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이 있습니다~! 요즘 부동산 유튜버들을 보면 (초)인플레이션이 올 경우 집값이 엄청 오를거라고 강조하더군요. 그래서 하루라도 빨리 사고, 다주택자가 되는게 유리하다라고 이야기합니다. 특히 돈이 휴지조각이 되고, 부동산 공급 물량 부족, 시종 대기자금 및 코인등으로 벌어들인 돈이 결국에는 부동산으로 돌아올 것이라구요. 하지만 오늘 자료를 보니 조금 놀랍네요. 상승론자 부동산 유튜버의 말들에 대하여 교수님의 의견 듣고싶습니다! 항상 감사히 강의 듣고있습니다!
인터넷과 1인 미디어의 발전으로인한 부작용으로 전문가가 아닌 사람들이 전문가인양 혹세무민하는 시대에 진짜 전문가로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는 좋은 채널입니다. 실버버튼 받으신 거 축하드립니다. 본론으로 가서 인플레이션이 발생되면 국내 주식시장에서 미국 국채로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서 주가가 더 빠지는 거 같긴 합니다
극한의 인플레이션과 금리인상기인 Volcker 의장 시기에 미국 채권가격과 달러 인덱스를 비교해보니 채권가격이 빠지면서 달러인덱스가 급격히 상승하더라고요 또 박사님이 계속 이야기 하신것처럼 국내주식이 하락하면 원화 평가절하도 야기하고요 원화 투자자 입장에서는 미 채권 투자가 상당히 좋은 헷지 수단이라는것 다시 한 번 공부하고 갑니다^^ 또 미국인 투자대가들이 이야기하는것은 모두 '달러'를 사용하는 '미국인'들의 입장이라는것도 생각하게 됐습니다!
박사님 영상을 유익하게 잘 보고 있습니다. 질문이 있는데요, 박사님께서는 앞으로 1-2년 내에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어느정도까지 오를거라고 생각하시는지요. 여기저기 전문가들의 영상을 보면 주로 인플레이션쪽이 대세이고, 간혹 오히려 디플레이션의 위험때문에 어느정도의 인플레이션을 FED가 용인할 것이라는 견해도 있던데, 박사님의 견해가 궁금합니다. 항상 고맙습니다. ^^
미국채 40년 강세장은 안끝난다고 보시는 군요... 전 무슨 이유를 만들어서든지 연준은 낮은 금리로 미국채를 발행할거라고 보고 있긴한데요...(아니면 국채버블이 터짐) 흠..~~~ 재정지출하는걸봐서는 인플레가 올것 같기도 하고요... 금리상승을 해도 금방 낮출수 있다고 보는건지... 흠~~~ 앞으로 어떻게 전개 될지 궁금하네요.. 시의적절한 질문을 한것 같네요. 홍춘욱님 빼고는 거의 인플레가 온다고 기정사실화 되고 있습니다. 요즘....
인플레이션이 와서 금리가 올라가면 채권가격이 떨어진다. 금리를 올리고 나면 불황이 온다. 그러면 경기가 나빠지니까 주식가격이 떨어진다. 금리가 올라갈줄 알고 떨어졌던 채권가격은 생각보다 금리가 안올라가니까 상승할수 있다. 이런 논리인건가요? 그런데 연준에서 이전과는 다르게 금리를 올려도 베이비스텝보다 적게 일년에 1번씩 천천히 올리면 그걸로 인해서 불황이 오기 힘들고 그러면 채권산 사람들의 가격은 서서히 빠지는것 아닌가요? 잘 이해가 안됩니다. 금리를 급격히 올렸던 과거와는 다를거 같아서요
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경제정보를 쉽게 설명해주셔서 재밌게 구독하고 쓰신 책들도 잘 읽고 있습니다. 오늘 영상에서 말씀하신 채권에 관해 하나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금리인상으로 채권가격이 하락하지만 경기침체로 채권가격이 오른다는게, 금리인상 이후 발행하는 상대적으로 높은금리의 채권을 뜻하는건가요? 아니면 금리인상으로 가격이 떨어졌던 채권들도 포함하여 주식수익률의 하락으로 주식투자의 대체제로써 수요가 증가해서 가격이 상승한다는 건가요?
아예 12
2021년 4월 16일 08:04한국인이 좋아하는 시간과 결론이었습니다
@Konggongya 8
2021년 4월 16일 20:09교수님 채널은 저평가 구간이라 더 추매해야 할꺼같습니다 ㅎㅎ 구독자수 10bagger 기원합니다 !
