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습니다. 2년간의 주식시장 침체와 부동산 가격 급등은 반기업정책으로 인한 기업투자 위축과 실적부진 그리고 수요공급에 따른 가격결정이라는 기본을 무시한 정책탓이 가장 크다고 생각합니다. 기업실적부진에 주식시장이 외면받고, 온갖 규제로 공급을 막아놓은 상태에 시장에 돈까지 풀리니, 돈이 모두 부동산으로 몰리는게 당연지사였는데 시장경제에 대한 몰이해가 부른 참사이지요.
어느정도 상관성은 분명히 있군요...특히 수도권 부동산은 더 상관성이 높아 보이구요....최근 2018년 부동산 상승은 차트에서도 분명히 유동성 상승과 관련이 있습니다. 2012년의 경우 지방 부동산 가격상승에 따른 것으로 이또한 유동성 감소와 수도권 부동산 하락으로 나타난 지방 부동산의 갭메우기적 현상이었습니다. 그리고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나타난 회복성 주가상승은 그 이전의 주가상승과는 다른 성격이라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물론 공급이 부동산에 절대적 영향인자임은 박사님 말씀처럼 분명한듯 합니다.
글쎄요,,부동산 측면에선 m2랑 서울 부동산이랑 비교시엔 맞아떨어지는 부분이 많고 한국에서 미국 부동산과 가장 링크가 잘 되는 지역이 서울 부동산이기에 한국 전체를 놓고보는건 좀 아닌거 같습니다.. 경제라는게 복잡계고 어느 관점으로는 창발성 적인 성질도 있기에 쉽게 설명하기 힘든점이 있으나 유동성으로 인해 자산 가격이 상승했다는걸 반론하기에는 애초에 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이후에 금리를 없애 신용 창조를 이루어내려는 미 연준의 의도 자체가 증명하지 않나 생각됩니다.문제는 돈이 아무리 많이 풀려도 워낙 자산이 매력이 없으면 그쪽으로 안들어가고 결국 물가로 계속 발산될 수도 있는만큼 누가 봐도 매력적인 자산으로 제일 많이 들어가는데 그게 한국에선 서울 부동산 뿐이라고 생각합니다..한국 금융 시장이 상승을 안하는 이유라고도 생각하고요.
@블루스카이-q2c 3
2020년 1월 27일 10:08맞습니다. 2년간의 주식시장 침체와 부동산 가격 급등은 반기업정책으로 인한 기업투자 위축과 실적부진 그리고 수요공급에 따른 가격결정이라는 기본을 무시한 정책탓이 가장 크다고 생각합니다. 기업실적부진에 주식시장이 외면받고, 온갖 규제로 공급을 막아놓은 상태에 시장에 돈까지 풀리니, 돈이 모두 부동산으로 몰리는게 당연지사였는데 시장경제에 대한 몰이해가 부른 참사이지요.
@tigerj.3352 2
2020년 1월 27일 07:42주식이나 부동산이나 그렇게 예측이 쉽다면 다들 부자 되겠죠~^^
@k블랙베리 1
2020년 1월 27일 09:35오늘도 남들이얘기하는 단순한설명이아닌 근거가있는논리적설명주셔서 감사합니다!!
@sunghokim4011 1
2020년 1월 27일 08:19친절하신 설명 잘 보고 갑니다. 하지만, 유동성, 주택가격, 재정/금융정책 간의 내생성을 고려하지 않은 분석이네요. 자산가격에 대응하는 것이 정책실행이라고 보면 들어맞는 부분들이 있죠. 문제/현상과 정책 실행간의 시차 이슈도 있구요.
물론, 다른 수많은 변수들이 통제되어있지 않고, 내생성이 고려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그래프 둘 간의 상관관계만을 보고 둘 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것의 어쩔 수 없는 한계이긴 합니다.
@jform
2020년 1월 27일 10:58역시 자료에 근거한 설명. 매우 고맙습니다. 수요와 공급이 가격을 결정하는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재료는 확인하지 않고, 그저 자신의 주장을 펼치는 유튜버들 반성해야 합니다. ^ㅡ^
@Jun-j3x4o
2020년 1월 27일 11:29새해복많이받으세요!
