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5 먹고사니즘에 대해서 0:33 최근 지인들과의 일화 : 자기 업에서 자의반, 타의반 해고를 당함 무엇을 먹고 살면 좋겠느냐? 0:55 50대 분들의 직장잃음 많아짐, 차, 부장, 이사 상무 1:20 어떤분들에겐 또다른 기회이나, 그냥 흐름에 따랐던 분들에겐 생지옥 2:02 [조언 1]마음가짐부터, 똑바로 가져라 2:45 문과의 최고봉 : 변호사 case 3:03 사건 수임 2011년 2.8개 vs 2019년 통계 : 1.3개 3:18 수임료가 2배가 되지 않은 이상, 연봉이 줄었을 변호사 3:45 물론 꼭대기로 가면 예외 4:03 이 생태계가 얼마나 안정적인가를 보려면, 밑단을 봐야해 4:08 전문직은 왜 여태 매력적이었나 4:20 '의사'는 아직까지는 과거통념이 유효 4:40 변호사의 사례 계속 : 로펌에 취직 후 5:05 예전은 월급 세후 500 >> 400 >> 350(요즘) 5:40 뉴스에서 나온 사내 변호사의 사례 : 연봉 세전 250-300 6:05 졸꾸러기 분들 중 연봉 3600 이상인 분들이 많지 않은가 6:13 기회비용(돈,시간,노력)에 비례해서, 무너진 수급 6:30핵심 내가 영원히 맞다고 믿은 시스템에 대한 무한한 신뢰 >> 그 시스템이 망가졌을 때 7:02 [조언 2] 학습능력이 필요하다 7:11 우리 사회, 호봉제의 문제 7:46 그냥 세월이 흐른 체 살아온 게 대부분 >> 대응 실패 8:00 "그래서" 폴리매스가 필요하다는 이유 8:10 수입이 줄어든 변호사라면 : 변호관련 일 + side job 8:33 회사를 나오게 된 분이라면 : 다수의 일을 해야 한다 8:50 주 40시간 일하려는 생각은 버려라 9:10 안티 프래질 : 내가 돈을 벌 수 있을 때, 더 벌어야 한다 10:08 추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은 것의 맹점 10:25 박사님이 생각하는 보이지 않는 부분에서 가능성 10:30 PET 병을 만드는 중소기업이라는 가정 11:00 남들이 잘 모르는데, 나만 알 수 있는 부분 11:35 박사님 주변 사례 : 유통 - 주류 - 막걸리 12:20 막걸리 유통만으로 연봉 6000을 번다 12:31 세상은 넓고 돈버는 일은 진짜 많구나 12:40 신 박사님 싱가포르 있을 때 : 골프, 바탐, 한국인 사장님의 사례 13:08 골프장 사장님의 수완 13:24 겨울장사(3-4달) 빤짝해가지고 1-2억 버는것 13:45 공유되지 않는 노하우들 14:03 내가 하고 있는 분야 - 남보다 잘 알 수 밖에 없는, 남들은 모르는 14:19 페인트 업체에서 일을 했다면 14:35 난이도+ : 기술력이 있다면 최고다 14:50 체인지그라운드, 안드로메디안, 더비 15:03 더비가 최애다 : 정말 사소하지만 나만 아는 것 15:29 관련분야 공부를 많이 해라 15:35 어떻게 해야하지 부터 시작, 진입장벽이 높을수록 좋다 15:50 티핑포인트만 넘으면 승자독식 게임 16:18 내가 공부를 계속하는 이유 16:23 내가 최근에 산 책 : 컴퓨터 구조 16:40 스마트폰 구조에 관한책, 3-4만원 17:05 블록체인 : 비트코인 말고 NFT (Non- Fungible token:대체불가능한 코인) 17:22 ㅋㅋㅋㅋ 나(신박사)라고 책을 척척 술술 넘기냐/아니다 17:34 나는 잘 모르지만, 그래도 공부한다 18:05 이런 어려운 거를 공부를 해야한다. 18:18 저희 큐블리케이션에 자신이 있는 이유 : 예)'난청'사업 - 기회가 있다 18:30 MBTI 와 어떻게 만들어졌고, 우리는 더 나은 방향으로 18:45*먹고사니즘에 대해서 정리* 1) 태도, 예전과 다른 상황 인지, 폴리매스 관점, 여러분이 있는 분야(어려운직업)에서도 기회 - 공부 1-1) 중소기업은 헬인데, 사장은 잘먹고 잘산다 - 돈이 되는 시장이다 -후계자가 되든, 똑같은 걸 차려서 경쟁승리하든, 중간 연결 유통을 하든 19:30 2) 고난이도 부분 - 기술력 : 음식 - 요리의 사례 19:40 다큐 : 프랑스 >>> 스페인 ('분짜'요리) 19:50 기술력의 중요성 20:07 여러분 상황에 맞는 고민을 하라. 