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살 청년입니다. 24살부터 일 시작해서 수입의 90프로 저축하며 알뜰히 살았습니다. 27살 때 운이 좋게 부읽남, 신사임당 님들과 같은 유튜버를 접하면서 단순히 돈만 모으면 안된다라고 느껴 광역시에 분양권을 매수해 입주했습니다. 2년이 지난 지금 분양권 하나 더 들고 있어 2주택자네요. 이건 내년에 세입자 받을 예정입니다. 하루 빨리 투자에 눈을 뜨고 실행하는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20대 초에 대학 안가고 일해서 3천만원 모았을때 제태크 관심 없진 않았지만 이해력도 딸리고 주변에 들은것도 없어서 제태크 보다 대학 가서 배운 후 일 적응해야겠다는 것에 목표두고 대학에 돈 썼는데 그 때 대학이 아닌 경매나 토지 등 제태크를 했었어야 한걸 후회함...지금은 그때만큼 돈이 모아지지 않음.....ㅜㅜ
미국 금융위기 오기전 집값 오르기에 은평뉴타운 분양 받고 2010년에 입주했는데 금융위기 오고 일부 미분양 해소되지 않아 서울시가 전세 주다 2017년까지 20프로 할인해서 분양했습니다 3기 신도시 분양하고 금리오르고 열기가 식으면 또 할인 분양할 수도 있겠죠? 지금 거품 가득찬 집을 사면 호구됩니다 지금 사면 오른다고 하는데 팔고자하는 매물은 왜이리 많을까요?
누구 예측이 맞을지는 지나봐야 알겠지만, 몇번의 등락을 경험한 나이든 사람이라 의구심이 듭니다. 2010년에 전세 얻으려는 딸에게 집 사라고 강요했다가 4년간 50%가까이 하락해서 마음 고생 엄청했지요. 십년 정도를 내다보면 결국은 우상향하겠지만, 사자마자 하락시작하면 세상 즐거운 일이 없고, 세상 잘못 살아온것 같은 느낌 이었지요.
작년 5월 정말 운좋게 경기도권 롯데캐슬 59A 청약 당첨되었습니다 총 29층높이에 이제서야 6층 올라갔는데 피가 1억 5천입니다 옆집아파트 다음달 입주예정이고 같은 타입 피 2억 5천이네요 저도 당첨되고나서 기분은 좋지만 터무니없이 오르는 가격에 기분이 좋다가도 너무 현실성 없이 치솟는 아파트값에 불안하기도합니다 집값 잡힐까요? 오르는건 좋지만 너무 말도안돼게 오르는건 사회가 정상적으로 돌아가는데있어서 너무나도 큰 걸림돌이네요..
올해 미국 백신 접종 후 집단면역 형성> 미국경제 회복> 미국 주가 올라감> 하지만 우리나라 상대적으로 백신접종 늦음> 집단면역 형성 시기 늦음> 경제회복 늦어짐> 달러대비 원화 약세> 2022년말~2023년초 미국 금리 인상> 미국에서 전세계의 달러 빨아드림> 달러대비 원화 더 약세> 우리나라 자산 가격하락.. 한다면 우리나라도 금리를 인상하지 않을까요? ㅠ
재건축 그렇게 막고, 대출 막고 쇼를 하더니 참 어이 없는 상황을 맞딱이네요. 말도 안되는 전/월세 계약 상환선 만들어서 전월세 가격 정말 미친듯이 많이 올랐습니다. 이 정책 폈던 사람들 지금도 잘먹고 잘살고 있습니다. 정말 어이 없는거죠. 현 정부가 사다리 제대로 걷어 찬거죠.
1주택이 중립기어라는 것에 대해 오해가 있으신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중립포지션은 부의 상대적 개념에서 나온것입니다. 우리나라의 평균 자산은 부동산 80% 금융자산(대체자산포함) 20% 이며 그중 부채는 약 1/3입니다. 이렇게 자산 배분이 평균적으로 되어있고 각 자산이 대표적인 지수(평균 주택가격, 코스피지수 등) 를 추종하여 값이 변동한다면 자산의 변동에 의해 자신의 부의 서열이 바뀌지 않는다는 것 입니다. 즉 상대적으로 벼락거지나 벼락 부자가 되지 않는다는 개념입니다. 평균적으로 부동산의 자산 비중이 높기 때문에 1주택이 중립에 가깝긴 하지만 부채가 평균 보다 높거나 모든 자산이 부동산에 편중 되 있다면 부동산 가격, 금리 변동에 자산 가치가 크게 변동 되는 포지션이지 중립 포지션은 아닌것입니다. 앞으로 부동산, 주식, 코인이 어떻게 움직일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다만, 자산배분의 개념을 알고 무리한 투자를 지양하여 위험하지 않은 투자를 하시길 바랍니다.