@게임에참가를원하-h3o
2020년 1월 27일 17:15잘봤습니다. 유동성장세는 미국,일본,유럽 등 자국통화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나라에서만 통하는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원화를 마구 풀수없기 때문에. 질문자의 의도도 원화가 아닌 달러의 유동성을 뜻한게 아닌가 합니다.
@정의민-d4b
2021년 10월 12일 11:01자본시장은 개방되어 있는데 국내 유동성만 보는것이 맞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기준을 글로벌유동성으로 확대해서 봐도 마찬가지일까요?
@김지훈-t7w3q
2020년 2월 15일 18:19전반적으로 동의합니다만 주택가격과 코스피가 유동성과 반대로 움직인 예시로 들어준 2008년~2009년은 서브프라임사태로 인한 예외로 봐야하지 않나 생각도 듭니다 위기상황에서 유동성을 확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심리가 줄어들었기 때문에 자산가격도 하락한 것이라고 해석해야하지 않을까 싶어서요 고견 부탁드립니다
jake
2020년 1월 27일 10:21어느정도 상관성은 분명히 있군요...특히 수도권 부동산은 더 상관성이 높아 보이구요....최근 2018년 부동산 상승은 차트에서도 분명히 유동성 상승과 관련이 있습니다.
2012년의 경우 지방 부동산 가격상승에 따른 것으로 이또한 유동성 감소와 수도권 부동산 하락으로 나타난 지방 부동산의 갭메우기적 현상이었습니다.
그리고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나타난 회복성 주가상승은 그 이전의 주가상승과는 다른 성격이라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물론 공급이 부동산에 절대적 영향인자임은 박사님 말씀처럼 분명한듯 합니다.
@papasmf1
2020년 2월 07일 18:54이번주 밀레니엄 이코노미 읽고 있습니다. 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
@junyoungyoo3588
2020년 1월 27일 08:23오늘도 영상정말 감사합니다~~!!
@이알디씨
2020년 1월 30일 12:41마지막이 핵심이네요ㅎㅎ
@rnthsla
2020년 1월 27일 22:14감사합니다~~ 요즘 미국에의한 유동성장세라고하던데 이런 자료도 참좋네요
@김청-w5n
2020년 1월 31일 11:07글쎄요,,부동산 측면에선 m2랑 서울 부동산이랑 비교시엔 맞아떨어지는 부분이 많고 한국에서 미국 부동산과 가장 링크가 잘 되는 지역이 서울 부동산이기에 한국 전체를 놓고보는건 좀 아닌거 같습니다.. 경제라는게 복잡계고 어느 관점으로는 창발성 적인 성질도 있기에 쉽게 설명하기 힘든점이 있으나 유동성으로 인해 자산 가격이 상승했다는걸 반론하기에는 애초에 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이후에 금리를 없애 신용 창조를 이루어내려는 미 연준의 의도 자체가 증명하지 않나 생각됩니다.문제는 돈이 아무리 많이 풀려도 워낙 자산이 매력이 없으면 그쪽으로 안들어가고 결국 물가로 계속 발산될 수도 있는만큼 누가 봐도 매력적인 자산으로 제일 많이 들어가는데 그게 한국에선 서울 부동산 뿐이라고 생각합니다..한국 금융 시장이 상승을 안하는 이유라고도 생각하고요.
허재원
2020년 1월 27일 23:11한국조세재정연구원장은 현재상황에서 보유세 인상 없는 공급확대가 집값을 잡기보다는 다주택자의 주택편중 상황을 심화시킬 것이라는 비판을 하던데 그에 대해서는 어떤 입장이신지 궁금합니다. 사실 저도 보유세 강력하게 올려야 된다고 생각해서요.
@장미꽃향기
2020년 1월 27일 07:15홍춘욱 박사님 좋은정보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행복 하시고 건강하세요 ^^~
@편자남편의점에서자기
2020년 1월 27일 07:38역시 경제전망은 하지만 복잡계라 어렵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