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 We Live Only with Love without Darkness? Ven. Pomnyun’s Dharma Q&A
Ven. Pomnyun's Answer to "Can We Live Only with Love without Darkness? ” Selection from a Dharma Q&A session at Busan City Hall, Busan (June 15, 2019) ......
Ven. Pomnyun's Answer to "Can We Live Only with Love without Darkness? ” Selection from a Dharma Q&A session at Busan City Hall, Busan (June 15, 2019) ......
장미 50
2019년 10월 15일 23:40제이슨선생님 사업하시면서 스님도와 멋지게 동시통역 감사드립니다
선생님 목소리들으면 쫀든쫄깃
인절미 생각나요 너무 멋지세요
@dongnaeajae 27
2019년 10월 18일 12:21통역선생님 통역을 정말 살발하게 잘하시네요
@tvhealing3277 21
2019년 10월 16일 00:02스님... 외국에도 스님의 법문이 널리 널리 전파되어 행복한 지구촌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모두 행복하세요^^
@gudan6939 20
2019년 10월 15일 23:50사랑이란? 상대방을 그대로 인정하면
미움도 부작용도 없다,
세계로 뻗어나가시는 스님
멋지셔요~오늘도 감사합니다☺️
@junejung1854 17
2019년 10월 16일 00:27"어둠 없이 사랑만으로 살 수 있나요?" (질문자 문답 해석)
스님께서는 음양 철학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세상에는) 낮과 밤이 있고, 사랑과 미움이 있고, 그 반대의 세상이 유토피아지요. 부처님 가르침에 따르면 사랑만으로 사는 게 가능한가요?
빛은 어둠이 없는 상태라고 한다면, 이 세상에서 어둠 없이 사랑만으로 사는 게 가능한지. 어둠은 없이 살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왜냐하면 저는 모든 사람에게 어두운 면이 있고 이런 어둠이 있어야 인생에서 일어나는 좋은 일들에 감사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사랑은 밝은 면이라고 할 수 있겠죠.
답변해 주셔서 정말로 감사합니다. 중도라는 것. 스님 말씀대로 공존, 모든 형태의 종교와 모든 불교은 믿음 체계가 공존하는 것. 빛과 어둠, 사랑과 미움이 있듯이 중도가 있는 한 공존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이게 가장 중요한 거죠. 감사합니다.
@문성운-x6f 16
2019년 10월 15일 23:41좋아한다. 이쁘다. 사랑한다.. 욕망..
있는 그대로 보고
인정하는 것. 그게 사랑...ㅎ
장미 13
2019년 10월 16일 02:57사랑에는.....미움의 과보가 따른다
상대를 그대로 인정하고 이해하기
감사합니다 스님 건강하세요
@데이비드박-b7d 12
2019년 10월 16일 21:30통역 하시는분 대단하시네요~
스님 항상 감사합니다
@kimchibbq5242 11
2019년 10월 16일 06:40Self diagnosis of my own hate to realize my vulnerability.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법륜스님. 나의 화가 나의 무지에서 나오는 것임을..사실은 화를 낼 필요도 없는 것임을.. 우리는 모두 다르고 소중한 존재 임으로..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존경합니다 법륜스님~🙏😃👏👍🙏😍
@콩쥐-q5s 10
2019년 10월 16일 14:24통역사님 멋지세요♡
@aramus8506 9
2019년 10월 17일 09:53정토회설명이 저는 한국어로 들어도 어려운데 바로 영어로 되는 시츄에이션! 정토회에대한 이해가 바탕에 있으시기에 가능하신것같습니다. 두분캐미가 멋지십니다!
@songcharpentier8274 8
2019년 10월 17일 00:52THANK YOU SO MUCH FOR ENGLISH TRANSLATION!!!!! 미국에서 보낸세월이 한국에서 보낸세월보다 훨씬많음에도 불구하고 스님말씀이 너무나 마음에와닿네요..... 식구들도 이좋은말씀좀 듣게하고싶었는데 영어통역이라니!!!!!
@kathryn-r1h 7
2019년 10월 23일 00:46영어고급지다. 옛날 듣기평가 듣늗기분...목소리도 좋으시다. 평온한 영어배우고싶네..
@산산-l4y 7
2019년 10월 18일 08:24존경합니다
지구상 인류중 악한 ㅁㅏ음들을 안갖도록
모든인류가 법륜스님 영상을 시청햇음 합니다
@purilee7145 6
2019년 10월 23일 18:46와 통역해주신분 정말 잘하시는거 같아요. 함께 들을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초월하는중 6
2019년 10월 16일 18:552019년 11월 12일(화) 오후7시
수원 컨벤션 센터 ㅡ법륜스님 즉문즉설
여러분 자리가 3000석이래요
꼭 와주세요~!
스님 언제나 감사합니다 🙏
@프리떵뚜 4
2019년 10월 19일 20:45법륜스님...감사합니다...제인생의 터닝포인트를 잡게해주신...스님의 말씀들...잘되새기며 행복하게살겠습니다...항상 건강유념하시고요...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ronite4462 4
2019년 10월 31일 00:18영어 잘 못하지만 통역하시는분 진짜 대단하신건 알겠네요 종교학자이신가?
@살림이-z3u 4
2019년 10월 16일 08:49다름을 이해하고 인정하면 괴로움이 없다. 그건 나 자신에게도 적용된다.