결혼 전 와이프가 인천 6000만원짜리 빌라를 가지고 있었고 처분을못한체 결혼하였습니다. 그래서 과거주택소유이력으로 인해 특공을 지원하지못하고 무주택점수도 안되 내집은 꿈도못꾸고있네요 하지만 몇달전 수도권 1억3천 이하주택은 무주택으로 간주한다는 개정안소식을 들었습니다. 여기서 소급적용을 받아 특공이 가능한지 혹은 무주택기간이 소급적용받을 수 있는지 점수변동이 될수있는가능성이 있는지 너무 궁금합니다. 도와주세요 대표님ㅠ
부동산 집값은 안 떨어지고 계속 상승추이일거라 생각은 합니다. 공급이 지금 부족하긴 하니까요 하지만 지금 시점에서 6월에 본격적으로 임대차 3법 완결판인 전월세 신고제랑 더불어서 백신 도입으로 향후 하향된금리가 상향 조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물론 올해는 아니겠지만요. 가격은 계속해서 상향되고 있지만 실제로 거래되는 물량은 작년 규제 시점부터 감소하고 있어서 지금은 약간 관망하는 시점인 것 같아요 부동산은 주식이랑 달리 폭락은 없지만 가격이 한 번 내려가면 거래가 힘든게 부동산의 위험성이라 이 분 의견도 듣고 다른 반대의견도 들어가면서 매수랑 매도시기를 잘 결정해야겠네요
@toolbox-d2j 692
2021년 4월 23일 20:48나이들어 보니 진짜 일찍 사는게 정답인듯...
강쉪 668
2021년 4월 23일 20:53헐 집사라고 무슨 자신감으로 이런 애기를 하시는지? 건설업자 신가요
강쉪 668
2021년 4월 23일 20:53헐 집사라고 무슨 자신감으로 이런 애기를 하시는지? 건설업자 신가요
@pakpak12345 560
2021년 4월 24일 22:23ㅋㅋㅋ 열심히 일해서 1억 모앗더니 사고싶은 3억짜리집이 6억 되어버렷네. 내인생 레전드네 ㅋㅋㅋㅋ
@jihyounkim9822 375
2021년 4월 23일 20:56그저 남얘기라고밖에 생각이... 억이 우스워진 시대살고있다..
killa K 287
2021년 4월 24일 01:03집있는 사람: 집값 오를거다
집없는 사람: 집값 폭락한다
주식도 코인도 마찬가지
다들 자기가 희망하는대로 믿는듯
댓글보면 두 의견이 명확하게 드러남
killa K 287
2021년 4월 24일 01:03집있는 사람: 집값 오를거다
집없는 사람: 집값 폭락한다
주식도 코인도 마찬가지
다들 자기가 희망하는대로 믿는듯
댓글보면 두 의견이 명확하게 드러남
@본류 250
2021년 4월 24일 16:56주택이 없는게 아니라 인기지역에 주택이 모자라는거다 라는 말씀 극히 공감합니다 큰도시 주변 작은도시들 아파트값 개똥값임ㅋㅋㅋ
bong jong 250
2021년 4월 23일 20:14시중에 돈이 넘치는데 안오를수가 없죠 그 돈이 나한테 안오니 도대체 무슨 돈으로 사는지 알수가없어 떨어질것같은 착각이 들죠
@cho1318 206
2021년 4월 23일 20:17청약가점이 고점이거나 아이가 둘 이상있고 신혼특공 자격이 되시는게 아니라면 청약만 기다리는건 정말 너무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각자 상황에 맞춰 대응하셨으면 좋겠어요 :-)
말씀 잘 들었습니다!
이엔치간칫솔 191
2021년 4월 24일 14:59이영상 1년후에 다시 보러 오겠습니다.
Daud Kim 188
2021년 4월 23일 22:52집값이 올라가는 것일까요? 돈 가치가 떨어지는 것일까요?
@우찌-z9b 177
2021년 4월 25일 07:1029살 청년입니다. 24살부터 일 시작해서 수입의 90프로 저축하며 알뜰히 살았습니다. 27살 때 운이 좋게 부읽남, 신사임당 님들과 같은 유튜버를 접하면서 단순히 돈만 모으면 안된다라고 느껴 광역시에 분양권을 매수해 입주했습니다. 2년이 지난 지금 분양권 하나 더 들고 있어 2주택자네요. 이건 내년에 세입자 받을 예정입니다. 하루 빨리 투자에 눈을 뜨고 실행하는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inue98 176
2021년 4월 24일 07:38무주택자 특징 : 아직 사지도 않은 집을 팔리지 않을 걱정부터 하고 앉아있다
@ysc8143 136
2021년 4월 23일 21:10암튼 실거주용 1채는 무조건 사야 한다고 느낍니다~
@각자도생-b6c 130
2021년 4월 23일 20:09물론 임금인플레는 발생하지 않지만... 공급은 억제되어 있고 시멘트가격/PHC 파일가격/최저임금상승/목재가격/유리가격/철근가격/공시지가 상승을 보면 집값상승에 확률이 높아보입니다
@샤샤-u9b 127
2021년 5월 22일 13:15집있는 나도 이런 얘기 들으면 마음이 아픈데
집없는 분들은 오죽하랴 여기 댓글 다신분들
빚없이 원하시는 집한채씩 다가지시는 행복이
함께 하시길 기원합니다 🙏
cib jm 118
2021년 4월 23일 20:35아니 문닫은 가게들은 넘치는데 10억 넘는 집을 사는 사람들은 왜 이리 많은걸까요? 나도 집 사고 싶은데 주변을 아무리 둘러봐도 내가 살수 있는집이 없어 전세 살수 있을때까지 살다 은퇴하고 지방외곽으로 가야겠다 싶네요ㅠㅠ
k은정 112
2021년 4월 23일 20:29더 올라서 한채에 아예 백억씩해라.