언제나 도전, 실천은 중요하나 망하지 않는 게 중요. 너무 보이는 것에만 : 보이는 것도 안하는 사람이 많으니, 실천이 중요하나, 맥락적으로 안보이는 것에 또다른 기회가 뭐가 있을까 20:27 그래서, 이건 너무 좋은데 나혼자 하기 힘들다, 신박사님에게 Proposal(제안서)를 보내라 20:52 맺음말
참 연관성없어보이는 지난시간이 현재의 나를 만들었습니다. 생애진로는 곧 삶의 이야기를 재구조화하는 과정이라봅니다. 열등감극복위해 용기를 갖고 직면하고 도전해온 과정에서 참많은걸 깨닫고 체인지그라운드통해 40넘어 임용도전하여 작년에 성취를 이뤘습니다. 저는 지금을 인생 3막 시작점으로 일컫고 또다른 도전중입니다. 나랑 우원하다 느꼈던 수학, 과학 분야에 매력을 많이 느끼는 요즘~ 하염없이 비참하고 가난하고 좌절스럽고 머리나빴던 10~20대가 30~40대를 거치며 이렇게도 바뀔수있다는걸 우리 3아들에게 역할모델되고자 오늘도 심기일전합니다^^
"세상을 돕기 위해 당신의 창의력을 활용하라 Use your creativity to help." 빌게이츠 재단 건물에 있는 문구입니다. 영상 끝부분 프로포절에 훅 끌립니다. 직장생활에 충실하지만 항상 새로운 이이디어를 생각해보곤합니다. 블록체인 기술이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가 올것이라고 제가 최근 읽은 책에서 언급되어서 저도 블록체인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질것이에요.
암웨이 하세요 뷰티 헬쓰 트렌드도 맞고 회원가입비 없이 개인 사업 가능하고요 재고 쌓일일이.없고 90일 만족보증에 수입의.속성이 연금성수입입니다 임계점을 넘으면 넷트웤이 살아있는것 처럼 자가증식합니다 한번.알아보세요 부정적인 사람들 많이 있는데 그게 기회아닐까요 한번알아보세요 참고로 저는 소비만해서 1년에 백만원정도 버는데 아무것도 안하고 소비만 하고 그정도 수입이 생겨요(그냥소비만하지말고 써보고 좋으면 알리고 같이소비하세요 그렇게 네트워크 생기면) 당연히 종합소득세 신고하고요
IT업계 중소기업은 현재 사원이 갑입니다. 세상이 그들의 기술에 내는 돈이 과거에 비해 눈에띄게 높아졌기 때문에, 임계점을 뚫고 지속가능의 수준에 든 기술자들을 붙잡아둘 금전적여유가 중소기업에 없습니다. 기껏 키워둔 실력자들을 다른 기업들이 머니파워로 채가는 실정입니다. 한순간에 경력직사원 10명이 퇴사하여 다른 회사로 가거나 그들끼리 회사를 차리는 모습을 많이 봅니다. 그들에게 컴퓨터와 사무실만 있으면 곧 기업이기 때문에 기술직을 두고있는 중소기업은 기술자들을 잘붙잡아둘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반대로 기술직들은 먹고사니즘에 절대로 매이지 않습니다. 건강이 허락하는 한 기술만 있다면 어디에서든 다시 시작할 수 있기에 뒤도 돌아보지않고 사표를 쓸 수 있는 사람들입니다.
기존 시스템을 믿다보면 망함. 변호사의 경우, 최고의 직업이라고 했으나, 사내변호사 연봉이 36백만원. 그동안의 노력과 기간, 기회비용을 따지면 매우 작은 액수임. 마음가짐을 바꾸고 학습능력을 가져야 함. 나만 알 수 있는 것에서 공부를 통해 기회를 찾아야 함. -> 틈새시장을 찾아 장악하고 그것을 확장해 간다는 뜻인 듯함.