@lucy-op2yt 7
2021년 4월 16일 08:28박사님 실버버튼 축하드립니다. 🎉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user-bn6hb8hv1q 3
2021년 4월 16일 10:27박사님 . 금은요?
@eunheechoi9580 3
2021년 4월 16일 14:53홍박사님, 좋은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ejp9485 2
2021년 4월 16일 08:13질문이 있습니다~!
요즘 부동산 유튜버들을 보면 (초)인플레이션이 올 경우
집값이 엄청 오를거라고 강조하더군요. 그래서 하루라도 빨리 사고, 다주택자가 되는게 유리하다라고 이야기합니다. 특히 돈이 휴지조각이 되고, 부동산 공급 물량 부족, 시종 대기자금 및 코인등으로 벌어들인 돈이 결국에는 부동산으로 돌아올 것이라구요. 하지만 오늘 자료를 보니 조금 놀랍네요. 상승론자 부동산 유튜버의 말들에 대하여 교수님의 의견 듣고싶습니다! 항상 감사히 강의 듣고있습니다!
@user-te8ly7vk7l 2
2021년 4월 16일 08:16돈의 흐름이 바뀌면 부동산으로 몰리죠 판이 기우는 것이죠
바둑판이 한쪽으로 기운다고 할까
@chammath 2
2021년 4월 16일 08:03감사합니다! 자산배분이 그래서 짱인듯합니다
@percentone1325 2
2021년 4월 17일 18:02인터넷과 1인 미디어의 발전으로인한 부작용으로 전문가가 아닌 사람들이 전문가인양 혹세무민하는 시대에
진짜 전문가로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는 좋은 채널입니다. 실버버튼 받으신 거 축하드립니다. 본론으로 가서 인플레이션이 발생되면 국내 주식시장에서 미국 국채로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서 주가가 더 빠지는 거 같긴 합니다
@zzanggwang 2
2021년 4월 16일 07:20자산분배 중요성을 강조해주셨군요. 유익하고 간결한 정보 감사합니다^^
@user-px3wz7zz1s 2
2021년 4월 16일 08:35유튜브 초기 구독자로서 제가 다 기쁩니다ㅎ
@user-if5qd6vl7j 1
2021년 4월 16일 06:58감사합니다
@youngchoi5653 1
2021년 4월 16일 07:06축하드려요^^
@user-ux9ud7gf6q 1
2021년 4월 16일 06:52와 첫댓인가요. 아침부터 잘보고 갑니다
foo bar 1
2021년 4월 16일 07:52감사합니다. 실버 버튼 축하합니다.
@user-ds9mo3dl9v 1
2021년 4월 16일 09:30항상 감사합니다
@JASONLEE-ls6ov 1
2021년 4월 16일 06:57감사합니다ㅎㅎ
현이소 1
2021년 4월 16일 08:08실제 채권을 사보려고 합니다. 상품과 시기도 언급해주시면 공부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kellyhan8406 1
2021년 4월 16일 07:28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Ssunny 1
2021년 4월 17일 19:41요즘 일본이 계속 미국채권 사들이고 그 버프로 우선 방사능오염수 마국이 눈감아주고, 채권금리 좀 내리고....
흡사 악어와 악어새 무한루프.
@user-wg5gt9bf4s 1
2021년 4월 16일 08:39와 실버버튼 축하드립니당
@zrc247 1
2021년 4월 16일 09:30채권 사기 싫었는데 생각이 좀 바뀌네요
마토사쿠라 1
2021년 4월 16일 21:31밥상물가를 생각했을때 이미 물가상승은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하고, 지표로 보는 물가지수가 별로 안높아보이는건 이번 정권에서 물가지수 항목을 손봐서 통계마사지한 탓이라고 생각합니다.
실버라인 1
2021년 4월 16일 09:44짧지고 알찬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bp4fy7zw7r 1
2021년 4월 16일 11:12최고의강의십니다
역쉬 최고십니다 🥰👏👏👏👏👏
@hyunjin1755 1
2021년 4월 16일 06:59감사합니다 ㅎㅎ
@simzou4373 1
2021년 9월 16일 08:12강력한 인플레로 주식 낙폭 확대라면 매수 준비~~ 반등시 매수~ 결국 타이밍~
제로 1
2021년 4월 16일 11:35짧지만 강력하다
@chancepark247 1
2021년 4월 16일 12:55실버버튼 축하드립니다!
항상 좋은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ssmikyful 1
2021년 4월 16일 07:26저한테 금리랑 채권은 알듯 모를듯 제일 어려운 부분이네요. 암튼 과거 경험으로 볼때 인플레때 주식이 제일 위험한건 사실.