@lunajun2598 108
2021년 4월 24일 09:1814개월 전에 청약때려치고 그냥샀음.
14개월 만에 4억4천 올랐음.
빠르게 현실.현장을 파악하고
그냥 실천하는 게
계획만 세우고 기다리는것보다
나음을 절실히 느꼈음.
Yoo 103
2021년 4월 23일 21:48나도 상승론자는 아닌데 그냥 맘편히 살고 싶어서 대출받아 삼. 너무좋음.
@beajinsu 102
2021년 4월 23일 21:13저분 하는 말이 다 맞음. 1-2년 내로 절대! 집값 안 떨어짐. 다만 집이라는 것은 1-2년만 바라보고 살 것은 아니기 때문에....... 결국 3년 5년 이후 장기 전망에 대해서 자신의 생각을 믿을 뿐임.
@childrenmr8316 98
2021년 4월 26일 08:06젊은사람들 임대아파트 잘생각하고 들어가야됨
살다가 나왔을때 어디를 갈지.,
청년혁신가 98
2021년 4월 23일 20:45잘 골라 들어야하는것이 홍박사님은 서울 경기도중에서도 인기지역을 말하는거 같아요 하지만 광역시나 지방 도시는 글쎄요 여기서 더오를 여기가 있을까요? 대구 부산 지금 아파트 장난아니게 분양대기중이던데.......... 딱 서울 경기도 핵심지역에 한정된 이야기인거 같네요
파워맥스 94
2021년 4월 24일 16:47이분 작년까진 보류의견이었는데 진짜 심상치않나보네요
차이콥스키 91
2021년 4월 24일 00:38그냥 오래된 아파트라도 마련하세요..
맘 편합니다. 너무 좋은데만 찾지마시고..
평생 살아갈건데 가격떨어지는걸 왜걱정하는지..
물론 신축도 좋고 환경도 중요합니다만.. 무리하진 마시길..
이성진 90
2021년 4월 24일 11:31결혼 하고 아이가 있으면 2년마다 이사다니기가 엄청피곤한 일 ....아이를 위해서도 ...주거 안정을 위해 집을 산다.
GRAND SLAM 86
2021년 4월 24일 11:09대출을 터줘야 집을 사지.
해먹을 놈들 다해먹고 대출 꽉 막아놨으니
돈버는돈꿀이_돈되는정보 76
2021년 4월 23일 21:04이 세상에 집은 많고 다양한 집들도 많은데 내집은 어디있을까요? ㅠ.ㅠ
열심히 살겠습니다
간장게장 재택일기 76
2021년 4월 24일 18:21아 영상이 제목부터 짜증난다 ㅡㅡ
Nicolas K 76
2021년 4월 25일 09:23무조건 자기집 하나는 있어야
@회더팝 75
2021년 4월 24일 13:19내릴땐 0.몇프로 (언론은 폭락이라고 ㅇㅂ함)
오를땐 1.5~2배이상
이미답나와있음
Baek _ Scale 75
2021년 4월 23일 20:03부동산 오르면 머하냐고 거래가 안되는데....
@zzangkim5070 73
2021년 4월 23일 23:04집이 비싸든 싸든
1가구 1주택우 필수입니다
능력것 되는집 사면 됩니다...
주거 안전성을 가져가야 나중을
도모할 수 있는것 같아요
소금돌이 TV - 짠테크 & 주식 73
2021년 4월 23일 23:49집 사고싶다,,, 모두의 마블로만 살 수 있다,,,
@gunilnam 72
2021년 4월 24일 07:52무주택자라면 내가 버틸수있는 한도내에서의 대출을 끼고 사면되요. 1~2주택이상인분들이 투자관점에서 타이밍 보는거지요.
1주택이상이면 지금 타이밍에 집 안사면되는거고,
무주택자라면 사라. 단, 하락방어가 되는곳을 잘선택해라. 이정도로 보면될듯요.
pharm dent 65
2021년 4월 26일 22:50이분 매번 말바꾸기달인임ㅋㅋ
jeff 61
2021년 4월 23일 21:48확실한건 이 정부가 집사지마라, 영끌하지마라 했던 시기에라도 집샀으면 이미 대박임.
1무깅스무 57
2021년 4월 23일 19:44청약은 강추지만 지금 사도 바로 팔수 없는데 .....
영끌이 답인지는 모르겠네요 ㅠㅠ
brightttiger Fransesc 56
2021년 4월 23일 21:531주택은 노빠꾸중립기어
wienerin71 53
2021년 4월 23일 19:48한채 더 사고 인증 부탁드립니다
@goodband88 51
2021년 4월 24일 09:35통계는 보고 싶은 것만 보는 도구가 된지
오래 되었어요 그래서 신문을 볼 때도 행간을 봐야 해요
QTJP S 51
2021년 4월 28일 00:385년전 강연에서 이 분 집사라고 할때 하나 더 샀어야 했는데..