@sung-jinchoi3948 55
2021년 5월 03일 08:35제가 정리 해 본 영상 갈피 입니다🤣🤣
0:05 먹고사니즘에 대해서
0:33 최근 지인들과의 일화 : 자기 업에서 자의반, 타의반 해고를 당함
무엇을 먹고 살면 좋겠느냐?
0:55 50대 분들의 직장잃음 많아짐, 차, 부장, 이사 상무
1:20 어떤분들에겐 또다른 기회이나, 그냥 흐름에 따랐던 분들에겐 생지옥
2:02 [조언 1]마음가짐부터, 똑바로 가져라
2:45 문과의 최고봉 : 변호사 case
3:03 사건 수임 2011년 2.8개 vs 2019년 통계 : 1.3개
3:18 수임료가 2배가 되지 않은 이상, 연봉이 줄었을 변호사
3:45 물론 꼭대기로 가면 예외
4:03 이 생태계가 얼마나 안정적인가를 보려면, 밑단을 봐야해
4:08 전문직은 왜 여태 매력적이었나
4:20 '의사'는 아직까지는 과거통념이 유효
4:40 변호사의 사례 계속 : 로펌에 취직 후
5:05 예전은 월급 세후 500 >> 400 >> 350(요즘)
5:40 뉴스에서 나온 사내 변호사의 사례 : 연봉 세전 250-300
6:05 졸꾸러기 분들 중 연봉 3600 이상인 분들이 많지 않은가
6:13 기회비용(돈,시간,노력)에 비례해서, 무너진 수급
6:30 핵심 내가 영원히 맞다고 믿은 시스템에 대한 무한한 신뢰 >> 그 시스템이 망가졌을 때
7:02 [조언 2] 학습능력이 필요하다
7:11 우리 사회, 호봉제의 문제
7:46 그냥 세월이 흐른 체 살아온 게 대부분 >> 대응 실패
8:00 "그래서" 폴리매스가 필요하다는 이유
8:10 수입이 줄어든 변호사라면 : 변호관련 일 + side job
8:33 회사를 나오게 된 분이라면 : 다수의 일을 해야 한다
8:50 주 40시간 일하려는 생각은 버려라
9:10 안티 프래질 : 내가 돈을 벌 수 있을 때, 더 벌어야 한다
10:08 추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은 것의 맹점
10:25 박사님이 생각하는 보이지 않는 부분에서 가능성
10:30 PET 병을 만드는 중소기업이라는 가정
11:00 남들이 잘 모르는데, 나만 알 수 있는 부분
11:35 박사님 주변 사례 : 유통 - 주류 - 막걸리
12:20 막걸리 유통만으로 연봉 6000을 번다
12:31 세상은 넓고 돈버는 일은 진짜 많구나
12:40 신 박사님 싱가포르 있을 때 : 골프, 바탐, 한국인 사장님의 사례
13:08 골프장 사장님의 수완
13:24 겨울장사(3-4달) 빤짝해가지고 1-2억 버는것
13:45 공유되지 않는 노하우들
14:03 내가 하고 있는 분야 - 남보다 잘 알 수 밖에 없는, 남들은 모르는
14:19 페인트 업체에서 일을 했다면
14:35 난이도+ : 기술력이 있다면 최고다
14:50 체인지그라운드, 안드로메디안, 더비
15:03 더비가 최애다 : 정말 사소하지만 나만 아는 것
15:29 관련분야 공부를 많이 해라
15:35 어떻게 해야하지 부터 시작, 진입장벽이 높을수록 좋다
15:50 티핑포인트만 넘으면 승자독식 게임
16:18 내가 공부를 계속하는 이유
16:23 내가 최근에 산 책 : 컴퓨터 구조
16:40 스마트폰 구조에 관한책, 3-4만원
17:05 블록체인 : 비트코인 말고 NFT (Non- Fungible token:대체불가능한 코인)
17:22 ㅋㅋㅋㅋ 나(신박사)라고 책을 척척 술술 넘기냐/아니다
17:34 나는 잘 모르지만, 그래도 공부한다
18:05 이런 어려운 거를 공부를 해야한다.