@ryankim9168 4
2019년 10월 30일 07:32질문하신 내용은, 음양철학에서는 사랑과미움, 남과여, 선과악, 빛과어둠 등 반대되는개념(존재)들이 완벽한 대조(균형)를 이루는것이 이상적인 세상이라고 보는데 비해서,
부처님은 미움, 어둠, 악 등 부정적인 것들이 없는 세상(음양철학 관점에서는 불균형적인 세상)을 지향하셨고, 그렇게 사는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하냐는 질문인 것 같습니다. 음양철학과 상충하는 불교의 가르침에 대한 질문으로 이해됩니다.
-음양철학은 세상의 구조나 이치를 심플하게 설명하는 훌륭한 이해모델이긴 하지만, 음과양의 존재(개념)를 인간의 모든 감정이나 현실에 100%에 적용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부처님은 현실에서 살아가는 인간 감정의 음양(기쁨, 슬픔, 사랑, 증오, 연민, 분노 등)을 다 인정하신 상태에서 인간이 "음"의 감정에서 벗어나는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리신 것이라 생각합니다. 세상에 악과 슬픔과 분노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꼭 악과 슬픔, 분노를 계속 맛보며 살 필요는 없지 않을까요? 기왕이면 "양"의 감정 비율을 높여 행복하게 살라는것이 부처님의 가르침이라고 봅니다.
궁극적으로는, 수행을 통해서 감정세계를 벗어나 한 차원 높임으로써, 음양의 기복이 없는 감정상태(열반, 평정)에 다다르는 것이 진정한 행복이라고 말씀하신것이니
그것이 음양오행의 "중용, 중도"개념과 비슷하기는 해도 정확히 같은것은 아니겠지요
스님의 답변이 질문과 연결이 잘 안되는것처럼 느껴질때도 있지만, 곰곰히 생각해보면 엄청나게 깊이 연결된 말씀인 것을 깨닫게 됩니다.
스님.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길 기원합니다.
@김인생-m7z 4
2019년 10월 23일 18:55영어 정말 잘하시네요 와~ 실시간 번역이 어떻게 가능해요?
@YJYSYHY 3
2019년 10월 27일 22:01주간적인 문제를( 심리)
객관적인 현상( 밤낮 어둠빛)
과 비유하는건~ 옳지 않습니다
배우고 갑니다
새로운 시선... 독서를안 하니까~
고인물이 되어감을느낌니다
고맙습니다
@YJYSYHY 3
2019년 10월 27일 21:58질문에대한 답이 척척나오는능력 ...
법륜스님은 천재이심
맘 따뜻한 부처님~
@양복순-z2s 3
2019년 10월 16일 00:31감사합니다~^♡^
love J 3
2019년 10월 17일 04:40그렇군요 해주려고하지말고 그대로 인정하면 되군요
몰랑이 님피아 💖 3
2019년 10월 18일 02:40어찌보면 동물들은 이미 열반의 상태일까요. 인간은 믿음을 객관화하는 능력으로 농업과 종교의 선과 악으로 거대 사회를 만들고 지금의 과학사회도 만들어냈죠. 하지만 이런 찬란한 객관적 성취들이 우리의 주관적 마음 상태에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 듯 합니다. 불교의 가르침은 중요한게 무엇인지 일깨워 주는 것 같습니다. 어쩌면 인간을 양적으로 성장가능케한 이 선과 악의 혹은 국가와 민족의 프레임이 핵전쟁을 일으킬 원동력이 될지도 모르죠. 하지만 인간은 원래 그런 것이라고 받아들일 수 밖에 없겠죠. 지구에 남겠다는 것도 집착이니. 생각이 잘못된 것일까요?
@YJYSYHY 3
2019년 10월 27일 22:06법륜스님의 즉문즉설은 인류의 유산이 될 듯 합니다...
시대가 변해도
대대손손 여러 지역에서도 재생 될
것입니다
@서준석-t4r 3
2019년 11월 11일 02:32관념론적인 질문에 그 비유 자체의 본질을 완전히 파헤쳐 주시는군요
@도담TV 3
2019년 10월 16일 01:37Good~~ ^^
@도파민디톡스리치 2
2019년 10월 24일 12:50근데 저는 우리 세상에 고통이 존재 한다는 걸 절대 죽어도 못 받아들이겠고 완전히 없애버리고 싶어요.... 그럼 저 영원히 괴로워 하면서 살아야 하나요?
그렇구나....
Hong화시 2
2019년 10월 16일 19:12고맙습니다 올려주신 이웃님들 감사합니다 화이팅 스님법문 감사합니다 화이팅
Hong화시 1
2019년 10월 16일 19:17Thankfully English teacher is the best of all time goodluck with goodjob thanks for you kindly it very well difficult everthing but sounds good on this issue
@능소화정원주인 1
2022년 8월 22일 23:01감사합니다 🙏
나나 1
2022년 7월 22일 09:07어쩜그리 위대하시고 대단하시고 존경스럽고 정말 아름다우신 부처님 사랑하고 감사합니다 은혜잊지않겠습니다 부처님을 만나고 전 정말 행복해졌습니다 부처님 믿으세요
@그대그리고나랑 1
2022년 11월 29일 14:05감사합니다
Mark S
2019년 10월 16일 11:40Questioner: Is the spoon light or dark?
Sunim: There is no SPOON Puts on Sunglasses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