QTJP S 51
2021년 4월 28일 00:385년전 강연에서 이 분 집사라고 할때 하나 더 샀어야 했는데..
@stay.sharp. 45
2021년 4월 23일 22:47서울 집은 어차피 한정된 사람끼리 경쟁하는거에요...
10억 물론 큰돈입니다.
근데 과장 살짝 보태서 그 정도 가격의 집을 사려는 사람은 수십만 명입니다.
댓글들 안타깝네요.
그리고 저 패널은 폭등론자도 아닙니다. 2~3년 내엔 떨어질거라고 이야기하던 사람이에요.
여유시간 45
2021년 4월 23일 21:51걱정 없이 내 집 마련하고 싶네요.
Listen Again 42
2021년 4월 23일 21:01서울 경기 세종시 이외의 부동산 시장은 어떻까요? 지방 소도시는 빌라, 원룸, 오피스텔 등이 비고 있는 것 같아요.
김송송 42
2021년 4월 23일 20:53뭐하는 짓
이춘길 38
2021년 4월 23일 21:47시간이 갈수록 심해지는 규제를 보면서 드는생각은
대출이 막히기전에 사야겟다
투미부동산[투미TV] 37
2021년 4월 23일 22:37고견 잘 듣고 갑니다!
kwsuni80 36
2021년 4월 24일 12:54얼마전에 디플레(자산가격 하락) 말씀하신 분이 지금 집을 사라뇨. 그럼 지금 예측하는 것도 그냥 1년짜리인가? 1년 후엔 다시 디플레2 라고 하실려나. ㅋ
All the fun of the world! 33
2021년 4월 24일 01:33많은 사람들이 우상향을 굳게 믿는 순간이 가장 위험할때다...부의 이동은 희한하게 역전이 될수도 있다는것...
김옥순 33
2021년 4월 23일 22:01지난번에는 지금은 집살때 아니라고 말씀 하셨었는데~~
모너턴 33
2021년 4월 26일 08:25향후 1~2년 안에는 집값 안내려간다. 그 이후는 아무도 알수없다. 이게 요점인듯?
잘산다 30
2021년 4월 23일 19:58청약제도가 문제....
마커스7 30
2021년 4월 23일 20:05ㅋㅋㅋㅋㅋㅋ비추
안녕차차 30
2021년 4월 25일 23:4120대 초에 대학 안가고 일해서 3천만원 모았을때 제태크 관심 없진 않았지만 이해력도 딸리고 주변에 들은것도 없어서 제태크 보다 대학 가서 배운 후 일 적응해야겠다는 것에 목표두고 대학에 돈 썼는데 그 때 대학이 아닌 경매나 토지 등 제태크를 했었어야 한걸 후회함...지금은 그때만큼 돈이 모아지지 않음.....ㅜㅜ
권남혁 29
2021년 4월 23일 22:39이 분 2달전까지 집팔라고 하셨는데...
Jh K 29
2021년 4월 24일 01:31홍박사 되게 신나보이네
1등먹자 28
2021년 4월 24일 02:20아무리 주식 해야 하고 부동산 해야 한다지만 이게 정상인 나라인가?? 이런 나라에 미래가 있는가?? 내가 없다고 불평하는게 아닙니다. 도대체 이게 정상 입니까??
신태호 28
2021년 4월 23일 21:09상승론과 하락론 등 여러가지 의견이 있었습니다만 하락을 맞추는건 정말 어려운일인듯 합니다 집을 보유중인 사람들의 의식이 모두 오르기를 바라고 있는 한...
Jacob Park 28
2021년 4월 23일 20:47서울은 집값이 미쳤음 젊은 세대는 집사는 걸 포기함 올리기만 계속 해봐라 그냥젊은 세대는 다포기해버림
조기사 26
2021년 4월 24일 11:07판단은 여러분 개인의 몫입니다.
hes Kim 26
2021년 4월 23일 19:54물량넘기기
김헌숙 24
2021년 4월 23일 21:55미국 금융위기 오기전 집값 오르기에 은평뉴타운 분양 받고 2010년에 입주했는데 금융위기 오고 일부 미분양 해소되지 않아 서울시가 전세 주다 2017년까지 20프로 할인해서 분양했습니다
3기 신도시 분양하고 금리오르고 열기가 식으면
또 할인 분양할 수도 있겠죠?
지금 거품 가득찬 집을 사면 호구됩니다
지금 사면 오른다고 하는데 팔고자하는 매물은 왜이리 많을까요?
허성현 24
2021년 4월 24일 12:16지방러 입장에서는 지금 사면 세금이 너무 비싸기 때문에 나중에 오를 집값에 비해 얻는 이득이 작을거 같아요 그리고 공급이 많아지면서 집값이 큰 폭으로 오를거 같진 않고
김루핀 23
2021년 4월 23일 20:30200억부자도 원룸 오피스텔 매수로 시작했다고 합니다
가능한것부터 계획을 세우고 목표를 정해보심이 어떨지요.