@user-qf1ld7er3q 1
2021년 4월 16일 17:24극한의 인플레이션과 금리인상기인 Volcker 의장 시기에 미국 채권가격과 달러 인덱스를 비교해보니 채권가격이 빠지면서 달러인덱스가 급격히 상승하더라고요 또 박사님이 계속 이야기 하신것처럼 국내주식이 하락하면 원화 평가절하도 야기하고요 원화 투자자 입장에서는 미 채권 투자가 상당히 좋은 헷지 수단이라는것 다시 한 번 공부하고 갑니다^^ 또 미국인 투자대가들이 이야기하는것은 모두 '달러'를 사용하는 '미국인'들의 입장이라는것도 생각하게 됐습니다!
@gabrielicha3438 1
2021년 4월 16일 07:06박사님 영상을 유익하게 잘 보고 있습니다.
질문이 있는데요, 박사님께서는 앞으로 1-2년 내에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어느정도까지 오를거라고 생각하시는지요. 여기저기 전문가들의 영상을 보면 주로 인플레이션쪽이 대세이고, 간혹 오히려 디플레이션의 위험때문에 어느정도의 인플레이션을 FED가 용인할 것이라는 견해도 있던데, 박사님의 견해가 궁금합니다.
항상 고맙습니다. ^^
@baracudac1664 1
2021년 4월 16일 08:39교수님, 주식 중에서도 시장 금리 이상의 ROE를 가지는 우량기업은 높은 인플레에서도 계속 성장을 할테니 안전자산이 되지 않을까요?
@user-mp7oi8rn4d 1
2021년 4월 16일 07:28아침 수업 잘 듣고 출근합니다~^^
@user-wh8tb5mw7t 1
2021년 4월 16일 07:10좋은 아침입니다. 박사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hlee3898 1
2021년 4월 16일 21:12고민하던 내용을 속시원히 이해했습니다
@twpark92 1
2021년 4월 16일 17:06오오오, 실버버튼 축하 드립니다!!! ㅎㅎㅎㅎㅎ
Zaidoon Raheem |زيدون رحيم
2022년 3월 05일 02:10요즘 재테크 하는게 유행인데 찾아보다가 소배 액팅 쳐보고나서 95%수익 내고있어요!
iHzCrayz
2022년 3월 05일 02:10주식좀 해볼까하고 찾아보는데 너무어려워서 포기.. 그런와중에 소 베액 팅 은 진짜 혜자 인정;;
@user-gf5bd2jy3o
2021년 4월 16일 10:52추천해주신 서준식님의 책을 읽었습니다. "현명한채권투자자"를 추천하시는 건 아직 유효하신거죠? 채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경제공부를 하고싶습니다~!
@user-lw1ht8fs8l
2021년 5월 19일 06:29일반적으로 금리와 채권은 상반된 성격을 지녔다고 알고있는데 금리가 오르면 채권가격은 떨어지는것이 보편적일텐데 역설적으로 오른다니 이해가 잘 안가네요 설명해주실분 ㅜㅜ
@user-um6hn8ru5s
2021년 4월 16일 10:20실버버튼 너무 축하 드립니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질 때 미국국채 비교하여 물가연동채는 어떤가요?
@creator2383
2021년 4월 16일 17:50미 국채를 원하면 TLT 괜찮을까요?
@user-sg9xo2xd3n
2021년 4월 17일 15:53지수 인버스를 분할 매수하는 것은 어떤가요?
@judehey1461
2021년 6월 25일 09:48교수님 기준 금리를 올리면 이전에 발급했던 채권가격은 떨어지는대, 금리 상승 이후 채권가격은 올라간다는 말씀이신가요?
만약 그렇다면 금리를 올리지 않은 지금 상황에서는 채권을 사는것이 안좋은 방법이 되는 것 인가요?
@user-ef7si4ny6o
2021년 4월 16일 13:06미국채 40년 강세장은 안끝난다고 보시는 군요... 전 무슨 이유를 만들어서든지 연준은 낮은 금리로 미국채를 발행할거라고 보고 있긴한데요...(아니면 국채버블이 터짐) 흠..~~~ 재정지출하는걸봐서는 인플레가 올것 같기도 하고요... 금리상승을 해도 금방 낮출수 있다고 보는건지... 흠~~~ 앞으로 어떻게 전개 될지 궁금하네요.. 시의적절한 질문을 한것 같네요. 홍춘욱님 빼고는 거의 인플레가 온다고 기정사실화 되고 있습니다. 요즘....