18:18 저희 큐블리케이션에 자신이 있는 이유 : 예)'난청'사업 - 기회가 있다
18:30 MBTI 와 어떻게 만들어졌고, 우리는 더 나은 방향으로
18:45 *먹고사니즘에 대해서 정리*
1) 태도, 예전과 다른 상황 인지, 폴리매스 관점, 여러분이 있는 분야(어려운직업)에서도 기회 - 공부
1-1) 중소기업은 헬인데, 사장은 잘먹고 잘산다 - 돈이 되는 시장이다
-후계자가 되든, 똑같은 걸 차려서 경쟁승리하든, 중간 연결 유통을 하든
19:30 2) 고난이도 부분 - 기술력 : 음식 - 요리의 사례
19:40 다큐 : 프랑스 >>> 스페인 ('분짜'요리)
19:50 기술력의 중요성
20:07 여러분 상황에 맞는 고민을 하라.
언제나 도전, 실천은 중요하나 망하지 않는 게 중요.
너무 보이는 것에만 : 보이는 것도 안하는 사람이 많으니, 실천이 중요하나,
맥락적으로 안보이는 것에 또다른 기회가 뭐가 있을까
20:27 그래서, 이건 너무 좋은데 나혼자 하기 힘들다, 신박사님에게 Proposal(제안서)를 보내라
20:52 맺음말
@sang0p 23
2021년 5월 03일 08:55저는 2년차 변호사 인데, 신박사님 한마디 한마디가 절실히 공감되네요
@YLeader100 20
2021년 5월 04일 14:32댄서,비보이->무역학과->공무원준비->청소년지도사->사회적기업->학교복지사->부동산투자자->현 전문상담교사
참 연관성없어보이는 지난시간이 현재의 나를 만들었습니다.
생애진로는 곧 삶의 이야기를 재구조화하는 과정이라봅니다.
열등감극복위해 용기를 갖고 직면하고 도전해온 과정에서 참많은걸 깨닫고 체인지그라운드통해 40넘어 임용도전하여 작년에 성취를 이뤘습니다.
저는 지금을 인생 3막 시작점으로 일컫고 또다른 도전중입니다.
나랑 우원하다 느꼈던 수학, 과학 분야에 매력을 많이 느끼는 요즘~
하염없이 비참하고 가난하고 좌절스럽고 머리나빴던 10~20대가 30~40대를 거치며 이렇게도 바뀔수있다는걸 우리 3아들에게 역할모델되고자 오늘도 심기일전합니다^^
그리고 이 영상을 보며 나자신이 폴리메서가 되어가는 중이구나..란걸 자각해봅니다
@void4904 14
2021년 5월 03일 08:44저도 스마트스토어 연계해서 여행사 하다가 코로나 이후 제가 원하는 걸 직접 구현해 보고 싶어서 공부해 플러터 개발자가 되었습니다. 개발자로 근무하며 지내보니 이 시장에 기회가 보여서 개발자 관련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어요 :)
기대앤 j 9
2021년 5월 03일 08:12"세상을 돕기 위해 당신의 창의력을 활용하라 Use your creativity to help." 빌게이츠 재단 건물에 있는 문구입니다.
영상 끝부분 프로포절에 훅 끌립니다. 직장생활에 충실하지만 항상 새로운 이이디어를 생각해보곤합니다.
블록체인 기술이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가 올것이라고 제가 최근 읽은 책에서 언급되어서 저도 블록체인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질것이에요.
뜸 알려주는 부남 8
2021년 5월 03일 10:41먹고사니즘 해결한다
- 50대는 꼰마를 버려라
- 함부로 자영업 도전 하지마라/돈날린다.
- 공부하라
뭔가 내가 잘 할 수 있는게 보인다
- 자신이 잘해왔던 분야를 한번돌아봐라
- 관련 분야 책을 많이 읽어라
- 그리고 천천히 하나 둘 타인에게 씨앗심듯 영향을 미쳐라
그걸로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다
- 그 영향의 씨앗들이 피기 시작하는 순간이 온다
-
변호사는 기회비용이 크다
- 이 관련 이야기는 메가스터디 손주은씨 영상을보라.
- 직업은 지금 이전에 없던 속도로 바뀐다.
* 이 정리는 그냥 큰 틀만 이 영상보고 나름 정리한 것.