저도 50살에 간신히 집 샀습니다
가진게 없으면 시간이 필요합니다
@냉콩국수 22
2021년 5월 07일 23:19그냥 딱 하나만 생각하면되요. 상승장의 끝은 지금보다 훨씬 화려합니다. 정말정말 이젠 꼭지겠지하며 버티던 사람들이 화려하게 폭등하는 집값을보며 빡쳐서 에라이모르겠다하고 집살 때가 꼭지입니다. 아직은 안사고 버티는 사람들 많죠.
하리보골드베렌 21
2021년 4월 25일 22:10집을 안사는걸까요?
못사는걸까요?
ㅜㅜ 흐읍...
C30 20
2021년 4월 24일 00:00무주택자나 갈아탈 1주택자면 모를까... 다주택 하려는 사람은 뭐 남는 게 있다고 살까 싶네요. 세금 장난 아닌데.
안유진 19
2021년 4월 27일 06:49누구 예측이 맞을지는 지나봐야 알겠지만, 몇번의 등락을 경험한 나이든 사람이라 의구심이 듭니다. 2010년에 전세 얻으려는 딸에게 집 사라고 강요했다가 4년간 50%가까이 하락해서 마음 고생 엄청했지요. 십년 정도를 내다보면 결국은 우상향하겠지만, 사자마자 하락시작하면 세상 즐거운 일이 없고, 세상 잘못 살아온것 같은 느낌 이었지요.
네발뱅기DRONEsupfly 18
2021년 4월 24일 06:36지금 오버슈팅구간 아닌가
shu 18
2021년 4월 23일 20:44요즘 결혼하는 추세인가.. 내 주변엔 1인가구인 사람이 얼마나 많은데..이번 청약신청 274명중 270등했는데 1인가구 배제한거 아니냐구
Kim 17
2021년 4월 23일 21:49고민입니다. 신혼 1년차이고, 무주택입니다.. 빅데이터 전문가 김기원 님은 사지말라고 하는데, 그분도 한번 초대 방송 가능하신지요?? 다른쪽 의견은 어떤지 궁금합니다...하....ㅠㅠ 사야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너무 어렵네요
STOCK HAZA 16
2021년 4월 23일 20:25저도 동의합니다 특히 서울 집값은 아무리 생각해도 떨어질 구조가 없어보입니다
곤잘레스 16
2021년 4월 23일 20:14공급 꽉막혀서 이제 막 흙퍼기 시작했는데 집값이 왜 잡히냐 ㅉㅉ
죠니 Johnny 16
2021년 4월 24일 08:33작년 5월
정말 운좋게 경기도권 롯데캐슬 59A 청약 당첨되었습니다
총 29층높이에
이제서야 6층 올라갔는데 피가 1억 5천입니다
옆집아파트 다음달 입주예정이고
같은 타입 피 2억 5천이네요
저도 당첨되고나서 기분은 좋지만
터무니없이 오르는 가격에
기분이 좋다가도
너무 현실성 없이 치솟는 아파트값에
불안하기도합니다
집값 잡힐까요?
오르는건 좋지만 너무 말도안돼게 오르는건
사회가 정상적으로 돌아가는데있어서
너무나도 큰 걸림돌이네요..
soo ho Park 15
2021년 4월 23일 20:45동의해요 세금과 각종규제들이 더 부채질했죠~
이원태 15
2021년 4월 23일 19:45홍박사님 동영상은 믿고 꼭챙겨봅니다... 근데 요즘 부동산 예측하시는거 보면 제 인생이 너무 슬프네요 ㅠ.ㅠ
@손쩡이 15
2021년 5월 17일 08:18집을 개인의안정을 위해서 사는게 좋죵ㅎㅎ저는서울아파트는 못사고. 작년에서울 실거주용신축빌라 매수했어요.아파트보단못하지만그래도살만해요.미혼이긴하지만 집은있어야하고.회사랑가깝기도하고요
어피치덕후 15
2021년 4월 23일 22:20이야 홍춘욱 박사님까졍 나오넼ㅋㅋㅋㅋ
@시니어트렌드-m4e 15
2021년 4월 23일 21:03올해 미국 백신 접종 후 집단면역 형성> 미국경제 회복> 미국 주가 올라감> 하지만 우리나라 상대적으로 백신접종 늦음> 집단면역 형성 시기 늦음> 경제회복 늦어짐> 달러대비 원화 약세> 2022년말~2023년초 미국 금리 인상> 미국에서 전세계의 달러 빨아드림> 달러대비 원화 더 약세> 우리나라 자산 가격하락.. 한다면 우리나라도 금리를 인상하지 않을까요? ㅠ
설운 14
2021년 4월 23일 23:26상승꼭지에 막차타느니 그돈으로 배당주 사겠다 부산 대대포 전주 1억미만 아파트 수두룩하다
children mr 14
2021년 4월 26일 07:59서울 역근처 아파트들은 나라가망하지않는이상은 꾸준히 우상향임
Jeter2 14
2021년 5월 19일 08:53집 한채 있는 사람은 무조건 집값 오르기를 기대하지는 않습니다~
마쎄이 13
2021년 4월 23일 21:50얼마나 올라야 니들 월급으로는 안되니 포기하라고 할런지~ㅋㅋ 지금 사람들이 간보면서 청약 기다리는줄 아나? 구축 호가가 너무 비싸서 쳐다도 못보는겨~
세은 13
2021년 4월 24일 00:39늦었지만 요즘 홍박사님 저서 "밀레니얼 이코노미"를 읽고 있는데요.
