계속 오르고 물가지수가 시장심리에 그대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금리인상 시기가 문제가 아니고
증시에 얼마나 어디까지 충격을 받을지 예상이 안되는 상황.
이미 국내 외국인 투자자 부터 국내고객 예탁금이 심리적인 상황으로만 1주일 10조원이 증발해 버린것이 증명이죠.
전시 상황을 버금가는 유동성 규모라
어디서 어떤 방식으로 터질지 모르겠네요
미국의 기축달러의 긴축 지위권을 언제 터트려도 의심이 들지 않을 정도의 빚으로 떠받치는 유동성 증시가 정상은 아니죠.
게다가 중국의 국제질서에 위반되는 반 사회적인 생태가 미국을 더욱더 빠르고 강하게 자극 시키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