밑에 달린 정리는 제 주관입니다*
timelover 5
2021년 5월 03일 10:00블록체인같은 경우 책은 많은데 어떤 걸 읽어야 할지 잘 모르겠어요ㅠ 비트코인도 그렇고 이해관계가 크게 얽혀 있는 곳에서 책을 출간할 경우 객관적이지 않은 정보가 담겨 있을 수도 있다고 알고 있어요. 혹시 추천해주실만한 책이 있다면 소개 부탁드려도 될까요?
@sung-jinchoi3948 5
2021년 5월 03일 07:30주말 잘 보내셨습니까~~! 굿모닝
https://youtu.be/ZTCsp5p-x6Q
체인지 그라운드, 고신세, 먹고사니즘 관련 보심 좋을 영상입니다😂😂
@user-lr4lg6nw4r 5
2021년 5월 03일 08:23참 고마운 순간들있죠
살면서 행복한 마음을
선물해 주는 참 고마운
순간들있죠
가슴 따뜻하게 마음속을
알아주고서 일으켜 세워주는
진실한 마음으로 다가서는 따뜻함
오래 가지고 갈 마음들 앞에서
참 고마운 사람들 미소짓고
떠오르는 착한 마음들
한결같은 날들속에서
한결같이 보여주는
소중한사람 으로
곁에서 오래 지켜주고 지켜가는
마음들 참 행복한 순간들있죠
언젠가는 한번은 꼭 안아주고싶은
사람들있죠
너무나 행복하고 사랑스러운 사람들
함께하는 시간들이 빛난다
장미꽃 향기
@user-uz8cl3bg3l 5
2021년 5월 03일 09:44신박사님은 정말 최고입니당👍
@user-lr4lg6nw4r 4
2021년 5월 03일 08:22신박사님 목소리 반갑습니다 😁
5월 멋지고 행복한 날되세요
늘 감사합니다 😊🙏👍
@mijajang3103 3
2021년 5월 03일 09:16와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hjlee0710 3
2021년 5월 03일 08:50조금 더 폭넓게 세상을 바라봐야 겠네요. 좋은 이야기 고맙습니다 :)
어찌 됐건 고생하셨습니다 3
2021년 5월 03일 07:31월요팅입니다!
timelover 3
2021년 5월 03일 09:45📚기술력. 나만 아는 것. 어려운 공부. 관점
C mi Han 3
2021년 5월 03일 08:07졸꾸 빡독 화이팅.
@sangsoolee4429 3
2021년 5월 03일 08:04항상 깨어있어야 기회도 보이죠ㅎㅎ
임미정 2
2021년 5월 03일 07:34월요일 시작입니다~
@user-sn9mp4vx8d 2
2021년 6월 21일 17:132:00 뭘 먹고사는지보다 마음가짐부터 바꾸는 것이 우선!
6:30 완전히 다른 세상.. 기존시스탬을 철석같이 믿고 있으면 언제 인생 망할지 모름...
8:30 사이드잡도 해야...!
10:00 중소기업의 경우, 거기에서만 알 수 있는 노하우가 있다. 그 부분을 자세히 공부해보면 그 속에 기회가 있다
14:10 여기서 내가 공급하는 솔루션 업체가 될 수 있지 않을까하는 관점으로 !
15:00 기술을 가지면! 축적을 하면! 영업이익률이 극도로 올라감!
16:00 티핑포인트에 도달하면!
16:40 다시 기본으로 돌아감
18:10 큐블리케이션을 하는 이유. 기회를 찾기 위해!
19:10 비밀은...! 중소기업
@user-jhp86 2
2021년 5월 03일 11:56귀한 영상 감사합니다. ✍️
@youngsiljin6784 1
2021년 5월 03일 13:31밥 먹다말고 머리만 계속 끄덕이게 되네요.그쵸 눈열고 귀열고 항상 주위를 살펴보는면 기회가있지용✊근데 외케 피곤해보이세요??건강챙겨요🙂감사합니다❤
백종문TV 1
2021년 5월 03일 08:47신잡스 신박사님 안녕하세요💚
저도 가전을 만들려고 하는되 신박사님 도움을 꼭 받고 싶습니다 🙏그런 기회가 오길 기도합니다 🙏비록 꽃은💐 피우지 못했지만 오늘보다 내일의 꿈을 이루고 싶네요💥 오늘 영상도 큰💪 힘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고다메 1
2021년 5월 03일 09:25변호사가 세후 350만원이면... 타산에 전혀 안 맞네요;;;
@user-zj8xq9qw5w 1
2021년 5월 03일 10:36크 오늘도 정말 유익한 내용입니다. 한 두번 들은걸로는 역시 내용이 기억이 잘 안되네요 자주 자주 보면서 박사님 말씀 깊이 새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ns7zl5zb3o 1
2021년 5월 03일 11:10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user-bd5ie1yh5f 1
2021년 5월 03일 22:44먹고 사는 문제를 떠나 가치관, 꿈, 비전, 하고 싶은 것이 있어야 한다.