정말 공감했습니다.
이렇게 나와서 답답함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돌대가리들이 만든 "부동산 3법"이 여러사람 잡습니다 ㅠㅠ
jwa Kim 12
2021년 4월 24일 18:41돈이없어서못삽니다.오르든가말든가.대출도안나오는디.
김츄 12
2021년 5월 30일 04:485년전에 집주인이 전세금으로 진짜 빡치게해서 풀대출 받아 집샀는데 그게 나한테 이렇게 행복을 가져다 줄줄 몰랐음 5년전 노망난 집주인할망구 감사합니다!!
상승우공이 11
2021년 4월 23일 20:50숏포지션 롱포지션 모두 편하지 않은 시대네요.
tv친절한 난이씨 11
2021년 4월 23일 19:43한채더사고싶다
HW Kang 10
2021년 4월 24일 17:26아파트단지 500가구면 최소 50가구 거래액이 오른것을 기준으로 실거래액을 안정해주는 뭐 그런 기준같은게 만들어 졌으면 좋겠다.
한집 올랐다고 나머지 모두 거래가액을 높이는 이것은 무엇인가...
심심한라떼 9
2021년 4월 23일 22:49저소득층은 고용대란으로 인해 금리상승은 불가능. 저소득층 어려움이 아파트값 유지 내지는 상승에 도움을 주는건가요.....
고민해결해주는남자_고해남TV 8
2021년 4월 23일 20:29홍춘욱 박사님은 믿음이 가서, 항상 말씀에 귀기울이게 됩니다.
김재훈 8
2021년 4월 23일 22:14계속 오르면 나중에 누가 사가긴 할까요?
보리의삶 7
2021년 4월 24일 11:18공급과잉,유동성축소,조정구역
구직활동 7
2021년 4월 24일 22:42선생님, 풀버젼을 부탁드립니다ㅎㅎ
뽀드득 7
2021년 4월 23일 20:25전지역이 다 그럴까요?
teo9084 7
2021년 4월 26일 00:42과연 지금 집값 상승에 대한 대체제가 임대주택일까하는 생각이 드네요 임대주택이 많아져도 집값은 안 잡힐거고 장기적으로 빈부격차 더 심해질거 같아요
@eXplOrer-b3l 7
2021년 4월 24일 11:26수요와 공급에 의해 자연스레 집값이 형성되야지, 오른다, 떨어진다 선동질 해서 출렁거리는게 과연 정상인가요?
최근 1년 아파트 값 상승률이 정상이라고 보시나요?
영끌, 갭투자, 이젠 신물이 나네요.
jh k 7
2021년 4월 24일 14:52재건축 그렇게 막고, 대출 막고 쇼를 하더니 참 어이 없는 상황을 맞딱이네요. 말도 안되는 전/월세 계약 상환선 만들어서 전월세 가격 정말 미친듯이 많이 올랐습니다. 이 정책 폈던 사람들 지금도 잘먹고 잘살고 있습니다. 정말 어이 없는거죠. 현 정부가 사다리 제대로 걷어 찬거죠.
아트김 7
2021년 4월 23일 21:57이게 국가에 문제인가 부동산에 미친 국민들때문인가...
위시리치 7
2021년 4월 23일 20:14종잣돈 있으면 일단 실천하고 시세차익으로 종잣돈 또 마련해서 대출받아서 월세 주고
현금흐름 늘리고 하는 게 답이네요~
HG K 7
2021년 4월 24일 09:45세상에 영원한건 없죠~! 불변의진리
오잉? 6
2021년 4월 23일 21:51돈이 있어야 집을 사죠오오~~~
글쎄 6
2021년 4월 24일 12:59홍춘욱님도 블라를 하시는군요..^_^
기명준 6
2021년 4월 23일 20:36???:부동산 있어요??
나: 아니요 없어요
???:없었어요?
나: 아니 없어요
???:아 있었는데??
나:아니 없어요 그냥
touzi value 6
2021년 5월 11일 00:39제한된 토지는 가치가 오를수밖에 없다
봉봉 6
2021년 4월 24일 10:091주택이 중립기어라는 것에 대해 오해가 있으신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중립포지션은 부의 상대적 개념에서 나온것입니다. 우리나라의 평균 자산은 부동산 80% 금융자산(대체자산포함) 20% 이며 그중 부채는 약 1/3입니다. 이렇게 자산 배분이 평균적으로 되어있고 각 자산이 대표적인 지수(평균 주택가격, 코스피지수 등) 를 추종하여 값이 변동한다면 자산의 변동에 의해 자신의 부의 서열이 바뀌지 않는다는 것 입니다. 즉 상대적으로 벼락거지나 벼락 부자가 되지 않는다는 개념입니다. 평균적으로 부동산의 자산 비중이 높기 때문에 1주택이 중립에 가깝긴 하지만 부채가 평균 보다 높거나 모든 자산이 부동산에 편중 되 있다면 부동산 가격, 금리 변동에 자산 가치가 크게 변동 되는 포지션이지 중립 포지션은 아닌것입니다. 앞으로 부동산, 주식, 코인이 어떻게 움직일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다만, 자산배분의 개념을 알고 무리한 투자를 지양하여 위험하지 않은 투자를 하시길 바랍니다.