@user-xz5cr7ww2u
2021년 4월 18일 15:18공급측면의 인플레이션과 양극화 악화가 심화되면서 스테그플레이션 가능성은 없을까요
@qrader
2021년 4월 16일 21:03감사합니다.
유승정
2021년 4월 16일 17:03돈복사 ㅋㅋ
WENXUAN JIN
2021년 4월 17일 05:59작년에 원유 투자하던분들 진짜 최악의 시간을 겪었던거처럼 채권도 ,,, 그러나 언젠가는 오 푸근해질날이 오겠죠
WENXUAN JIN
2021년 4월 17일 05:58미필적고의(?)에 의한 인플레이션에 한표!
@typ7012
2021년 4월 20일 09:14박사님 넘 궁금해서요 인플레 오면 금리상승 인데 채권은 금리하락이 돈 버는거 아닌지요
@user-jh4eg5gr8p
2021년 5월 06일 12:21인플레이션이 와서 금리가 올라가면 채권가격이 떨어진다. 금리를 올리고 나면 불황이 온다. 그러면 경기가 나빠지니까 주식가격이 떨어진다. 금리가 올라갈줄 알고 떨어졌던 채권가격은 생각보다 금리가 안올라가니까 상승할수 있다. 이런 논리인건가요? 그런데 연준에서 이전과는 다르게 금리를 올려도 베이비스텝보다 적게 일년에 1번씩 천천히 올리면 그걸로 인해서 불황이 오기 힘들고 그러면 채권산 사람들의 가격은 서서히 빠지는것 아닌가요? 잘 이해가 안됩니다. 금리를 급격히 올렸던 과거와는 다를거 같아서요
@user-uw6mv5hw2f
2021년 4월 16일 08:59상황도 어렵고 내용도 어렵고 더군다나 채권은 손대기에는 모르는게 많아 공부해야겠네요 ㅠ ㅎ
@user-df9lr7id9d
2021년 4월 17일 11:04간결하게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khaledalmoudhe2877
2022년 3월 05일 02:10주식하기엔 너무 까막눈이라 찾던와중에 저도 소 베 액 팅 추천받아서 쳐봤는데 너무좋네요 ^^
신지혜
2021년 4월 17일 19:10미국국채로 계속 손실을 보면서 고민을 하고 있었는데 해답 감사합니다.
@user-zf5zh1hd9s
2021년 4월 17일 01:29감사해요 ㅎㅎ
@user-xo5sg8bj8k
2021년 10월 20일 23:24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경제정보를 쉽게 설명해주셔서 재밌게 구독하고 쓰신 책들도 잘 읽고 있습니다. 오늘 영상에서 말씀하신 채권에 관해 하나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금리인상으로 채권가격이 하락하지만 경기침체로 채권가격이 오른다는게, 금리인상 이후 발행하는 상대적으로 높은금리의 채권을 뜻하는건가요? 아니면 금리인상으로 가격이 떨어졌던 채권들도 포함하여 주식수익률의 하락으로 주식투자의 대체제로써 수요가 증가해서 가격이 상승한다는 건가요?
@coolguydacool2221
2021년 4월 16일 18:38감사합니다 교수님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급격한 인플레가 발생 후 1년간 채권 수익율이 좋은데. 금리가 동반 상승하는 경우와 시차를 두고 상승하는 경우는 어떻게 되는가요?
@user-sr8xj9mx4s
2021년 5월 26일 10:50감사합니다
실버버튼 축하드립니다
눈꽃Snowflake
2021년 4월 17일 11:28채권은 뭐... 은행예금이랑 같은 거죠 뭐...
@user-wu5fm2kk8m
2021년 4월 16일 10:59항상 고맙고 감사드립니다,
교수님 돈의역사 잘 읽었습니다 ^^
@royalcat5903
2021년 4월 18일 00:30교수님 반갑습니다.
저 또한 주식, 부동산, 가상화폐의 인플레가 너무 심해 배당주 위주로 투자하고있습니다.
그렇다면 교수님 말씀대로 국채에 투자한다 가정할시 국채중에 가장 우량한 미국채중에 단기, 장기 어느 채권을 구입하는게 더 이익일지 궁금합니다.
JaeYoon kim
2021년 4월 17일 13:10욱이형 말씀 잘 듣고있어요 ㅎㅎ
Xzengin_penguenX
2022년 3월 05일 02:10저는 요즘 코로나때문에 직장도 힘들어졌는데 소배 액팅 알고나서 부업으로 용돈법니다 ㅠ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