하고 싶은 것, 해야할 것, 끝내야할 것
참 많다.
공부 계속 하자.
지위, 성별을 떠나 뭔가를 남겨야 할 것 같다.
죽기 전, 죽음을 앞두고.
언제 죽을지는 모르겠지만.
@b.t.y2023
2021년 5월 09일 12:56항상 의식적으로 생각을 해 봐야겠군요! ㅎㅎ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김승만
2021년 11월 14일 22:01화이팅입니다
댓글
2021년 5월 10일 21:13먹고사니즘을 극복하는 방법
1. 폴리메쓰가 되어라
2. 새로운 관점으로 사업을 고민해라
3. 기술력을 가져라
@user-em9lt9ip3n
2021년 5월 04일 08:04좋은말씀 감사합니다.
옥정리
2021년 5월 04일 20:18암웨이 하세요
뷰티 헬쓰 트렌드도 맞고 회원가입비 없이
개인 사업 가능하고요
재고 쌓일일이.없고 90일 만족보증에
수입의.속성이 연금성수입입니다
임계점을 넘으면 넷트웤이 살아있는것 처럼
자가증식합니다 한번.알아보세요
부정적인 사람들 많이 있는데 그게
기회아닐까요
한번알아보세요 참고로 저는 소비만해서
1년에 백만원정도 버는데 아무것도 안하고
소비만 하고 그정도 수입이 생겨요(그냥소비만하지말고 써보고 좋으면 알리고 같이소비하세요 그렇게 네트워크 생기면)
당연히 종합소득세 신고하고요
전MS
2021년 6월 29일 09:28화이팀
파랑공방
2021년 5월 05일 15:13화이팅!
김승만
2021년 11월 14일 22:01화이팅입니다
어린시절
2021년 5월 14일 14:04어휴;; 변호사안하길 잘했네
@user-ig6pp4cc1b
2021년 5월 03일 15:49영상을 보면서 여러 가지 많은 생각이 드네요. 항상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박사님 ☺️
전MS
2021년 6월 29일 09:23신박사님 우리나라 벤처기업부 모셔가야함 장관으로
@Cuuzen
2021년 5월 06일 22:43정말 좋은 얘기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kr4sv4ki9x
2021년 5월 03일 16:38안보이는곳에 기회를 찾아볼께요.좋은말씀 감사합니다
la la
2022년 1월 09일 16:13IT업계 중소기업은 현재 사원이 갑입니다. 세상이 그들의 기술에 내는 돈이 과거에 비해 눈에띄게 높아졌기 때문에, 임계점을 뚫고 지속가능의 수준에 든 기술자들을 붙잡아둘 금전적여유가 중소기업에 없습니다. 기껏 키워둔 실력자들을 다른 기업들이 머니파워로 채가는 실정입니다. 한순간에 경력직사원 10명이 퇴사하여 다른 회사로 가거나 그들끼리 회사를 차리는 모습을 많이 봅니다. 그들에게 컴퓨터와 사무실만 있으면 곧 기업이기 때문에 기술직을 두고있는 중소기업은 기술자들을 잘붙잡아둘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반대로 기술직들은 먹고사니즘에 절대로 매이지 않습니다. 건강이 허락하는 한 기술만 있다면 어디에서든 다시 시작할 수 있기에 뒤도 돌아보지않고 사표를 쓸 수 있는 사람들입니다.
Ryan Park
2021년 12월 22일 23:53기존 시스템을 믿다보면 망함. 변호사의 경우, 최고의 직업이라고 했으나, 사내변호사 연봉이 36백만원. 그동안의 노력과 기간, 기회비용을 따지면 매우 작은 액수임.
마음가짐을 바꾸고 학습능력을 가져야 함. 나만 알 수 있는 것에서 공부를 통해 기회를 찾아야 함. -> 틈새시장을 찾아 장악하고 그것을 확장해 간다는 뜻인 듯함.