Hung粤 5
2021년 4월 24일 13:29주택도 신주인수권이랑 전환사채, 유상증자 처럼 ㅋㅋ 유통물량을 늘리면돱니다.
돌려 말하면 용적률 규제 풀고 재개발 재건축하면 됩니다
하지만 대체 불가한 조건이라면 가격 방어가 되겠죠
끼토산 5
2021년 4월 23일 21:43의견중 하나로 듣고 선택은 본인이 하는거지 ..몬 불만들이 ..
매드아이 5
2021년 4월 23일 22:30아직 잘 부동산쪽은 학습이 부족해 중후반부는 잘 이해가 안되었습니다. 혼자서도 검색해보고 공부하겠지만, 잘 아시는 분께서 쉽게 정리해주신다면 많이 많이 감사하겠습니다~!
예서의 쉽고 간단한 만들기 5
2021년 4월 24일 04:32솔직 담백하셔서 좋습니다.
요리조리슝슝 4
2021년 5월 08일 22:23특히 실거주 목적인 집은 되도록 일찍 사야하는것 같습니다🥲
리라 4
2021년 4월 24일 10:20사람들이 버블 붕괴에대해 대단히 착각을 하는것같은데 지방 시골에 10억짜리 아파트 이런 실제 거품이 꺼진다는 말이다.
수요가 많은곳은 어쨌든 안떨어지니까 지금 집없는 사람들이 서울에 내집마련 할수있을거라는 꿈은 버려야 한다.
요리조리슝슝 4
2021년 5월 08일 22:23특히 실거주 목적인 집은 되도록 일찍 사야하는것 같습니다🥲
BYUNGGWAN BAE 3
2021년 4월 23일 22:49경제학자가 경제학적으로 부동산을 바라보니 한계가 있어보임.. 금리도 중요하지만 사람 심리나 코로나로 인한 외부충격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집 사라고 함부로 말하는 건 아니라고 봄. 부동산은 큰 금액이라 한 번 실수해도 인생 낙오자되기 쉽상이니까
행복맘 3
2021년 4월 25일 11:29홍박사님 분석 정확하죠
토니 3
2021년 4월 23일 21:25결국 금리 카드뿐이다.
Jw 3
2021년 4월 24일 08:06임대차 3법은 폐지되었으면 좋겠네요..ㅠ
하루키빵가게습격사건 3
2021년 5월 12일 21:52저도 빌라전세 6개월 살다가 집값 오르는거보고 대출받아 수도권에 아파트 샀어요
거꾸로 갚아가며 살아야지 안그러면 집 못사겠더라고요 ㅠ
이럴줄 알았으면 대출받더라도 일찍살껄 했어요
김민섭 3
2021년 4월 25일 01:22미국의 경제 성장 지표는 실업지표인데 최근에 고용률이 많이 올라서 금리상승 얘기가 나오는 중이라고 알고있는데,,,,
김성태 3
2021년 5월 16일 16:193~4년후에도 이렇게 방송할런지 보러올게요.
cosmonaut 2
2021년 5월 22일 01:52와.. 이 말이 맞으면 지금 돈없는 사람은 평생 못살수도있네
Jason Kim 2
2021년 4월 24일 12:57지난번엔 주택가격이 내려갈 가능성이 높은 것처럼 말씀하셨는데 얼마 되지 않아 반대의 말씀을 하시네요. 이래서 전문가 말을 너무 맹신하면 안됩니다. 자기 스스로 판단해야 합니다. 물론 이런 전문가님들의 통찰력은 진지하게 참고하셔야 하지만
JH JH 2
2021년 4월 24일 09:22우와 홍춘욱박사님~~!!!! ❤️❤️❤️
30대자본주의 2
2021년 4월 30일 11:07헐? 작년까지 이렇게 말씀 안하셨는데, 감사합니다. 참고하겠습니다.
강수지 2
2021년 5월 14일 01:22집을 사고싶어도 전세금을빼야하기에 아무래도 전세만기되면 반전세로 버티며 집알아봐야할듯 해요.
시리우스 2
2021년 4월 30일 13:48영끌해서 더블 역세권 33평 아파트 샀더니 맘이 편하네요. 제 입장에서서야 오르면 좋겠지만 떨어져도 상관없습니다. 이미산거 주거용이란 생각하니 맘이 편하네요. 풀 대출 땡겼는데 부담없어요. 월수입이 어느정도 된다면 대출 걱정하지마세요. 부채도 자산이니까요.
특별한엉뚱이 1
2021년 4월 24일 13:17비효율적인 정책에 백번동의합니다.
양재천TSLA 1
2021년 4월 24일 21:06정말 맞는 말씀! 인플레는 진짜 힘들어 보입니다...
김흥수 1
2021년 5월 11일 10:02근데 무주택자나 실거주자들이 집을 사야 하는데 대출을 다 막아놔서.....추가 매수 수요가 더 있을까요??
미세스리 1
2021년 4월 23일 21:04동감합니다 진짜 비효율적인 정책ㅜㅜ
왕정훈 1
2021년 4월 23일 23:26건설사 사장님이세요?
나팔바지 1
2021년 4월 24일 13:50홍춘욱박사님 나오셔서 반가웠는데 말씀중에 딱 끝나니 ...
2부가 있는건가요?
part han한 1
2021년 4월 26일 19:22이거보고 집사는데 ..여기서 집은 아파트입니다 ..
Gui xiS 1
2021년 4월 24일 17:32홍춘옥박사님 일자리전망도 다뤄주세요~!
행복한파인애플
2021년 4월 27일 09:38집 필요한 사람은 사고, 아닌 사람은 생활비로 누리고 살고. 각자 판단합시다.
Karina N.
2021년 4월 23일 21:55임대 공급 많으면 임대 피도 오르려나
서성용
2021년 4월 23일 21:50지금 집을 사라.......
올리브
2021년 4월 23일 23:14집값이 너무 올랐는데 어케 사나
David Kim
2021년 4월 23일 23:11키맞추기 들어가는 중
윤니치 niche
2021년 4월 23일 23:15이번생에 집은..
사우스론오크파워
2021년 5월 10일 23:26이제 1억모으신분들 가족지원없으면 대출껴도 원룸아파트도 인서울은 불가하죠
제가 그렇다고요ㅜㅜ
조MARK
2021년 5월 07일 08:44아무리 올라도 실거주 1채인사람은 평생 그돈 만질수가 없는게 집값
Lee용범
2021년 5월 08일 00:20부동산 가격 급등은 공급 부족에 기인하는 것 처럼 보일 뿐 실은 실물 자산의 상승 추세에 기인하므로 쉽게 해소 되기 어렵다..
JW Shin
2021년 5월 16일 04:09무주택자는 3부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부동산상승 보다 더큰 자본소득을 일으키는 사람 (사업가, 금융투자자 등)
2. 헛똑똑이 (경제 공부를 했는데 네거티브한 평가쪽으로 기운 경우)
3. 그냥 귀차니스트
오리온
2021년 4월 25일 17:10대표님 열혈구독자입니다.
결혼 전 와이프가 인천 6000만원짜리 빌라를 가지고 있었고 처분을못한체 결혼하였습니다.
그래서 과거주택소유이력으로 인해 특공을 지원하지못하고 무주택점수도 안되 내집은 꿈도못꾸고있네요
하지만 몇달전 수도권 1억3천 이하주택은 무주택으로 간주한다는 개정안소식을 들었습니다.
여기서 소급적용을 받아 특공이 가능한지 혹은 무주택기간이 소급적용받을 수 있는지 점수변동이 될수있는가능성이 있는지 너무 궁금합니다. 도와주세요 대표님ㅠ
Bull Kevin
2021년 4월 27일 08:36부동산 집값은 안 떨어지고 계속 상승추이일거라 생각은 합니다. 공급이 지금 부족하긴 하니까요
하지만 지금 시점에서 6월에 본격적으로 임대차 3법 완결판인 전월세 신고제랑 더불어서 백신 도입으로 향후 하향된금리가 상향 조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물론 올해는 아니겠지만요. 가격은 계속해서 상향되고 있지만 실제로 거래되는 물량은 작년 규제 시점부터 감소하고 있어서 지금은 약간 관망하는 시점인 것 같아요
부동산은 주식이랑 달리 폭락은 없지만 가격이 한 번 내려가면 거래가 힘든게 부동산의 위험성이라
이 분 의견도 듣고 다른 반대의견도 들어가면서 매수랑 매도시기를 잘 결정해야겠네요
트루앤유
2021년 4월 24일 12:122023년 2025년에 전세가가 오를이유에 대해 이해가 됩니다
매매가가 어떻게 될지보다 전세가가 어떻게 될지가 가장 중요한 신호라고 생각하거든요
정의의 사도
2021년 4월 25일 23:03집값 오른다고 인플레이션이라고 생각하면 대참사 됩니다.
망해서 문닫은 자영업자가 얼마나 많은데
고용이 완전히 됐나 안됐냐를 보고 판단해야 합니다 집값만 보고 금리 올리면 정말 서민들 자살하고 난리납니다.
딸기맛나무
2021년 6월 23일 00:35저 소득자를 제외 시킨 통계라는게 넘 슬프다 ㅜㅜ
호야청과 Hoya fruits and vegetables
2021년 4월 24일 14:32좋은 이야기 감사합니다.
마로니에
2021년 4월 24일 19:17때때로 참고하고 있습니다. 시청해서 좋아요 누르고 갈께요.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